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623B1 -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 Google Patents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623B1
KR101404623B1 KR1020130050762A KR20130050762A KR101404623B1 KR 101404623 B1 KR101404623 B1 KR 101404623B1 KR 1020130050762 A KR1020130050762 A KR 1020130050762A KR 20130050762 A KR20130050762 A KR 20130050762A KR 101404623 B1 KR101404623 B1 KR 10140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web
girder
small
upp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일수
Original Assignee
채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일수 filed Critical 채일수
Priority to KR102013005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0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 E04B1/58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I - or H -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구조에서 기둥에 접합되는 큰 보에 작은 보를 접합하기 위한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는 양 단부가 기둥에 결합되는 것으로 웨브 및 상기 웨브 상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플랜지로 구성되는 큰 보와 상기 큰 보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웨브 및 상기 웨브 상하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로 구성되는 작은 보의 접합부에 관한 것으로, 작은 보의 춤은 큰 보 웨브의 높이보다 작고, 작은 보의 웨브 단부가 큰 보의 웨브 측면에 결합되어 큰 보 상부 플랜지가 작은 보 상부 플랜지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매립되도록 하며, 큰 보의 상부 플랜지와 작은 보의 상부 플랜지 사이에는 상부 끼움판이 삽입되어 큰 보의 상부 플랜지와 작은 보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큰 보와 작은 보의 플랜지 사이에 끼움판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큰 보와 작은 보를 강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보 중앙부의 정모멘트 크기를 줄여 작은 보의 춤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큰 보의 상면이 작은 보보다 위에 설치되므로, 큰 보의 하부 플랜지가 돌출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층고 손실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Joint of Girder and Beam}
본 발명은 철골구조에서 기둥에 접합되는 큰 보에 작은 보를 접합하기 위한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으로 큰 보에 작은 보를 강접합하여 작은 보의 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층고 절감이 가능한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에 대한 것이다.
최근 초고층, 장스팬 건축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초고층 빌딩뿐만 아니라 아파트, 공장, 학교 등에 이르기까지 철골구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철골구조는 건물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내부구조의 가변성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공장 제작에 의한 품질 확보 등의 이점이 있는 반면, 볼트 또는 용접 등에 따른 접합부의 결함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철골구조물에서 보는 주로 큰 보나 기둥에 단순접합 또는 강접합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은 단순접합, 강접합 또는 반강접합 중에서 선택된다. 그러나 대부분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은 시공성 등의 이유로 단순접합으로 설계되고 있다.
단순접합은 주로 H 형강의 웨브만 볼트 등으로 체결시키고 플랜지는 연결시키지 않아 보의 회전을 허용한 접합 형태로, 전단접합(Shear Connection) 또는 핀접합(Pin Connection)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강접합(Rigid Connection)은 H 형강의 웨브뿐만 아니라 플랜지도 볼트 또는 용접으로 강하게 연결시켜 보의 회전을 구속시킨 접합 형식으로, 모멘트 접합(Moment Connection)이라고도 한다. 이 경우, H 형강 보는 휨모멘트에 대해서는 주로 플랜지가 저항하고, 전단력에 대해서는 주로 웨브가 저항한다.
