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942A -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 Google Patents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942A
KR20190044942A KR1020170137577A KR20170137577A KR20190044942A KR 20190044942 A KR20190044942 A KR 20190044942A KR 1020170137577 A KR1020170137577 A KR 1020170137577A KR 20170137577 A KR20170137577 A KR 20170137577A KR 20190044942 A KR20190044942 A KR 20190044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lug body
packing
shrinkable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792B1 (ko
Inventor
임영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에스
Priority to KR102017013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7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는, 제1플러그몸체와 제2플러그몸체와 제3플러그몸체로 구성된 플러그;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 너트; 상기 너트와 상기 제1플러그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팩킹;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오링;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는 팩킹고무링; 상기 팩킹고무링에 삽입된 팩킹소켓; 제1중간몸체와,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제2중간몸체와, 제3중간몸체로 구성된 중간몸체; 상기 제3중간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팩킹소켓이 전진하면서 오므라들 수 있게 입구가 테이퍼진 튜브링; 및 상기 튜브링의 일측이 끼워져, 상기 제3중간몸체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 WITH HEAT SHRINKABLE TUBE}
본 발명은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복수개의 선실들이 구비된다. 선실의 내부에는 접속배선함(junction box)이 설치된다. 각종 전기케이블, 통신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칭한다)이 접속배선함을 통과한다. 이를 위해, 접속배선함에는 구멍이 뚫린다. 케이블이 구멍을 통과한 후 케이블과 구멍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로 인해, 접속배선함의 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격리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접속배선함 내부로 수분이 침투될 수 있고, 접속배선함 내부에 화재발생 시 접속배선함 외부로 화재가 번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직접 구멍으로 통과시키는 대신에 구멍에 케이블 그랜드를 먼저 설치하고 그 케이블 그랜드에 케이블을 통과시킨 후 열수축튜브로 케이블을 감싼다.
한편, 선실과 선실은 격벽으로 구분된다. 케이블은 선실과 선실 사이를 통과한다. 이를 위해, 격벽에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구멍이 뚫린다. 케이블이 구멍을 통과한 후 케이블과 구멍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로 인해, 선실과 선실이 완전히 격리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직접 구멍으로 통과시키는 대신에 구멍에 케이블 그랜드를 먼저 설치하고 그 케이블 그랜드에 케이블을 통과시킨 후 열수축튜브로 케이블을 감싼다.
그러나, 이렇게 접속배선함의 구멍 또는 격벽의 구멍에 케이블 그랜드를 설치하고, 케이블 그랜드의 내부로 케이블을 통과시키고, 열수축튜브로 케이블을 감싸는 일련의 작업이 복잡했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것이 불편했다. 또한, 케이블 그랜드가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그 무게로 인해 작업이 힘들었다. 또한, 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지면, 케이블의 직경에 맞는 케이블 그랜드를 따로따로 구입해야 되므로 작업비용이 증가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13년도에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가 일체로 구비되어,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는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러한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에 대한 기술(이하, “원천기술”이라 칭함)은 특허(10-1404557)로 보호받고 있다.
한편, 원천기술에서 제2중간몸체(40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제3중간몸체(43)는 내주면과 외주면이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제3중간몸체(43)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이유는 팩킹소켓(30)이 제3중간몸체(43) 안으로 밀려갈 때, 테이퍼진 내주면에 의해 오므라들어, 팩킹고무링(20)이 케이블(C)을 조일 수 있게 만들기 위함이다.
또한, 원천기술에서 열수축튜브(50)는 제1열수축부(51), 제2열수축부(52), 제3열수축부(53)로 구성된다. 제1열수축부(51)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제2열수축부(52)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고, 제3열수축부(53)는 원통형상을 가진다. 열수축튜브(50)는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다.
제1열수축부(51)의 내주면은 제2중간몸체(42)의 원통형 외주면에, 제2열수축부(52)의 내주면은 제3중간몸체(43)의 테이퍼진 외주면에 이중 사출로 결합된다.
