KR101407412B1 - Package body and container - Google Patents

Package body and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412B1
KR101407412B1 KR1020097009075A KR20097009075A KR101407412B1 KR 101407412 B1 KR101407412 B1 KR 101407412B1 KR 1020097009075 A KR1020097009075 A KR 1020097009075A KR 20097009075 A KR20097009075 A KR 20097009075A KR 101407412 B1 KR101407412 B1 KR 10140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sin film
hole
wall
upp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1378A (en
Inventor
마사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3442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0741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94Thermoformed trays or the like with a plurality of recesses for different materials located in different re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킬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고, 가열 후의 용기의 함몰을 방지할 수도 있는 포장체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시킨다.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의 제1접착부(111)에 수지필름(120)을 접착시킴으로써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130)을 밀봉하는 포장체(100)에 있어서, 용기(1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수지필름(120)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돌출부(112)를 용기벽에 형성하고,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13)과, 관통구멍(113)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120)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하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114)와, 제2접착부(114)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115)를 제1돌출부(112)의 상면에 형성하였다.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높아진 때에는, 수지필름(120)이 상방으로 팽창되어 제2접착부(114)가 떨어져서, 용기(110)의 내부 가스가 관통구멍(113)을 거쳐 용기(110)의 외부로 방출된다.

Figure R1020097009075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package with a simple structure that not only releases the gas generated from the contents to the outside but also can uniformly heat the contents and prevent the container from sinking after heating.

A package body (100) for sealing a contents (130) accommodated in a container by adhering a resin film (120) to a first adhesive portion (111) of an upper edge of the container (110) A through hole 113 passing through the container wall and a port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113 are formed in the resin film 120 Shaped second adhesive portion 114 for weakly adher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114 and a second protrusion 115 protruding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14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12 .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110 is increased, the resin film 120 is expanded upward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14 is released, so that the internal gas of the container 1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igure R1020097009075

Description

포장체 및 용기{PACKAGE BODY AND CONTAINER}[0001] PACKAGE BODY AND CONTAINER [0002]

본 발명은, 내용물(內容物)에서 발생되는 가스(gas)를 용기(容器)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장체(包裝體)와, 상기 포장체에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e for allowing gas generated from content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containers used for the package.

도시락이나 반찬 등의 식품(食品)은, 이물질(異物質)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혹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지(樹脂)로 만든 용기 내부에 밀봉(密封)된 포장체의 상태로 판매되는 것이 많이 있다. 이러한 식품 중에는, 전자레인지(microwave range) 등에 의하여 포장체인 상태로 가열하여 조리(調理)할 수 있도록 한 것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식품을 용기 내부에 밀봉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열하면, 이때에 식품에서 발생되는 수증기(水蒸氣)에 의하여 용기가 외측으로 팽창(膨脹)되어 파열(破裂)될 우려가 있다. 또한 김치 등과 같은 발효식품(醱酵食品)은 발효의 진행에 따라 탄산가스(炭酸 gas)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용기를 가열하지 않더라도 용기가 파열될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실상(實狀)을 고려 하여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나 탄산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Foods such as lunch boxes and side dishes are in the form of a package sealed inside a container made of a resin to prevent contamination of foreign substances o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quality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sold. Among these foods, many of them can be cooked by heating in a packed state by microwave range or the like. However, if the food is heated in the state of being sealed in the container, there is a fear that the container expands to rupture (rupture) due to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food at this time. In addition, since fermented foods such as kimchi and the like produce carbonic acid gas as the fermentation proceed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tainer may be ruptured without heating the container. In recent years, a container that can discharge water vapor or carbon dioxide gas generated from the contents to the outside in consideration of such actual conditions has been developed.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적어도 1곳에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가요성 용기(可撓性 容器)와, 상기 관통구멍을 폐쇄하도록 접착(接着)되는 시트(sheet) 모양의 압력조정밸브(壓力調整 valve)를 구비하고, 가요성 용기의 내부압력이 일정 이상 되었을 때에 상기 시트 모양의 압력조정밸브가 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리용 패키지(自動調理用 package)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자동조리용 패키지에서는, 시트 모양의 압력조정밸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가요성 용기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가요성 시트(可撓性 sheet)를 가요성 용기에 점착(粘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1의 자동조리용 패키지는,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기 쉬워서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flexible container (flexible container)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a sheet-like pressure adjustment valve (pressure adjustment wherein the sheet-shaped pressure regulating valve is open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exible container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However, in the automatic cooking package of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install a sheet-shaped pressure regulating valve, a flexible sheet separately formed from the flexible container is adhered (tacky) to the flexible container There is a need. For this reason, the automatic cooking package of Patent Document 1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또한 특허문헌2에는, 뚜껑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 본체와 뚜껑에 종이띠가 감겨져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이 폐쇄(閉鎖)되어 있고, 전자레인지 등에 의하여 열을 가할 때에는, 내부압력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관통구멍 주변의 종이띠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包裝容器)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의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와 뚜껑에 종이띠를 감아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종이띠를 벗겨야 하므로 개봉작업(開封作業)이 번거로워진다는 등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In Patent Document 2,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lid, and a paper strip is wound around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so that the through hole is closed (closed). When heat is applied by a microwave oven or the like, So that the paper strip around the through hole can be pushed up. However, the packaging container of Patent Document 2 has a disadvantage that not only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because a paper strip is wound around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ut also the opening operation (opening job) becomes troublesome because the paper strip needs to be peeled off.

또한 특허문헌3에는, 내부에 돌기가 형성되는 용기와,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가공식품(調理加工食品)과, 용기 측벽(側壁)의 상단(上端)에 열용착(熱溶着)되는 수지필름(樹脂 film)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의 정상면(頂上面)의 표면(表面)과 이면(裏面)을 관통하여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필름에 의하여 상기 관통구멍이 피복(被覆)되는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 기재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3, there is disclosed a food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ainer in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a cooked food (cooked food)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a resin film (heat treated) adher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side wall (Resin film),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a surface (top surface) and a back surface of a top surfac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through hole is covered with the resin film, Quot; food contained in a packaging container ".

또한 특허문헌4에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開口部) 상부 테두리에 수지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킴으로써 밀봉되는 포장체로서, 용기 본체의 용기벽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상부 테두리에 고리 모양의 볼록부(凸部)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면과 상기 수지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키지 않고 밀접(密接)시켜서,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장체가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package body which is sealed by adhering a lower surface of a resin film to an upper edge of an opening portion (opening portion) of a container body containing contents,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ontai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dhering to release the gas generated from the contents from the through hole to the outside And a package body for allowing the package to be used.

특허문헌3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나 특허문헌4의 포장체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인데도 불구하고,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용기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서도 또한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즉 특허문헌3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나 특허문헌4의 포장체는,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이동이 국소적(局所的)인 것에 머물기 쉬워서, 전자레인지 등에 의하여 가열시켰을 때 등의 경우에서는, 장소에 따라 온도차이가 발생하기 쉬웠다. 이 러한 온도차이는, 내용물에 가열 얼룩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어, 가열하여 조리되는 식품의 맛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도 될 수 있다.Although the food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of Patent Document 3 or the package of Patent Document 4 is capable of releasing gas generated from the contents from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container despite the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the like. That is, the food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of Patent Document 3 or the package of Patent Document 4 is liable to stay in a localized state in which the gas generated in the container is locally heated, and when heated by a microwave oven or the like , The temperature difference easily occurred depending on the place. Such a temperature difference may cause heating unevenness in the contents, which may cause a decrease in the taste of food to be cooked by heating.

