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809B1 -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809B1
KR101405809B1 KR1020120063342A KR20120063342A KR101405809B1 KR 101405809 B1 KR101405809 B1 KR 101405809B1 KR 1020120063342 A KR1020120063342 A KR 1020120063342A KR 20120063342 A KR20120063342 A KR 20120063342A KR 101405809 B1 KR101405809 B1 KR 10140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ogenic acid
acid
present
sleep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676A (ko
Inventor
박희준
최종원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80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진정제, 수면제, 항경련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정효과, 수면유도효과 및 항경련효과를 갖는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 또는 그 유도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상기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다른 진정제, 수면제 및 항경련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의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여 진정시키는 방법, 수면을 유도하는 방법 및 경련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edation, sleeping induction and anticonvulsion comprising chlorogenic acid or its derivative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유효한 진정효과, 수면유도 효과 및 항경련효과를 나타내는 섬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울릉도에 자생하는 섬쑥부쟁이(Aster glehni)는 높이 1 m 내외로서 줄기에는 잔털이 있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꽃이 필 때 밑부분의 잎은 스러지며 타원형으로서 짧은 대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하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 1319cm, 나비 46cm이다. 또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腺點)이 있고, 꽃은 810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은 1.5 cm 정도로서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揀房花序]로 달린다.
한글 동의보감에는 섬쑥부쟁이는 풍을 제거하고 해열, 해독하며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풍열로 인한 감기, 편도선염, 기관지염, 정창, 종독, 뱀에 물린 상처, 벌에게 쏘인 상처를 치료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근래에 급증하는 교통사고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의한 두개골 손상, 전자 오락물 및 약물 오남용에 의한 중독 등이 간질 발작의 원인이 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간질 환자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 중추의 흥분성 및 억제성 신경전달 기능 사이의 균형 소실이 발작의 원인이라는 학설이 제시된 후, 중추 신경계에서 흥분성 또는 억제성 신경 전달 물질로 작용하는 아미노산들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흥분성 신경전달 물질의 하나인 글루탐산(glutamic acid)과 억제성 전달물질인 GABA(gamma-aminobutyric acid)의 기능적 균형의 장애가 발작 기전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보고가 제시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의 간질 치료제의 개발은 주로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다(Crawford et al., 1963; Braughman et al., 1980; Croucher et al., 1982).
경련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물의 개발현황을 살펴보면, 현대적 의미의 진정제로 개발된 1900년대 초의 바르비투레이트(barbiturate)계통의 약물이 있다. 이는 불안치료에 효과적인 약재로 소개되어 사용되었으나, 치료지수가 낮아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중독 등의 부작용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1957년에는 클로르디아제폭사이드(chlordiazepoxide) 등의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계 약물이 진정제로서 개발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이와 관련된 많은 유도체가 진정제로 개발되어 있다. 이들 약물은 비교적 안전하고 불안 증상을 경감시키는 항불안 효과 외에 항경련제, 진정수면제, 근육이완제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나, 본태성 고혈압과 자율신경계의 장애, 위장관 장애, 운동장애, 금단시의 경련유발, 알코올 또는 바르비투레이트(barbiturate)계와의 병용시에 중추신경 억제작용이 강화되는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남아 있으며 또 드물게는 불안증상의 악화와 적개심 야기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수도 있어 이상적인 진정제로서는 한계가 있다(J. Clin. Psychiat. 42, 1981, M.A. Schuckit, Current therapeu- tic options in the management of anxiety, pp. 15-24).
또한, 1970년대부터 개발되어온 아자스피로데칸디온(azaspirodecanedione)계 약물인 부스피론(buspirone)의 경우는 다른 항불안제들과 달리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 결합되지 않고 GABA(감마-아미노부티르산) 신경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도파민(dopamine) 수용체와 해마에 있는 세로토닌(serotonine) 수용체에 작용하므로 기존의 벤조디아제핀계에 비해 운동장애등의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약리효과가 2, 3주 지연되어 나타나고, 또 도파민계에 작용하는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어 역시 이상적인 신경안정제라고 할 수 없다. 그리고 현재 미국 수면제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엠비엔(Ambien, Monsanto사)은 수면효과가 8시간 지속되어 아침에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을 정도이다.