그러나, 열을 받으면 쉽게 수축되는 특성을 가진 폴리올레핀으로, 제2중간몸체(42)의 원통형 외주면과 제3중간몸체(43)의 테이퍼진 외주면의 형상에 맞는 원통형의 제1열수축부(51)와 테이퍼 형상의 제2열수축부(52)를 만들면서, 동시에 제2중간몸체(42)의 외주면과 제3중간몸체(43)외 외주면에 결합시키고, 다시 제3열수축부(53)를 원통형상으로 길게 뽑아내, 열수축튜브(50)를 만들어내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이러한 과정에서 열수축튜브(50)의 불량도 많이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10-1404557)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진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는,
제1플러그몸체와 제2플러그몸체와 제3플러그몸체로 구성된 플러그;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 너트;
상기 너트와 상기 제1플러그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팩킹;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오링;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는 팩킹고무링;
상기 팩킹고무링에 삽입된 팩킹소켓;
제1중간몸체와,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제2중간몸체와, 제3중간몸체로 구성된 중간몸체;
상기 제3중간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팩킹소켓이 전진하면서 오므라들 수 있게 입구가 테이퍼진 튜브링; 및
상기 튜브링의 일측이 끼워져, 상기 제3중간몸체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열수축튜브의 형상은 단순한 원통형이며, 열수축튜브 일측에 튜브링을 끼우고, 열수축튜브와 결합된 튜브링을 중간몸체에 압입하기만 하면, 중간몸체와 열수축튜브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러한 튜브링으로 인해 열수축튜브는 중간몸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필요 없이, 단순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열수축튜브를 이중사출로 만들면서 중간몸체에 결합시키는 과정이 필요 없어지고, 열수축튜브를 쉽게 만들 수 있어, 열수축튜브에 불량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중간몸체에 열수축튜브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열수축튜브가 중간몸체의 외주면을 덮지 않으므로, 중간몸체의 외주면에 훅크랜치 홈과 육각랜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훅크랜치 홈과 육각랜치 홈을 열을 받으면 쉽게 수축되는 특성을 가진 폴리올레핀으로 열수축튜브에 만들지 않고, 폴리에스터(Polyseter)와 유리섬유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딱딱한 중간몸체에 만들 수 있어, 훅크랜치 홈과 육각랜치 홈을 만드는 것이 매우 쉬워진다.
또한, 열수축튜브 보다 강도가 큰 중간몸체의 외주면에, 훅크랜치 홈과 육각랜치 홈을 형성하므로, 훅크랜치 홈과 육각랜치 홈이 쉽게 무뎌지지 않는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케이블 그랜드와 열수축튜브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다.
또한, 케이블 그랜드의 너트, 플러그, 팩킹소켓, 중간몸체가 금속이 아닌 폴리에스터와 유리섬유로 만들어지므로, 케이블 그랜드의 무게가 줄어들어 케이블 그랜드의 설치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팩킹소켓을 오므라뜨려 팩킹고무링으로 케이블을 꽉 잡아주면 되므로, 케이블의 직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직경이 달라질 때마다 케이블 그랜드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가 선실과 선실을 구분하는 격벽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튜브링과 열수축튜브가 분리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튜브링과 열수축튜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중간몸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팩킹소켓이 오므라들어, 팩킹고무링이 케이블을 조이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1)는,
너트(N), 팩킹(R1), 플러그(10), 팩킹고무링(20), 팩킹소켓(30), 오링(R2), 중간몸체(40), 열수축튜브(50), 튜브링(60)으로 구성된다.
너트(N), 플러그(10), 팩킹소켓(30), 중간몸체(40), 튜브링(60)은 폴리에스터(Polyseter)와 유리섬유의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이로 인해, 너트(N), 플러그(10), 팩킹소켓(30), 중간몸체(40), 튜브링(60)을 금속재로 만들 때 보다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1)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너트(N), 플러그(10), 팩킹고무링(20), 팩킹소켓(30), 중간몸체(40), 열수축튜브(50), 튜브링(60)의 중심부에는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다.
플러그(10)는 제1플러그몸체(11), 제2플러그몸체(12), 제3플러그몸체(13)로 구성된다.
제1플러그몸체(11)의 외주면에는 너트(N)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플러그몸체(12)는 제1플러그몸체11)와 제3플러그몸체(13)를 연결하며 제1플러그몸체(11) 및 제3플러그몸체(13)보다 직경이 크다.
