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951B1 -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951B1
KR101405951B1 KR1020070125475A KR20070125475A KR101405951B1 KR 101405951 B1 KR101405951 B1 KR 101405951B1 KR 1020070125475 A KR1020070125475 A KR 1020070125475A KR 20070125475 A KR20070125475 A KR 20070125475A KR 101405951 B1 KR101405951 B1 KR 10140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mode
network
terminal
recep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739A (ko
Inventor
하성웅
류기선
이창훈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9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히 유휴 모드에 있던 단말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정상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다가 다시 유휴 모드로 재진입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은 유휴 모드(idle mode)의 단말에서 상기 단말과 관련된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유휴 모드에 대한 유휴 모드 유지 정보 (idle mode retain information)를 적어도 일부 유지하는 상태로 상기 네트워크로 재진입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다가, 별도의 스케줄링 메시지 교환 없이 다시 유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Idle mode, DREG-REQ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Method for entering to idle mode in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문서는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휴 모드(idle mode)를 지원한다. 유휴 모드 동안 이동국은 동일한 페이징 그룹(paging groups)에 포함되는 기지국간 이동 시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이동국은 핸드오버 절차를 위한 상향(Uplink) 정보 전송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로 인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유휴 모드 동안, 이동국은 약속한 페이징 주기마다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서 계속 유휴 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휴 모드에 있는 이동국이 전송해야 할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이동국은 유휴 모드를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휴 모드에 있는 이동국에게 전달해야 할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페이징을 통하여 이동국으로 하여금 유휴 모드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휴 모드에 있던 이동국이 이동하여 다른 페이징 영역으로 이동했거나 동기를 상실하는 등의 이유로 정해진 시간에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위치 갱신을 실행한다.
결론적으로, 유휴 모드로 들어간 이동국은 전송하거나 수신할 정보가 없는 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도 동일한 페이징 영역에서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 받기 위해서 주기적인 페이징을 정상적으로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휴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한 단말이 간단한 방법으로 유휴 모드에 재진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은, 유휴 모드(idle mode)의 단말에서 송수신 데이터 존재를 알리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휴 모드 진입 시 상기 단말에서 전송된 유휴 모드 유지 정보 (idle mode retain information)에 ]따라 유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재진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작동 시간이 설정된 타이머의 만료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따라 유휴 모드로 재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 만료 시점에 상기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 상태이면, 메시지 송수신 없이 유휴 모드로 재진입하고, 상기 유휴 모드 재진입 단계 이후에도 기지국을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 개체에서는 상기 단말에서 전송되었던 유휴 모드 유지 정보 (idle mode retain information)에 따라 유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숏 데이터 버스트(short data burst)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이머 만료 시점에 상기 데이터 송수신이 진행 상태이면, 새로운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해제 메시지를 송신하여 유휴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 개체에서는 상기 단말에서 전송된 새로운 유휴 모드 유지 정보에 따라 유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타이머 작동 시간은 데이터 송수신 소요 시간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이후 송수신단 버퍼가 비어 있는 시간 (buffer empty tim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은, 유휴 모드(idle mode)의 단말에서 상기 단말과 관련된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휴 모드 진입 시 상기 단말에서 전송된 유휴 모드 유지 정보 (idle mode retain information)에 따라 유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재진입하여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정상 모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모드에서 유휴 모드로 재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재진입 단계 이후에도 기지국을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 개체에서는 상기 단말에서 전송된 유휴 모드 유지 정보 (idle mode retain information)에 따라 유지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숏 데이터 버스트(short data burst)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 단에서 기 설정된 타이머 작동 시간으로 타 이머를 작동하여,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상기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가 상기 숏 데이터 버스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타이머 작동 시간은 데이터 송수신 소요 시간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후 송수신단 버퍼가 비어 있는 시간 (buffer empty tim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하는 유휴 모드 진입 방법을 통해 유휴 모드 재진입 시 송수신되는 시그널링 메시지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로써 유휴 모드 재진입 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이때 이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일정 용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들 용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용어로서 지칭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또는 장치는 생략될 수 있고, 각 구조 및/또는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도 시한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유휴 모드 (idle mode)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걸친 다수의 기지국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환경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할 때, 특정 기지국에 등록하지 않고도 단말이 하향링크 방송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유휴 모드는 단말의 활동이 불규칙적인 주기로 스캐닝 하도록 제한하여 단말이 전력과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유휴 모드는 단말에게 전송되는 데이터가 있는지 알려줄 수 있고, 비활동적인 단말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와 네트워크 핸드오버의 트래픽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와 기지국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이러한 유휴 모드 동작에 있어서 기지국들은 페이징 그룹이라는 논리적 그룹으로 구분된다. 