또한 특허문헌3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나 특허문헌4의 포장체는,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에 용기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되기 쉬워서, 가열 후에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陷沒)될 우려가 있다. 이들과 같은 불량은, 특허문헌3의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이나 특허문헌4의 포장체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문헌1의 자동조리용 패키지나 특허문헌2의 포장용기 등 다른 포장체에 있어서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In addition, the food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of Patent Document 3 or the package of Patent Document 4 tends to be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is lower than the external pressure after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is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There is a fear that it will fall into. These defects are not limited to the food stor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of Patent Document 3 or the package of Patent Document 4, but also to other packages such as the automatic cooking package of Patent Document 1 and the packaging container of Patent Document 2 It is not.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6-32917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6-329179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0-34426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44267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 3-60279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tility Model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60279

특허문헌4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3-221078호 공보Patent Document 4: JP-A-2003-221078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 to be solved)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용기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포장체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시킬 뿐만 아니라, 용기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될 때에 용기 내부의 전체에 가스의 이동을 발생시켜서, 내용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키는 것도 가능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에도 내측으로 함몰되기 어려운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이러한 포장체를 구성하는 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structure capable of discharging gas generated from the content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 a simple structure, And the gas is caused to move in the whole of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contents can be uniformly heated.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e which is difficult to sink inward even after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is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which can be suitably used for constituting such a package.

(과제해결수단)(Solution to Problem)

상기 과제는, 용기(容器)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부(第一接着部)에 수지필름(樹脂 film)의 하면(下面)을 접착(接着)시킴으로써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內容物)을 밀봉(密封)하는 포장체(包裝體)로서,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돌출부(第一突出部)가 용기벽(容器壁)에 형성되고,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제1돌출부의 상면(上面)에 형성되고, 용기의 내부압력(內部壓力)이 높아졌을 때에, 수지필름이 상방으로 팽창(膨脹)되어 제2접착부가 떨어져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dhering (bonding) a lower surface of a resin film to a first bonding portion (first bonding portion) formed annularly along an upper edge of a container (container)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to the container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is formed on the container wall (container wall), and the first protrusion A second annular bonding portion for weakly adhering a port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projecting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adhering portion, When the inner pressure of the container is increased, the resin film is expanded upward to cause the second adhesive portion to fall, so that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The via is solved by providing a packag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o release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용기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될 때에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이동을 제2돌출부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전체에 가스의 이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을 균일(均一)하게 가열시킬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에서 가스를 효율적으로 방출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기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팽창된 수지필름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제2돌출부에서 수지필름을 일시적(一時的)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용기 외부의 가스를 용기 내부로 자연유입(自然流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에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gas is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ntainer wall, the movement of gas generated in the container can be controlled by the second proj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use the gas to move all over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reby not only heating the contents uniformly but also efficiently discharging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Further, when the resin film expanded upwar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resin film can be temporarily (temporarily) supported by the second proj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cause natural inflow (natural inflo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sinking inward after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is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여기에서 '수지필름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제2접착부'에 있어서의 '약하게'라는 것은, 제2접착부에 있어서의 수지필름의 접착강도(接着强度)가 제1접착부에 있어서의 수지필름의 접착강도보다 낮은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수지필름을 제2접착부에 약하게 접착시킴으로써, 보통일 때에는, 용기 내부의 기밀성(氣密性)을 유지하면서도, 포장체를 가열하는 등으로 하여 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진 때에는, 제2접착부만이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접착부에 있어서 수지필름은, 보통의 경우에 사람의 손으로 고의(故意)로 벗기려고 하지 않으면 벗길 수 없을 정도의 접착강도로 접착된다.Here, 'weak' in 'the second bonding part for weakly b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means tha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resin film in the second bonding part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sin film in the first bonding part Which is lower than the adhesive strength. By weakly adhering the resin film to the second bonding portion in this way, when the inner pressure of the container is increased by heating the package, while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allow the user to fall off. In the first bonding portion, the resin film is adhered with an adhesive strength so that it can not be peeled off unless it is intentionally (intentionally) peeled with a human hand in a normal case.

상기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5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포장체는 용기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 근방을 잡고서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기 관통구멍이 용기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가열 후의 포장체를 운반할 때에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熱氣)가 사람의 손가락에 접촉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In the above-described package, the position at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is formed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by 5 mm or more. Since the package body generally carries near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when the through hole is located near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when the package after heating is convey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ource may easily come into contact with a finger of a person.

제2돌출부를 형성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관통구멍에서 볼 때에 용기 중심 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의 중심에 존재하는 가스를 제2돌출부를 우회(迂回)시킨 후에 상기 관통구멍에 도달시킬 수 있게 되어, 용기 내부의 온도를 더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제2돌출부까지의 거리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관통구멍과 제2돌출부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으면, 상기 관통구멍에 도달하는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돌출부는, 보통의 경우에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반경(半徑) 30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된다.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projection is form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is loc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when viewed from the through hole. As a result, the gas existing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can be allowed to reach the through hole after bypassing the second protrus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tainer more uniformly. The distance from the through hole to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through hole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too far apart, there is a fear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gas reaching the through hole. For this reaso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usually disposed in a region having a radius of 30 mm or less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제2접착부의 선단(先端)으로부터 제2돌출부의 선단까지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낮으면, 제2접착부에서 가스의 이동을 우회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제2접착부의 선단으로부터 제2돌출부의 선단까지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수지필름에 국소적(局所的)인 힘이 가해지기 쉬워져서, 수지필름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접착부의 선단으로부터 제2돌출부의 선단까지의 높이는, 보통의 경우에 0.1∼3mm로 설정된다.The height from the front end (tip end)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f it is excessively low, there is a fear that the movement of the gas in the second bonding portion can not be bypassed. On the other hand, if the height from the tip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to the tip of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too high, a localized force tends to be applied to the resin film, which may easily break the resin film. Therefore, the height from the tip end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to the tip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is usually set to 0.1 to 3 mm.

제2돌출부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외부의 가스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용기 내부로 쉽게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가열 후에 용기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벽을 얇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용기의 성형(成形)에 필요로 하는 재료의 양을 적게 하여, 용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 slit is formed in the second projec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introduce gas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through hole, thereby preventing the container from sinking inward after heating.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container wall thinly. Therefore, it is easy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tainer by reducing the amount of the material required for forming (molding) the container.

용기 내부가 경계벽(境界壁)에 의하여 분리되고, 제1돌출부가 상기 경계벽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를 복수의 구획(區劃)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을 그 종류나 치수 등에 따라 나누어서 수용할 수 있으므로, 용기 내부의 한정된 스페이스(space)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강도(强度)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용기 내부가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되는 포장체는, 가열 시에 각 구획 사이에서 온도차이가 발생하기 쉽게 되어,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하는 의의도 더 커진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락이나 반찬 등의 식품을 내용물로서 수용하는 경우에 채용하면 적합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boundary wall), and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continuously to the partition wall. 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container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nd the contents can be accommodat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size, and the like, so that a limited space inside the container can be efficiently used.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ontainer. Further, in the case of the package in whic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compartments as described above, a temperature difference easily occurs between the compartments at the time of heating, and the significance of employing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enhanced. Such a configuration is suitable when the foods such as lunch boxes and side dishes are accommodated as contents.

또한 상기 과제는, 수지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키기 위한 제1접착부가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용기로서,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용기의 상부 테두리와 동등한 높이에 도달하는 제1돌출부가 용기벽에 형성되고,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제1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함으로써도 해결된다. 이러한 용기는, 상기 포장체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lso achieved by a container in which a first adhesive portion for adhering a lower surface of a resin film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an upper rim, the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to the container and reaching a height equivalent to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And an annular second adhesive portion for adhering a port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Such a container can be suitably used for the package.

