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909B1 - Method for making crown of pulley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king crown of pull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909B1
KR101403909B1 KR1020090015940A KR20090015940A KR101403909B1 KR 101403909 B1 KR101403909 B1 KR 101403909B1 KR 1020090015940 A KR1020090015940 A KR 1020090015940A KR 20090015940 A KR20090015940 A KR 20090015940A KR 101403909 B1 KR101403909 B1 KR 101403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holder
bearing
crown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2845A (en
Inventor
김호동
Original Assignee
김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동 filed Critical 김호동
Priority to KR1020090015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909B1/en
Publication of KR2010009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8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2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 B21D53/261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05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6Additional equi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tools, e.g. for shearing, f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와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성형툴 또는 하성형툴이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회전하면서 크라운을 형성하는 동안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면을 가압회전함으로써, 크라운이 형성된 풀리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와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wn forming apparatus and a forming method of a pull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own forming apparatus and a forming method of a pulley, in which, when a phase forming tool or a lower forming tool forms a crown while pressing an end portion of an ironing- To a pulley crown forming apparatus and a forming method which can rapidly produce a pulley having a crown by rot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rown.

풀리, 크라운, 회전, 가압 Pulley, Crown, Rotation, Pressurization

Description

풀리의 크라운 성형방법{Method for making crown of pulle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crown of a pulley,

본 발명은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와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성형툴 또는 하성형툴이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회전하면서 크라운을 형성하는 동안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면을 가압회전함으로써, 크라운이 형성된 풀리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와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wn forming apparatus and a forming method of a pulley, in which a phase forming tool or a lower forming tool forms an outer surface of an ironing product while forming a crown while pressing and rotating an end portion of an ironing- To a pulley crown forming apparatus and a forming method which can rapidly produce a pulley having a crown.

[종래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 제0288892호, 한국등록특허 제0482168호, 한국등록특허 제0583826호, 한국등록특허 제0710506호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288892, Korean Registration No. 0482168, Korean Registration No. 0583826, Korean Patent No. 0710506

본 발명은 차량엔진의 벨트 구동시 벨트의 장력조절 및 벨트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orming a crown of a pulley mounted to prevent belt tensioning and belt loosening when a belt of a vehicle engine is driven.

일반적으로 풀리는 구동벨트시스템에 장착되어 각각의 보기류(파워스티어링, 타이밍벨트, 에어콘, 워터쿨링펌프 등)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는 부품이다.Generally, the pulleys are mounted on a drive belt system to facilitate the driving of each type (power steering, timing belt, air conditioner, water cooling pump, etc.).

이러한 풀리를 제조하는 종래의 공정은, 상·하부의 금형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각 과정 사이에 수작업을 필요 로 하게되어 전체적인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불량률이 놓은 단점이 있었다.Conventional processes for manufacturing such pulleys require various processes using upper and lower molds, so that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requires manual work between each process, resulting in lowering of the overall productivity, There were disadvantag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등록특허 제10-0288892호에서는 자동차 엔진 풀리의 드로잉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No. 10-0288892 describes a draw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utomobile engine pulley.

그러나, 완제품인 풀리를 성형하기 전 상태인 예비성형체의 외통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이러한 플랜지를 제거하는 과정(즉, 트리밍 공정)에서 드로잉 공정단계 등에서 억제되었던 변형이 해소됨에 따라, 예비성형체에 변형이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cylinder of the preform, which is a state before molding the pulley as the finished product, and the deformation which was suppressed in the drawing process step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lange (i.e., trimming process) is eliminated, Is large.

따라서 트리밍 공정이 끝난 후 예비성형체의 내통부의 두께와 크기를 조정하는 아이어닝 공정을 실시하더라도, 예비성형체에는 변형이 잔류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Therefore, even if the ironing process for adjusting the thickness and the size of the inner tube of the preform after the trimming process is performed, it is inevitable that the deformation remains in the preform.

이와 같이 예비성형체에 잔류하는 변형에 의해 완제품인 풀리의 형상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hape accuracy of the pulley, which is the finished product, is lowered due to deformation remaining in the preform.

한국등록특허 제0482168호에서는 돌출외주면을 갖는 크라운형 풀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0482168 describes a crown-type pulley having a protrud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그러나, 완제품인 풀리를 성형하기 전 상태인 예비성형체의 외통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이러한 플랜지를 제거하는 과정(즉, 트리밍 공정)에서 드로잉 공정단계에서 억제되었던 변형이 해소됨에 따라, 예비성형체에 변형이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cylinder of the preform, which is a state before the pulley as the finished product, and the deformation that was suppressed in the draw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lange (i.e., the trimming process) And the like.

예비성형체에 잔류하는 변형은 결국 완제품인 풀리의 형상 정확도를 떨어뜨린다는 단점이 있었다.The deformation remaining in the preform has a disadvantage that the shape accuracy of the pulley, which is the finished product, is lowered.

또한, 드로잉 공정에서 성형된 제품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제거해야함에 따라, 추가적인 재료비와 공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Further, since the flange portion formed at the end portion of the molded product in the drawing process has to be remov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dditional material cost and process are requir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79959호에서는 차량용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79959 describes a crown molding apparatus for a pulley for a vehicle.

그러나, 완제품인 풀리를 성형하기 전인 예비성형체의 외통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이러한 플랜지를 제거하는 과정(즉, 트리밍 공정)에서 드로잉 공정단계에서 억제되었던 변형이 해소됨에 따라, 예비성형체에 변형이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flange is formed on the outer cylinder of the preform before the pulley as the finished product is formed, and the deformation that was suppressed in the draw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lange (i.e., the trimming process) is eliminated, .

예비성형체에 발생된 변형은 제품의 크기와 두께를 소정 치수로 조정하는 아이어닝 공정을 실시하더라도 잔류하게 된다.The deformation generated in the preform may remain even if an ironing process for adjusting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product to a predetermined dimension is performed.

따라서 예비성형체에 잔류하는 변형에 의해 완제품인 풀리의 형상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hape accuracy of the pulley as an article is deteriorated due to the deformation remaining in the preform.

또한, 드로잉 공정에서 성형된 제품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제거해야함에 따라, 추가적인 재료비와 공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Further, since the flange portion formed at the end portion of the molded product in the drawing process has to be remov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dditional material cost and process are required.