도 1은 종래 단순접합에 의하여 결합된 큰 보(2)와 작은 보(3)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즉, 도 1에서는 큰 보(2)와 작은 보(3)의 웨브만 접합 스티프너(4)에 의하여 볼트 접합되고 플랜지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작은 보(3)의 단부에서 큰 보(2)에 작은 보(3)가 핀 접합되므로, 강접합에 비하여 작은 보(3)의 중앙부 정모멘트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작은 보(3)의 춤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큰 보(2)와 작은 보(3)의 상부 레벨이 동일하기 때문에, 큰 보(2)의 하부 플랜지가 하부로 돌출되어 층고 부분에서 손실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은 보를 큰 보에 간단한 시공 방법으로 강접합하므로, 작은 보 중앙부의 정모멘트 크기를 줄여 작은 보의 춤을 줄일 수 있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큰 보의 상면이 작은 보보다 위에 설치되므로 층고를 절감할 수 있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큰 보의 상부 플랜지가 작은 보의 상부 플랜지보다 위로 돌출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매립되므로, 큰 보의 상부 플랜지가 전단연결재 역할을 겸할 수 있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양 단부가 기둥에 결합되는 것으로 웨브 및 상기 웨브 상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플랜지로 구성되는 큰 보와 상기 큰 보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웨브 및 상기 웨브 상하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로 구성되는 작은 보의 접합부에 관한 것으로, 작은 보의 춤은 큰 보 웨브의 높이보다 작고, 작은 보의 웨브 단부가 큰 보의 웨브 측면에 결합되어 큰 보 상부 플랜지가 작은 보 상부 플랜지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매립되도록 하며, 큰 보의 상부 플랜지와 작은 보의 상부 플랜지 사이에는 상부 끼움판이 삽입되어 큰 보의 상부 플랜지와 작은 보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큰 보의 하부 플랜지와 작은 보의 하부 플랜지 사이에는 하부 끼움판이 삽입되어 큰 보의 하부 플랜지와 작은 보의 하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끼움판은 ㄱ 형강으로 일측 다리부가 큰 보와 작은 보의 상부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는 큰 보의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전단연결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 끼움판 및 하부 끼움판은 큰 보와 작은 보의 플랜지와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 끼움판을 큰 보와 작은 보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볼트는 볼트 몸체의 단부가 큰 보의 상부 플랜지 상부로 돌출되어 전단연결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큰 보와 작은 보의 플랜지 사이에 끼움판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큰 보와 작은 보를 강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보 중앙부의 정모멘트 크기를 줄여 작은 보의 춤을 줄일 수 있다.
둘째, 큰 보의 상면이 작은 보보다 위에 설치되므로, 큰 보의 하부 플랜지가 돌출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층고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셋째, 큰 보의 상부 플랜지가 작은 보의 상부 플랜지보다 위로 돌출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매립되므로, 큰 보의 상부 플랜지가 전단연결재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전단연결재가 불필요하다.
넷째, 큰 보와 작은 보의 춤 차이가 크지 않아 큰 보 상부 플랜지의 돌출 길이가 작은 경우에는 상부 끼움판을 ㄱ 형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ㄱ 형강의 다리부가 콘크리트 슬래브 내부로 돌출 매립되기 때문에,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상부 플랜지와 상부 끼움판을 볼트와 너트로 결합할 경우, 너트를 상부에 배치하여 볼트 몸체 단부가 상부 플랜지 상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단접합에 의하여 결합된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에 의하여 접합된 철골 골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의 시공 단계별 순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접합부에 의하여 접합된 철골 골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접합부의 시공 단계별 순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단부가 기둥(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웨브(21) 및 상기 웨브(21) 상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플랜지(221, 222)로 구성되는 큰 보(20)와 상기 큰 보(2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웨브(31) 및 상기 웨브(31) 상하부에 결합되는 플랜지(321, 322)로 구성되는 작은 보(30)의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웨브와 상하 플랜지로 구성되는 H 형강의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접합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은 보(30)의 춤은 큰 보(20) 웨브(21)의 높이보다 작고, 작은 보(30)의 웨브(31) 단부가 큰 보(20)의 웨브(21) 측면에 결합되어 큰 보(20) 상부 플랜지(221)가 작은 보(30) 상부 플랜지(321)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콘크리트 슬래브(S) 내에 매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 사이에는 상부 끼움판(40)이 삽입되어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큰 보(20)의 하부 플랜지(222)와 작은 보(30)의 하부 플랜지(322) 사이에 하부 끼움판(50)이 삽입되어, 큰 보(20)의 하부 플랜지(222)와 작은 보(30)의 하부 플랜지(32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콘크리트 슬래브(S) 내에 매립되도록 하기 때문에, 그만큼 큰 보(20)의 하부 플랜지(222)가 하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큰 보(20)의 하부 플랜지(222)로 인한 층고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실내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S) 내에 매립되는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는 전단연결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전단연결재의 시공이 불필요하다.