(효과)(effec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용기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포장체를 부품수가 적은 간단한 구조로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벽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될 때에 용기 내부의 전체에 가스 이동을 발생시켜서, 내용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키는 것도 가능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방출된 후에도 내측으로 함몰되기 어려운 용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포장체를 구성하는 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package having a small number of parts and a simple structure that can release the gas generated from the content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ackage capable of generating gas movement throughout the container when the gas is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ntainer wall, thereby uniformly heating the content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ntainer in which the gas in the container is hardly sinked inward after the gas is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ntainer which can be suitably used for constituting such a package.

도1은, 본 발명의 포장체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suitable for the pac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용기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suitable for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에 나타나 있는 용기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2 as viewed from above. Fig.

도4는, 도3에 나타나 있는 용기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의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left through hole in the container shown in Fig. 3; Fig.

도5는, 도4에 나타나 있는 용기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의 주변을 Y-Y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left through hole is cut off on the Y-Y plane in the container shown in Fig. 4;

도6은, 가열시작 전 또는 가열시작 직후의 포장체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의 주변을, 도4에 있어서의 Y-Y면에 상당하는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left through hole in the package before the start of heating or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heating is cut off at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Y-Y plane in Fig.

도7은, 가열시작으로부터 잠시 경과된 후의 포장체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의 주변을, 도4에 있어서의 Y-Y면에 상당하는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left through hole in the package after a while elapses from the start of heating is cut off at a plane corresponding to the Y-Y plane in Fig.

도8은, 본 발명의 포장체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구획(a, b)의 물의 온도(Ta, Tb)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emperatures (Ta, Tb) of water in the compartments (a) and (b) when the pac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by a microwave oven.

도9는, 비교예의 포장체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구획(a, b)의 물의 온도(Ta, Tb)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emperatures (Ta, Tb) of water in the compartments (a, b) when the packag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as heated by a microwave ove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 포장체 110 : 용기100: package body 110: container

111 : 제1접착부 112 : 제1돌출부111: first adhesive portion 112: first protrusion

113 : 관통구멍 114 : 제2접착부113: through hole 114: second adhesive portion

115 : 제2돌출부 116 : 경계벽115: second protrusion 116:

117 : 연결홈 120 : 수지필름117: connection groove 120: resin film

130 : 내용물130: Contents

이하, 본 발명의 포장체(包裝體)와 이에 사용되는 용기(容器)에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포장체(100)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용기(110)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나 있는 용기(110)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나 있는 용기(110)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113)의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5는, 도4에 나타나 있는 용기(110)에 있어서 좌측 관통구멍(113)의 주변을 Y-Y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suitable for a pac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ainer (container) used therei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suitable for the packa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suitable for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110 shown in Fig. 2 as viewed from abov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left through hole 113 in the container 110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left through hole 113 in the container 110 shown in Fig. 4 is cut along the Y-Y plane.

1. 포장체(包裝體)의 전체 구성1. Overall structure of the package

본 실시예의 포장체(包裝體)(100)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容器)(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부(第一接着部)(111)에 수지필름(樹脂 film)(120)의 하면(下面)을 접착(接着)시킴으로써, 용기(110)에 수용되는 내용물(內容物)(130)을 밀봉(密封)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용기벽(容器壁)에는, 용기(1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수지필름(120)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돌출부(第一突出部)(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돌출부(112)의 상면(上面)에는,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113)과, 관통구멍(113)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120)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114)와, 제2접착부(114)의 선단(先端)보다 높게 돌출되는 제2돌출부(115)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ackag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dhesive portion (first adhesive portion) formed annularly along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container) 110, (Bottom) of the resin film (resin film) 120 is adhered (adhered) to the container body 111 so that the contents 130 contained in the container 110 are sealed have. A first protrusion (first protrusion) 112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110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120 is formed in the container wall (container wall). A through hole 113 penetrating the container wall and a port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11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12 so as to be annular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120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115 protruding higher than the tip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14 are formed.

2. 내용물(內容物)2. Contents

내용물(13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식품(食品)과 같이 품질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밀봉이 요구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중에서도, 수증기(水蒸氣)나 탄산가스(炭酸 gas) 등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식품을 수용하는 것이 적합하다.The kind of the contents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sealing be required in order to maintain quality such as foo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accommodate foods that generate gas such as water vapor or carbon dioxide gas.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식품으로서는 수분(水分)을 함유하는 식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된장국이나 스튜(stew) 등의 수프류(soup 類) 이외에, 쌀밥(白飯)이나 볶음밥 등의 밥류, 라면이나 우동 등의 국수류, 육류요리나 야채요리나 어류요리 등의 반찬류가 예시된다. 특히 전자레인지(microwave range)로 가열하여 조리(調理)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식품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고, 이들 식품을 냉동보존(冷凍保存)이나 냉장보존(冷藏保存)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냉동보존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식품은, 수증기의 이동을 제어하여 수증기가 응축(凝縮)될 때에 발생되는 잠열(潛熱)에 의한 가열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의가 커서, 본 발명에서의 포장체(100)의 내용물(130)로서 적합하다. 냉동보존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식품은, 전자레인지로 가열할 때에 얼음 부분이 유전가열(誘電加熱)되기 어려워서 뜨거워지기 어려운 것에 비하여,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된 부분은 유전가열되기 쉬워서 뜨거워지기 쉽기 때문에, 장소에 따라 가열 얼룩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Foods that generate water vapo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contain moisture (moisture). In addition to soup such as miso soup and stew, foods such as rice, fried rice, Noodles, meat dishes, vegetable dishes and fish dish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for microwave cooking which is intended to be cooked by heating in a microwave range, and is preferably used for cryopreserving (freezing) or refrigerating Do. Among them, the microwave cooking food which is frozen and stored is more likely to be uniformly heated by latent heat generated when condensation (condensation) of water vapor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water vapor, Is suitable as the contents (130) of the body (100). The microwave cooking food which is frozen and stored is difficult to be heated because the ice portion is hardly heated by the dielectric heating (induction heating) when heated by the microwave oven. In contrast, since the water is melted and the water is easily heated, This is because heating unevenness is likely to occur depending on the place.

한편 탄산가스를 발생시키는 식품으로서는, 김치나 된장 등의 발효식품(醱酵食品)이 예시된다. 본 실시예의 포장체(100)에 있어서는, 용기(110)에 상자 모양의 도시락 형태의 것을 채용하고 있고, 용기(110)의 구획(區劃)(a)(도3을 참조한다)에는 밥류를 수용하고 있고, 용기(110)의 구획(b∼d)에는 각각 다른 종류의 반찬류를 수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foods that generate carbon dioxide gas include fermented foods such as kimchi and soybean paste (fermented foods). In the packag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box-shaped lunch box type is employed in the container 110, and the compartment a of the container 110 (see Fig. 3) And the compartments b to d of the container 110 accommodate different kinds of side dishes.

3. 용기(容器)3. Container (Container)

용기(110)의 형상은, 내용물(130)의 종류 등에 의해서도 다르게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이 개방(開放)되는 대략 상자 모양의 것으로 되어 있다. 용기 내부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계벽(境界壁)(116)에 의하여 복수의 구획(a∼d)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용물(130)을 그 종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구획(a∼d)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용기(110)의 용적(容積)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는, 구획(a)이 270cc이고, 구획(b, d)이 50cc이고, 구획(c)이 130cc로 되어 있어, 합계 500cc로 되어 있다. 구획(a∼d)의 배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110)의 내부 형상이 좌우대칭(左右對稱)이 되도록 배치하는 등 가능한 한 대칭적인 위치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의 가스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 더 쉬워져서, 가열 시에 있어서의 각 구획(a∼d)의 온도차이가 작아지게 되도록 억제하는 것을 쉽 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도 구획(a∼d)을 좌우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The shape of the contain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ecause it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ntents 130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2,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ubstantially box-like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 to d) by a partition wall (boundary wall) 116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ontents 130 can be accommodated in different compartments (a to d)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the like. The volume (volume) of the contain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uch that the compartment a is 270 cc, the compartments b and d are 50 cc, and the compartment c is 130 cc There is a total of 500cc. The arrangement of the compartments a to 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compartments a to d as symmetrically as possible so that the inner shape of the container 110 is left-right symmetrical. This makes it easier to control the gas movement inside the vessel, so that it becomes easy to suppres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tions a to d at the time of heating to be small. Also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tions a to d are arranged symmetrically.