아이어닝 공정과 크라운 공정을 하나의 공정에서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금형 또는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완제품인 풀리의 형상 정확도는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Although the ironing process and the crown proces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one process,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number of molds or devices can be reduced.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hape accuracy of the pulley as an end product is poor.

한국등록특허 제0710506호에서는 크라운형 풀리의 돌출 외주면 성형공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Korean Patent No. 0710506 describes a process for forming the project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rown-shaped pulley.

상부에서 누르는 힘과 더불어 회전되는 풀리의 둘레에 오목한 곡면을 갖는 롤러를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풀리에 돌출부(크라운)를 성형하는 성형공정에 관한 것이다.And a forming step in which a roller having a concave curved surface around the pulley rotated is pr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gether with a pressing force at the top to form a protrusion (crown) in the pulley.

그러나, 풀리의 둘레와 롤러의 접촉이 선접촉이므로 풀리의 둘레면에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가압력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tact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pulley and the roller is in line contac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essing force for forming the projec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is insufficient.

또한, 풀리를 금형 등에 의해 외부를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허용오차 내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풀리를 생산하기에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pulley in which a protrusion within a tolerance is formed by not restraining the outside by means of a mold or the lik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드로잉 공정에서 성형된 제품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추가적인 재료비와 공정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the additional material cost and process because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flange formed at the end of the molded product in the drawing process.

본 발명은 형상 정확도 및 생산성이 향상된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own forming apparatus and a forming method of a pulley having improved shape accuracy and productivit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성형툴 또는 하성형툴이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회전하면서 크라운을 형성하는 동안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면을 가압회전함으로써, 크라운이 형성된 풀리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와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rown, comprising the steps of: pressing and rotating an outer surface of an ironing-completed product while forming a crown while pressing a top end of an iro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 crown forming apparatus and a forming meth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는, Specifically, in the pulley crown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홀더와,Phase holder,

상기 상홀더에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상펀치와, An upper punch fixed to the image holder by bolts,

상기 상펀치의 외측에 위치하며 외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된 상패드와,An upper pad positioned outside the upper punch and having a flange formed outwardly,

상기 상패드에 형성된 플랜지 상단과 상기 상홀더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패드를 상기 상펀치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는 스프링과, A spring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lange formed on the upper pad and the upper holder and allowing the upper pad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upper punch,

상기 상패드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어와,The upper pad being located outside the upper pad,

상기 상기어의 하면부와 볼트로 결합하는 상면부를 갖는 상성형툴과,A top shaping tool having a top surface portion coupled with a bottom portion of the tongue and a bolt,

상기 상홀더에 대하여 고정설치되는 상툴홀더와,A phase holder mounted to the phase holder,

상기 상기어가 상기 상툴홀더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상기어를 상하방향으로 구속하고, 상면은 상기 상툴홀더의 내주면에 접하고, 하면은 상기 상기어의 상면에 접하는 상형 제 1베어링과,A top first bearing which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phantom holder and restrains the finger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op surfac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and the bottom surface being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phantom holder,

상기 상성형툴의 외측면과 접하는 내륜과, 상기 상툴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에 접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상성형툴이 상기 상툴홀더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상형 제 2베어링을 포함하는 상형;An outer ring which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phase shaping tool, an outer ring which is supported by the phase holder, and a roll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the upper shaping tool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hase holder, A topography comprising a bearing;

쿠션핀에 의해 지지되는 하패드와, A lower pad supported by the cushion pin,

상기 하패드의 외측에 위치하며 하펀치고정판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하펀치와, A lower punch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pad and fixedly installed by a lower punch fixing plate,

상기 하펀치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하기어와,A lower end locat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unch,

상기 하펀치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하기어의 상면과 접하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상면, 상기 하면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상방향으로 상기 상면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면과, 상기 상면의 타단으로부터 내측아래방향의 곡면과, 상기 곡면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내측저면을 포함하되, 상기 하기어의 상면과 볼트로 결합되는 하성형툴과,A connecting surfac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unch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 connecting surfac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A lower forming tool including a bottom curved surface in an inward down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curved surface and an inner bottom surface formed in an inner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curved surface,

하툴홀더와,A holder holder,

상기 하펀치고정판과 상기 하기어의 하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기어를 상기 하툴홀더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하기어를 상하방향으로 구속하는 하형 제 1베어링과,A lower first bearing located between the lower punch fixing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unch fixing plate and rotatable about the lower holder and restraining the lower shaft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성형툴의 외측면에 접하는 내륜과, 상기 하툴홀더의 내주면과 접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과 접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하성형툴을 상기 하툴홀더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하형 제 2베어링을 포함하는 하형;An inner ring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shaping tool, an outer ring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rul holder, and a roller in contact with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the lower shaping tool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arul holder A bottom comprising two bearings;

상기 상기어 및 하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fish ball and the fish ball;

상기 상펀치와 상기 하펀치 사이의 간격은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두께보다 크고,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upper punch and the lower punch is larger than a thickness of the ironed product,

상기 상성형툴 또는 하성형툴이 상기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회전하면서 크라운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면을 가압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upper shaping tool or the lower shaping tool pressurizes and rotates the outer surface of the ironing finished product while forming the crown while pressing and rotating the end of the ironing produc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상툴홀더는 중심에 상기 상펀치와 상기 상패드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상기어의 상면부와 평행하게 외측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툴홀더 제 1내주면과, 상기 상툴홀더 제 1내주면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상툴홀더 제 2내주면과, 상기 상툴홀더 제 1내주면과 평행하며 상기 상툴홀더 제 2내주면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툴홀더 제 3내주면과, 상기 상툴홀더 제 3내주면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기어의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상툴홀더 제 4내주면과, 상기 상툴홀더 제 4내주면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상툴홀더 제 5내주면과, 상기 상 툴홀더 제 5내주면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상툴홀더 제 6내주면을 가지되, 일측에는 상기 상툴홀더 제 3내주면과 상기 상툴홀더 제 4내주면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하는 상툴홀더 측면공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phase holder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punch and the upper pad penetrate the center,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 thir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which is parallel to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and formed in an outer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A four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tool holder which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phase holder and i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a side surface of the proximal holder and a fif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which is formed parallel to the oute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our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And a six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which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fif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tool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contains a sangtul the third inner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angtul holder 4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sangtul holder side space to.