한편 클로로겐산의 용도와 관련하여, 국제공개번호 WO 2004/004708(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18972호)에서는 상기 클로로겐산이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의 치료제로 사용가능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클로로겐산이 2형 당뇨병이나 (Type 2 Diabetes Mellitus) [Paynter et al, "Coffee and 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 J. of Epidemiology, 164 (11): 10751084, 2007], 및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Morton et al, "Chemistry And Biological Effects Of Dietary Phenolic Compounds: Relevance To Cardiovascular Disease.", Clinical and Experimental Pharmacology and Physiology 27 (3): 152-159, 2007]. 이러한 클로로겐산의 여러 가지 이로운 생리적 작용에 대한 선행 연구는 있었지만, 클로로겐산의 진정, 수면 및 항경련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진정, 수면 및 항경련 효과를 가지는 약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섬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클로로겐산을 강직성 경련 반응을 보이는 마우스에 투여했을때 경련이 억제되고, 수면연장이 유도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진정, 수면 및 항경련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정, 수면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정, 수면 및 항경련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인 클로로겐산을 섬쑥부쟁이 추출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섬쑥부쟁이라는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성분으로서, 기존 약제에 비하여 진정, 수면 및 항경련 효과가 유사하거나 더욱 우수하나,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안전한 진정, 수면 및 항경련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또는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7093325-pat00001
.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불안 또는 불면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섬쑥부쟁이(Aster glehni)를 물, C1 -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와 혼합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추출물을 클로로포름 및 물로 분획하여 물 분획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물 분획물을 부탄올로 분획하여 부탄올 분획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부탄올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섬쑥부쟁이라는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성분으로서, 기존 약제에 비하여 진정, 수면 및 항경련 효과가 유사하거나 더욱 우수하나,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안전한 진정, 수면 및 항경련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로로겐산을 투여한 경우 수면시간이 증가하였고, PTZ 유도 경련 실험에서도 PTZ 투여에 의한 발병시간(경련이 최초 시작되는 시간까지의 잠재시간), 경련유발 잠재시간, 치사시간의 증가가 확인되어 향후 부작용이 없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제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클로로겐산의 화학식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또는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047093325-pat00002
.
본 발명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이며, 혹은 3-O-카페오일퀸산(3-O-caffeoylquinic acid)라고도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클로로겐산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도체로는 3,4-디-O-디카페오일퀸산(3,4-di-O-dicaffeoylquinic acid), 3,5-디-O-디카페오일퀸산(3,5-di-O-dicaffeoylquinic acid), 4,5-디-O-디카페오일퀸산(4,5-Di-O-dicaffeoylquinic acid), 5-O-카페오일퀸산(5-O-caffeoylquinic acid) 및 3-O-p-쿠마로일퀸산(3-O-p-coumaroylquinic acid) 등이 있다. 이 밖에도, 클로로겐산의 유도체로는 천연물에서 분리되는 에스테르 형태로서 메틸 클로로제네이트(methyl chlorogenate), 에틸 클로로제네이트(ethyl chlorogenate)가 알려져 있으며, 미국 등록 특허 6,632,459호에는 클로로겐산의 하이드록실기 부분이 카페산으로 치환된 클로로겐산의 유도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진정제, 수면유도제 및 항경련제는 이러한 클로로겐산 및 이와 동등한 진정, 수면유도 및 항경련 효과를 가지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클로로겐산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인 클로로겐산에 관하여 존재하는 염 중에서 진정제, 수면유도체, 수면제 또는 항경련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허용되는 염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사용될 수 있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들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들은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에서 "진정"이란 중추신경계가 흥분한 상태를 진정시키는 것이며 마취제, 최면제, 진통제, 항불안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수면유도"란 불면증 등을 진정시켜 수면에 들게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항경련"이란 전신 또는 국소의 골격근이 불수의적으로 급속히 수축하는 현상인 경련작용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수면 증강 및 진정 작용도 이에 포함된다.
