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727B1 -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727B1
KR101405727B1 KR1020120127560A KR20120127560A KR101405727B1 KR 101405727 B1 KR101405727 B1 KR 101405727B1 KR 1020120127560 A KR1020120127560 A KR 1020120127560A KR 20120127560 A KR20120127560 A KR 20120127560A KR 101405727 B1 KR101405727 B1 KR 10140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mponent
replacement
weight
uni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794A (ko
Inventor
송재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7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 또는 필터의 교체정보를 차계부에 자동 작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계부 시스템은 액체부품의 교체를 감지하는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 상기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액체부품의 교체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액체부품의 교체 정보를 저장하는 차계부 작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vehicle housekeeping lo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 또는 필터의 교체정보를 차계부에 자동 작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기적으로 교체 또는 보충해야하는 부품(엔진오일, 브레이크액, 와셔액 등)들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교체 또는 보충해야하는 부품들에 대해 적당한 시기에 교체 또는 보충하지 못해 자동차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에, 운전자들은 개인적으로 차계부를 작성하거나 정비소에 문의하여 교체 또는 보충시기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가 차계부를 노트 등에 별도로 작성하는 경우 노트를 분실하거나 파손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제대로 기록하지 않고 누락시키는 부분이 있어, 자동차에 대한 차계부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내에서 차계부를 자동 작성하도록 하는 차계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계부 시스템은 액체부품의 교체를 감지하는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 상기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액체부품의 교체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액체부품의 교체 정보를 저장하는 차계부 작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필터의 교체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필터 교체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교체 정보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는,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부품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가 제 1 시간 동안 일정수치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액체부품을 교체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계부 작성부를 제어하여 교체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부품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가 제 1 시간 동안 일정수치 이상 감소한 경우, 제 2 시간 경과 후의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하는 경우 상기 액체부품을 교체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시간 경과 후의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액체부품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체정보는, 교체날짜, 주행거리, 교체정도, 다음 교체주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계부 구동 방법은, 오일 용기의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오일 용기의 무게의 변화가 제 1 시간 동안 일정 수치 이상 변화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정수치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오일의 교체 정보를 차계부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일정수치 이상 감소한 경우, 제 2 시간 경과 후 상기 오일 용기의 무게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간 경과 후 상기 오일 용기의 무게가 일정 수치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오일의 교체 정보를 차계부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간 경과 후 상기 오일 용기의 무게가 일정 수치 이상 증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오일의 부족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전자가 요청한 경우, 상기 오일 교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정비센터 또는 홈페이지 등을 방문할 필요없이 차량 내에서 오일 및 필터 교체 주기 및 차량정비 목록을 열람하고 자동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계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엔진오일 교체 시 무게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계부 알람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계부 자동 작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한 본 발명은 차계부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기술로서, 이러한 기술적 원리는 부품 교체 주기를 가지는 모든 차량, 배, 비행기 등 엔진을 이용하는 모든 탈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계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계부 시스템은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 필터교체 감지부(200), 제어부(300), 차계부 작성부(400), 및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는 엔진오일, 브레이크액, 와셔액 등의 액체류의 교체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는 액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는 액체의 무게를 각각 감지하여 무게 감지 결과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도 2는 엔진오일용기(10)에 엔진오일(20)을 보충하는 경우,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가 엔진오일용기(10) 내의 엔진오일 