상기 하툴홀더는 중심에 상기 하패드와 상기 하펀치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기어의 상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툴홀더 제 1내주면과, 상기 제 1내주면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하툴홀더 제 2내주면과, 상기 제 2내주면의 끝단으로서 외측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기어의 상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하툴홀더 제 3내주면과, 상기 제 3내주면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기어의 측면부와 이격된 하툴홀더 제 4내주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툴홀더 제 3내주면과 상기 하툴홀더 제 4내주면이 이루는 공간과 연통하도록 하툴홀더 측면공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holder has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in parallel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and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lower pad and the lower punch at a center thereof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thir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ir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ing formed in an outer horizontal direction as an end of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thir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ourth side surface of the lower holder is spaced apart from a sid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lder and includes a sid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to communicate with a space formed by the third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holder and the fourth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holder.

상기 회전구동부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유압모터 홀더와, 상기 유압모터로부터 돌출된 축과, 상기 축과 결합하는 회전구동기어와, 상기 기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하는 제 3베어링과, 상기 회전구동기어와 상기 상형의 상기어 또는 상기 회전구동기어와 상기 하형의 하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를 관통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축 사이에 위치하는 제 4베어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ry drive unit includes a hydraulic motor, a hydraulic motor holder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ydraulic motor, a shaft projecting from the hydraulic motor, a rotary drive gear engaged with the shaft, A connecting shaft for connecting the rotary drive gear and the upper gear or the rotary drive gear to the lower gear of the lower die, a connec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gear, And a fourth bearing which is located in the second bearin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풀리의 크라운 성형방법은,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forming a crown of a pulley,

금속판재를 원형의 블랭크로 가공하는 블랭킹 공정단계;A blanking process step of processing the metal plate into a circular blank;

상기 블랭크를 외통부와 내통부, 상기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제품으로 성형하되, 상기 블랭크의 단부를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외통부의 단부에 파형을 형성하는 드로잉 공정단계;A drawing process step of forming the blank into a product having an outer tube portion and an inner tube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tube portion and the inner tube portion, and forming a corrugation at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portion by restraining the end portion of the blank;

드로잉 공정단계를 마친 제품의 두께 또는 크기를 조절하는 아이어닝 공정단계;An ironing process step of adjusting the thickness or size of the finished product of the drawing process;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통부에 바깥쪽으로 볼록한 크라운을 형성하는 크라운 공정단계를 포함하되,And a crown processing step of forming an outwardly convex crown on the outer tube of the ironing finished product,

상기 크라운 공정단계는, Wherein the crown processing step comprises: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통부의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동안 외통부의 외주면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되,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통부의 단부에는 상하방향의 가압력과 원주방향의 힘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portion is pressed inward while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finished product is rotated and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a press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ircumferential force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finished product .

본 발명에 따른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The crown forming apparatus and the forming method of a pu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1) 블랭킹 공정을 거쳐 성형되는 블랭크의 단부를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드로잉 공정에서 성형된 제품의 끝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는다.(1) By not restraining the end portion of the blank to be formed through the blanking process, no flang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ormed product in the subsequent drawing process.

(2) 따라서, 플랜지를 제거할 필요가 없을뿐만 아니라, 플랜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드로잉 공정이 완료된 제품에 억제되었던 변형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뒤틀림 현상을 감소 내지 방지할 수 있다.(2)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the flange, an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lange, it is possible to reduce or prevent the twisting phenomenon caused by the deformation which was suppressed in the finished product.

(3) 크라운 공정과 아이어닝 공정을 분리함으로써, 풀리의 내통부에 장착되는 베어링 공차 및 단차 깊이를 정확한 치수로 유지하면서 풀리의 외통부에 정확한 크라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된다.(3) By separating the crown process and the ironing process, an accurate crown can be formed in the outer cylinder portion of the pulley while keeping the bearing tolerance and the step depth mounted on the inner cylinder portion of the pulley at an accurate dimension.

(4) 아이어닝 공정이 완료된 제품의 외통부의 외주면이 상하방향의 힘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되는 동안, 외통부의 외주면 가운데 직경이 큰 부분이 회전하는 성형툴에 의해 가압력을 받아, 소재가 직경이 작은 부분으로 이동함에 따라 외주면이 균일화되면서 두께도 균일화될 수 있다.(4) Whil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product, which has been ironed, is expanded outward by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ressing tool is pressed by a molding tool rotating in the middl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por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comes uniform and the thickness can be made uniform.

(5) 아이어닝 공정이 완료된 제품의 외통부의 외주면이 상하방향의 힘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되는 동안, 외통부의 외주면 가운데 직경이 큰 부분이 회전하는 성형툴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판재 성형시 흔히 발생하는 스프링백(spring back)현상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5) Whil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product, which has been ironed, is expanded outward by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ortion having a large diameter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portion is pressed by a rotating molding tool, The spring back phenomenon can be largely eliminated.

(6) 아이어닝 공정이 완료된 제품의 외통부의 단부에는 상하방향의 가압력과 원주방향의 힘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외통부의 단부의 불균일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을 갖는 풀리의 생산이 가능하다.(6) Since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force and the circumferential force simultaneously act on the end of the outer tube of the product which has completed the ironing process, the unevenness of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can be largely elimin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ulley with high quality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들을 참조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related ar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블랭킹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블랭킹(blanking)이란 소재로부터 닫힌 외곽선을 가진 부분을 한 번에 잘라내는 작업을 말하며, 이와 같이 잘린 부분은 제품이 되며 이를 블랭크(blank)라 한다.Blanking is a process of cutting a part of a material having a closed outline at a time, and the cut part is called a blank.

블랭킹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미도시)에 형성되는 다이에 금속판재를 올려놓고 펀치를 하강시켜 압인절단함으로써, 원형 형상을 갖는 블랭크가 형성된다.A blank having a circular shape is formed by placing a metal plate on a die formed in an apparatus (not shown) for performing a blanking process, and then lowering the punch and cutting it by stamping.

이러한 블랭킹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는 종래기술에 제시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an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a blanking process has been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블랭킹 공정을 마친 제품을 제 1차제품(100)이라 하며 상기 제 1차제품(100)은 후술하는 드로잉 공정을 거친다. The product after the blanking process is called a first product 100, and the first product 100 is subjected to a drawing process described later.