경계벽(116)의 각 부분 중에, 구획(a)과 구획(b)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와, 구획(a)과 구획(c)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와, 구획(a)과 구획(d)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와, 구획(b)과 구획(c)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와, 구획(c)과 구획(d)을 나누는 부분의 상부 테두리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경계벽(116)에 각 구획(a∼d)을 통하는 연결홈(117)을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용기 내부의 가스는 각 구획을 왕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하였을 경우이더라도 각 구획(a∼d)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기 쉬워지도록 되어 있다.An upper rim of the portion dividing the compartment a and the compartment b and an upper rim of the portion dividing the compartment a and the compartment c and an upper rim of the portion dividing the compartment a and the compartment c, the upper rim of the part dividing the section (b) and the section (d) and the upper rim of the section dividing the section (b) and the section (c) And a connection groove 117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segments a to d is formed in the boundary wall 116. [ Therefore, the gas in the container can pass through the compartments, so that even when the package body 100 is heated by a microwave oven or the like,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compartments (a to d) is easily maintained uniformly.

용기(110)의 재료는, 내용물(130)을 수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强度)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생산성(生産性)이나 밀봉성(密封性)이 우수한 플라스틱(plastic)이 보통의 경우에 채용된다. 용기(110)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polyolefine 樹脂) 이외에, 폴리에스테르 수지(polyester 樹脂),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樹脂), 폴리스티렌계 수지(polystyrene系 樹脂),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樹脂),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polyacrylonitrile 樹脂) 등이 예시된다. 이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은, 성형성(成形性)과 강성(剛 性)과 히트 실성(heat seal性)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용기(110)에 내열성(耐熱性)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탤크(talc) 등의 무기 필러(無機 filler)를 배합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용물(130)에 레토르트 살균처리(retort 殺菌處理)를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무기 필러의 배합량은, 보통 10∼50중량%로 설정된다. 용기(110)의 성형방법(成形方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공성형(眞空成形)이나 사출성형(射出成形)이나 시트(sheet)의 열성형(熱成形) 등이 예시된다.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exhibit strength to such an extent that it can not be easily broken even when the contents 130 are accommodated therei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110 is excellent in productivity (productivity) and sealing Plastic is usually employed. Examples of the plastic used for the container 110 include a poly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a polyester resin, a polyamide resin, a polystyrene resin, polystyrene-based resins), polyvinyl chloride resins (polyvinyl chloride resins), and polyacrylonitrile resins (polyacrylonitrile resins). Among them, polypropylene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xcellent in moldability, rigidity and heat sealability. When heat resistance (heat resistance) is required for the container 110, it is preferable to use polypropylene mixed with an inorganic filler such as talc. Accordingly, the contents 130 can be subjected to a retort sterilization treatment (retort sterilization treatment). In this case, the blending amount of the inorganic filler is usually set to 10 to 50 wt%. The molding method (molding method) of the contain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acuum molding, injection molding, sheet molding, and the like.

용기벽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용기(1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상승되었을 때에 용기(110)가 크게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용기벽의 두께는 보통 0.2mm 이상으로 설정된다. 용기벽의 두께는 0.3mm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4mm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벽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용기(110)의 재료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용기(110)의 제조비용이 증가된다. 이 때문에 용기벽의 두께는 보통 1.2mm 이하로 설정된다. 용기벽의 두께는 0.8mm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0.6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 용기벽의 두께는 0.4mm로 되어 있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wal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f the container 110 is too thin, the rigidity of the container 110 can not be ensured, and the container 110 may be greatly deform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110 is raise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wall is usually set to 0.2 mm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wall is preferably 0.3 mm or more, more preferably 0.4 mm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ainer wall is too thick, a large amount of material is required for the container 110,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tainer 110 is increase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wall is usually set to 1.2 mm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wall is preferably 0.8 mm or less, more preferably 0.6 mm or less.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wall is 0.4 mm.

4. 제1접착부(第一接着部)4. First bonding portion (first bonding portion)

제1접착부(111)는,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므로, 평탄(平坦)하게 형성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2에 나 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볼록부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수지필름(120)의 하면을 제1접착부(111)를 따라 균일한 접착강도(接着强度)로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접착부(111)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단면형상(斷面形狀)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대략 반원형(半圓形)으로 되어 있어, 제1접착부(111) 주변의 수지필름(120)에 주름이 형성되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접착부(111)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높이(H1)(도5를 참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약 1mm로 되어 있다.The first adhesive portion 1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110, and may be formed flat.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convex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110. Fig.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120 can be easily adhered along the first adhesive portion 111 with a uniform adhesive strength.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first adhesive portion 11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first adhesive portion 1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wrinkle on the resin film 120 in the periphery. The height H 1 (see FIG. 5) of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first bonding portion 1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about 1 mm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은, 접착제(接着劑)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생산성이나 위생(衛生)의 측면에서 고려한다면, 열용착(熱溶着) 또는 진동용착(振動溶着)에 의하여 수지필름(120)과 용기(110)를 융착(融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강도는,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강도보다 높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한 직후에는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을 정도의 접착강도로 접착시키지만, 포장체(100)가 상온(常溫)에 있을 때에는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없을 정도의 접착강도로 접착시키면 바람직하다.The resin film 120 may be adhered to the first adhesive portion 111 by using an adhesive agent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heat adhesive or vibration wel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film 120 and the container 110 are fused by vibration welding. The bonding strength of the resin film 120 in the first bonding portion 1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high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resin film 120 in the second bonding portion 114. However, The package 100 is adhered with an adhesive strength so that it can be easily peeled off with a hand of a person immediately after being heated by a microwave oven or the like. However, when the package 100 is at room temperature, O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5. 제1돌출부(第一突出部)5. First protrusion (first protrusion)

제1돌출부(112)는, 1개의 용기(110)에 1곳에만 형성하여도 좋지만,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장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관통구멍(113)을 복수의 장소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가스를 용기 외부로 더 효율적으로 방출(放出)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돌출부(112)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획(a∼d)의 배치와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대칭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열 시에 있어서의 각 구획(a∼d)의 온도차이를 적게 억제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제1돌출부(112)를 용기 내부에 있어서의 양단부(兩端部)(도3에 있어서의 좌단부(左端部)와 우단부(右端部))에 각각 형성시켰다.The first protrusions 112 may be formed in only one place in one container 110,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rotrusions 112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places as shown in Fi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orm the through holes 113 at a plurality of locations, so that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can be more efficiently discharge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protrusions 1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protrusions 112 at symmetric positions as much as possible in the arrangement of the compartments (a to d) is not limited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tments (a to d)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suppress less.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rojecting portions 112 are provided at both ends (the left end portion and the right end portion in Fig. 3) / RTI >

제1돌출부(112)의 상면 높이는, 제1접착부(111)와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낮아지게 되도록 설정된다. 제1돌출부(112)는, 용기(110)의 밑바닥벽(하방의 용기벽)을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형태의 것이어도 좋고, 용기(110)의 측벽(側壁)(측방(側方)의 용기벽)을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형태의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형태의 제1돌출부(112)는, 예를 들면 용기(110)를 진공성형할 때 등에 있어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110)의 밑바닥벽과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의 용기벽을 용기(110)의 내측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형태의 것으로 되어 있다. 제1돌출부(112)는, 경계벽(116)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 경계로서의 기능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내부의 스페이스(space)를 낭비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2 is set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or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111. The first protrusion 112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110. The first protrusion 112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10 May protrude inward. The first protrusion 112 of this type can be easily formed, for example, when the container 110 is vacuum-formed.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a container wall formed by the bottom wall and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10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10 . The first projection 112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boundary wall 116, so that the first projection 112 can also function as a boundary. Therefore, the space inside the container can be used without waste.

