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219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219B1
KR101407219B1 KR1020120148164A KR20120148164A KR101407219B1 KR 101407219 B1 KR101407219 B1 KR 101407219B1 KR 1020120148164 A KR1020120148164 A KR 1020120148164A KR 20120148164 A KR20120148164 A KR 20120148164A KR 101407219 B1 KR101407219 B1 KR 101407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ottom plate
support column
ligh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이병구
한태인
함승우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 장치는 중앙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자성체인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바닥판의 내측면에 기둥 형상으로 세워져 배치되며 단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자성체인 서포트 기둥, 상기 몸체의 측면판에 고정되며 상기 서포트 기둥의 상기 홈을 노출하는 개구를 갖고 광이 투과되는 커버창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창을 향해 광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및 상기 바닥판의 상기 홈 및 상기 서포트 기둥의 상기 홈 중 어느 하나에 자력에 의하여 흡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기둥을 포함하는 받침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FIXTURES}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직접 조명을 간접 조명으로 간접 조명을 직접 조명으로 변경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는 어두운 실내 또는 어두운 실외에서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여 형성된 광을 제공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조도를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조명 장치는 크게 직접 조명 장치와 간접 조명 장치로 구분되는데, 직접 조명 장치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대부분 작업면에 직접 조사되는 조명 방식으로, 적은 전력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으나 균일한 조도를 얻기 어려우며, 눈부심이 일어나기 쉽고 빛에 의한 그림자가 강하게 나타난다.
간접 조명은 작업면에 직접 광을 제공하지 않고 벽이나 기타 구조물에 광을 조사하고 벽이나 기타 구조물에 반사 또는 확산된 광을 작업면에 제공하는 조명 방식으로 넓은 면적이 광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눈부심은 일어나지 않고 부드러운 조명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 중 직접 조명 장치는 직접 조명에 적합한 구조를 갖고, 간접 조명 장치는 간접 조명에 적합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직접 조명 장치를 간접 조명 장치로 사용하기 불편하며, 간접 조명 장치를 직접 조명 장치로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직접 조명 장치에서 간접 조명 장치로 간접 조명 장치에서 직접 조명 장치로 변경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광이 제공되는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조명 장치는 중앙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자성체인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바닥판의 내측면에 기둥 형상으로 세워져 배치되며 단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자성체인 서포트 기둥, 상기 몸체의 측면판에 고정되며 상기 서포트 기둥의 상기 홈을 노출하는 개구를 갖고 광이 투과되는 커버창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창을 향해 광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및 상기 바닥판의 상기 홈 및 상기 서포트 기둥의 상기 홈 중 어느 하나에 자력에 의하여 흡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기둥을 포함하는 받침 유닛을 포함한다.
조명 장치의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홈이 복수개 형성된다.
조명 장치의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상기 홈은 반구 형상을 갖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명장치의 상기 광 발생 장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의 상기 광 발생 장치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면에는 컬러 렌즈가 배치된다.
조명 장치의 상기 커버창은 투명 플레이트 및 반투명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의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측면판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조명 장치의 상기 몸체 및 상기 서포트 기둥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의하면, 광을 발생시키는 조명 유닛을 조명 유닛을 서포트하는 서포트 기둥에 대하여 상하 반대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접 조명 또는 직접 조명을 하나의 조명 장치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조명각도를 사용자가 편하고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기구 중 광이 발생되는 조명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 기구 중 광이 발생되는 조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명 유닛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명 기구가 간접 조명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기구 중 광이 발생 되는 조명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 기구 중 광이 발생되는 조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명 유닛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명 기구가 간접 조명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조명 기구(300)는 조명 유닛(100) 및 받침 유닛(200)을 포함한다.