도 2a는 본 발명의 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품의 사시도이다.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드로잉 공정은 금속판재를 공압장치가 설치된 기계식 프레스를 사용하여 컵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이다.The drawing process is a process of forming a metal plate into a cup or similar shape using a mechanical press equipped with a pneumatic device.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 공정을 완료한 제 2차제품(200)은, 측면부(201)와 중심부(204) 그리고 상기 측면부(201)와 상기 중심부(204)사이에 형성된 곡면부(203)를 갖는다.2A, the secondary product 200 that has completed the drawing process includes a side surface portion 201 and a center portion 204, a curved surface portion 203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portion 201 and the center portion 204, ).

본 발명의 드로잉 공정에서는, 블랭킹 공정을 거쳐 생산된 상기 제 1차제품의 단부(101)를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 2차제품의 측면부의 단부(202)에는 외측방향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nge having an outward direction is formed on the end portion 202 of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ary product by not restraining the end portion 101 of the primary product produced through the blanking process Do not.

즉, 제 2차제품의 측면부(201)는 일직선으로 곧게 형성되고, 상기 제 2차제품(200)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side portion 201 of the secondary product is straight and straight, and can be freely de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product 200.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제 2차제품(200)은 종래기술의 드로잉 공정에서 예비성형체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제거해야 하는 트리밍 공정을 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Thus, the secondary produc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require a trimming process to remove the flanges formed in the preform in the prior art drawing process.

또한, 제 2차제품의 측면부(201)에 외측방향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트리밍 공정에서 플랜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드로잉 공정을 완료한 제품에 발생되는 변형을 방지 내지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ange having the outward direction is not formed on the side portion 201 of the secondary pro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reduce the deformation occurring in the product after the drawing process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lange in the trimming process .

본 발명의 드로잉 공정에서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잉 공정이 완료된 제 2차제품의 측면부의 단부(202)에는 파도모양의 파형이 형성된다.In the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B, a wave-like waveform is formed on the end portion 202 of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ary product in which the drawing process is completed.

상기 파형은 상기 제 2차제품의 측면부의 단부(202)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며, 파도모양이므로 상기 단부(202) 둘레에 걸쳐서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가 상이한 부분이 4군데에 걸쳐 형성된다.The waveform is formed around the end portion 202 of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ary product and has a wave shape, so that the portion having a different height is formed over the end portion 202 at four intervals.

제 2차제품(200)은 위 파형의 높이에 반비례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외경이 큰 부분과 외경이 작은 부분이 4군데에 걸쳐 형성된다.(A-A 단면)The second product 200 has a portion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and a portion having a smaller outer diamet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inverse proportion to the height of the upper corrugations.

이와 같이, 상기 제 2차제품의 측면부의 단부(202)에 형성된 파도모양의 파형은 후술할 CNC선반가공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ve-like waveform formed on the end portion 202 of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ary product is removed through a CNC lathe processing step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상기 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품에 대해, 제품의 외관을 보다 세부적으로 성형하는 단계인 부가드로잉 공정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dditional drawing process, which is a step of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more precisel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부가드로잉 공정에 의해 생산된 제품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duct produced by the additional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부가드로잉 공정은 전술한 드로잉 공정을 완료한 제 2차제품(200)의 외관을 보다 세부적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The additional drawing process is a step of molding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product 200 that has completed the drawing process in more detail.

부가드로잉 공정은 제 1차 부가드로잉 공정과 제 2차 부가드로잉 공정으로 구분된다.The additional drawing process is divided into a first additional drawing process and a second additional drawing process.

먼저, 제 1차 부가드로잉 공정은 상기 드로잉 공정을 거친 제 2차제품(200)의 중심부(204)를 역방향으로 드로잉하는 공정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3차제품(300)이 생산된다.First, the primary addition drawing process is a process of drawing the central portion 204 of the secondary product 200 through the drawing proces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third product 300 as shown in FIG. 3 is produced do.

상기 제 3차제품(300)은 외통부(301)와 내통부(302), 상기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10) 그리고 바닥부(305)로 이루어진다.The third product 300 includes an outer tube portion 301 and an inner tube portion 302, a connecting portion 310 connecting the outer tube portion and the inner tube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305.

상기 제 3차제품의 연결부(310)는 외통부(301)와 내통부(302) 사이에 위치한다.The connecting portion 310 of the third product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tube 301 and the inner tube 302.

상기 제 3차제품의 연결부(310)는 다시 볼록부(311)와, 상기 제 3차제품(300)의 내측으로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312)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portion 310 of the third-order product further comprises a convex portion 311 and an inclined portion 312 having an inclination formed inward of the third-order product 300.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차 부가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second draw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 2차 부가드로잉 공정은 상기 제 1차드로잉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제 3차제품의 바닥부(305)를 다시 제 1바닥부(406)와 제 2바닥부(407), 상기 제 1바닥부와 상기 제 2바닥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연결부(408)를 형성하는 형상드로잉 공정이다.In the second additional drawing process, the bottom portion 305 of the third product produced by the first drawing process is further divided into the first bottom portion 406 and the second bottom portion 407, And a bottom connecting portion 408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ttom portion and the second bottom portion.

제 2차 부가드로잉 공정에 의하여 제 4차제품(400)이 생산되며, 상기 제 4차제품(400)은 외통부(401)와 내통부(402), 상기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410) 그리고 제 1바닥부(406), 제 2바닥부(407)로 이루어진다.The fourth product 400 is manufactured by the second additional drawing process and the fourth product 400 includes an outer tube 401 and an inner tube 402 and a connecting portion 410 connecting the outer tube and the inner tube And a first bottom portion 406 and a second bottom portion 407. [

상기 제 1바닥부(406)와 제 2바닥부(407) 사이에는 바닥 연결부(408)가 형성된다.A bottom connecting portion 408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ttom portion 406 and the second bottom portion 407.

상기 바닥 연결부(408)는 상기 제 4차제품(400)의 내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된다.The bottom connection portion 408 is inclin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fourth product 400.

상기 제 4차제품의 연결부(410)는 상기 외통부(401)와 상기 내통부(402) 사 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는 볼록부(411)와 경사부(412)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part 410 of the fourth product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tube part 401 and the inner tube part 402 and the connection part comprises a convex part 411 and an inclined part 412.

제 2차 부가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품인 제 4차제품(400)은 후술하는 피어싱 공정을 거친다.The fourth product 400, which is a finished product of the second additional drawing process, is subjected to a piercing process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피어싱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드로잉 공정과 부가드로잉 공정(제 1차, 제 2차 부가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 4차제품(400)의 중심부를 천공하여 중공부(505)를 형성한다.The hollow part 505 is formed by drilling the center part of the fourth product 400 after the drawing process and the additional drawing process (first and second additional drawing processes).