무게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300)에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필터교체 감지부(200)는 에어컨 필터, 에어 필터, 히터필터, 공조필터 등의 필터 교체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필터교체 감지부(200)는 필터의 탈부착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 및 필터 교체 감지부(200)로부터 수신한 감지결과를 분석하여, 액체부품 교체 여부 및 필터 교체 여부 등을 판단하여 액체부품 또는 필터를 교체한 경우 교체/보충 날짜, 주행거리, 교체/보충 정도를 차계부 작성부(400)로 전달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액체부품 또는 필터의 교체날짜를 기준으로 다음 교체주기를 추가로 저장하도록 차계부 작성부(40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운전자로부터 차계부 검색 요청을 받으면, 차계부 작성부(400)와 연동하여 차계부 저장 내용을 표시부(5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차계부 작성부(400)는 제어부(300)로부터 전달받은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표시부(500)는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차계부 저장 내용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500)는 클러스터(Cluster), 경고 램프 등을 통해 경고등을 출력시키거나, AVN(Audio,Vedio, Navigation), 텔레매틱스 유닛 등의 단말을 통해 경고음 및 경고문구를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운전자가 차계부 검색을 요청한 경우, 표시부(500)에 교체/보충 날짜, 주행거리, 교체사항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계부 자동 작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필터 교체의 경우에는, 필터 교체 감지부(200)가 필터 교체 감지 결과를 제어부(300)로 전송하면, 제어부(300)가 필터 교체 감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터 교체 감지 여부 판단 결과를 차계부 작성부(400)로 전송하여 차계부에 기록하도록 한다.
도 4는 차계부 자동 작성 방법 중 특히 액체부품(오일) 교체의 경우의 예를 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가 오일 용기의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S101). 이때,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는 일정 주기로 오일 용기의 무게를 감지하거나, 제어부(300)의 요청에 따라 오일 용기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오일 용기 무게 감지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300)는 오일 용기의 무게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오일 용기의 무게의 변화가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수치 이상 변화했는지를 판단한다(S102). 즉, 제어부(300)는 단시간 동안 오일 용기의 무게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장시간에 걸쳐 약간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무게 변화가 발생했다고 판단하지 않는다.
이에, 오일 용기의 무게의 변화가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수치 이상 변한 경우, 제어부(300)는 오일 용기의 무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했는지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했는지를 판단한다(S103).
그 후, 상기 과정 S103의 판단 결과, 오일 용기의 무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한 경우, 제어부(300)는 오일이 보충되었다고 판단하고 차계부 작성부(400)로 오일 보충 정보의 기록을 요청하여, 차계부 작성부(400)는 오일 보충 정보를 기록한다(S104). 이때, 차계부 작성부(400)는 오일 보충 날짜, 주행거리, 오일 보충량, 다음 교체 주기 등의 정보를 기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와셔액의 경우 와셔액을 보충하게 되므로 단시간에 무게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단시간 동안 무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한편, 엔진 오일, 브레이크액 등은 남아 있던 액체를 밖으로 빼낸 후 새로운 엔진 오일, 브레이크액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교체되므로, 단시간에 오일 용기의 무게가 감소했다가 일정 시간 후 다시 오일용기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상기 과정 S103의 판단결과 무게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이처럼, 오일 용기의 무게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한 경우, 남아있던 오일을 제거한 후 새로운 오일로 교체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0)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에 오일 용기의 무게를 다시 측정하도록 명령한다. 이에,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100)는 오일 용기의 무게를 다시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300)에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수신한 결과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오일 용기의 무게가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S105).
이에, 상기 과정 S105의 판단 결과, 오일 용기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제어부(300)는 차계부 작성부(400)로 오일 교체 정보의 기록을 요청하여, 차계부 작성부(400)는 오일 교체 정보를 기록한다(S104). 이때, 차계부 작성부(400)는 오일 교체 날짜, 주행거리, 오일 교체량, 다음 교체 주기 등의 정보를 기록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과정 S105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이 경과 한 후에도 오일 용기의 무게가 증가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0)는 오일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500)를 제어하여 해당 오일의 부족을 경고한다(S106).
그 후, 운전자로부터 차계부 검색 요청을 받으면(S107), 제어부(300)는 표시부(500)를 제어하여 해당 오일의 교체시기 알람 및 다음 교체주기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차계부 검색 요청은 AVN, 텔레매틱스 유닛 등의 화면을 통해 운전자가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가 정비센터 또는 홈페이지 등을 방문할 필요없이 차량 내에서 오일 및 필터 교체 주기 및 차량정비 목록을 열람하고 자동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 및 필터 교체 주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오일 부족 또는 필터 불량으로 인한 자동차 고장 또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 200 : 필터 교체 감지부
300 : 제어부 400 : 차계부 작성부
500 : 표시부