조명 유닛(100)은 광을 발생하며 간접 조명 또는 직접 조명을 수행하며, 받침 유닛(200)은 조명 유닛(100)을 서포트 및 조명 유닛(100)의 광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조명 유닛(100)은 실내용 조명 기구 또는 실외용 가로등, 경관등 등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광이 발생 되는 조명 유닛(100)은 몸체(110), 서포트 기둥(120), 커버창(130) 및 광 발생 장치(14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바닥판(112) 및 측면판(1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112) 및 측면판(114)은 마그네트에 흡착되는 자성체인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몸체(110)는 자성체인 바닥판(112) 및 비자성체인 측면판(114)을 각각 제작한 후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바닥판(112) 및 측면판(114)을 갖는 몸체(110)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몸체(110)의 바닥판(112)에는 바닥판(112)의 바깥쪽으로부터 수납공간이 형성된 안쪽면을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홈(113)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홈(113)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112)에 형성된 홈(113)은 바닥판(112)의 중앙부 뿐만 아니라 바닥판(112)의 중앙부의 주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113)들이 바닥판(112)에 형성될 경우 홈(113)들은 규칙적인 형상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기둥(120)은 몸체(110)의 수납 공간에 배치되며, 서포트 기둥(120)은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서포트 기둥(120)은 마그네트에 흡착되는 자성체로 형성된다.
서포트 기둥(120)의 일측단은 바닥판(112)의 내측면 중앙부에 배치되며 서포트 기둥(120)의 일측단은 바닥판(112)의 내측면에 결합 된다.
서포트 기둥(120)의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에는 오목한 홈(122)이 형성되며, 서포트 기둥(120)의 타측단에 형성된 홈(122)의 형상은 바닥판(112)에 형성된 홈(113)과 유사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서포트 기둥(120)이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서포트 기둥(120)을 비자성체로 형성하고, 서포트 기둥(120)의 타측단에만 홈(122)이 형성된 자성체 판을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서포트 기둥(120)은 몸체(110)와 조립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서포트 기둥(120)은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커버창(130)은 몸체(110)의 측면판(114)을 덮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창(130)은 광이 투과되는 투명한 플레이트 또는 광이 투과되는 반투명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창(130) 중 서포트 기둥(120) 중 오목한 홈(122)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서포트 기둥(120)의 홈(122)을 노출하는 개구(132)가 형성된다.
광 발생 장치(140)는 회로 기판(142), 발광 다이오드(144), 확산 렌즈(146), 전원 제공 유닛(148) 및 전원선(149)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142)은 직사각형 형상, 곡면 형상, 도우넛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로 기판(142)에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144)들을 실장 하기 위한 회로 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발광 다이오드(144)는 회로 기판(142)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광 다이오드(144)는 백색광을 발생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발광 다이오드(144)는 적색광을 발생시키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그린광을 발생시키는 그린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발생시키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다이오드(144)는, 예를 들어,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144)는 저 소비전력 및 고휘도 특성을 갖는 반면, 휘도 균일성이 낮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144) 상에는 확산 렌즈(146)가 배치될 수 있고, 확산 렌즈(146)는 발광 다이오드(144)로부터 발생 된 광을 확산시켜 광의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확산 렌즈(146)는 발광 다이오드(144)로부터 발생된 백색광을 적색광, 녹색광 또는 청색광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적색 염료가 포함된 적색 확산 렌즈, 녹색 염료가 포함된 녹색 확산 렌즈 또는 청색 염료가 포함된 청색 확산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공 유닛(148)은 회로 기판(142)에 결합되며 전원 제공 유닛(148)은 회로 기판(142)의 회로 패턴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146)에 전원을 제공하며, 전원선(149)은 전원 제공 유닛(1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전원 제공 유닛(148)에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받침 유닛(200)은 마그네트(210) 및 기둥(220)을 포함한다.