이와 같이, 피어싱 공정을 마친 제품을 제 5차제품(500)이라 한다.The product that has completed the piercing process is called the fifth product 500.

제 5차제품(500)은, 외통부(501), 내통부(502), 바닥부(509), 연결부(510)로 이루어져 있고, 연결부(510)는 볼록부(511) 및 경사부(512)로 이루어져 있다.The fifth product 500 includes an outer cylinder 501, an inner cylinder 502, a bottom 509 and a connecting portion 510. The connecting portion 510 includes the convex portion 511 and the inclined portion 512, Lt; / RTI >

피어싱 공정을 마친 제 5차 제품(500)은 후술하는 CNC선반 가공공정을 거친다. After the piercing process, the fifth product 500 is subjected to the CNC lathe machining process described later.

CNC선반 가공공정은 1) 상기 제 5차제품(500)의 외통부를 매끈하게 가공할 뿐만 아니라 2) 상기 블랭크(100)를 제 1차제품(100)으로 성형하는 드로잉 공정에서 상기 제 1차제품의 단부(101)를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제 2차제품의 측면부의 단부(202)를 제거하는 공정이다.The CNC lathe machin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1) smoothly machining the outer tube of the fifth product 500, 2) drawing the blank 100 into the first product 100, The end portion 202 of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ary product to be formed is not remov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차제품의 측면부의 단부(202)에는 단부 둘레에 걸쳐서 일정한 간격으로 파도모양의 파형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a wave-like waveform is formed at the end portion 202 of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ary product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end portion.

상기 파도모양의 파형은 최종제품의 완성 전에 제거하여야 한다.The wave-like waveform should be removed before completion of the final product.

이러한 CNC선반 가공공정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고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NC lathe machin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CNC선반 가공공정을 마친 제품은 후술하는 아이어닝 공정을 거친다.As described above, the finished product of the CNC lathe is subjected to an ironing process described later.

도 6은 본 발명의 아이어닝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roduct of the iron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차제품(600)은, 외통부(601), 내통부(602), 상기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610), 내통부의 내주면(602a), 내통부의 외주면(60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610)는 다시 볼록부(611)와 경사부(612)로 이루어지며, 중공부(605) 및 내통부와 외통부 사이에는 공간(615)이 형성되어 있다.The sixth product 600 comprises an outer cylinder 601 and an inner cylinder 602, a connecting portion 610 connecting the outer cylinder and the inner cylinder, an inner circumferential face 602a of the inner cylinder 602a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face 602b of the inner cylinder 602, The connecting portion 610 is formed of a convex portion 611 and an inclined portion 612. A space 615 is formed between the hollow portion 605 and the inner tube portion and the outer tube portion.

일반적으로 아이어닝 공정은 드로잉된 제품의 벽을 얇고 균일하게 하며, 그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공정으로 상기 제 6차제품(600)의 내통부의 크기 및 두께를 일정하게 하도록 한다.Generally, the ironing process is to make the wall of the drawn product thin and uniform, and smooth the surface of the drawn product, so that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inner tube of the sixth product 600 are made constant.

상기 아이어닝 공정에서 사용되는 상펀치와 하펀치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5차제품(500)의 두께보다 작아야 한다.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punch and the lower punch used in the ironing process should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fth product 500. [

이러한 아이어닝 공정은 상기 제 6차제품의 내통부의 내주면(602a)을 소성에 의해 정하여진 균일한 두께와 크기를 갖게 한다.This ironing process mak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602a of the inner tube of the sixth product have a uniform thickness and size determined by firing.

그러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601)에는 여전히 외경 및 두께의 불균일이 남게 된다.(B-B 단면)However, as shown in Fig. 6, unevenness in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still remains in the outer tube 601 of the sixth product (B-B cross section). [

즉, 제 6차제품의 외통부(601)의 두께는 아이어닝이 완료되더라도 두께 불균일이 남게 되며, 상기 외통부의 외주면(601b)은 파형 형태를 이루며 직경이 큰 4군데와 직경이 작은 4군데가 형성된다.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outer tube 601 of the sixth product remains uneven in thickness even when the ironing is complet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has a corrugated shape, and four places having a large diameter and four places having a small diameter are formed do.

이는 완제품인 풀리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풀리의 수명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크라운 공정에서 외통부의 외경 및 두께의 균일화를 도모한다.This not only deteriorates the quality of the pulley as the finished product but also adversely affects the life of the pulley, so that the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outer tube are uniformized in the crown process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아이어닝 공정을 마친 제품을 제 6차제품(600)이라 하며, 상기 제 6차 제품(600)은 후술하는 크라운 공정을 거친다. 크라운 형상의 성형이 완성된 풀리(제 7차제품)를 제 7차 제품(700)이라 한다.The finished iron product is referred to as a sixth product 600, and the sixth product 600 is subjected to a crown process described later. The pulley (the seventh product) having completed the crown-shaped molding is referred to as a seventh product 700. [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크라운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크라운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이다.Figs.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rown-finish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1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cr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풀리의 크라운 성형방법의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of a crown forming method of a pu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크라운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된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crown process is carried out by an apparatu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molds as shown in Figs.

이하에서는 상기 크라운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해 도 9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crow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형(720a)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upper die 720a is formed as follows.

먼저 상프레스(미도시)의 하부에 고정장착되는 상홀더(721)와, 상기 상홀더의 하부에 볼트로 고정장착되는 상펀치(722)가 구비된다.An image holder 721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ress (not shown), and an upper punch 722 fastened by bolt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mage holder.

상기 상펀치(722)의 외측에는 상패드(725)가 구비되며, 상기 상패드의 상부에는 외측방향으로 플랜지(726)가 형성된다.A top pad 725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unch 722 and a flange 726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ad.

상기 상패드(725)는 고정장착되는 상기 상펀치(72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The upper pad 725 is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punch 722 fixedly mounted.

상기 상패드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726)의 상단과 상기 상홀더(721)의 하단 사이에는 상홀더의 하부에 고정장착되는 상기 상펀치(72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패드(725)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727)이 위치한다. The upper punch 722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lder 721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lange 726 formed on the upper pad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lder 721, A spring 727 is provided to enable movement.

상기 상패드(725)의 외측에는 상기어(728)가 구비되며, 상기 상기어의 하면부(728b)에는 상성형툴(730)이 위치한다.The upper pad 725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ad 725 and the upper molding tool 73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ad 728b.