Claims (9)

  1. 액체부품의 교체를 감지하는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
    상기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액체부품의 교체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액체부품의 교체 정보를 저장하는 차계부 작성부
    를 포함하는 차계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의 교체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필터 교체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계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교체 정보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계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부품 교체 감지부는,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계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부품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가 제 1 시간 동안 일정수치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액체부품을 교체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계부 작성부를 제어하여 교체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계부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부품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가 제 1 시간 동안 일정수치 이상 감소한 경우, 제 2 시간 경과 후의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하는 경우 상기 액체부품을 교체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시간 경과 후의 상기 액체부품의 무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액체부품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계부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체정보는,
    교체날짜, 주행거리, 교체량, 다음 교체주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계부 시스템.
  8. 오일 용기의 무게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오일 용기의 무게의 변화가 제 1 시간 동안 일정 수치 이상 변화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정수치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오일의 교체 정보를 차계부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일정수치 이상 감소한 경우, 제 2 시간 경과 후 상기 오일 용기의 무게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간 경과 후 상기 오일 용기의 무게가 일정 수치 이상 증가한 경우 상기 오일의 교체 정보를 차계부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간 경과 후 상기 오일 용기의 무게가 일정 수치 이상 증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오일의 부족을 경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계부 구동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운전자가 요청한 경우, 상기 오일 교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계부 구동 방법.





KR1020120127560A 2012-11-12 2012-11-12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40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60A KR101405727B1 (ko) 2012-11-12 2012-11-12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560A KR101405727B1 (ko) 2012-11-12 2012-11-12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794A KR20140060794A (ko) 2014-05-21
KR101405727B1 true KR101405727B1 (ko) 2014-06-27

Family

ID=5088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560A KR101405727B1 (ko) 2012-11-12 2012-11-12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649A (ko) 2018-06-28 2020-01-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주행거리에 따른 소모품 교환시기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172A (ko) * 1995-12-27 1997-07-22 전성원 무게 감지형 자동차 연료 게이지 시스템
KR20100065734A (ko) * 2008-12-08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
KR20120079917A (ko) * 2011-01-06 2012-07-16 장의형 연료량 측정 시스템
KR20120094639A (ko) * 2011-02-17 2012-08-27 강재민 차량 관리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방법과 중고차 거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172A (ko) * 1995-12-27 1997-07-22 전성원 무게 감지형 자동차 연료 게이지 시스템
KR20100065734A (ko) * 2008-12-08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진단 커넥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진단하는 차량용 단말
KR20120079917A (ko) * 2011-01-06 2012-07-16 장의형 연료량 측정 시스템
KR20120094639A (ko) * 2011-02-17 2012-08-27 강재민 차량 관리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방법과 중고차 거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649A (ko) 2018-06-28 2020-01-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주행거리에 따른 소모품 교환시기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794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6947B2 (ja) 省燃費運転支援装置
CN106997203B (zh) 车辆自动化及操作者参与等级预测
US8290697B2 (en) Haptic apparatus and coaching method for improving vehicle fuel economy
US1113881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nd reporting electric vehicle range while towing
CN102463937B (zh) 维护车辆消耗品的系统和方法
CN107010040B (zh) 制动器性能减退和制动能力仪表
US8577605B2 (en) Vehicle feedback method and system
US20150073652A1 (en) Energy consumption optimization system
EP2320052A1 (en) Fuel saving driving diagnostic equipment, in-vehicle system, drive control apparatus, and fuel saving driving diagnostic program
CN104050777A (zh) 基于车辆行驶时间进行提醒的方法及装置
TWI644811B (zh) 燃料補給提醒系統及方法
US8903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n instantaneous fuel economy for a vehicle
CN109484101A (zh) 用于检测车辆悬架系统中的异常情况的系统和方法
CN110497762A (zh) 用于车辆悬架系统的方法和系统
US11126871B2 (en) Advanced warnings for drivers of vehicles for upcoming signs
KR100917442B1 (ko) 차량 멀티 주행기록 측정장치
KR101405727B1 (ko) 차계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WO2016098770A1 (ja) 車載システム、車載器、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30331222A1 (en) Vehicle surface impact detection
CN106813748A (zh) 一种汽车及时加油提醒装置
US6940401B2 (en) Customizable low fuel indicator system
JP6251704B2 (ja) 運行情報記録用車載器
JP4513976B2 (ja) 車両の点検整備時期警報装置
AU2020103519A4 (en) IFAC- Driver Less Vehicle: Driver Less Intelligent Fully Autonomous Controlled Vehicle
JP5200995B2 (ja) 燃費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