이 그룹들은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할 수는 없지만, 단말을 타겟으로 하는 트래픽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의의 위치 (어느 기지국, 어느 교환국 등)를 파악하기 위해 하향링크로 페이지 될 수 있는 인접 범위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유휴 모드 진입 방법 및 유휴 모드 재진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말이 유휴 모드로 진입할 때 단말이 개시할 수도 있고 기지국이 개시할 수도 있다. 단말이 유휴 모드를 개시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과 정상적으로 동작 중에 단말은 먼저 단계 S1에서 유휴 모드 진입 요청하도록 설정된 DREG-REQ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DREG-CMD를 수신 하고 단계 S10에서 유휴 모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기지국이 개시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단계 S1-2에서 유휴 모드 진입 요청하도록 설정된 DREG-CMD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REG-CMD를 수신하면, 단계 S1-3에서 DREG-REQ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단계 S10에서 유휴 모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은 적절한 타이밍에 스캐닝을 하여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및 DL-MAP(Downlink MAP)을 디코딩하여 최적의 기지국과 동기화 한다. 그리고,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유휴 모드를 유지할지 네트워크로 재진입할 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에서 방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휴 모드에 있는 특정 단말을 목적으로 하는 하향링크 트래픽의 존재를 알리거나 해당 단말을 폴링(polling)하여 전체 네트워크 진입 없이도 위치 갱신 등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해당 프레임에서 페이징이 필요한 단말이 없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이러한 페이징 메시지를 방송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11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트래픽의 존재를 긍정하는 페이징 메시지 (MOB_PAG-ADV)를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유휴 모드를 종료하고 네트워크 재진입을 시작할 것이다.
즉, 단계 S12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재진입을 개시한다. 네트워크 재진입을 위한 타겟 기지국과의 초기 레인징 등을 위해 단말과 타겟 기지국간의 레인징 메시지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신규 서빙 기지국 즉 위의 타겟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로 성공적으로 진입한 단말은 정상 작동을 개시하여 단계 S13에서 데이터 등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다.
해당 단말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다시 유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위 유휴 모드 진입 방법으로 설명하였던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단계 S13 및 단계 S14에서 DREG-REQ 및 DREG-CMD 메시지의 송수신 과정을 통해 다시 유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하지만 유휴 모드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숏 데이터 버스트(short data burst)를 보내고 다시 바로 유휴 모드로 갈 경우 위 설명한 유휴 모드 재진입 방법으로 유휴 모드로 재진입하게 되면, 데이터 송수신에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숏 데이터 버스트를 보내기 위해 많은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주고 받게 된다. 여기서 숏 데이터 버스트의 대표적인 예로는 텍스트 메시지, 긴급 메시지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에서는 숏 데이터 버스트를 보낼 경우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줄여 유휴 모드로 들어가는 시간을 줄이고, 이에 소비하게 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휴 모드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 전환하여 숏 데이터 버스트를 전송 후 다시 유휴 모드로 재진입하는 경우 시그널링 메시지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단말과 기지국은 타이머를 사용하여, 현재 송수신 데이터가 숏 데이터 버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단말과 기지국이 현재 송수신 데이터가 숏 데이터 버스트인 것으로 판단하면, 유휴 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메시지들 예를 들어, DREG-REQ/CMD를 교환하지 않고 바로 유휴 모드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단말과 기지국은 유휴 모드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이전 유휴 모드에서 사용하였던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단말이 유휴 모드를 개시하고 유휴 모드 중 발생하는 트래픽은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하향링크 트래픽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휴 모드 진입 및 유휴 모드 재진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계 S2 및 S2-1에서 단말과 기지국은 DREG-REQ 및 DREG-CMD를 교환하여 단계 S20에서 유휴 모드를 시작한다.
단말이 서빙 기지국과의 정상 동작을 종료하고 유휴 모드로 들어갈 때, 단말은 단계 S2에서 DREG-REQ에 유휴 모드 유지 정보 (idle mode retain information)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빙 기지국 또는 다른 네트워크 개체는 이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빙 기지국과 다른 네트워크 개체간의 통신은 백본망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통해 유휴 모드 상태에서 단말이 향후 네트워크 진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진입과 관련된 MAC 관리 메시지와 관련된 단말 서비스 및 작동 정보 등에 대한 유지 여부를 서빙 기지국 또 는 다른 네트워크 개체에 대해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BC-REQ/RSP, PKM-REQ/RSP, REG-REQ/RSP 등과 같은 MAC 관리 메시지와 관련된 단말 서비스 및 작동 정보를 유지할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단계 S21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트래픽의 존재를 긍정하는 페이징 메시지 MOB_PAG-ADV를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유휴 모드를 종료하고 네트워크 재진입을 시작할 것이다.