상기 상성형툴(730)의 상면부(731)와 상기 상기어의 하면부(728b)는 볼트로 고정결합한다.The upper surface portion 731 of the phase forming tool 730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728b of the upper surface forming tool 730 are fixed by bolts.

상기 상홀더(721)의 하단에는 상툴홀더(740)가 위치하며, 상기 상홀더(721)의 하단과 상기 상툴홀더(740)는 볼트로 고정결합한다. A phase holder 740 is positioned on the lower end of the phase holder 721 and a lower end of the phase holder 721 is fixed to the phase holder 740 by bolts.

상기 상성형툴(730)의 내측면에는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phase forming tool 730 may have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상기 상홀더(721)와 상기 상툴홀더(740) 사이에는 스페이서(729)가 구비될 수 있다.A spacer 729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hase holder 721 and the phase holder 740.

이와 같이 상기 상홀더(721)와 상기 상툴홀더(740)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729)가 구비될 경우, 상기 상홀더(721)의 하단과 상기 스페이서(729)의 상단은 볼트로 고정결합한다.When the spacer 729 is provided between the phase holder 721 and the phase holder 740, the lower end of the phase holder 721 and the upper end of the spacer 729 are fixed by bolts.

또한, 상기 상툴홀더(721)의 상단과 상기 스페이서(720)의 하단은 볼트로 고정결합한다. The upper end of the phase holder 721 and the lower end of the spacer 720 are fixed by bolts.

상기 상기어의 상면부(728a)에는 상형 제 1베어링(750)이 구비된다.A top bearing first bearing 750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728a of the bearing.

상기 상형 제 1베어링(750)은 상기 상기어(728)가 상기 상툴홀더(74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상기어(728)가 상하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first bearing 750 allows the lower end 728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phase holder 740 and restrains the upper end 728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상기어의 하면부(728b)와 볼트로 고정결합한 상기 상성형툴(730)도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Accordingly, the upper shaping tool 730,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728b by the bolt, is also constrained to move up and down.

상기 상형 제 1베어링(750)은 상면이 상기 상툴홀더(740)의 내주면에 접하고, 하면은 상기 상기어의 상면부(728a)에 접한다.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aring 75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holder 740,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earing 75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728a.

상기 상성형툴(730)의 외측에는 롤러 베어링으로 구비되는 상형 제 2베어링(755)이 위치한다.An upper bearing second bearing 755, which is a roller bearing, is located outside the phase forming tool 730.

상기 상형 제 2베어링(755)은, 상기 상성형툴(730)의 외측면과 접하는 내륜과, 상기 상툴홀더(740)에 의해 지지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에 접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의 구름면은 제2베어링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외륜의 하면에는 상툴홀더(74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판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성형툴(730)의 하부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위 홈에는 스냅링이 설치되어 있다. 위 스냅링에 의해 내륜의 이탈이 방지된다.The upper bearing second bearing 755 includes an inner r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hase forming tool 730, an outer ring supported by the upper holder 740, and a roller in contact with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The rolling surface of the rolle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bear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ring, a plate member fixed to the phase holder 740 by bolts is provided. A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ase forming tool 730, and a snap ring is provided in the upper groove. The above-mentioned snap ring prevents the disengagement of the inner ring.

상기 상형 제 2베어링(755)의 역할은 상기 상성형툴(730)이 고정설치되는 상기 상툴홀더(740)에 대해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형 제2베어링(755)은 롤러의 구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의 외통부에 크라운을 형성하는 동안 풀리 외통부에 작용하는 반경방향 하중을 충분히 견뎌낼 수 있다.The role of the upper bearing second bearing 755 facilitates rotation of the phase holder 740 with respect to the phase holder 740 to which the phase forming tool 730 is fixed. Further, since the upper bearing second bearing 755 is formed such that the rolling surface of the roller is inclined, it is possible to withstand the radial load acting on the pulley outer tube while forming the crown on the outer tube of the pulley.

전술한 상툴홀더(740)의 내부에는 관통공(741)과 내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툴홀더(740)는 상기 상기어(728)와 상기 상성형툴(730) 및 상기 베어링(750,755)을 감싼다.A through hole 741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formed in the phase holder 740 and the phase holder 740 surrounds the phase holder 730 and the bearings 750 and 755 .

이하에서는 상기 상툴홀더(740)에 대해 도 10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hase holder 7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상툴홀더(740)의 중심에는 상기 상펀치(722) 및 상기 상펀치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패드(725)가 관통하는 관통공(741)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741 through which the upper punch 722 and the upper pad 725 located outside the upper punch penetrat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hase holder 740.

상기 상툴홀더(740)의 내부에는 내주면이 형성된다.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side the phase holder 740.

먼저, 상기 상기어의 상면부와 평행하게 외측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툴홀더 제 1내주면(742)이 형성된다.First, a phase holder holder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2 formed in an outer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sh is formed.

상기 상툴홀더 제 1내주면(742)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상툴홀더 제 2내주면(743)이 형성된다.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3 of a phase holder holder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phase holder inner first surface 742 is formed.

상기 제 1내주면(742)은 상기 상형 제 1베어링(750)이 안착되도록 상기 상형 제 1베어링의 상면(751)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751 of the upper bearing unit so that the upper bearing unit 750 is seated.

상기 제 2내주면(743)은 상기 상형 제 1베어링(750)이 안착되도록 상기 상형 제 1베어링의 측면(752)의 일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3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side surface 752 of the upper first bearing so that the upper bearing first bearing 750 is seated.

상기 상형 제 1베어링의 측면(752)의 나머지는 상기 상기어의 상면부(728a)에 형성된 베어링 장착부(미도시)와 접한다.The remainder of the side surface 752 of the upper bearing is in contact with a bearing mounting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728a of the upper bearing.

상기 상툴홀더 제 2내주면(743)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수평방향으로 상기 상툴홀더 제 1내주면(742)과 평행하게 상툴홀더 제 3내주면(744)이 형성된다.A third phase-hold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4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phase-hold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2 in the oute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phase-holder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3.

상기 상툴홀더 제 3내주면(744)은 상기 상기어의 상면부(728a)의 일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The phase holder thir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4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728a of the fish.

상기 상툴홀더 제 3내주면(744)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기어의 측면부(728c)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툴홀더 제 4내주면(745)이 형성된다.The phase holder holder four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5 is formed so as to be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thir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4 and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side surface portion 728c.

