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205B1 -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205B1
KR101405205B1 KR1020120119955A KR20120119955A KR101405205B1 KR 101405205 B1 KR101405205 B1 KR 101405205B1 KR 1020120119955 A KR1020120119955 A KR 1020120119955A KR 20120119955 A KR20120119955 A KR 20120119955A KR 101405205 B1 KR101405205 B1 KR 10140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slide groove
pad
protrusion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703A (ko
Inventor
황세라
이중희
최재일
김성호
김용필
심재훈
정영석
가타기리 마사요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2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가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는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내측 및 외측 디스크 패드와, 내외측 디스크 패드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며, 내외측 디스크 패드의 양측에는 캐리어의 양 내측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캐리어의 양 내측부에 돌출부를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 디스크 패드의 제1 돌출부와 그 돌출부가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 사이에 제1 갭이 형성되고, 제1 갭은 제1 돌출부와 제1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보다 크며, 외측 디스크 패드의 제2 돌출부와 그 돌출부가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 사이에 제2 갭이 형성되고, 제2 갭은 제2 돌출부와 제2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보다 크며, 제1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에 제1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1 패드 스프링이 설치되고, 제2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에 제2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2 패드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DISC BRAKE FOR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의 제동 토크 지지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의 양면에 디스크패드를 강제 압착시켜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 마찰력을 통해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을 제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와, 내측 및 외측 디스크패드가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와, 내측 및 외측 디스크패드를 작동시키기 위해 캐리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캘리퍼 하우징을 포함한다.
캐리어는 차체의 너클에 고정 설치된다. 캐리어의 양 측부에는 캘리퍼 하우징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로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캐리어의 양 내측부에는 내측 및 외측 디스크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드홈이 구비된다. 각 슬라이드홈에는 내측 및 외측 디스크패드의 돌출부가 결합된다.
캘리퍼 하우징은 내측 디스크패드를 작동시키는 피스톤이 설치되는 실린더와, 외측 디스크패드를 작동시키는 핑거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가이드로드에 의해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리어의 슬라이드홈과 내측 및 외측 디스크패드의 사이에는 내측 및 외측 디스크패드의 미끄럼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패드 스프링이 개재된다. 패드 스프링은 절곡된 하단부가 내측 및 외측 디스크패드의 하부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동작을 살펴보면, 마스터 실린더에서 형성된 제동유압이 캘리퍼 하우징의 실린더로 전달되면, 피스톤이 내측 디스크패드를 디스크 쪽으로 가압한다. 내측 디스크패드가 디스크의 일측면에 밀착되면 피스톤의 전진에 의한 반력에 의해 캘리퍼 하우징이 피스톤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면서 핑거부가 외측 디스크패드를 당겨 외측 디스크패드가 디스크에 밀착되면서 제동력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크 브레이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02584호에 개시된 바 있는데, 종래 기술에서 캐리어는 양 내측부에 대해 내측 디스크 패드의 풀(pull) 모드, 외측 디스크 패드의 푸시-풀(push-pull) 모드를 이용하여 제동 시 디스크 패드에서 발생되는 제동 토크를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캐리어의 지지 모드의 선택은 보통 브레이크 패드와 캐리어의 형상의 의해 결정되는 바, 내외측 디스크 패드의 양측부가 결합되는 캐리어의 좌우 형상을 다르게 가공하여 제동 토크의 지지 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드 스프링의 형상을 통해 디스크 패드와 캐리어의 갭을 조정하여 제동 토크를 내측 디스크 패드의 풀(pull) 모드 및 외측 디스크 패드의 푸시(push) 모드만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는,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내측 및 외측 디스크 패드와, 상기 내외측 디스크 패드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내외측 디스크 패드의 양측에는 캐리어의 양 내측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의 양 내측부에 돌출부를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디스크 패드의 제1 돌출부와 그 돌출부가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 사이에 제1 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갭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제1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보다 크며, 상기 외측 디스크 패드의 제2 돌출부와 그 돌출부가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 사이에 제2 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갭은 상기 제2 돌출부와 제2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보다 크며,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에 상기 제1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1 패드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에 상기 제2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2 패드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1 갭은 상기 제1 돌출부의 안쪽 면과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스프링은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바깥쪽 