단계 S22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재진입을 개시한다. 네트워크 재진입을 위한 타겟 기지국과의 초기 레인징 등을 위해 단말과 타겟 기지국간의 REG-REQ/RSP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술한 네트워크 진입과 관련된 MAC 관리 메시지와 관련된 단말 서비스 및 작동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정보가 타겟 기지국에 없는 경우 타겟 기지국은 페이징 제어부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개체로부터 백본망을 통해 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부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개체는 해당 단말이 네트워크로 재진입함에도 불구하고 앞선 유휴 모드 진입 시 수신한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통해 지시 받은 네트워크 진입과 관련된 MAC 관리 메시지와 관련된 단말 서비스 및 작동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계속 보유할 수 있다.
신규 서빙 기지국 즉 위의 타겟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로 성공적으로 진입한 단말은 정상 작동을 개시하여 단계 S23 내지 S24에서 하향링크 트래픽 데이터(1~N)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는 단계 S200에서 첫 번째 데이터, 예를 들어, 숏 데이터 버스트 1을 전송하면서 타이머 Timer_BS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단말에서도 단계 S200-1에서 첫 번째 숏 데이터 버스트 1을 수신하면서 Timer_MS를 동작시킨다. 이때 Timer_BS 및 Timer_MS의 설정 시간은 시스템 상에서 설정하기 나름이지만, 하향링크 트래픽이 전송 소요 시간이 적은 숏 데이터 버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숏 데이터 버스트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숏 데이터 버스트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은 데이터 송수신 시간뿐만 아니라 아울러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의 버퍼 상황과 관련된 소정의 시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소정의 시간 동안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의 버퍼가 비어있다면 이는 보다 확실하게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있기 때문이다.
단말은 Timer_MS가 만료되기 전에 유휴 모드로 들어간다면 단말은 단계 S2에서와 같이 DREG-REQ를 송신하지 않고 유휴 모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숏 데이터 버스트를 송수신한 이후 유휴 모드로 진입하기까지의 시간이 숏 데이터 버스트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보다 짧으면 Timer_BS 및 Timer_MS가 만료됨과 동시에 단말과 기지국은 별도의 시그널링 메시지 교환 없이 각각 유휴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에는 앞서 유휴 모드 진입 시에 이용했던 정보를 이용하여 유휴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서빙 기지국 또는 다른 네트워크 개체는 앞서 유휴 모드 진입 과정 중 단계 S2에서 수신된 유휴 모드 유지 정보를 보유하여 이후 네트워크 재진입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휴 모드 진입 및 유휴 모드 재진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은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의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도 데이터 송수신이 계속되는 경우 유휴 모드 재진입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단말이 단계 S3에서 유휴 모드 유지 정보 #1(idle mode retain information #1)를 포함하는 DREG-REQ를 전송하여 유휴 모드 진입을 요청하고 단계 S3-1에서 기지국이 DREG-CMD를 단말로 송신하여 유휴 모드 진입을 확인함으로써 단계 S30에서 유휴 모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서빙 기지국 또는 다른 네트워크 개체는 이 유휴 모드 유지 정보 #1를 보유할 수 있다. 여기서도 서빙 기지국과 다른 네트워크 개체간의 통신은 백본망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31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트래픽의 존재를 긍정하는 페이징 메시지 MOB_PAG-ADV를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단말은 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유휴 모드를 종료하고 네트워크 재진입을 시작할 것이다.
단계 S32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재진입을 개시한다. 네트워크 재진입을 위한 타겟 기지국과의 초기 레인징 등을 위해 단말과 타겟 기지국간의 REG-REQ/RSP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술한 네트워크 진입과 관련된 MAC 관리 메시지와 관련된 단말 서비스 및 작동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정보가 타겟 기지국에 없는 경우 타겟 기지국은 페이징 제어부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개체로부터 백본망을 통해 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부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개체는 해당 단말이 네트워크로 재진입함에도 불구하고 앞선 유휴 모드 진입 시 수신한 유휴 모드 유지 정보 #1를 통해 지시 받은 네트워크 진입과 관련된 MAC 관리 메시지와 관련된 단말 서비스 및 작동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계속 보유할 수 있다.
신규 서빙 기지국 즉 위의 타겟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로 성공적으로 진입한 단말은 정상 작동을 개시하여 단계 S33 내지 S34에서 하향링크 트래픽 데이터(1~N)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는 단계 S300에서 첫 번째 데이터 1을 전송하면서 타이머 Timer_BS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단말에서도 단계 S300-1에서 첫 번째 데이터 1을 수신하면서 Timer_MS를 동작시킨다.