상기 상부 끼움판(40)과 하부 끼움판(50)은 큰 보(20)의 상하부 플랜지(221, 222)와 작은 보(30)의 상하부 플랜지(321, 322)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두께는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플랜지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끼움판(40)과 하부 끼움판(50)에 의하여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상하부 플랜지가 각각 접합되기 때문에,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강접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순접합에 비하여 작은 보(30) 중앙부의 정모멘트 크기를 줄일 수 있
으므로, 작은 보(30)의 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강재량 절약으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고, 철골 자중을 감소시켜 구조물 자체의 하중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접합부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3에서와 같이, 앵글 플레이트(60)를 이용하여 작은 보(30)의 웨브(31)를 큰 보(20)의 웨브(21)에 볼트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작은 보(30)와 큰 보(20)의 웨브(21)에는 미리 볼트 결합공을 천공하여 둘 수 있다.
물론, 큰 보(20)의 웨브(21)와 작은 보(30)의 웨브(31)는 볼트 접합뿐만 아니라, 용접 접합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에서와 같이,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 사이의 공간에 상부 끼움판(40)을 삽입한다. 그리고 큰 보(20)의 하부 플랜지(222)와 작은 보(30)의 하부 플랜지(322) 사이에도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는 경우, 이 공간에도 하부 끼움판(50)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 상부 끼움판(40),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를 서로 결합한다. 도 5에서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 상부 끼움판(40),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는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B) 및 너트(N)에 의하여 볼트 결합되었으나, 용접 결합도 가능하다.
상기 큰 보(20)의 하부 플랜지(222)와 작은 보(30)의 하부 플랜지(322) 사이에 하부 끼움판(50)을 삽입한 경우에는 이들도 서로 볼트 결합한다.
이들의 볼트 결합을 위하여, 상기 작은 보(30)의 상하부 플랜지(321, 322), 상하부 끼움판(40, 50), 큰 보(20)의 상하부 플랜지(221, 222)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미리 볼트 결합공을 천공하여 둘 수 있다. 도 5에서 상부 끼움판(40)은 작은 보(30)의 웨브(31)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2개소 볼트 결합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접합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끼움판(40)은 ㄱ 형강(41)으로 일측 다리부(411)가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412)는 큰 보(20)의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전단연결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춤 차이가 크지 않아 큰 보(20) 상부 플랜지(221)의 돌출 길이가 작은 경우에는 상부 끼움판(40)을 ㄱ 형강(41)으로 할 수 있다. 즉, ㄱ 형강(41)의 다리부가 콘크리트 슬래브(S) 내부로 돌출 매립되기 때문에,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 사이에 위치한 ㄱ 형강(41)의 일측 다리부(411)는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와 볼트 결합되었다.
도 7 및 도 9는 본 발명의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접합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상부 끼움판(40)으로 플레이트를 사용하였고, 도 9는 상부 끼움판(40)으로 ㄱ 형강을 사용하였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끼움판(40) 및 하부 끼움판(50)은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플랜지와 볼트(B) 및 너트(N)로 결합되었다.
상기 상부 끼움판(40)을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에 결합하는 볼트(B)는 볼트 몸체의 단부가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 상부로 돌출되어 전단연결재 역할을 할 수 있다.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접합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7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S)를 형성한다.
2: 큰 보 3: 작은 보
4: 접합 스티프너 10: 기둥
20: 큰 보 21: 웨브
221: 상부 플랜지 222: 하부 플랜지
30: 작은 보 31: 웨브
321: 상부 플랜지 322: 하부 플랜지
40: 상부 끼움판 41: ㄱ 형강
411: 일측 다리부 412: 타측 다리부
50: 하부 끼움판 60: 앵글 플레이트
70: 데크 플레이트 S: 콘크리트 슬래브
B: 볼트 N: 너트

Claims (5)

