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557B1 -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 Google Patents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557B1
KR101404557B1 KR1020130036091A KR20130036091A KR101404557B1 KR 101404557 B1 KR101404557 B1 KR 101404557B1 KR 1020130036091 A KR1020130036091 A KR 1020130036091A KR 20130036091 A KR20130036091 A KR 20130036091A KR 101404557 B1 KR101404557 B1 KR 10140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plug body
cable
packing
rubb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에스
Priority to KR102013003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2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 or nut, e.g. vibration-proof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는, 제1플러그몸체와 제2플러그몸체와 제3플러그몸체로 구성된 플러그;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 너트;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너트와 상기 제1플러그몸체 사이에 위치된 제1오링; 상기 제2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링홈; 상기 오링홈에 삽입된 제2오링;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팩킹고무링; 상기 팩킹고무링이 삽입되는 소켓관통공이 구비되며, 오므라들 수 있는 팩킹소켓; 상기 제2오링과 내주면이 접촉되는 제1중간몸체부와,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제2중간몸체부와, 상기 팩킹소켓이 전진하면서 오므라들 수 있도록 테이퍼진 내주면이 형성된 제3중간몸체부로 구성된 중간몸체; 및 상기 제2중간몸체부의 외주면과 제3중간몸체부의 외주면에 결합된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 INTEGRALLY HAVING A HEAT SHRINKABLE TUBE}
본 발명은 케이블 그랜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7110호(2009년 6월 3일),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364호(2011년 11월 3일)에 개시되어 있다.
선박에는 복수개의 선실들이 구비된다. 선실의 내부에는 접속배선함(junction box)이 설치된다. 각종 전기케이블, 통신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칭한다)이 접속배선함을 통과한다. 이를 위해, 접속배선함에는 구멍이 뚫린다. 케이블이 구멍을 통과한 후 케이블과 구멍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로 인해, 접속배선함의 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격리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접속배선함 내부로 수분이 침투될 수 있고, 접속배선함 내부에 화재발생 시 접속배선함 외부로 화재가 번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직접 구멍으로 통과시키는 대신에 구멍에 케이블 그랜드를 먼저 설치하고 그 케이블 그랜드에 케이블을 통과시킨 후 열수축튜브로 케이블을 감싼다.
한편, 선실과 선실은 격벽으로 구분된다. 케이블은 선실과 선실 사이를 통과한다. 이를 위해, 격벽에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구멍이 뚫린다. 케이블이 구멍을 통과한 후 케이블과 구멍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로 인해, 선실과 선실이 완전히 격리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직접 구멍으로 통과시키는 대신에 구멍에 케이블 그랜드를 먼저 설치하고 그 케이블 그랜드에 케이블을 통과시킨 후 열수축튜브로 케이블을 감싼다.
그러나, 이렇게 접속배선함의 구멍 또는 격벽의 구멍에 케이블 그랜드를 설치하고, 케이블 그랜드의 내부로 케이블을 통과시키고, 열수축튜브로 케이블을 감싸는 일련의 작업은 복잡하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것이 불편하다. 또한, 케이블 그랜드가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그 무게로 인해 작업이 힘들다. 또한, 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지면, 케이블의 직경에 맞는 케이블 그랜드를 따로따로 구입하므로 작업비용이 증가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그랜드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고, 케이블 그랜드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케이블의 직경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는, 제1플러그몸체와 제2플러그몸체와 제3플러그몸체로 구성된 플러그;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 너트;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너트와 상기 제1플러그몸체 사이에 위치된 제1오링; 상기 제2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링홈; 상기 오링홈에 삽입된 제2오링;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팩킹고무링; 상기 팩킹고무링이 삽입되는 소켓관통공이 구비되며, 오므라들 수 있는 팩킹소켓; 상기 제2오링과 내주면이 접촉되는 제1중간몸체부와,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제2중간몸체부와, 상기 팩킹소켓이 전진하면서 오므라들 수 있도록 테이퍼진 내주면이 형성된 제3중간몸체부로 구성된 중간몸체; 및 상기 제2중간몸체부의 외주면과 제3중간몸체부의 외주면에 결합된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다.
