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473B1 -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473B1
KR101405473B1 KR1020110022571A KR20110022571A KR101405473B1 KR 101405473 B1 KR101405473 B1 KR 101405473B1 KR 1020110022571 A KR1020110022571 A KR 1020110022571A KR 20110022571 A KR20110022571 A KR 20110022571A KR 101405473 B1 KR101405473 B1 KR 101405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re
foam
pump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890A (ko
Inventor
이현만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47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사전에 폼이 적정량으로 토출되는지 토출량 테스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사전에 폼 토출량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화재발생시 문제없이 적정량의 폼이 토출되도록 하여 초기에 화재진압을 할 수 있게 되는데 테스트 이후 폼이 해상으로 흘러갈 경우 심각한 해상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폼의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폼을 사용하여 테스트할 경우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을 해결하고자, 내부의 공간으로 물이 수용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형 챔버와, 상기 사각형 챔버에 수용된 물을 적정량만큼 이송시키는 제 1 펌프와, 상기 제 1 펌프를 거쳐 이송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1 압력게이지와, 상기 제 1 펌프를 통해 조절된 물을 일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일방향체크밸브와, 내부에 방화수가 저장되어 있는 방화수저장탱크와, 상기 방화수저장탱크에 수용된 방화수를 적정량만큼 이송시키는 제 2 펌프와, 상기 제 2 펌프를 거쳐 이송된 방화수가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1 체크밸브와, 상기 제 1 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일방향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물과 상기 제 1 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를 혼합하여 섞는 믹싱기와, 상기 믹싱기를 통해 섞여진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2 압력게이지와, 상기 믹싱기를 거쳐 이송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2 체크밸브와, 상기 제 2 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로 구성되어, 선박에서 화재발생시 화재진압용 소화약제인 폼(foam)이 적정량으로 토출되는지 사전에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화재발생시 문제없이 화재진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폼(foam)을 대체하여 테스트에 사용되는 시료로 물을 사용하여 테스트함으로써, 폼(foam)이 해상으로 방출되어 해상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폼(foam)을 사용하여 테스트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Extinguishing fire foam discharge test system equipped with square type chamber}
본 발명은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에서 화재발생시 화재진압용 소화약제인 폼(foam)이 적정량으로 토출되어 실제 화재발생시 문제없이 화재진압이 가능한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폼(foam)을 대체하여 테스트에 사용되는 시료로 물을 사용하여 테스트함으로써 폼(foam)이 해상으로 방출되어 해상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폼(foam)을 사용하여 테스트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선박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져 큰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선박의 곳곳에 소화시스템을 마련해놓고 있다.
한편 화재의 종류를 보게 되면 A급화재, B급화재, C급화재, D급화재로 나누어지는데, A급화재는 연소 후 재를 남기는 화재로서 가장 일반적인 화재로 나무, 종이, 섬유 등의 가연물 화재가 이에 속하며, 보통 물을 함유한 용액으로 냉각, 질식 효과를 이용하여 소화를 한다. B급화재는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로서 유류, 가스 등의 가연성 액체나 기체 등의 화재를 말하며, 포말, 분말약제를 이용하여 주로 질식효과를 이용하여 소화를 한다. C급화재는 전기설비 등에서 발생하는화재로서 수변전 설비, 전선로(電線路)의 화재가 대표적이며,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CO2, 할론(Halon), 분말 등의 소화약제를 이용하여 질식, 냉각, 억제효과를 이용하여 소화를 한다. D급화재는 금속 또는 금속분에서 발생하는 화재로서 단체(單體)금속의 자연발화, 금속분에 의한 분진폭발 등의 화재가 이에 속하며, D급 화재는 높은 온도가 발생하여 냉각 시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소화작업이 어려우며, 주수(注水)소화는 물에 의해 발열하므로 적응성이 없으며 건조사, 건조 규조토 등으로 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기관실에 엔진이나 그 밖의 기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기기에 있어서 오일 등의 가연물이 취급되고 있는 관계로, 엔진이나 그 밖의 기기, 그 주위로부터 화재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종래의 선박은 기관실 내에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부위에 화재 발생의 유무를 화재 탐지 시스템으로 감시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 탐지 시스템으로부터 소화 지령 신호에 의해 국소 소화 시스템이 기동하고, 극소 구경 노즐로부터 물을 압력 분무하여 초기 소화에서의 확실한 진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한편 소화시스템에 있어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물질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물은 그 가격이 저렴하고 변질의 우려가 없고 인체에 무해하여 소화약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물은 비열(1kcal/kgㆍ℃)이 매우 커서 많은 열량을 흡수하며, 큰 증발잠열(539kcal/kg)로 인하여 기화시 다량의 열을 주위에서 빼앗아 가연물을 냉각시키며, 기화 팽창률 (1,650배)이 커서 수증기가 연소면을 덮어 질식소화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물만을 단독으로 소화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화재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물에 여러 가지 첨가제를 함유시킨 소화약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폼소화약제가 있으며, 이런 폼소화약제는 물에 약간의 첨가제를 혼합한 후 여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폼(foam)이 발생하도록 한 소화약제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폼은 유류보다 가벼운 미세한 기포의 집합체로 연소물의 표면을 덮어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질식 효과를 나타내며 함께 사용된 물에 의해 냉각 효과도 나타난다. 즉, 폼소화약제는 질식 효과와 냉각 효과에 의해 화재를 진압한다.