이와 같이, 상기 상툴홀더 제 4내주면(745)과 상기 상기어의 측면부가(728c)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기어(728)가 회전할 경우 상기 상툴홀더(740)와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our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5 of the phase holder and the side surface portions of the fis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phase holder 740 when the fisher 728 rotates have.

상기 상툴홀더 제 4내주면(745)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상툴홀더 제 5내주면(746)이 형성된다.The fif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6 of the phase holder holder is formed parallel to the oute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phase holder four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5.

상기 상형 제 2베어링(755)의 외륜의 상단의 일부가 상기 상툴홀더 제 5내주면(746)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형 제 2베어링(755)이 상기 상툴홀더(740)내부에서 지지고정된다.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ring of the upper bearing second bearing 755 is hooked on the fifth inner peripheral surface 746 of the phase holder holder so that the upper bearing second bearing 755 is supported and fixed in the phase holder 740.

상기 상툴홀더 제 5내주면(746)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형성된 상툴홀더 제 6내주면(747)이 형성된다.A six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7 of the phase holder holder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phase holder inner fifth surface 746 is formed.

상기 제 6내주면(747)은 상기 상형 제 2베어링(755)의 외륜의 측면과 접한다.The sixth inner peripheral surface 747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ring of the upper bearing second bearing 755.

상기 상형 제 2베어링(755)의 외륜의 하단은 상기 상툴홀더(740)와 나사로 고정결합하는 베어링 커브(미도시)에 의해 지지고정된다.The lower end of the outer ring of the upper bearing (755) is supported and fixed by a bearing curve (not shown) fixedly coupled to the phase holder (740) by a screw.

상기 상툴홀더(740)의 일측에는 상기 상툴홀더 제 3내주면(744)과 상기 상툴홀더 제 4내주면(745)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하는 상툴홀더 측면공간(748)이 형성된다.A phase holder holder side space 748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thir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4 of the phase holder holder and the four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5 of the phase hold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hase holder holder 740.

상기 상툴홀더 측면공간(748)은 상기 상기어(728)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760)의 회전구동기어(768)와 상기 상기어(728)가 맞물릴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The phase holder-side space 748 provides a space for engaging the rotary gear 768 of the rotary drive unit 760 that rotates the rotary shaft 728 and the rotary shaft 728.

하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bottom type is as follows.

먼저 하프레스(미도시)에 고정장착되는 하홀더(821)가 구비된다.First, a lower holder 821 fixedly mounted on a lower press (not shown) is provided.

상기 하홀더(821)의 상단에는 상기 하홀더(821)와 볼트로 고정결합하는 받침판(824)이 구비된다.The lower holder 821 is provided at its upper end with a support plate 824 fixed to the lower holder 821 by bolts.

상기 받침판(824)의 상단에는 상기 받침판(824)과 볼트로 고정결합하는 하펀치고정판(823)이 구비된다.And a lower punch fixing plate 823 fixed to the support plate 824 by bolts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824.

상기 받침판(824)의 상단에는 하펀치고정판(823)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하펀치(822)가 구비된다.And a lower punch 822 fixedly installed by a lower punch fixing plate 823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824. [

상기 하펀치고정판(823)과 상기 받침판(824)에는 서로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볼트를 삽입한 후, 상기 하홀더(821)의 상단에 고정결합한다.The lower punch fixing plate 823 and the support plate 824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fter inserting bolts into the through holes, the lower punch fixing plate 823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lder 821.

하패드(825)는 상기 하펀치(822)의 중심을 관통하며 쿠션핀(829)에 의해 지지된다.The lower pad 825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punch 822 and is supported by a cushion pin 829.

상기 쿠션핀(829)은 공압장치가 설치된 기계식 프레스에 의한다.The cushion pin 829 is a mechanical press equipped with a pneumatic device.

상기 하패드(825)의 상면에는 돌기(826)가 형성된다.A protrusion 82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d 825.

상기 하패드의 외주면(825a)의 단부에는 상기 하패드의 상면으로부터 상승하는 부분이 상기 하패드의 상면의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며, 이를 걸림부(825b)라 한다. At th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825a of the lower pad, a portion ris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d is forme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d and is called a latching portion 825b.

상기 하펀치의 외주면(825a)에는 하기어(828)가 구비되며, 상기 하기어의 상면부(828a)에는 하성형툴(830)이 위치한다.The lower punch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825a and a lower molding tool 830 at an upper surface 828a of the lower punch.

상기 하성형툴(830)은 상기 하펀치(82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The lower shaping tool 830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unch 822.

이하에서는 상기 하성형툴(83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ower forming tool 8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하기어의 상면부(828a)와 접하는 하면(831)과 상기 하면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상면(832), 상기 하면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상방향으로 상기 상면(832)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면(833)이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832 of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828a and the upper surface 832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828a, (833).

상기 상면(832)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하펀치(822)를 향하여 내측 아래방향으로 곡면(834)이 형성된다.A curved surface 834 is formed in the inner down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rface 832 toward the lower punch 822. [

상기 곡면(834)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하펀치(822)를 향해 내측 수평방향으로 내측저면(835)이 형성된다.An inner bottom surface 835 is formed in the inner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curved surface 834 toward the lower punch 822. [

상기 하기어의 상면부(828a)와 상기 하성형툴의 하면(831)은 볼트로 고정결합됨으로써, 상기 하기어(828)가 회전할 경우, 상기 하성형툴(830)도 회전운동이 가능하다.The upper surface portion 828a and the lower surface 831 of the lower shaping tool are fixed by bolts so that the lower shaping tool 830 can be rotated when the lower portion 828 rotates .

상기 하펀치고정판(823)의 상단에는 하툴홀더(840)가 구비되며, 상기 하펀치고정판(823)의 상단과 상기 하툴홀더(840)의 하단은 볼트로 고정결합한다.The lower punch fixing plate 823 has a lower holder 840 and an upper end of the lower punch fixing plate 823 and a lower end of the holder 840 are fixed by bolts.

상기 하툴홀더(84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harul holder 84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하펀치고정판(823)의 상단과 상기 하기어의 하면부(828b)사이에는 하형 제 1베어링(850)이 위치한다.A lower first bearing 85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lower punch fixing plate 823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828b.