마그네트(210)는 몸체(100)의 바닥판(112)에 형성된 홈(113) 또는 서포트 기둥(120)의 홈(122) 내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마그네트(210)는 구 형상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기둥(220)은 마그네트(210)와 결합 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조명 유닛(100)의 몸체(110)의 바닥판(112)에 형성된 홈(113)에는 받침 유닛(200)의 마그네트(210)가 삽입되고 이로 인해 조명 유닛(100) 중 광이 출사 되는 커버창(130)이 천정 또는 벽을 향하게 함으로써 간접 조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명 유닛(100)의 서포트 기둥(120)의 홈(122)에는 받침 유닛(200)의 마그네트(210)가 삽입되고 이로 인해 조명 유닛(100) 중 광이 출사되는 커버창(130)을 통해 광이 작업물에 직접 광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직접 조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조명 유닛(100)이 서포트 기둥(120)의 홈(122) 또는 몸체(110)의 바닥판(112)에 형성된 홈(113) 중 하나에 마그네트(2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명 유닛(100)은 자유롭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광을 발생시키는 조명 유닛을 조명 유닛을 서포트하는 서포트 기둥에 대하여 상하 반대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접 조명 또는 직접 조명을 하나의 조명 장치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조명각도를 사용자가 편하고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조명 유닛 110...몸체
120...서포트 기둥 130...커버창
140...광 발생 장치 200...받침 유닛
300...조명 장치

Claims (8)

  1. 바깥면에 복수의 오목한 홈이 구비된 자성체인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바닥판의 내측면 중앙부에 기둥 형상으로 세워져 배치되며 단부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자성체인 서포트 기둥, 상기 측면판의 선단면에 고정되며 상기 서포트 기둥의 상기 홈을 노출하는 개구를 갖고 광이 투과되는 커버창,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창을 향해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상면에 배치되는 컬러 확산 렌즈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및
    상기 바닥판의 상기 홈 및 상기 서포트 기둥의 상기 홈 중 어느 하나에 자력에 의하여 흡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기둥을 포함하는 받침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상기 홈은 반구 형상을 갖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구 형상으로 형성된 조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창은 투명 플레이트 및 반투명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측면판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조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서포트 기둥은 일체로 형성된 조명 장치.
KR1020120148164A 2012-12-18 2012-12-18 조명 장치 KR101407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64A KR101407219B1 (ko) 2012-12-18 2012-12-18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164A KR101407219B1 (ko) 2012-12-18 2012-12-18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219B1 true KR101407219B1 (ko) 2014-06-13

Family

ID=5113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164A KR101407219B1 (ko) 2012-12-18 2012-12-18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2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074A (ja) 2003-01-31 2004-08-19 Toshiaki Endo 作業用電灯
JP2011065974A (ja) 2009-09-19 2011-03-31 Toshimaro Iida 照明装置
KR20110097133A (ko) * 2010-02-24 2011-08-31 정진근 Led 스탠드
KR20120092599A (ko) * 2009-09-25 2012-08-21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074A (ja) 2003-01-31 2004-08-19 Toshiaki Endo 作業用電灯
JP2011065974A (ja) 2009-09-19 2011-03-31 Toshimaro Iida 照明装置
KR20120092599A (ko) * 2009-09-25 2012-08-21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명 장치
KR20110097133A (ko) * 2010-02-24 2011-08-31 정진근 Led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023B1 (ko) 천장부착형 엘이디 조명등장치
CN211600385U (zh) 一种可调节角度的灯具
JP2014120400A (ja) Led照明装置
KR20170079407A (ko) 야외용 조명기구
JPWO2006117879A1 (ja) 発光ダイオード照明実装鏡
KR101407219B1 (ko) 조명 장치
JP2011258516A (ja) 街路灯
CN201611027U (zh) 具多重变焦效果的灯具结构
KR101457588B1 (ko) 스피커를 구비한 조명장치
KR200479710Y1 (ko) 엘이디를 이용한 다색 실내등
JP4106525B2 (ja) Led照明装置
CN216131800U (zh) 照明灯
CN213810261U (zh) 照明灯具
CN105221960B (zh) 一种led灯具
CN210581906U (zh) 多功能展座灯具
CN207778093U (zh) 一种发光组件、光源模组和照明装置
CN103591546B (zh) 一种自由容置空间体led及自由容置空间体led灯具
CN216814028U (zh) 一种投影氛围灯
CN209294968U (zh) 便于散热的led吊灯
CN220958130U (zh) 一种落地灯的灯头结构
JP3236247U (ja) 懐中電灯
CN201561341U (zh) 立体配置led的led灯泡
CN215636590U (zh) 一种双角度可切换的射灯
CN203231167U (zh) 一种灯具
CN213019025U (zh) 一种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