  1. 양 단부가 기둥(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웨브(21) 및 상기 웨브(21) 상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플랜지(221, 222)로 구성되는 큰 보(20)와 상기 큰 보(2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웨브(31) 및 상기 웨브(31) 상하부에 결합되는 플랜지(321, 322)로 구성되는 작은 보(30)의 접합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작은 보(30)의 춤은 큰 보(20) 웨브(21)의 높이보다 작고, 작은 보(30)의 웨브(31) 단부가 큰 보(20)의 웨브(21) 측면에 결합되어 큰 보(20) 상부 플랜지(221)가 작은 보(30) 상부 플랜지(321)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콘크리트 슬래브(S) 내에 매립되도록 하며,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 사이에는 상부 끼움판(40)이 삽입되어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 끼움판(40)은 ㄱ 형강(41)으로 일측 다리부(411)가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 다리부(412)는 큰 보(20)의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전단연결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큰 보(20)의 하부 플랜지(222)와 작은 보(30)의 하부 플랜지(322) 사이에는 하부 끼움판(50)이 삽입되어 큰 보(20)의 하부 플랜지(222)와 작은 보(30)의 하부 플랜지(3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끼움판(40) 및 하부 끼움판(50)은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플랜지와 볼트(B) 및 너트(N)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끼움판(40)을 큰 보(20)와 작은 보(30)의 상부 플랜지(321)에 결합하는 볼트(B)는 볼트 몸체의 단부가 큰 보(20)의 상부 플랜지(221) 상부로 돌출되어 전단연결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KR1020130050762A 2013-05-06 2013-05-06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KR10140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62A KR101404623B1 (ko) 2013-05-06 2013-05-06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62A KR101404623B1 (ko) 2013-05-06 2013-05-06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623B1 true KR101404623B1 (ko) 2014-06-09

Family

ID=5113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762A KR101404623B1 (ko) 2013-05-06 2013-05-06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6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990A (ko) * 2015-08-10 2017-02-21 (주)대우건설 거더 보강 철골 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고 절감 방법
WO2020186868A1 (zh) * 2019-03-21 2020-09-24 巴马丹拿建筑及工程师有限公司 一种应用于混凝土结构体间钢筋搭接连接、其形成方法及用于灌浆时使用的灌浆监测元件
CN113250319A (zh) * 2021-05-29 2021-08-13 中铁建设集团华北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结构梁柱节点的装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271A (ko) * 1998-11-21 2000-06-15 장병주 초고층건물의 합성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60106279A (ko) * 2005-04-07 2006-10-12 정동조 에이치 형강 기둥-보 일면전단형 접합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271A (ko) * 1998-11-21 2000-06-15 장병주 초고층건물의 합성바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60106279A (ko) * 2005-04-07 2006-10-12 정동조 에이치 형강 기둥-보 일면전단형 접합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990A (ko) * 2015-08-10 2017-02-21 (주)대우건설 거더 보강 철골 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고 절감 방법
KR101709007B1 (ko) * 2015-08-10 2017-02-22 (주)대우건설 거더 보강 철골 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고 절감 방법
WO2020186868A1 (zh) * 2019-03-21 2020-09-24 巴马丹拿建筑及工程师有限公司 一种应用于混凝土结构体间钢筋搭接连接、其形成方法及用于灌浆时使用的灌浆监测元件
CN113250319A (zh) * 2021-05-29 2021-08-13 中铁建设集团华北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结构梁柱节点的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706B1 (ko) 철골보 접합부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17728B1 (ko) 고정어댑터가 구비된 내진보강프레임 구조
KR101572926B1 (ko) 수평증축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라멘 pc보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05525688A (zh) 对穿钢棒和对穿竖插板式梁柱双向刚接节点
KR101404623B1 (ko)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
KR20180122151A (ko)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20170027235A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20160035135A (ko) 프리캐스트 src기둥과 프리캐스트 src보의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CN203834738U (zh) 装配式t形混合连肢墙
KR101632681B1 (ko) 결합플레이트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KR20180122152A (ko) 플레이트를 구비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793842B1 (ko) 무용접 각형 프레임 연결장치
KR101577327B1 (ko) 혼합형 합성거더
CN110080393B (zh) 一种公共建筑装配式钢结构
CN203834737U (zh) 装配式十字形混合连肢墙
KR102330481B1 (ko) 분절된 pc 격자보를 이용한 반도체 공장 구조물
JP4964528B2 (ja) 鉄骨造建物の床架構および同床架構の建築構法
JP6174984B2 (ja) 鉄骨梁
JP7156885B2 (ja) 腰壁パネルの固定構造
KR20110108511A (ko) 기둥과 보 골조 내진보강공법
KR100622271B1 (ko) 중공슬래브와 철골보를 이용한 층고저감형 바닥판 시스템
JP7217143B2 (ja) 柱と基礎の接合構造
JPH09273213A (ja) 定着金物及びその設置方法並びに柱脚基礎接合構造
CN203834742U (zh) 装配式l形混合连肢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