일반적으로 폼소화약제는 폼 수용액과 공기를 혼합하여 공기를 핵으로 하는 에어폼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폼소화약제는 폼이 유류의 표면을 덮어서 질식시키기 때문에 유류화재의 소화에 가장 효과적이고 또한 일반화재에도 사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물만으로는 소화 효과가 약하든지, 주수(注水)에 의하여 오히려 화재가 확대될 우려가 있는 가연성 액체의 소화에 유용하게 사용한다.
한편 이러한 폼소화약제는 선박에 설치되는 소화시스템에도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사전에 폼이 적정량으로 토출되는지 토출량 테스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사전에 폼 토출량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화재발생시 문제없이 적정량의 폼이 토출되도록 하여 초기에 화재진압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테스트 이후 폼이 해상으로 흘러갈 경우 심각한 해상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폼의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폼을 사용하여 테스트할 경우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전에 적정량의 폼이 토출되는지 토출량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폼을 대신하여 물 등의 무해한 액상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토출량 테스트를 행함으로써 테스트 이후 소화약제가 해상으로 흘러가더라도 해상오염을 시키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는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물이 수용되는 챔버는 상부에 투명하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덮개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챔버에 수용된 물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는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물의 비율과 폼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물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배출시킴으로써 화재발생시 소화능력은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초기진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동안 운용될 수 있는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내부의 공간으로 물이 수용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형 챔버와, 상기 사각형 챔버에 수용된 물을 적정량만큼 이송시키는 제 1 펌프와, 상기 제 1 펌프를 거쳐 이송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1 압력게이지와, 상기 제 1 펌프를 통해 조절된 물을 일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일방향체크밸브와, 내부에 방화수가 저장되어 있는 방화수저장탱크와, 상기 방화수저장탱크에 수용된 방화수를 적정량만큼 이송시키는 제 2 펌프와, 상기 제 2 펌프를 거쳐 이송된 방화수가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1 체크밸브와, 상기 제 1 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일방향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물과 상기 제 1 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를 혼합하여 섞는 믹싱기와, 상기 믹싱기를 통해 섞여진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2 압력게이지와, 상기 믹싱기를 거쳐 이송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2 체크밸브와, 상기 제 2 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각형 챔버는 윗면에서 봤을 때 사각 형상의 박스 형태를 갖고, 외부로부터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내부로 수용되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수용된 물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펌프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의 양을 유량계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유량계를 통해 확인된 방화수의 양에 따라 상기 제 1 펌프의 이송시키는 물의 양을 설정하여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펌프를 통해 이송된 물과 상기 제 2 펌프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의 비율이 3: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에 의하면, 선박에서 화재발생시 화재진압용 소화약제인 폼(foam)이 적정량으로 토출되는지 사전에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화재발생시 문제없이 화재진압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테스트를 실시함에 있어 폼(foam)을 대체하여 테스트에 사용되는 시료로 물을 사용하여 테스트함으로써, 폼(foam)이 해상으로 방출되어 해상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폼(foam)을 사용하여 테스트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폼(foam)이 토출되는 양을 측정하고 적절한 양을 설정함으로써 실제 화재발생시 초기진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동안 운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을 나타낸 계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사각형 챔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을 나타낸 계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은 크게,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사각형 챔버(100)와, 상기 사각형 챔버(100)에 수용된 물을 이송시키는 제 1 펌프(310)와, 상기 제 1 펌프(310)를 거쳐 이송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1 압력게이지(320)와, 상기 제 1 펌프(310)를 통해 조절된 물을 일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일방향체크밸브(330)와, 내부에 방화수가 저장되어 있는 방화수저장탱크(400)와, 상기 방화수저장탱크(400)에 수용된 방화수를 적정량만큼 이송시키는 제 2 펌프(510)와, 상기 제 2 펌프(510)를 거쳐 이송된 방화수가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1 체크밸브(520)와, 상기 제 1 체크밸브(520)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530)와, 상기 일방향체크밸브(330)를 통해 이송된 물과 상기 제 1 체크밸브(520)를 통해 이송된 물을 혼합하여 섞는 믹싱기(600)와, 상기 믹싱기(600)를 거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2 압력게이지(710)와, 상기 믹싱기(600)를 거쳐 이송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2 체크밸브(720)와, 상기 제 2 체크밸브(720)를 통해 이송된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800)로 구성된다.