상기 진정, 수면유도 및 항경련 효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질환으로는 불안증, 조병, 우울증, 공포증, 공격증(aggression), 지주막 하출혈, 신경계 쇼크와 연관된 이상, 코카인, 니코틴, 알코올 및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남용 물질들의 금단증과 연관된 증상, 외상후 간질을 포함하는 간질, 파킨슨씨 병, 정신병, 편두통, 대뇌 빈혈, 알츠하이머 병, 헌팅턴 무도병, 조발성 치매, 강박 반응 이상(OCD), AIDS와 연관된 신경병학적 결함, 수면 장애(불면증 및 수면 발작 포함), 질드라투렛 증후군(Gilles de la Tourette's syndrome)과 같은 경련, 외상성 대뇌 손상, 이명(耳鳴), 신경통, 신경성 통증, 치통, 암 통증, 당뇨병과 같은 질병에서 신경 건강 불량을 유발하는 부적절한 신경 활성, 다발성 경화증(MS), 운동성 뉴런 질병, 운동실조증, 근경직증(경련성), 측두하악골 관절 기능 장애 및 근 위축성 측색 경화증(ALS)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1일 1 내지 2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진정, 수면유도 또는 항경련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식용 천연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성분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독성을 가지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하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하기와 같은 질환의 발병 또는 발병가능성이 있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안증, 조병, 우울증, 공포증, 공격증(aggression), 지주막 하출혈, 신경계 쇼크와 연관된 이상, 코카인, 니코틴, 알코올 및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남용 물질들의 금단증과 연관된 증상, 외상후 간질을 포함하는 간질, 파킨슨씨 병, 정신병, 편두통, 대뇌 빈혈, 알츠하이머 병, 헌팅턴 무도병, 조발성 치매, 강박 반응 이상(OCD), AIDS와 연관된 신경병학적 결함, 수면 장애(불면증 및 수면 발작 포함), 질드라투렛 증후군(Gilles de la Tourette's syndrome)과 같은 경련, 외상성 대뇌 손상, 이명(耳鳴), 신경통, 신경성 통증, 치통, 암 통증, 당뇨병과 같은 질병에서 신경 건강 불량을 유발하는 부적절한 신경 활성, 다발성 경화증(MS), 운동성 뉴런 질병, 운동실조증, 근경직증(경련성), 측두하악골 관절 기능 장애 및 근 위축성 측색 경화증(AL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항경련 활성을 통해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 이미 발병되었거나, 발병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불안 또는 불면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7093325-pat00003
.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도체는 3,4-디-O-디카페오일퀸산(3,4-di-O-dicaffeoylquinic acid), 3,5-디-O-디카페오일퀸산(3,5-di-O-dicaffeoylquinic acid), 4,5-디-O-디카페오일퀸산(4,5-Di-O-dicaffeoylquinic acid), 5-O-카페오일퀸산(5-O-caffeoylquinic acid) 및 3-O-p-쿠마로일퀸산(3-O-p-coumaroylquinic aci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섬쑥부쟁이(Aster glehn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형태의 성분을 포함하되, 적절한 식품보조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진정, 수면 및 항경련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원료 조성물 중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10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a) 섬쑥부쟁이(Aster glehni)를 물, C1-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와 혼합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추출물을 클로로포름 및 물로 분획하여 물 분획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물 분획물을 부탄올로 분획하여 부탄올 분획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부탄올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7093325-pat00004
.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서, 단계(a)에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특히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서, 단계(d)의 크로마토그래피 수행시에는 클로로포름-메탄올-물 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클로로겐산의 분리 및 동정
섬쑥부쟁이 잎(500g, 울릉도 농업기술센터)을 파쇄하여 메탄올(MeOH)로 3회 환류냉각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 동결건조하여 메탄올 추출물 73g을 얻었다. 이를 분획깔대기에서 각 800mL의 클로로포름(CHCl3)와 물(H2O)로 3회 분획하였다. 클로로포름 가용부를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 분획 26.7g을 수득하였다. 수층에 대해 다시 분획깔대기로 각 800mL의 부탄올(BuOH)과 물로 3회 분획하여 부탄올 가용부를 얻은 후 감압농축하여 부탄올 분획물 10.5 g을 얻었다.