6. 관통구멍(through-hole)6. Through-hole

제1돌출부(112)의 상면을 형성하는 용기벽에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11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13)을 형성하는 위치는, 제1돌출부(112)의 상면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5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포장체(100)는,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 근방을 잡고서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관통구멍(113)이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가열 후의 포장체(100)를 운반할 때에 관통구멍(113)으로부터 방출되는 열기가 손가락에 접촉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관통구멍(113)은,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10mm 이상 떨어져 있으면 바람직하고, 15mm 이상 떨어져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20mm 떨어진 위치에 관통구멍(113)을 형성하였다.In the container wall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2, a through hole 113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1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2. If the through hole 113 is formed at a position separated by 5 mm or more from the upper edge (outer edge) desirable. Since the package body 100 generally holds and conveys near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110, when the through hole 113 is close to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110 ,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heat released from the through hole 113 when the package body 100 is heat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ngers. The through hole 113 is preferably 10 mm or more away from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110 so as to deviate from the center, and more preferably 15 mm or more.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hrough hole 113 was formed at a position 20 mm away from the upper edge (outer edge) of the container 110 so as to deviate from the center.

7. 제2접착부(第二接着部)7. Second bonding portion (second bonding portion)

제2접착부(114)는, 제1돌출부(112)의 상면에 있어서의 관통구멍(113) 주변에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므로,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접착부(114)에 볼록부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수지필름(120)의 하면을 제2접착부(114)를 따라 균일한 접착강도로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제2접착부(114)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단면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제1접착부(111)와 마찬가지로 대략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접착부(114)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높이(H2)(도5를 참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약 0.4mm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접착부(114)에서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반경(半徑)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약 6mm로 되어 있고, 관통구멍(113)과 제2돌출부(115) 사이를 볼록부가 지나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adhesive portion 1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nularly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11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2 and may be formed flat.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a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bonding portion 114. [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120 can be easily adhered to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14 with a uniform adhesive strengt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bonding portion 1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like the first bonding portion 111, it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The height H 2 (see FIG. 5) of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bonding portion 1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about 0.4 mm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about 6 mm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through hole 113 and the second protrusion 115 So that the convex portion passes.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제1접착부(111)와 마찬가지로 열용착 또는 진동용착에 의하여 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강도는,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수지필름(120)의 접착강도보다 낮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접착강도를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접착강도보다 낮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필름(120)을 열용착시킬 때에,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밀봉온도(密封溫度)나 밀봉압력(密封壓力)을 제1접착부(111)에 있어서의 밀봉온도나 밀봉압력보다 낮게 하는 방법이나, 제2접착부(114)에 있어서의 접착면적을 제1접 착부(111)에 있어서의 접착면적보다 작게 하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The resin film 120 may be adhered to the second adhering portion 114 with an adhesiv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film 120 is fused by heat welding or vibration welding similarly to the first adhering portion 111. [ The bonding strength of the resin film 120 in the second bonding portion 1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low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resin film 120 in the first bonding portion 111. [ As a method for lowering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114 to the bonding strength of the first bonding portion 111, for example, when the resin film 120 is thermally fused, the second bonding portion 114 The sealing temperature and the sealing pressure in the first adhesive section 111 are made lower than the sealing temperature and the sealing pressure in the first adhesive section 111 or the sealing area A method of making the area smaller than the area of adhesion in the attaching portion 111 is exemplified.

8. 제2돌출부(第二突出部)8. Second protrusion (second protrusion)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에 도달하는 가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관통구멍(113)의 반경방향(半徑方向)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는 벽(壁) 모양이 것이라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의 가스 이동을 더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113)의 반경방향과 수직인 벽 모양의 제2돌출부(115)를 관통구멍(113)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반달 모양으로 형성하였다.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의 중심에서 볼 때에 용기(110)의 중심 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 내부의 가스를 제2돌출부(115)를 우회(迂回)시킨 후에 관통구멍(113)에 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용기 내부의 가스가 용기 외부로 방출될 때에, 용기 내부에 큰 가스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protrusion 11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gas reaching the through hole 113. The second protrusion 115 is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13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wall (wall) is as follows.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reliably control the gas movement inside the container.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a wall-shaped second projection 115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1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alf-moon shape . The second projection 115 is dispos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13. When this reason, it is to be reached in the through hole 113 after bypass (迂回), the second projection 115, the gas in the vessel, the internal vessel the gas to be released into the container outside, large gas inside the container So that movement can be generated.

관통구멍(113)으로부터 제2돌출부(115)까지의 거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관통구멍(113)과 제2돌출부(115)가 너무 가까우면, 제2접착부(114)에서 수지필름(120)을 매끈하게 접착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돌출부(115)는, 보통의 경우에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5mm 이상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7mm 이상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관 통구멍(113)과 제2돌출부(115)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으면, 관통구멍(113)에 도달하는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기 어려워져서, 용기(110) 내부의 온도에 편차(偏差)가 발생되기 쉬울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돌출부(115)는, 보통의 경우에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30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20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고, 반경 15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돌출부(115)는 관통구멍(113)의 중심으로부터 약 10mm 떨어진 장소에 형성되어 있다.The distance from the through hole 113 to the second protrusion 11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through hole 113 and the second protrusion 115 are too close to each other, There is a fear that smooth adhesion can not be obtained. Therefore, the second projection 115 is normally arranged in a region of a radius of 5 mm or more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13.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cond projection 115 is disposed in an area of 7 mm or more in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13. On the other hand, if the through hole 113 and the second protrusion 115 are too far apar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gas reaching the through hole 113, so that a deviation occurs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tainer 11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becomes easy to become. For this reason, the second projection 115 is usually disposed in a region of a radius of 30 mm or less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13. [ The second protrusion 115 is preferably arranged in a region of a radius of 20 mm or less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13, and more preferably in a region of a radius of 15 mm or less.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rojection 115 is formed at a position about 10 mm away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13.

또한 제2접착부(114)의 선단(先端)으로부터 제2돌출부(115)의 선단까지의 높이(H3)(도5를 참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2돌출부(115)가 지나치게 낮으면, 제2접착부(114)로 가스의 이동을 우회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높이(H3)는, 보통의 경우에 0.1mm 이상으로 설정된다. 높이(H3)는 0.3mm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5mm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제2접착부(114)의 선단으로부터 제2돌출부(115)의 선단까지의 높이(H3)가 지나치게 크면, 수지필름(120)에 국소적(局所的)인 힘이 가해지기 쉬워져서, 수지필름(120)이 파손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접착부의 선단으로부터 제2돌출부 선단까지의 높이는, 보통의 경우에 3mm 이하로 설정된다. 높이(H3)는 2mm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1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 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 높이(H3)는 0.6mm로 되어 있다.The height H 3 (see FIG. 5) from the tip of the second adhesive 114 to the tip of the second projection 11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second bonding portion 114 may not be able to bypass the movement of the gas. Therefore, the height H 3 is set to 0.1 mm or more in a normal case. The height H 3 is preferably 0.3 mm or more, more preferably 0.5 mm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height H 3 from the tip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114 to the tip of the second protrusion 115 is too large, a local force tends to be applied to the resin film 120, The film 120 may be easily broken. Therefore, the height from the tip end of the second bonding portion to the tip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is set to 3 mm or less in a normal case. The height (H 3 ) is preferably 2 mm or less, more preferably 1 mm or less.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H 3 is 0.6 mm.