도 2는 사각형 챔버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사각형 챔버(100)는 위에서 봤을 때 사각의 형상으로 사각박스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을 갖는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0)에 물이 수용된다. 상기 수용부(110)는 실제 화재발생시 물과 혼합되는 폼(foam)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테스트 상황에서는 폼(foam)을 대체하여 물이 수용되어 테스트가 실시된다.
상기 사각형 챔버(100)의 하부 일측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130)에 설치된 플랜지(131)를 통해 이송관(200)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기 사각형 챔버(100)의 외부에는 손잡이(140)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와이어(120)가 설치되어 상기 사각형 챔버(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형 챔버(100)의 수용부(110) 상부 내주연에는 걸림턱(11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11)에 덮개(150)가 안착 설치되며, 상기 덮개(150)에는 다수개의 구멍(151)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구멍(151)을 통해 유입되면서 상기 사각형 챔버(100)에 수용된 물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덮개(150) 상부에는 덮개(150)를 들어올리기 위한 덮개손잡이(15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150)는 수용부(110)에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하기 쉽게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수용부(110)에는 유량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사각형 챔버(100)는 가로 500mm, 세로 500mm, 높이 800mm를 갖는 박스형태로서 상기 특정된 크기는 화재발생시 폼이 토출될 경우 초기진화에 필요한 시간 동안 토출될 수 있는 양을 고려하여 제작된 것이다.
상기 제 1 펌프(310)는 상기 사각형 챔버(100)에 수용된 물을 일정량만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펌프(310)가 작동되면 수용된 물이 이송관(200)을 통해 상기 제 1 펌프(310)까지 전달된다.
상기 제 1 압력게이지(320)는 상기 제 1 펌프(310)의 후단의 이송관(200)에 설치되어 제 1 펌프(310)를 거쳐 이송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일방향체크밸브(330)는 상기 제 1 펌프(310)를 통해 전달된 물을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되며, 역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방화수저장탱크(400)는 방화수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형 챔버(100) 보다 비교적 방화수를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크게 형성한다.