부탄올 분획물 10g을 실리카겔 컬럼에서 전개용매는 클로로포름-메탄올-물(CHCl3-MeOH-H2O)(7:3:1, 하층) 조건으로 전개하여 60mL씩 분취하였다. 소분획 2-8번 분획을 농축하여 Fr. B라 하였고, 14-54번 농축물은 Fr. C라 하였다. 그리고 57-66번 농축물을 Fr. D라 하였다. Fr. D를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미황색 분말인 화합물 4를 얻었다. 화합물 4에 대해 표준품과 혼융시험(mixed mp)과 선광도([α]D)를 측정한 결과 일치하였으며, TLC(co-TLC)에서도 Rf치 및 반점 색상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합물4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동물 및 검액의 제조
동물실험에는 4-5개월령의 20±2g의 ICR 웅성 마우스(효창 사이언스)를 사용하였다. 마우스 사육을 위해 일정한 온도(20±2℃), 습도(40-60℃), light/dark 사이클(12시간)을 일주일간 유지하였다. 모든 동물실험은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of Jyungsung University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모든 실험과정은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 발행된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에 일치하도록 하여 수행하였다.
시료를 Tween 80 [tween 80: 식염수 (1:4)]에 녹여 검액을 제조한 후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검액은 2주간 매일 10mg/kg 및 20mg/kg의 용량으로 마우스에 경구투여하였고, 실험 전 24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실험예 1. 펜토바비탈 유도 수면 실험
상기 실험은 6마리의 마우스를 한 그룹으로 하여 수행하였으며, Ma et al.(2009)에 기술된 방법에 따랐다.
마우스에 클로로겐산을 10mg/kg, 20mg/kg 용량으로 한 그룹에는 경구투여를, 다른 한 그룹에는 복강내투여를 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클로르프로마진(CPZ) 50mg/kg을, 음성대조군으로는 비히클(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그 실험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소디움 펜토바르비탈-유도 수면시간 측정 결과
Figure 112012047093325-pat00005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비히클)의 경우 약 60분 정도의 수면시간을 나타낸 것에 반하여, 클로로겐산을 투여한 경우 용량에 따라 약 80분 내지 140분으로 수면시간이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약 1.3배, 2.3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구투여에서 뿐만 아니라 복강주사에서도 모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클로르프로마진의 경우 50mg/kg의 용량에서 220분 정도의 수면시간을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 용량에 비하여 5배, 2.5배의 용량을 사용한 결과이므로 이를 감안하면 본 발명의 클로로겐산의 경우 현저한 수면시간 증가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펜틸렌테트라졸 ( PTZ ) 유도 경련 실험
6마리의 흰 마우스를 한 그룹으로 하여 실험하였으며, Vogel(2001)에 기술된 방법에 따랐다.