또한, 케이블 그랜드의 너트, 플러그, 팩킹소켓, 중간몸체가 금속이 아닌 폴리염화비닐과 유리섬유로 만들어지므로, 케이블 그랜드의 무게가 줄어들어 케이블 그랜드의 설치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팩킹소켓의 오무라짐과 펴짐, 테이퍼부의 수축과 확장으로 인해 케이블의 직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질 때마다 케이블 그랜드를 따로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 작업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가 선실과 선실을 구분하는 격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면 Ⅱ-Ⅱ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러그, 팩킹고무링, 팩킹소켓, 중간몸체의 결합상태를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에서는 케이블의 직경이 큰 경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에서는 케이블의 직경이 작은 경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가 선실과 선실을 구분하는 격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면 Ⅱ-Ⅱ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는, 너트(N), 제1오링(R1), 플러그(10), 팩킹고무링(20), 팩킹소켓(30), 제2오링(R2), 중간몸체(40), 열수축튜브(50)로 구성된다.
너트(N), 플러그(10), 팩킹소켓(30), 중간몸체(40)는 폴리염화비닐과 유리섬유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너트(N), 플러그(10), 팩킹소켓(30), 중간몸체(40)를 금속으로 만들때 보다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플러그(10)의 중심부에는 팩킹고무링(20)이 삽입될 수 있는 제1관통공(10a)과 팩킹고무링(20)을 통과한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는 제2관통공(10b)이 구비된다. 제1관통공(10a)에 삽입된 팩킹고무링(20)이 제2관통공(10b)까지 밀려들어가지 못하도록, 제1관통공(10a)과 제2관통공(10b) 사이에는 밀림방지돌기(10c)가 구비된다.
플러그(10)는 제1플러그몸체(11), 제2플러그몸체(12), 제3플러그몸체(13)로 구성된다. 제1플러그몸체(11)의 외주면에는 너트(N)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플러그몸체(12)의 외주면에는 제2오링(R2)이 설치되는 오링홈(12a)이형성된다. 제3플러그몸체(13)의 외주면에는 중간몸체(40)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러그, 팩킹고무링, 팩킹소켓, 중간몸체의 결합상태를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에서는 케이블의 직경이 큰 경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에서는 케이블의 직경이 작은 경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팩킹고무링(20)의 중심부에는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는 고무링관통공(20a)이 구비된다. 팩킹고무링(20)은 고무링단턱부(21), 고무링연결부(22), 고무링테이퍼부(23)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무링테이퍼부(23)는 케이블(C)의 직경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이를 위해, 고무링테이퍼부(23)의 직경은,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에 실제로 사용되는 케이블(C) 중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케이블(C)보다 작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무링테이퍼부(23)의 직경은 15mm±5mm 이다. 고무링테이퍼부(23)로 인해 고무링테이퍼부(23)와 케이블(C)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다. 고무링테이퍼부(23)의 외주면에는 밀림방지돌기(10c)가 삽입되는 밀림방지홈(23a)이 형성된다.
팩킹소켓(30)의 중심부에는 팩킹고무링(20)이 삽입될 수 있는 소켓관통공(30a)이 구비된다. 팩킹소켓(30)은 오므라들 수 있다. 이를 위해, 팩킹소켓(30)의 외주면에는 팩킹소켓(30)의 길이방향으로 개구(30b)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30b)들로 인해, 개구(30b)와 개구(30b) 사이에 팩킹소켓(30)의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는 돌기(30c)들이 형성된다.
팩킹고무링(20)이 소켓관통공(30a)에 삽입되면, 팩킹소켓(30)은 고무링연결부(22)에 위치된다. 팩킹소켓(30)은 고무링단턱(21)로 인해 고무링단턱(21) 방향으로는 팩킹고무링(20)과 분리되지 못한다.
중간몸체(40)는 제1중간몸체부(41), 제2중간몸체부(42), 제3중간몸체부(43)으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중간몸체부(41)의 내주면은 케이블(C)의 직경과 상관없이 제2오링(R2)과 접촉되어, 제1중간몸체부(41)의 내주면과 제2플러그몸체(12) 사이의 틈을 없앤다. 이를 위해, 제1중간몸체부(41)의 길이는,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에 실제로 사용되는 케이블(C) 중 최대 직경을 가진 케이블(C)를 사용하거나 최소 직경을 가진 케이블(C)을 사용하더라도 제2오링(R2)에 항상 접촉될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중간몸체부(41)의 길이는 15mm±5mm 이다.
제2중간몸체부(42)의 내주면에는 제3플러그몸체(13)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3중간몸체부(43)의 내부에는 팩킹소켓(30)이 삽입된다.