9. 슬릿(slit)9. Slit

그런데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돌출부(115)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통구멍(113)으로부터 가스가 방출(放出)되어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저하됨으로써 상방으로 팽창(膨脹)된 수지필름(120)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용기 외부의 가스를 용기 내부로 자연유입(自然流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4의 화살표(C)), 가열 후에 있어서의 용기(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릿은, 1개의 제2돌출부(115)에 대하여 1곳에만 형성하여도 좋고, 1개의 제2돌출부(115)에 복수의 장소에 형성하여도 좋다.However,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a sli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115.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resin film 120, which has expanded upward due to the release (release) of gas from the through hole 113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110 is lowered,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Natural flow) of the gas into the container (arrow C in Fig. 4) so that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110 after heating can be prevented. The slits may be formed in only one place with respect to one second projection 115, or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places in one second projection 115.

슬릿의 폭은, 관통구멍(113)으로부터 제2돌출부(115)까지의 거리나 용기(110)의 용적 등에 의해서도 다르게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슬릿의 폭이 지나치게 좁으면, 수지필름(120)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용기(110)의 외부 가스를 용기(11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슬릿의 폭은, 보통의 경우에 0.5mm 이상으로 설정된다. 슬릿의 폭은 1mm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5mm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슬릿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용기(110)의 내부 가스 이동을 제2돌출부(115)에서 제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 에 슬릿의 폭은, 보통의 경우에 5mm 이하로 설정된다. 슬릿의 폭은 4mm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3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용기(110)에 있어서, 슬릿의 폭은 약 2mm로 되어 있다.The width of the sl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ecause it varie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through hole 113 to the second projection 115, the volume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like. However, if the width of the slit is excessively narrow, there is a fear that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the external gas of the container 110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110 when the resin film 12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Therefore, the width of the slit is usually set to 0.5 mm or more. The width of the slit is preferably 1 mm or more, more preferably 1.5 mm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width of the slit is too wide, there is a fear that the internal gas movement of the container 110 can not be controlled by the second projection 115. Therefore, the width of the slit is usually set to 5 mm or less. The width of the slit is preferably 4 mm or less, more preferably 3 mm or less.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of the slit is about 2 mm.

10. 수지필름(樹脂 film)10. Resin film (resin film)

수지필름(12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필름(120)은, 단층 필름(單層 film)이더라도 좋고, 다층 필름(多層 film)이더라도 좋다. 그중에서도, 2축(軸)으로 연장되는 수지층(樹脂層)에 히트 실층(heat seal層)을 포갠 다층 필름은 수지필름(120)으로서 적합하다. 이러한 종류의 다층 필름은, 열에 의한 변형이 작아서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에도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트 실성에 있어서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지필름(120)은, 2축 연장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基材層)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산소배리어 수지층(酸素 barrier 樹脂層)과,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 실층을 포갠 다층 필름으로 되어 있다. 수지필름(120)의 하면(히트 실층)은, 용기(1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부(111)에 열용착된다.The material of the resin film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resins can be used. The resin film 120 may be a single layer film or a multilayer film. Among them, a multi-layer film in which a heat seal layer is formed on a resin layer (resin layer) extending in two axes is suitable as the resin film 120. This kind of multilayer film is less deformed by heat, so it can withstand heating by a microwave oven, and is also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The resin film 120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of a base layer (base layer) made of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an oxygen barrier resin layer (oxygen barrier resin layer) made of polyacrylonitrile resin, And a heat seal layer formed thereon. The lower surface (heat seal layer) of the resin film 120 is thermally welded to the first bonding portion 111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110.

수지필름(12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수지필름(120)이 파손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수지필름(120)의 전체의 두께는, 보통의 경우에 30μm 이상으로 설정된다. 수지필름(120)의 전체의 두께는 55μm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60μm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 다. 한편 수지필름(120)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더라도 수지필름(120)이 외측으로 팽창되기 어려워져서, 제2접착부(114)가 떨어지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수지필름(120)의 전체 두께는, 보통의 경우에 80μm 이하로 설정된다. 수지필름(120)의 전체의 두께는 70μm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65μ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수지필름(120)의 전체 두께는 60μm로 되어 있다.The thickness of the resin film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f it is too thin, the resin film 120 may be easily broken. Therefore,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sin film 120 is set to 30 μm or more in the ordinary case.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sin film 120 is preferably 55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60 占 퐉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resin film 120 is too thick, the resin film 120 hardly expands outward even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110 rises, and the second adhering portion 114 may be difficult to fall off. Therefore,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sin film 120 is set to 80 μm or less in the ordinary case.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sin film 120 is preferably 70 mu m or less, more preferably 65 mu m or less.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sin film 120 of this embodiment is 60 mu m.

11. 동작(動作)11. Operation (Operation)

계속하여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6은, 가열시작 전 또는 가열시작 직후의 포장체(100)에 있어서 좌측의 관통구멍(113) 주변을 도4에 있어서의 Y-Y면에 상당하는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가열시작으로부터 잠시 경과된 후의 포장체(100)에 있어서 좌측의 관통구멍(113) 주변을 도4에 있어서의 Y-Y면에 상당하는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Next, the operation when the package body 100 is heated by a microwave oven will be describ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13 on the left side in the package body 100 before the start of heating or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heating is cut off at a plane corresponding to the Y-Y plane i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13 on the left side in the package body 100 after a while elapses from the start of heating is cut off at the plane corresponding to the Y-Y plane in Fig.

포장체(100)의 가열시작 전 또는 가열시작 직후에 있어서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지필름(120)이 제2접착부(114)에 접착되어 있고, 관통구멍(113)은 수지필름(120)에 의하여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용기 내부의 가스는, 경계벽(116)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연결홈(117) 등을 통하여, 온도가 높은 구획과 온도가 낮은 구획 사이에서 자연히 흐르도록 되어 있어, 열매개체(熱媒介體)로서의 수증기의 유통을 각 구획 사이에서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구획에 수용된 내용물(130) 에 큰 온도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6, the resin film 120 is adhered to the second adhering portion 114 and the through hole 113 is adhered to the resin film 120 As shown in Fig.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flows naturally between the high temperature zone and the low temperature zone through the connection groove 117 formed in the upper edge of the partition wall 116, So that the flow of water vapor can be ensured between the respective compartments. Therefore,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does not occur in the contents 130 accommodated in the respective compartments.

포장체(100)의 가열시작으로부터 잠시 경과되면, 내용물(130)로부터 수증기가 발생되어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수지필름(120)은 용기(110)의 내부압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팽창되기 시작한다. 수지필름(120)의 팽창이 한계에 도달하게 되면, 약하게 접착되어 있는 제2접착부(114)에서 수지필름(120)이 떨어져서,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내부와 용기 외부가 관통구멍(113)에 의하여 통하는 상태가 된다. 강하게 접착되어 있는 제1접착부(111)에서는, 수지필름(120)은 아직 접착된 그대로의 상태로 되어 있다.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elapses from the start of heating of the package body 100, water vapor is generated from the contents 130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110 starts to rise. The resin film 120 starts to expand upward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110. [ When the expansion of the resin film 120 reaches the limit, the resin film 120 is released from the weakly adhered second adhesive portion 114 so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re covered with the through hole 113 ). ≪ / RTI > In the first bonding portion 111 which is strongly adhered, the resin film 120 is still adhered.