상기 제 2 펌프(510)는 상기 방화수저장탱크(400)에 저장된 방화수를 일정량만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체크밸브(520)는 제 2 펌프(510)에서 이송관(200)을 거쳐 전달된 방화수를 제어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량계(530)는 제 1 체크밸브(520)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의 흐름을 감지하여 방화수의 양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유량계(530)의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방화수저장탱크(400)에서 이송되는 방화수의 양과 상기 사각형 챔버(100)에서 이송되는 물의 양을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 방화수저장탱크(400)에서 이송되는 방화수의 양과 사각형 챔버(100)에서 이송되는 물의 양을 100:3의 비율로 설정하며 상기 유량계(530)는 제 1 펌프(310)와 제 2 펌프(51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유량계(530)의 측정결과를 확인하여 정해진 비율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믹싱기(600)는 상기 사각형 챔버(100)에서 이송된 물과 방화수저장탱크(400)에서 이송된 방화수를 혼합하여 섞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실제 화재발생시 사각형 챔버(100)에 폼이 수용되어 사용될 경우 물과 폼을 혼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 2 압력게이지(710)는 상기 믹싱기(530)에서 혼합되어 이송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 2 체크밸브(720)는 상기 믹싱기(530)에서 혼합되어 이송관(200)을 거쳐 전달된 물을 제어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구(800)는 상기 제 2 체크밸브(720)를 통해 전달된 물을 최종적으로 토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체크밸브(720)와 토출구(800)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관(200)은 유연성있는 호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800)와 상기 이송관(200)은 선박의 각 구역별로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인근 구역의 화재진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폼 토출량 테스트를 실시할 경우에는 상기 사각형 챔버(100)에 폼 대신 물을 수용하고 테스트를 실시하여 사전에 적정량의 물이 토출되는지 토출량을 측정하여 적정량이 토출될 수 있도록 설정하며, 실제 화재발생시에는 상기에 적정량이 토출될 수 있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형 챔버(100)에 폼을 수용하고 물과 함께 혼합하여 에어폼으로 제조하여 화재진압에 사용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사전에 폼 토출량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화재발생시 적정량의 에어폼이 토출되어 화재진압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의 작용 상태를 보게 되면, 우선 사각형 챔버(100)에 물을 붓고 덮개(150)를 닫는다.
상기 제 1 펌프(310)를 작동시키면 이송관(200)을 통해 물이 제 1 펌프(310)를 거쳐 이송되며, 상기 이송된 물은 상기 제 1 압력게이지(320)를 통과하면서 압력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 1 펌프(310)를 거쳐 이송된 물은 일방향체크밸브(330)가 제어에 따라 상기 믹싱기(600)로 이송된다.
한편 방화수저장탱크(400)에 방화수를 붓고 제 2 펌프(510)를 작동시켜 상기 방화수저장탱크(510)에 수용된 방화수가 이송관(20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제 1 체크밸브(520)의 제어에 따라 방화수가 이송되고 이송된 방화수는 상기 유량계(530)를 거치게 되면서 방화수의 양을 측정하며 방화수는 상기 믹싱기(600)로 이송된다.
상기 사각형 챔버(100)에서 이송된 물과 방화수저장탱크(400)에서 이송된 방화수가 믹싱기(600)에 모인 상태에서 혼합된다. 상기 혼합된 물은 이송관(200)에 설치된 제 2 압력게이지(710)를 거치게 되면서 혼합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혼합된 물은 제 2 체크밸브(720)의 제어에 따라 이송되며 상기 제 2 체크밸브(720)를 거쳐 최종적으로 토출구(800)를 통해 물이 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사각형 챔버 110: 수용부
111: 걸림턱 120: 와이어
130: 배출구 131: 플랜지
140: 손잡이 150: 덮개
151: 구멍 152: 덮개손잡이
200: 이송관 310: 제 1 펌프
320: 제 1 압력게이지 330: 일방향체크밸브
400: 방화수저장탱크 510: 제 2 펌프
520: 제 1 체크밸브 530: 유량계
600: 믹싱기 710: 제 2 압력게이지
720: 제 2 체크밸브 800: 토출구

Claims (4)

  1. 내부의 공간으로 물이 수용되고 하부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형 챔버와;
    상기 사각형 챔버에 수용된 물을 적정량만큼 이송시키는 제 1 펌프와;
    상기 제 1 펌프를 거쳐 이송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1 압력게이지와;
    상기 제 1 펌프를 통해 조절된 물을 일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일방향체크밸브와;
    내부에 방화수가 저장되어 있는 방화수저장탱크와;
    상기 방화수저장탱크에 수용된 방화수를 적정량만큼 이송시키는 제 2 펌프와;
    상기 제 2 펌프를 거쳐 이송된 방화수가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1 체크밸브와;
    상기 제 1 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일방향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물과 상기 제 1 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방화수를 혼합하여 섞는 믹싱기와;
    상기 믹싱기를 통해 섞여진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 2 압력게이지와;
    상기 믹싱기를 거쳐 이송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 2 체크밸브와;