제3중간몸체부(43)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테이퍼져 있다. 제2중간몸체부(42)의 나사산과 제3플러그몸체(13)의 나사산이 결합될 때, 팩킹소켓(30)은 제3중간몸체부(43)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오므라든다. 팩킹소켓(30)이 제3중간몸체부(43)의 내부로 밀려들어갈 수록, 돌기(30c)들이 제3중간몸체부(43)의 테이퍼진 내주면에 의해 안쪽으로 휘어진다. 돌기(30c)들이 안쪽으로 휘면서 팩킹고무링(20)을 압박한다. 압박된 팩킹고무링(20)은 고무링관통공(20a)을 통과하는 케이블(C)을 압박하여 팩킹고무링(20)과 케이블(C) 사이의 틈을 없앤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C)의 직경이 크면 팩킹소켓(30)이 제3중간몸체부(43)의 내부로 덜 밀려들어가고, 케이블(C)의 직경이 작으면 팩킹소켓(30)이 제3중간몸체부(43)의 내부로 더 밀려들어간다. 이로 인해, 케이블(C)의 직경에 상관없이, 팩킹고무링(20)과 케이블(C) 사이의 틈을 없앨 수 있다.
열수축튜브(50)의 중심부에는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는 튜브관통공(50a)이 구비된다. 열수축튜브(50)는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다.
열수축튜브(50)는 제1열수축부(51), 제2열수축부(52), 제3열수축부(53)로 구성된다. 제2열수축부(52)의 내주면은 제3중간몸체부(43)의 외주면과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져 있다. 제1열수축부(51)의 내주면은 제2중간몸체부(42)의 외주면에, 제2열수축부(52)의 내주면은 제3중간몸체부(43)의 외주면에 각각 이중사출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를 격벽의 구멍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제2선실(M2)로 가서 격벽(P)의 구멍(H)으로 제1오링(R1)이 삽입된 제1플러그몸체(11)를 통과시킨다. 그러면, 제1선실(M1)에 제1플러그몸체(11)가 위치하게 되고, 제2선실(M2)에 제2플러그몸체(12)와 제3플러그몸체(13)가 위치하게 된다.
작업자는 제1선실(M1)로 가서 제1플러그몸체(11)에 너트(N)를 체결한다. 작업자는 제2선실(M2)로 가서, 튜브관통공(50a), 고무링관통공(20a), 제2관통공(10b)으로 케이블(C)을 통과시켜 제1선실(M1)로 케이블(C)을 보낸다.
제2중간몸체부(42)의 나사산과 제3플러그몸체(13)의 나사산을 결합시킨다.
제2중간몸체부(42)의 나사산과 제3플러그몸체(13)의 나사산이 결합될 때, 팩킹소켓(30)은 제3중간몸체부(43)의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팩킹소켓(30)이 제3중간몸체부(43)의 내부로 밀려들어갈 수록, 제3중간몸체부(43)의 테이퍼진 내주면으로 인해 돌기(30c)들이 안쪽으로 휘어진다. 이렇게 휘어진 돌기(30c)들이 팩킹고무링(20)을 압박하게 되고, 압박된 팩킹고무링(20)은 고무링관통공(20a)을 통과하는 케이블(C)을 압박하여, 팩킹고무링(20)과 케이블(C) 사이의 틈을 없앤다.
또한, 제2중간몸체부(42)의 나사산과 제3플러그몸체(13)의 나사산이 결합될 때, 제1중간몸체부(41)의 내주면에 제2오링(R2)이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제1중간몸체부(41)의 내주면과 제2플러그몸체(12) 사이의 틈을 없앤다.
사용자는 제3열수축부(53)를 열로 수축시킨다. 그러면, 제3열수축부(53)가 수축되면서 케이블(C)을 감싸서, 제3열수축부(53)와 케이블(C) 사이의 틈을 없앤다.