대조군, 클로로겐산 10mg/kg 및 20mg/kg 용량, 페노바르비탈 100mg/kg의 용량으로 하루에 한 번 1주일간 경구투여하였고, 클로로겐산 10mg/kg 및 20mg/kg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투여 후 1시간 째에 펜틸렌테트라졸 70mg/kg을 피하주사하였다. 그 다음 발작에 대한 발병시간(onset time까지의 잠재시간), 경련 유발 잠재시간(tonic extensive) 및 치사까지의 잠재시간(mortality)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2. 펜틸렌테트라졸-유도 경련 및 치사시간 측정 결과
Figure 112012047093325-pat00006
[T.E.는 onset time에서부터 T.E(tonic extensive)가 일어나는 시간을 의미하고, Inc., 는 발생률(incidence)를 의미하며, Lat는 펜틸렌테트라졸 처리 후 잠복시간을 의미한다. 한편, onset time은 경련이 최초 시작되는 시간까지의 잠재시간(latency time)을 의미한다]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TZ 유도 경련 실험에서도 클로로겐산 10mg/kg 및 20mg/kg 용량에서 PTZ 투여에 의한 발병시간(onset time), 경련유발 잠재시간, 치사시간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즉, 클로로겐산은 상기 용량에서 항경련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에서도 클로로겐산은 경구투여나 복강주사에서 모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예 1 및 2를 통해 섬쑥부쟁이에 함유된 클로로겐산(5-카페오일퀸 산)은 진정효과와 항경련효과를 갖는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클로로겐산의 유도체인 디카페오일퀸산(dicaffeoylquinic acid)도 유사한 작용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된다.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클로로겐산 10mg
수크로즈 100mg
탈크 10mg
상기 성분들을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클로로겐산 10mg
전분 100mg
수크로즈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이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캅셀제의 제조
클로로겐산 10mg
결정성 셀룰로오즈 3mg
락토오즈 15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과립제의 제조
클로로겐산 10mg
대두 추출물 50mg
포도당 200mg
전분 500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mL를 첨가하여 60℃에서 건조시켜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 환제의 제조
클로로겐산 20mg
유당 1,500mg
글리세린 1,500mg
전분 980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환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환 당 4g이 되도록 제조한다.
제조예 6. 주사제의 제조
클로로겐산 10mg
만니톨 18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0mg
Na2HPO4·12H2O 30mg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mL)가 되도록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제조예 7. 액제의 제조
클로로겐산 10mg
이성화당 10,000mg
만니톨 5,000m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상기 성분을 용해시키고, 적절한 향을 가한 다음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제조한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또는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17007778-pat00007
    .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섬쑥부쟁이(Aster glehn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정, 수면 또는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불안 또는 불면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4017007778-pat00008
    .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섬쑥부쟁이(Aster glehni)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 또는 불면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63342A 2012-06-13 2012-06-13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05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42A KR101405809B1 (ko) 2012-06-13 2012-06-13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42A KR101405809B1 (ko) 2012-06-13 2012-06-13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76A KR20130139676A (ko) 2013-12-23
KR101405809B1 true KR101405809B1 (ko) 2014-06-13

Family

ID=4998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342A KR101405809B1 (ko) 2012-06-13 2012-06-13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068A (ko) * 2018-10-31 2020-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3,5-디카페올리퀴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손상 개선용 및/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CN115006380B (zh) * 2022-05-31 2023-11-17 宁夏医科大学 N1,n10-二咖啡酰基亚精胺在制备药品、保健品或功能食品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ARCH. PHARM. R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76A (ko)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099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KR101336411B1 (ko) 쌀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101405809B1 (ko)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WO2016190566A2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509061B1 (ko) 노루궁뎅이버섯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33982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565964B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985037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almitoylethanolamid and cytidine-diphosphocholine
US11439603B2 (en) Compositions for ameliorating, preventing or treating somnipathy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and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intolerance to or alleviating side effects of agonist at benzodiazepine binding site of GABA-A receptor including phloroglucinol as active ingredient
EP363245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bark extrac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101779536B1 (ko) 둥굴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장애 치료 및 수면 시간 증진을 위한 조성물
US20120035254A1 (en) Inhibitor for elevation of gip level
KR101474749B1 (ko) 패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또는 수면 유도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01109A (ko) 다표적 제어를 통한 치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60129064A1 (en) Method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and diabetes using quercetin and bauhinia forficata extract
KR20170064602A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40566B1 (ko) 페닐프로파노이드 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불안 및 기억력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20040064240A (ko)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KR101803046B1 (ko) 부처손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학요법제와의 병용투여를 위한 항암 조성물
KR100646594B1 (ko) 항불안 활성을 갖는 육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40056651A (ko)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JP2002371001A (ja) 白内障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1351883B1 (ko) 왕겨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101662459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