    상기 제 2 체크밸브를 통해 이송된 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챔버는 윗면에서 봤을 때 사각 형상의 박스 형태를 갖고, 외부로부터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내부로 수용되는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수용된 물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펌프를 통해 이송된 물의 양을 유량계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유량계를 통해 확인된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제 1 펌프의 이송시키는 물의 양을 설정하여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펌프를 통해 이송된 물과 상기 제 2 펌프를 통해 이송된 물의 비율이 3: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KR1020110022571A 2011-03-14 2011-03-14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KR101405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571A KR101405473B1 (ko) 2011-03-14 2011-03-14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571A KR101405473B1 (ko) 2011-03-14 2011-03-14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890A KR20120104890A (ko) 2012-09-24
KR101405473B1 true KR101405473B1 (ko) 2014-06-11

Family

ID=4711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571A KR101405473B1 (ko) 2011-03-14 2011-03-14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689B1 (ko) 2015-11-06 2017-01-20 최정혁 스프링클러 작동확인 장치
WO2018118789A1 (en) * 2016-12-20 2018-06-28 Rusoh, Inc. Lid and trolley system for use with fire test pa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678B1 (ko) 2015-08-18 2017-01-20 최정혁 스프링클러 작동검사 장치
KR102200119B1 (ko) * 2020-07-15 2021-01-08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압축 공기포 시스템
KR102200123B1 (ko) * 2020-07-15 2021-01-08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폼 분사 노즐이 구비된 압축 공기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681A (ja) 2006-10-05 2008-04-17 Fukada Kogyo Kk 泡放出試験装置及び泡放出試験方法
JP2008301942A (ja) 2007-06-06 2008-12-18 Yamato Protec Co 泡消火薬剤混合装置の点検装置
JP2010069198A (ja) 2008-09-22 2010-04-02 Nippon Dry Chem Co Ltd 泡消火薬剤混合システム
JP2011206234A (ja) 2010-03-30 2011-10-20 Nohmi Bosai Ltd 泡消火設備の点検装置および点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681A (ja) 2006-10-05 2008-04-17 Fukada Kogyo Kk 泡放出試験装置及び泡放出試験方法
JP2008301942A (ja) 2007-06-06 2008-12-18 Yamato Protec Co 泡消火薬剤混合装置の点検装置
JP2010069198A (ja) 2008-09-22 2010-04-02 Nippon Dry Chem Co Ltd 泡消火薬剤混合システム
JP2011206234A (ja) 2010-03-30 2011-10-20 Nohmi Bosai Ltd 泡消火設備の点検装置および点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689B1 (ko) 2015-11-06 2017-01-20 최정혁 스프링클러 작동확인 장치
WO2018118789A1 (en) * 2016-12-20 2018-06-28 Rusoh, Inc. Lid and trolley system for use with fire test pan
US10974086B2 (en) 2016-12-20 2021-04-13 Rusoh, Inc. Lid and trolley system for use with fire test p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890A (ko) 201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473B1 (ko) 사각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ES2684329T3 (es) Central de control y procedimiento para la activación de dos dispositivos suministradores de agente extintor
RU2595990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ой систем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1439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ашения огня
US8955609B2 (en) Storage tank fire supression system
AU20032795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tinguishing fires in liquid fuel storage tanks
KR101394568B1 (ko) 원형 챔버가 구비된 화재진압용 폼 토출량 테스트 시스템
KR101373131B1 (ko)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JP5429648B2 (ja) 内部浮き蓋付固定屋根タンク及び浮き屋根式タンクの消火及び防火設備
CN101229417B (zh) 一种强力自动灭火装置
US20190308044A1 (en) Potassium salt fire suppression solution with vermiculite
KR101234590B1 (ko) 선박의 식용유 튀김조리기 친환경 화재 진압장치
US9027661B2 (en) Foam chamber having a closable testing outlet
JP2006075644A (ja) 消火設備
CN209378353U (zh) 一种改进的背带式两用灭火器
US7155347B2 (en) Pre-iner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large volume contained flammable fuels from exploding
JP2007014583A (ja) 油タンク消火設備
CN209019843U (zh) 具有自动喷淋灭火装置的活性炭吸附设备
CN216456632U (zh) 一种集装箱式储能系统消防装置
JP2004154448A (ja) 自動消火装置
KR20140006249A (ko)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JP2003310788A (ja) 火災消火訓練装置
WO2013034046A1 (en) Self extinguishing room for extinguishing oil and gas wells
JP6470553B2 (ja) 引火性又は可燃性液体貯蔵タンクの防火・消火設備及び防火・消火方法
US20100116513A1 (en) Storage tank fire suppre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