Claims (5)

  1. 제1플러그몸체와 제2플러그몸체와 제3플러그몸체로 구성된 플러그;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 너트;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너트와 상기 제1플러그몸체 사이에 위치된 제1오링;
    상기 제2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링홈;
    상기 오링홈에 삽입된 제2오링;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팩킹고무링;
    상기 팩킹고무링이 삽입되는 소켓관통공이 구비되며, 오므라들 수 있는 팩킹소켓;
    상기 제2오링과 내주면이 접촉되는 제1중간몸체부와,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제2중간몸체부와, 상기 팩킹소켓이 전진하면서 오므라들 수 있도록 테이퍼진 내주면이 형성된 제3중간몸체부로 구성된 중간몸체; 및
    상기 제2중간몸체부의 외주면과 제3중간몸체부의 외주면에 결합된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킹고무링에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고무링테이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중심부에는 상기 팩킹고무링이 삽입될 수 있는 제1관통공과 상기 팩킹고무링을 통과한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제2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사이에는 밀림방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밀림방지돌기가 삽입되는 밀림방지홈이 상기 고무링테이퍼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킹소켓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와 개구 사이로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튜브는 제1열수축부, 제2열수축부, 제3열수축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열수축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3중간몸체부의 외주면과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져 있으며,
    상기 제1열수축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2중간몸체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2열수축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3중간몸체부의 외주면에 각각 이중사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KR1020130036091A 2013-04-03 2013-04-03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KR101404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91A KR101404557B1 (ko) 2013-04-03 2013-04-03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91A KR101404557B1 (ko) 2013-04-03 2013-04-03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557B1 true KR101404557B1 (ko) 2014-06-10

Family

ID=5113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091A KR101404557B1 (ko) 2013-04-03 2013-04-03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55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442B1 (ko) * 2015-07-15 2017-04-19 조미희 케이블 그랜드
KR101746631B1 (ko) 2016-12-16 2017-06-14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폴리케톤 케이블 그랜드
KR101874210B1 (ko) * 2016-12-29 2018-07-05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케이블 락킹부재가 장착된 슬립링
KR20190018853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KR20190044942A (ko) 2017-10-23 2019-05-02 (주)에이치에스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KR20200059877A (ko)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디메치 열수축튜브 케이블 그랜드
KR102132441B1 (ko) * 2019-01-23 2020-07-09 김명성 내열 케이블 그랜드
GB2591775A (en) * 2020-02-06 2021-08-11 Hubbell Ltd Cable glan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647A (ja) * 1995-09-01 1997-03-18 Read Eng Kk ケーブル引込金具、クランプ及びグランド本体
JP2005027446A (ja) 2003-07-03 2005-01-27 Hitachi Cable Ltd シールド層付ケーブルの端末構造
KR20090057110A (ko) * 2006-09-09 2009-06-03 허벨 리미티드 케이블 그랜드
KR20110010364U (ko) * 2010-04-28 2011-11-03 김부근 케이블 그랜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647A (ja) * 1995-09-01 1997-03-18 Read Eng Kk ケーブル引込金具、クランプ及びグランド本体
JP2005027446A (ja) 2003-07-03 2005-01-27 Hitachi Cable Ltd シールド層付ケーブルの端末構造
KR20090057110A (ko) * 2006-09-09 2009-06-03 허벨 리미티드 케이블 그랜드
KR20110010364U (ko) * 2010-04-28 2011-11-03 김부근 케이블 그랜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442B1 (ko) * 2015-07-15 2017-04-19 조미희 케이블 그랜드
KR101746631B1 (ko) 2016-12-16 2017-06-14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폴리케톤 케이블 그랜드
KR101874210B1 (ko) * 2016-12-29 2018-07-05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케이블 락킹부재가 장착된 슬립링
KR20190018853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KR102446954B1 (ko) * 2017-08-16 2022-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KR20190044942A (ko) 2017-10-23 2019-05-02 (주)에이치에스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KR102012792B1 (ko) * 2017-10-23 2019-08-26 (주)에이치에스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KR20200059877A (ko)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디메치 열수축튜브 케이블 그랜드
KR102155070B1 (ko) * 2018-11-22 2020-09-11 주식회사 디메치 열수축튜브 케이블 그랜드
KR102132441B1 (ko) * 2019-01-23 2020-07-09 김명성 내열 케이블 그랜드
GB2591775A (en) * 2020-02-06 2021-08-11 Hubbell Ltd Cable glan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557B1 (ko)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US9263867B2 (en) Clamp ring, cable screw connect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able screw connection
US20170077688A1 (en) Electric Device
US2858358A (en) Clamping glands for armoured electric cable
US3281755A (en) Cap for electrical plug connections
US1020123A (en) Conduit-fitting for electrical and other purposes.
CN101893221B (zh) 灯具电缆密封结构
US2827509A (en) Compound-sealed cable connector
CA2970067C (en) Conduit body with super fitting
KR101772215B1 (ko) 케이블 그랜드
KR101317908B1 (ko)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
KR101728442B1 (ko) 케이블 그랜드
WO2014139102A1 (en) Sealing tube for cable entry port
KR101593841B1 (ko) 전선관용 조인트
US9960528B2 (en) Electric device
CN203617643U (zh) 电缆固定头和电气设备
US2856452A (en) Sealing means for mineral insulated cable fittings
KR102012792B1 (ko)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US3137764A (en) Multiple cable connector
CN103066441A (zh) 一种工程机械防水线束
KR20170098783A (ko) 케이블 그랜드
CN209418878U (zh) 一种直插式过孔无螺纹屏蔽连接器
KR102584226B1 (ko) 격벽의 오리피스의 밀봉된 피드쓰루를 위한 글랜드
KR20190097283A (ko)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US1706973A (en) Connecter for hollow electrical conductors or tu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