만약, 숏 데이터 버스트라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 즉, Timer_BS 및 Timer_MS 만료된 후에도 송수신할 트래픽 데이터가 남아 있다면 DREG-REQ 및 DREG-CMD를 주고 받는 동작을 통해 다시 유휴 모드에 진입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 이후 유휴 모드로 진입하기까지의 시간이 숏 데이터 버스트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보다 길면, 단계 S35의 DREG-REQ 및 단계 S36의 DREG-CMD를 주고 받는 동작을 통해 다시 유휴 모드에 진입하게 될 것이다.
이때에는 앞서 보유하던 단계 S3에서 수신한 유휴 모드 유지 정보 #1를 통해 지시 받은 네트워크 진입과 관련된 MAC 관리 메시지와 관련된 단말 서비스 및 작동 정보를 삭제하고 새롭게 단계 S35의 DREG-REQ에 포함되는 유휴 모드 유지 정보 #2를 보유하여 이후 네트워크 재진입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며,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유휴 모드 진입 방법 및 유휴 모드 재진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휴 모드 진입 및 유휴 모드 재진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휴 모드 진입 및 유휴 모드 재진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9)

  1.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이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진입(entry)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등록이 해제된(deregistered) 유휴 모드(idle mode)에서도 유지할 것을 지시하는 유휴 모드 유지 정보 (idle mode retai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등록 해제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등록이 해제됨에 따라서 상기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유휴 모드(idle mode)의 단말에서 송수신 데이터 존재를 알리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 (idle mode retain information)에 따라 기지국에서 유지된 상기 네트워크 진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재진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재진입 후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개시됨에 따라서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유휴 모드로 재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휴 모드로 재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된 경우, 상기 등록 해제 요청 메세지의 전송 없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등록 해제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에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된 경우, 상기 등록 해제 요청 메세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함에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등록 해제 되는, 유휴 모드 진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모드 재진입 이후에도 상기 기지국은 상기 유휴 모드 유지 정보 (idle mode retain information)에 따라 유지된 상기 네트워크 진입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모드 진입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숏 데이터 버스트(short data bur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모드 진입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작동 시간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소요 시간 및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 이후 송수신단 버퍼가 비어 있는 시간 (buffer empty tim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 모드 진입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125475A 2007-12-05 2007-12-05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 KR10140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75A KR101405951B1 (ko) 2007-12-05 2007-12-05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75A KR101405951B1 (ko) 2007-12-05 2007-12-05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39A KR20090058739A (ko) 2009-06-10
KR101405951B1 true KR101405951B1 (ko) 2014-06-12

Family

ID=4098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475A KR101405951B1 (ko) 2007-12-05 2007-12-05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9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401A (ko) * 2004-03-04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동작 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46417A (ko) * 2004-06-11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네트워크 재진입시스템 및 방법
KR100893862B1 (ko) 2004-06-08 2009-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401A (ko) * 2004-03-04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동작 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93862B1 (ko) 2004-06-08 2009-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제어 방법
KR20060046417A (ko) * 2004-06-11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네트워크 재진입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39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782B1 (ko) 이동 단말에서 공존 지원 방법
KR100885158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수면모드 단말의 주기적인레인징방법
CA2569210C (en) A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654241B2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けるアイドルモード移動局加入者の利用可能性検証
KR1006895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서의 동작 모드 천이 방법 및그 단말
JP2020115694A (ja) 端末状態の切り替え方法及び装置
US8135408B2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used in user equipment
WO2006049457A2 (en) Method for reestablishment of ip address for idle mode ms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ereof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WO20220774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WO2008106889A1 (fr) Procédé, système de communication sans fil et dispositif de commande de mobilité de groupe pour traiter une mobilité de groupe
KR100875425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US8046006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paging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981551B (zh) 无线移动通信系统中的数据通信方法
KR101405951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유휴 모드 진입 방법
JP4833994B2 (ja)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遊休モード動作方法
KR2005012301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KR10112879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유휴모드 지원 방법
US11968612B2 (en) Data routing in radio access network
IL180226A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88899B1 (ko) 이동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관리방법
KR20110081034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수행 방법
CN117397355A (zh) 使用多个用户标识同时通信的方法、相关无线设备和相关网络节点
KR20130124197A (ko) 이동 중계기 및 그 핸드오버 방법
KR101128222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등록해제 통지방법
KR20060029905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수면모드연결아이디 갱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