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연장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상측면과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에 연장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4 지지부가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게 연장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2 갭은 상기 제2 돌출부의 바깥쪽 면과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 스프링은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과 이격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바깥쪽 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연장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상측면과 제2 슬라이드 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에 연장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제2 및 제3 지지부에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을 지지하고 그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게 접혀지며 상기 제2 돌출부의 안쪽 면을 지지하는 제4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5 지지부가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게 연장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측 디스크 패드에서 발생하는 제동 토크를 제1 패드 스프링과 제1 갭에 의해 내측 디스크 패드의 풀(pull) 모드만으로 제동 토크를 지지할 수 있고, 외측 디스크 패드에서 발생하는 제동 토크를 제2 패드 스프링 및 제2 갭에 의해 외측 디스크 패드의 푸시(push) 모드만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동 토크 지지 구조를 변경하여 제동 토크의 분산을 통한 캐리어의 중량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외측 디스크 패드의 경우 풀(pull) 모드만으로 제동 토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푸시(push) 모드 구현을 위한 수단의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동 토크를 내측 디스크 패드의 풀(pull) 모드 및 외측 디스크 패드의 푸시(push) 모드만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의 금형을 일원화 할 수 있고, 외측 디스크 패드의 푸시 모드 구현을 위한 수단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의 두께 축소를 통한 디스크 사이즈의 증대로 제동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캐리어와 디스크패드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제1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제2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캐리어와 디스크패드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100)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의 양측면에 마찰 패드를 압착한 후 마찰을 일으켜 제동력을 얻는 차량용 제동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100)는 기본적으로,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디스크의 내외측면에 각각 압착되는 내측 디스크 패드(10) 및 외측 디스크 패드(20)가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30)와, 내외측 디스크 패드(10, 20)를 작동시키기 위해 캐리어(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캘리퍼 하우징(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캘리퍼 하우징과 캐리어(30)의 결합 구조 및 내외측 디스크 패드(10, 20)의 진퇴 작동수단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채용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외측 디스크 패드(10, 20)의 양측에는 캐리어(30)의 양 내측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1, 21)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내측 디스크 패드(10)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1)를 제1 돌출부(11)라고 하며, 외측 디스크 패드(10)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21)를 제2 돌출부(21)라고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기준할 때, 제1 및 제2 돌출부(11, 21)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면을 바깥쪽 면으로 정의할 수 있고, 내측 디스크 패드(10)의 마찰 부위 측을 향하는 면을 안쪽 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30)의 양 내측부에는 내외측 디스크 패드(10, 20)의 제1 및 제2 돌출부(11, 21)가 결합되며 이들 돌출부(11, 21)를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 홈(31, 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내측 디스크 패드(10)의 제1 돌출부(11)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31)을 제1 슬라이드 홈(31)이라고 하며, 외측 디스크 패드(20)의 제2 돌출부(21)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32)을 제2 슬라이드 홈(32)이라고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기준할 때, 제1 및 제2 슬라이드 홈(31, 32)에 있어 제1 및 제2 돌출부(11, 21)의 바깥쪽 면에 대응하는 면을 바깥쪽 면으로 정의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돌출부(11, 21)의 안쪽 면에 대응하는 면을 안쪽 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100)는 제동 토크를 내측 디스크 패드의 풀(pull) 모드 및 외측 디스크 패드의 푸시(push) 모드만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캐리어의 금형을 일원화 할 수 있고, 캐리어의 두께 축소로 디스크의 사이즈를 증대하여 제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100)의 구성은 내측 디스크 패드(10)의 제1 돌출부(11)와 그 돌출부(11)가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홈(31)의 안쪽 면 사이에 제1 갭(G1)이 형성되고, 외측 디스크 패드(20)의 제2 돌출부(21)와 그 돌출부(21)가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홈(32)의 바깥쪽 면 사이에 제2 갭(G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갭(G1)은 제1 돌출부(11)의 안쪽 면과 제1 슬라이드 홈(31)의 안쪽 면 사이에 형성되며, 제2 갭(G2)은 제2 돌출부(21)의 바깥쪽 면과 제2 슬라이드 홈(32)의 바깥쪽 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슬라이드 홈(31)의 바깥쪽 면에 제1 돌출부(11)를 지지하는 제1 패드 스프링(50)이 설치되고, 제2 슬라이드 홈(32)의 안쪽 면에 제2 돌출부(21)를 지지하는 제2 패드 스프링(70)이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제1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패드 