제2플러그몸체(12)의 좌측면에 밀착되도록, 제1플러그몸체(11)의 외주면에 팩킹(R1)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1)가 격벽(P)에 설치되면, 너트(N)와 팩킹(R1) 사이에 격벽(P)이 위치된다.
제3플러그몸체(13)의 외주면에는 오링(R2)이 설치되는 오링홈(13a)이 형성된다. 오링홈(13a)의 우측으로 중간몸체(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4)과 결합되는 나사산(13b)이 형성된다.
팩킹고무링(20)은 제1팩킹고무링(21), 제2팩킹고무링(22), 제3팩킹고무링(23)으로 구성된다.
제1팩킹고무링(21)은 제3플러그몸체(13) 안으로 들어간다. 제1팩킹고무링(21)은 테이터진 형상을 가진다.
제2팩킹고무링(22)에 팩킹소켓(30)이 끼워진다. 이때, 팩킹소켓(30)의 바닥면이 제3플러그몸체(13)의 입구에 걸림으로 인해, 제1팩킹고무링(21)만 제3플러그몸체(13)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제3팩킹고무링(23)은 제2팩킹고무링(23)에 끼워진 팩킹소켓(30)이 반대쪽(우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팩킹소켓(30)은 오므라들 수 있다. 이를 위해, 팩킹소켓(30)의 외주면에는 팩킹소켓(30)의 길이방향으로 개구(32)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개구(32)들 사이에 오므라들 수 있는 돌기(31)들이 형성된다.
중간몸체(40)는 제1중간몸체(41), 제2중간몸체(42), 제3중간몸체(43)로 구성된다.
제2중간몸체(42)의 외주면에는 훅크랜치 홈이 형성된다. 이는 열수축튜브(50)가 이중사출로 제2중간몸체(42)의 표면을 덮지 않기 때문에 가능해진 것이다. 종래에는 열수축튜브(50)가 이중사출로 제2중간몸체(42)의 표면을 덮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열수축튜브(50)의 외주면에 훅크랜치 홈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열을 받으면 수축하는 열수축튜브(50)의 특성상, 열수축튜브(50)의 외주면에 훅크랜치 홈을 직접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가 본 발명에서 깨끗이 해결되었다.
제2중간몸체(42)의 내주면에는 제3플러그몸체(13)의 나사산(13b)과 결합되는 나사산(44)이 형성된다.
제3중간몸체(43)의 외주면에는 육각랜치 홈이 형성된다. 이는 열수축튜브(50)가 이중사출로 제3중간몸체(43)의 표면을 덮지 않기 때문에 가능해진 것이다. 종래에는 열수축튜브(50)가 이중사출로 제3중간몸체(43)의 표면을 덮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열수축튜브(50)의 외주면에 육각랜치 홈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열을 받으면 수축하는 열수축튜브(50)의 특성상, 열수축튜브(50)의 외주면에 육각랜치 홈을 직접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가 본 발명에서 깨끗이 해결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튜브(50)은 원통형상을 가진다. 열수축튜브(50)는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다. 열수축튜브(50)는 미리 원통형으로 길게 만들어 놓고, 필요한 길이대로 잘라 쓰면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링(60)은 단턱부(61), 몸통부(62), 테이퍼부(63)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62)는 열수축튜브(50)의 일측에 끼워진다.
단턱부(61)는 튜브링(60) 전체가 열수축튜브(50)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61)는 제3중간몸체(43)에 압입된다. 그러면, 튜브링(60)이 제3중간몸체(43)에 고정된다. 튜브링(60)이 제3중간몸체(43)에 고정되면, 제3중간몸체(43)의 우측으로 열수축튜브(50)만 돌출된다.
튜브링(60)으로 인해 열수축튜브(50)는 중간몸체(4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필요 없이, 단순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63)는 단턱부(61)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63)는 중간몸체(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진할 때, 팩킹소켓(30)을 오므라들게 만든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를 격벽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도 5 및 도 6을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격벽(P)의 구멍으로 팩킹(R1)이 삽입된 제1플러그몸체(11)를 통과시킨다.