관통구멍(113)에 의하여 용기 내부와 용기 외부가 통하게 되면, 용기 내부의 가스는, 관통구멍(113)을 통하여 용기 외부로 방출된다(도7에서의 화살표(D)). 용기 외부로 방출되는 가스는, 도4에서의 화살표(A)와 화살표(B)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내부에 있어서는 제2돌출부(115)를 우회하여 관통구멍(113)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어, 관통구멍(113)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될 때에는, 용기 내부에 있어서의 전체에 큰 가스의 이동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구획에 수용된 내용물(130)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쉬워지게 된다.Whe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re communicated by the through hole 113,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arrow D in FIG. The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s allowed to reach the through hole 113 by bypassing the second protrusion 115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s indicated by the arrows A and B in Fig. , And when the gas is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113, a large amount of gas is caused to move in the entire inside of the container. Therefore, it becomes easy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130 contained in the compartments uniformly.

그런데 관통구멍(113)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된 직후에 관통구멍(113)이 막히면, 용기 내부의 가스의 응축(凝縮)이나 수축(收縮)에 의하여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낮아져서, 가열 후의 용기(110)가 내측 으로 함몰(陷沒)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포장체(100)에서는, 관통구멍(113)으로부터 가스가 방출된 후에도, 제2돌출부(115)에 의하여 관통구멍(113) 주변의 수지필름(120)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 외부의 가스가 다시 관통구멍(113)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자연유입되도록 되어 있어, 포장체(100)의 가열 후에 용기(110)의 내부압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용기 내부로 유입된 가스는, 관통구멍(113)의 주변뿐만 아니라, 제2돌출부(115)에 형성되는 슬릿을 통과함으로써 용기(110)의 중심부에도 신속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4에서의 화살표(C)). 이 때문에 가열 후의 용기(110)의 함몰(陷沒)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However, if the through hole 113 is clogged immediately after the gas is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113,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110 becomes lower than the external pressure due to condensation or contraction of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There is a fear that the container 110 after heating is dented into the inside. However, in the packa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after the gas is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113, the resin film 120 around the through hole 113 is supported by the second projection 115. Therefore, the gas outside the container is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again,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110 is not significantly lowered after the heating of the package 100.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can be quickly reached to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 by passing through not only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13 but also the slit formed in the second projection 115 (C)). Therefore, the depression of the container 110 after heating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12.실험(實驗)12. Experiments

본 발명의 포장체(100)가 내용물(13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實證)하기 위하여, 내용물(130)로서 물이 들어 있는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로 6분간 가열하고, 구획(a)(도3을 참조)와 구획(b)(도3을 참조)에 미리 수용되어 있는 측온체(測溫體)에 의하여 구획(a)의 물의 온도(Ta라고 한다)와 구획(b)의 물의 온도(Tb라고 한다)를 각각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구획(a)에는 90cc의 물을 넣고, 구획(b, d)에는 30cc의 물를 넣고, 구획(c)에는 50cc의 물을 넣었다. 전자레인지의 출력은 500W로 설정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제2돌출부(11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도3에 나타나 있는 용기(110)와 동일한 용기를 사용한 포장체에 관해서도 동일한 측정을 하였다.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 packag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heat the contents 130, the package body 100 containing water as the contents 130 is heated for 6 minutes in a microwave oven , The temperature (Ta) of the water in the section (a)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mpartment (a) in the section (a) (see FIG. 3) (referred to as Tb) of the water of step (b). 90 cc of water was introduced into compartment (a), 30 cc of water was introduced into compartments (b, d), and 50 cc of water was introduced into compartment (c). The output of the microwave oven was set at 500W. In addition,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same measurement was performed on a package using the same container as the container 110 shown in Fig. 3, except that the second projection 115 was not formed.

도8은, 본 발명의 포장체(100)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구획(a, b)의 물의 온도(Ta, Tb)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9는, 비교예의 포장체를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구획(a, b)의 물의 온도(Ta, Tb)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과 도9에 있어서, 경과시간은 전자레인지로 가열을 시작한 때로부터의 경과시간이고, To는 용기 외부의 공기온도(空氣溫度)이다.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emperatures (Ta, Tb) of water in the compartments (a, b) when the packa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by a microwave oven.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emperatures (Ta, Tb) of water in the compartments (a, b) when the packag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as heated by a microwave oven. In FIGS. 8 and 9, the elapsed time is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heating in the microwave oven, and To is the air temperature outside the container.

도8을 보면, 본 발명의 포장체(100)에서는,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시작으로부터 200초 정도에서, 구획(a)의 물의 온도(Ta)와 구획(b)의 물의 온도(Tb)가 100도 부근에서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에 대하여 도9를 보면, 비교예의 포장체에서는, 구획(a)의 물의 온도(Ta)와 구획(b)의 물의 온도(Tb)가 대략 동일하게 될 때까지 250초 정도 결린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체가 비교예의 포장체보다 온도(Ta)와 온도(Tb)의 차이가 전체적으로 작아져 있다는 것도 알았다. 이상의 측정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포장체(100)가 내용물(130)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았다.8, in the packa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Ta of the water in the compartment (a) and the temperature (Tb) of water in the compartment (b) are 100 It is found that they are approximately the same in the vicinity of the road. On the contrary, FIG. 9 shows that in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section (a) is reduced to about 250 seconds until the temperature Tb of the water in the section (b) becomes approximately equal.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cka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 smaller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Ta and the temperature Tb than the package of the comparative example. From the above measuremen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ackag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at the contents 130 uniformly.

Claims (8)