스프링(50)은 내측 디스크 패드(10)의 제1 돌출부(11)와 캐리어(30)의 제1 슬라이드 홈(31) 사이에서 제1 슬라이드 홈(31)에 대한 제1 돌출부(11)의 미끄럼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패드 스프링(50)은 캐리어(30)의 제1 슬라이드 홈(31)에 각각 설치되는 패드(판재) 타입의 스프링으로서 제1 돌출부(11)와 제1 슬라이드 홈(31) 간의 습동 저항을 감소시키고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패드 스프링(50)은 제1 슬라이드 홈(31)의 바깥쪽 면에 접촉되며 제1 돌출부(11)의 바깥쪽 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51)와, 제1 지지부(51)의 상단에 연장되며 제1 돌출부(11)의 상측 면과 제1 슬라이드 홈(31)의 상측 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52)와, 제1 지지부(51)의 하단에 연장되며 제1 슬라이드 홈(31)의 하측 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5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패드 스프링(50)의 제3 지지부(53)에는 제1 돌출부(11)의 하측 면을 지지하는 제4 지지부(54)가 제3 지지부(53)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제4 지지부(54)는 제1 돌출부(11)의 하측 면을 지지하며 래틀 노이즈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제2 패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패드 스프링(70)은 외측 디스크 패드(20)의 제2 돌출부(21)와 캐리어(30)의 제2 슬라이드 홈(32) 사이에서 제2 슬라이드 홈(32)에 대한 제2 돌출부(21)의 미끄럼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2 패드 스프링(70)은 캐리어(30)의 제2 슬라이드 홈(32)에 각각 설치되는 패드(판재) 타입의 스프링으로서 제2 돌출부(21)와 제2 슬라이드 홈(32) 간의 습동 저항을 감소시키고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2 패드 스프링(70)은 제2 슬라이드 홈(32)의 바깥쪽 면과 이격되며 제2 돌출부(21)의 바깥쪽 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71)와, 제1 지지부(71)의 상단에 연장되며 제2 돌출부(21)의 상측 면과 제2 슬라이드 홈(32)의 상측 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72)와, 제1 지지부(71)의 하단에 연장되며 제2 슬라이드 홈(32)의 하측 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73)와, 제2 및 제3 지지부(72, 73)에 각각 연장되며 제2 슬라이드 홈(32)의 안쪽 면을 지지하고 그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게 접혀지며 제2 돌출부(21)의 안쪽 면을 지지하는 제4 지지부(7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패드 스프링(70)의 제3 지지부(73)에는 제2 돌출부(21)의 하측 면을 지지하는 제5 지지부(75)가 제3 지지부(73)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5 지지부(75)는 제2 돌출부(21)의 하측 면을 지지하며 래틀 노이즈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100)에 의하면, 디스크가 휠의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측 디스크 패드(10)는 제1 돌출부(11), 캐리어(30)의 제1 슬라이드 홈(31) 및 제1 패드 스프링(50)이 모두 접촉하여 제동 토크를 푸시(push) 모드로 지지하며, 디스크가 휠의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측 디스크 패드(10)는 제1 돌출부(11)의 안쪽 면과 제1 슬라이드 홈(31)의 안쪽 면 사이의 제1 갭(G1)으로 인해 풀(pull) 모드가 발생하지 않고 푸시(push)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크가 휠의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측 디스크 패드(20)는 제2 돌출부(21), 캐리어(30)의 제1 슬라이드 홈(31) 및 제2 패드 스프링(70)이 모두 접촉하여 제동 토크를 풀(pull) 모드로 지지하며, 디스크가 휠의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돌출부(21)의 바깥쪽 면과 제2 슬라이드 홈(32)의 바깥쪽 면 사이의 제2 갭(G2)으로 인해 푸시(push) 모드가 발생하지 않고 풀(pull) 모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측 디스크 패드(10)에서 발생하는 제동 토크를 제1 패드 스프링(50)과 제1 갭(G1)에 의해 내측 디스크 패드(10)의 풀(pull) 모드만으로 제동 토크를 지지할 수 있고, 외측 디스크 패드(20)에서 발생하는 제동 토크를 제2 패드 스프링(70) 및 제2 갭(G2)에 의해 외측 디스크 패드(10)의 푸시(push) 모드만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동 토크 지지 구조를 변경하여 제동 토크의 분산을 통한 캐리어(30)의 중량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외측 디스크 패드(20)의 경우 풀(pull) 모드만으로 제동 토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푸시(push) 모드 구현을 위한 수단의 삭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동 토크를 내측 디스크 패드(10)의 풀(pull) 모드 및 외측 디스크 패드(20)의 푸시(push) 모드만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의 금형을 일원화 할 수 있고, 외측 디스크 패드(20)의 푸시 모드 구현을 위한 수단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30)의 두께 축소를 통한 디스크 사이즈의 증대로 제동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내측 디스크 패드 11... 제1 돌출부
20... 외측 디스크 패드 21... 제2 돌출부
30... 캐리어 31... 제1 슬라이드 홈
32... 제2 슬라이드 홈 50... 제1 패드 스프링
51, 71... 제1 지지부 52, 72... 제2 지지부
53, 73... 제3 지지부 54, 74... 제4 지지부
70... 제2 패드 스프링 75... 제5 지지부
G1... 제1 갭 G2... 제2 갭

Claims (9)

  1.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배치되는 내측 및 외측 디스크 패드와, 상기 내외측 디스크 패드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내외측 디스크 패드의 양측에는 캐리어의 양 내측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의 양 내측부에 돌출부를 가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내측 디스크 패드의 제1 돌출부와 그 돌출부가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 사이에 제1 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갭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제1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보다 크며,