제1플러그몸체(11)에 너트(N)를 체결한다.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1)의 중심부로 케이블(C)을 통과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몸체(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중간몸체(40)가 후진하면서 중간몸체(40)와 결합된 튜브링(60)도 후진한다. 이때, 팩킹소켓(30)의 돌기(31)가 테이퍼부(63)쪽으로 전진하면서 테이퍼부(63)에 의해 안쪽으로 휘어진다. 돌기(31)가 휘어지면 팩킹고무링(20)이 오므라들면서 케이블(C)을 꽉 잡아준다. 열수축튜브(50)가 케이블(C)을 감싸도록, 열수축튜브(50)에 열을 가한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1)의 설치가 완료된다.
1: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10: 플러그 20: 팩킹고무링
30: 팩킹소켓 40: 중간몸체
50: 열수축튜브 60: 튜브링

Claims (5)

  1. 제1플러그몸체와 제2플러그몸체와 제3플러그몸체로 구성된 플러그;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 너트;
    상기 너트와 상기 제1플러그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팩킹;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오링;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는 팩킹고무링;
    상기 팩킹고무링에 삽입된 팩킹소켓;
    제1중간몸체와,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제2중간몸체와, 제3중간몸체로 구성된 중간몸체;
    상기 제3중간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팩킹소켓이 전진하면서 오므라들 수 있게 입구가 테이퍼진 튜브링; 및
    상기 튜브링의 일측이 끼워져, 상기 제3중간몸체의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간몸체의 외주면에는 훅크랜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중간몸체의 외주면에는 육각랜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킹고무링은,
    상기 제3플러그몸체의 안으로 들어가며,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 제1팩킹고무링;
    상기 팩킹소켓이 끼워지는 제2팩킹고무링; 및
    상기 제2팩킹고무링에 끼워진 팩킹소켓이 반대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3팩킹고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링은,
    상기 열수축튜브의 일측에 끼워지는 몸통부;
    상기 튜브링 전체가 상기 열수축튜브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 튜브는 원통형상으로, 미리 원통형으로 길게 만들어 놓고 필요한 길이대로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KR1020170137577A 2017-10-23 2017-10-23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KR10201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577A KR102012792B1 (ko) 2017-10-23 2017-10-23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577A KR102012792B1 (ko) 2017-10-23 2017-10-23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942A true KR20190044942A (ko) 2019-05-02
KR102012792B1 KR102012792B1 (ko) 2019-08-26

Family

ID=6658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577A KR102012792B1 (ko) 2017-10-23 2017-10-23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62B1 (ko) 2019-07-10 2020-03-0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팽창형 슬리브 결합형 내화용 케이블 그랜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557B1 (ko) 2013-04-03 2014-06-10 (주)에이치에스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KR101728442B1 (ko) * 2015-07-15 2017-04-19 조미희 케이블 그랜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557B1 (ko) 2013-04-03 2014-06-10 (주)에이치에스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KR101728442B1 (ko) * 2015-07-15 2017-04-19 조미희 케이블 그랜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62B1 (ko) 2019-07-10 2020-03-0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팽창형 슬리브 결합형 내화용 케이블 그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792B1 (ko) 201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557B1 (ko) 열수축튜브 일체형 케이블 그랜드
US10218091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US9966744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JP3549236B2 (ja) ケーブルグランド
US4684764A (en) High voltage cable splice protector
US7115822B1 (en) Indirect entry cable gland assembly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US2858358A (en) Clamping glands for armoured electric cable
US10263361B1 (en) Transition fitting for photovoltaic installations
US20150171606A1 (en) Feedthrough Device for an Explosion-Proof Housing
US20060219437A1 (en) Tight-sealed cable connector
US2827509A (en) Compound-sealed cable connector
GB2060278A (en) Gland for metal sheathed cable
KR20190044942A (ko) 열수축튜브 결합형 케이블 그랜드
US2657251A (en) Cable connector
US5917148A (en) Strain relief for electrical fittings
KR101290687B1 (ko) 케이블커넥터
WO2014139102A1 (en) Sealing tube for cable entry port
US4306760A (en) Cable connector assembly
DE102017100490B4 (de) Rohrmontagekomponente und Anordnung mit einem Rohrende
US1073596A (en) Electric cable.
KR101618133B1 (ko) 케이블 커넥터 장치
KR20190097283A (ko)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KR102155070B1 (ko) 열수축튜브 케이블 그랜드
JP4804934B2 (ja) ケーブル保護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