용기(容器)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부(第一接着部)에 수지필름(樹脂 film)의 하면(下面)을 접착(接着)시킴으로써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內容物)을 밀봉(密封)하는 포장체(包裝體)로서,The lower surface of a resin film is adhered (bonded) to a first bonding portion (first bonding portion) formed annularly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material for sealing a container,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돌출부(第一突出部)가 용기벽(容器壁)에 형성되고,(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to the container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is formed on the container wall (container wall) 제1돌출부의 상면(上面)에,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보아 용기 중심 측으로 배치되고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벽 모양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ntainer wall and a ring-shaped second bonding portion for weakly adhering a port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on the upper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A second protruding wall which is arranged on the center side and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formed, 제2돌출부가,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반경(半徑) 30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되고,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disposed in a region having a radius of 30 mm or less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용기의 내부압력(內部壓力)이 높아졌을 때에, 수지필름이 상방으로 팽창(膨脹)되어 제2접착부가 떨어져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제2돌출부를 우회한 후에 상기 관통구멍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When the inner pressure of the container is increased, the resin film expands upward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falls, so that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bypasses the second protrusion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through- And the like. 용기(容器)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접착부(第一接着部)에 수지필름(樹脂 film)의 하면(下面)을 접착(接着)시킴으로써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內容物)을 밀봉(密封)하는 포장체(包裝體)로서,The lower surface of a resin film is adhered (bonded) to a first bonding portion (first bonding portion) formed annularly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material for sealing a container,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돌출부(第一突出部)가 용기벽(容器壁)에 형성되고,(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to the container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is formed on the container wall (container wall) 제1돌출부의 상면(上面)에,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약하게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보아 용기 중심 측으로 배치되고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벽 모양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ntainer wall and a ring-shaped second bonding portion for weakly adhering a port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on the upper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on, A second protruding wall which is arranged on the center side and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formed, 제2돌출부에 폭이 5mm 이하인 슬릿(slit)이 형성되고,A slit having a width of 5 mm or less is formed on the second projection, 용기의 내부압력(內部壓力)이 높아졌을 때에, 수지필름이 상방으로 팽창(膨脹)되어 제2접착부가 떨어져서, 용기 내부의 가스가 제2돌출부를 우회한 후에 상기 관통구멍을 거쳐서 용기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When the inner pressure of the container is increased, the resin film expands upward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falls, so that the gas inside the container bypasses the second protrusion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through- And the lik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 용기 내부가 경계벽에 의하여 복수의 구획으로 분리되고, 제1돌출부가 상기 경계벽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벽 모양의 제2돌출부의 양측에 서로 다른 구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Wherein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by a partition wall, a first projection is formed continuously to the partition wall, and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wall-shaped second proj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 제2접착부를 볼록으로 하고, 제2접착부의 선단으로부터 제2돌출부의 선단(先端)까지의 높이가 0.1∼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Wherein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convex and the height from the tip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to the tip of the second protrusion is 0.1 to 3 m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 상기 관통구멍이, 용기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중앙으로 치우치도록 5mm 이상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Where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by 5 mm or more away from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to the center. 수지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키기 위한 제1접착부가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용기로서,Wherein a first adhesive portion for adh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is annularly formed along the upper edge,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용기의 상부 테두리와 동등한 높이에 도달하는 제1돌출부가 용기벽에 형성되고,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to the container and reaching a height equivalent to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is formed in the container wall, 제1돌출부의 상면에,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보아 용기 중심 측으로 배치되고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벽 모양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An annular second adhering portion for adher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ntainer wall and a port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 second projection of a wall shape protruding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formed , 제2돌출부가,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반경(半徑) 30mm 이하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disposed in a region having a radius of 30 mm or less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 수지필름의 하면을 접착시키기 위한 제1접착부가 상부 테두리를 따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용기로서,Wherein a first adhesive portion for adh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is annularly formed along the upper edge, 용기 내부로 돌출되어 용기의 상부 테두리와 동등한 높이에 도달하는 제1돌출부가 용기벽에 형성되고,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to the container and reaching a height equivalent to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is formed in the container wall, 제1돌출부의 상면에, 용기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부분을 수지필름의 하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고리 모양의 제2접착부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보아 용기 중심 측으로 배치되고 제2접착부의 상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벽 모양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An annular second adhering portion for adher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ntainer wall and a port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 second projection of a wall shape protruding higher than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formed , 제2돌출부에 폭이 5mm 이하인 슬릿(sli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And a slit having a width of 5 mm or less is formed on the second projection . 삭제delete
KR1020097009075A 2006-11-02 2007-10-31 Package body and container KR1014074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8358 2006-11-02
JPJP-P-2006-298358 2006-11-02
PCT/JP2007/071242 WO2008053927A1 (en) 2006-11-02 2007-10-31 Package body and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378A KR20090081378A (en) 2009-07-28
KR101407412B1 true KR101407412B1 (en) 2014-06-13

Family

ID=3934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075A KR101407412B1 (en) 2006-11-02 2007-10-31 Package body and contain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347407B2 (en)
KR (1) KR101407412B1 (en)
CN (1) CN101583546B (en)
HK (1) HK1137715A1 (en)
WO (1) WO2008053927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381B1 (en) * 2016-09-01 2017-09-27 주식회사 더우주 Package for mask pack
KR20220156255A (en) * 2021-05-18 2022-11-25 곽금영 Recyclable and reusable container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4085B1 (en) * 2009-08-11 2013-03-13 Sauerlandfrische Dornseifer GmbH & Co. KG Packaged ready me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5679697B2 (en) * 2010-05-17 2015-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Container
EP2543606A1 (en) 2011-07-07 2013-01-09 Coopbox Group S.P.A. A container
ITMO20110169A1 (en) * 2011-07-07 2013-01-08 Coopbox Group S P A CONTAINER
JP6387638B2 (en) * 2014-03-18 2018-09-12 凸版印刷株式会社 package
KR101536268B1 (en) * 2015-01-22 2015-07-13 정희국 Prevent structural collapse of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CN107892054A (en) * 2018-01-01 2018-04-10 山东汇泰海洋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all food package box
CN108328047A (en) * 2018-01-18 2018-07-27 宁波时代铝箔科技股份有限公司 Aluminium foil box, heat-sealing head and heat-sealing method for aluminium foil box
GB201803513D0 (en) * 2018-03-05 2018-04-18 Linpac Packaging Ltd Vacuum skin packaging
KR102112837B1 (en) * 2018-04-16 2020-05-19 (주)태방파텍 Packaging container for fermented food
KR101982212B1 (en) 2019-01-25 2019-08-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Container for retort
KR102218016B1 (en) 2019-05-17 2021-02-19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Container for retort
WO2021131164A1 (en) * 2019-12-25 2021-07-01 東罐興業株式会社 Flat-pack paper container and film adhesion molding machine
KR102511418B1 (en) * 2021-11-02 2023-03-17 (주)스마트코퍼레이션 Bottle cap
KR102608924B1 (en) * 2023-05-22 2023-12-01 씨제이제일제당(주) Food container and mold for manufacturing food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820A (en) * 2001-11-20 2003-05-27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Sealed package and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497Y2 (en) * 1989-10-11 1995-11-22 有限会社磯巻寿司の魚九 Food in packaging
FR2698082B1 (en) * 1992-11-13 1994-12-23 Mat Metallique Elec Const Gas tight container.
JP4124287B2 (en) * 1997-12-12 2008-07-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Sealed container
JP4139483B2 (en) * 1998-06-12 2008-08-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ackage
JP3707977B2 (en) * 2000-02-01 2005-10-19 株式会社ザック Packaged food and packaged food containers
JP3914137B2 (en) * 2001-11-20 2007-05-16 立花容器株式会社 Pack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5035563A (en) * 2003-07-16 2005-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Packaging container corresponding to microwave ov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820A (en) * 2001-11-20 2003-05-27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Sealed package and contai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381B1 (en) * 2016-09-01 2017-09-27 주식회사 더우주 Package for mask pack
KR20220156255A (en) * 2021-05-18 2022-11-25 곽금영 Recyclable and reusable container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593188B1 (en) * 2021-05-18 2023-10-23 곽금영 Recyclable and reusable container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53927A1 (en) 2010-02-25
KR20090081378A (en) 2009-07-28
CN101583546A (en) 2009-11-18
WO2008053927A1 (en) 2008-05-08
JP4347407B2 (en) 2009-10-21
CN101583546B (en) 2011-06-22
HK1137715A1 (en)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12B1 (en) Package body and container
NL1016978C2 (en)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preparing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JP3061234U (en) Food container for cooking in microwave
US7045190B2 (en)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ed product
EP1845031B1 (en) Container for retort pouch food
CA2452584A1 (en) Self-absorbing gas-barrier receptacle for food packaging and food package obtained therefrom
JPH04231920A (en) Vessel making possible microwave treatment and use thereof
JP2003221078A (en) Packaging member and packaging container
CN110352168B (en) One-way valve for food package
JP2005035567A (en) Packaging container corresponding to microwave oven
AU2003217099B2 (en) Single-use one-way valve for food package that emits sound signal at sufficient heating
JP4995485B2 (en) Package for microwave processing
JPH11147559A (en) Lid material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JP2000309350A (en) Pouch with blending function
JP2009023682A (en) Packaging container
KR20030041820A (en) Sealed package and container
JP2003165581A (en) Stackable package of foamable food
WO2020009036A1 (en) Freshness holding container, freshness holding container constituent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5350102A (en) Package for heating by microwave oven
JP2020147376A (en) Container for reserving food
JPH047106Y2 (en)
JP2000153885A (en) Container for use in microwave oven
JP2006232280A (en)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having steam releasing function
JP5838664B2 (en) Packaging for microwave oven cooking
JP2005035564A (en) Packaging container corresponding to microwav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83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607

Effective date: 201910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8378;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11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113

Effective date: 202008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6248;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837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127

Effective date: 202008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300011370;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917

Effective date: 202101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3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209

Effective date: 20210223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