    상기 외측 디스크 패드의 제2 돌출부와 그 돌출부가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 사이에 제2 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갭은 상기 제2 돌출부와 제2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보다 크며,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에 상기 제1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1 패드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에 상기 제2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2 패드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갭은 상기 제1 돌출부의 안쪽 면과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스프링은,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바깥쪽 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연장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상측면과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에 연장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홈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4 지지부가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갭은 상기 제2 돌출부의 바깥쪽 면과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 스프링은,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바깥쪽 면과 이격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바깥쪽 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연장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상측면과 제2 슬라이드 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에 연장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제2 및 제3 지지부에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홈의 안쪽 면을 지지하고 그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게 접혀지며 상기 제2 돌출부의 안쪽 면을 지지하는 제4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5 지지부가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9. 삭제
KR1020120119955A 2012-10-26 2012-10-26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1405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55A KR101405205B1 (ko) 2012-10-26 2012-10-26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55A KR101405205B1 (ko) 2012-10-26 2012-10-26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703A KR20140053703A (ko) 2014-05-08
KR101405205B1 true KR101405205B1 (ko) 2014-06-10

Family

ID=5088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955A KR101405205B1 (ko) 2012-10-26 2012-10-26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0966B2 (en) 2015-04-02 2017-12-26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reducing rattle noise of brake calip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995B1 (ko) * 2016-06-10 2023-05-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
CN110966320B (zh) * 2018-09-30 2021-07-2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制动器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945U (ja) * 1993-02-12 1994-09-09 豊生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パッド付勢用板ばね
KR20060013051A (ko) * 2004-08-05 2006-02-0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캘리퍼 브레이크
JP2007010072A (ja) * 2005-07-01 2007-01-18 Akebono Brake Ind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キャリパ型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10125281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945U (ja) * 1993-02-12 1994-09-09 豊生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パッド付勢用板ばね
KR20060013051A (ko) * 2004-08-05 2006-02-0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캘리퍼 브레이크
JP2007010072A (ja) * 2005-07-01 2007-01-18 Akebono Brake Ind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キャリパ型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10125281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0966B2 (en) 2015-04-02 2017-12-26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reducing rattle noise of brake cali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703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1874B2 (en) Disk brake
US9347508B2 (en) Electronic disc brake
US9175738B2 (en) Disc brake
KR20140067202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405205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010547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03081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4006720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30003932A (ko) 스프링 패드
KR101405201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1892929B1 (ko) 캘리퍼 브레이크
KR20130095449A (ko) 스프링 패드
KR20130052901A (ko)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 리턴 장치
KR101971529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389985Y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7100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30084031A (ko)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JP614927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958797B1 (ko) 패드 스프링
KR101316170B1 (ko)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용 브레이크패드 커버심
KR20090043187A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20180060338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659593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230138982A (ko)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하는 캘리퍼 브레이크
KR20160141435A (ko)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