상기 하형 제 1베어링(850)은 상기 하기어(828)를 고정장착되는 상기 하툴홀더(84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하기어(828)를 상하방향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first bearing 85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load holder 840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bearing 828 and serves to restrain the lower bearing 828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성형툴 연결면(833)과 상기 하툴홀더(840)의 내주면 사이에는 롤러 베어링으로 구비되는 하형 제 2베어링(855)이 위치한다.A lower bearing second bearing 855, which is a roller bearing,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forming tool connecting surface 83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lder 840.

상기 하형 제 2베어링(855)은 상기 하성형툴 연결면(833)에 접하는 내륜과, 상기 하툴홀더(840)의 내주면과 접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과 접하는 롤러를 포함한다.The lower die second bearing 855 includes an inner r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forming tool connecting surface 833, an outer r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ad holder 840, and a roller in contact with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상기 롤러의 구름면은 하형 제2베어링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형 제2베어링(855)은 롤러의 구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의 외통부에 크라운을 형성하는 동안 풀리 외통부에 작용하는 반경방향 하중을 충분히 견뎌낼 수 있다.The rolling surface of the roller is provide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lower die second bearing. Further, since the lower bearing second bearing 855 is formed such that the rolling surface of the roller is inclined, the radial load acting on the pulley external portion during the formation of the crown on the outer cylinder portion of the pulley can be sufficiently sustained.

전술한 하툴홀더(840)의 내부에는 관통공(841)과 내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툴홀더(840)는 상기 하기어(828)와 상기 하성형툴(830) 및 상기 베어링(850, 855)을 감싼다.A through hole 841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holder holder 840. The holder holder 840 supports the bearing 828 and the lower forming tool 830 and the bearings 850 and 855, .

이하에서는 하툴홀더(840)에 대해 도 11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older holder 8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하툴홀더(840)의 중심에는 상기 하패드(825)와 상기 하펀치(822)가 관통하는 관통공(841)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841 through which the lower pad 825 and the lower punch 822 pas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lder 840.

상기 하툴홀더(840)에는 내주면이 형성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840 is formed.

이하에서는 각각의 내주면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Each inner peripheral surfa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하기어의 상면부(828a)와 평행하게 하툴홀더 제 1내주면(842)이 형성된다.The first inner peripheral surface 842 of the holder is form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828a of the lower surface.

상기 하툴홀더 제 1내주면(842)은 하형 제 2베어링(855)의 외륜의 상단부와 접하며, 상기 하형 제 2베어링(855)을 상기 하툴홀더(840) 내부에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42 of the lower holder abuts against the upper end of the outer ring of the lower second bearing 855 so that the lower second bearing 855 can be fixedly supported in the holder 840.

상기 하툴홀더 제 1내주면(842)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하툴홀더 제 2내주면(843)이 형성된다. A second inner peripheral surface 843 of the holder holder is form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inner peripheral surface 842 of the holder holder.

상기 하툴홀더 제 2내주면(843)은 상기 하형 제 2베어링(855)의 외륜의 측면부와 접하며, 상기 하형 제 2베어링(855)을 상기 하툴홀더(840) 내부에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inner peripheral surface 843 of the load holder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ring of the lower second bearing 855 and enables the lower second bearing 855 to be fixedly supported within the load holder 840.

상기 하툴홀더 제 2내주면(843)의 끝단으로서 외측수평방향으로 상기 하기어의 상면부(828a)와 평행하게 하툴홀더 제 3내주면(844)이 형성된다.A third inner peripheral surface 844 of the lower holder is form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828a in the outer horizontal direction as an end of the second inner peripheral surface 843 of the holder.

상기 하툴홀더 제 3내주면(844)의 끝단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상기 하기어의 측면부(828c)와 이격된 하툴홀더 제 4내주면(845)이 형성된다. A fourth holder inner peripheral surface 845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surface 828c of the third holder 844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third holder 844.

상기 하기어의 측면부(828c)와 상기 하툴홀더 제 4내주면(845)이 이격됨으로써, 상기 하기어(828)가 회전할 경우 상기 하툴홀더(840)와 상기 상기어(828)가 서로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다.The side surface portion 828c of the rear tooth and the four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45 of the harness hold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event the harrow holder 840 and the rear tooth 828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n the rear tooth 828 rotates. can do.

상기 하툴홀더(840)의 일측에는 상기 하툴홀더 제 3내주면(844)과 상기 하툴 홀더 제 4내주면(845)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통하는 하툴홀더 측면공간(848)이 형성된다.A holder holder side space 848 communicating with a space formed by the third inner peripheral surface 844 of the lower holder and the fourth inner peripheral surface 845 of the lower hold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holder 840.

상기 하툴홀더 측면공간(848)은 상기 하기어(828)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860)의 회전구동기어(868)와 상기 하기어(828)가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The load holder side space 848 allows the rotary gear 868 of the rotary drive unit 860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828 to engage with the rotary shaft 828.

상기 상기어(728) 및 하기어(828)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760)에 대해 도 8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rotation driving unit 760 for rotating the fisher 728 and the fisher 82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이하에서는 상기 상기어(728)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76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otation driving unit 760 for rotating the fisher 728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회전구동부(760)는 상유압모터(761)와, 상기 상유압모터(761)로부터 돌출된 축(762)과, 상기 상유압모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유압모터홀더(763)와, 상기 축(762)과 결합하는 회전구동기어(768)와, 상기 기어(768)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하는 제 3베어링(770)을 포함한다.The rotation driving unit 760 includes an upper hydraulic motor 761, a shaft 762 protruded from the upper hydraulic motor 761, an upper hydraulic motor holder 763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And a third bearing 770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ortion of the gear 768. [

먼저 상유압모터(761)는 상기 상형의 상기어(728)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phase hydraulic motor 761 serves to drive the upper gear 728.

상기 상유압모터(761)의 외측에는 상기 상유압모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유압모터홀더(763)가 구비되며, 상기 상유압모터로부터 축(762)이 아래방향으로 돌출된다. An upper hydraulic motor holder 763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761 and a shaft 76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 hydraulic motor.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은 상기 회전구동기어의 관통공(769)에 결합한다.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769 of the rotary drive gear.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과 결합한 상기 회전구동기어(768)를 감싸는 상베어링 커브(771)가 상기 상유압모터의 하단에 결합된다. An upper bearing curve 771 surrounding the rotary drive gear 768 coupled with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상기 상베어링 커브(771)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을 통해 상기 회전구동기어(768)가 상기 상형의 상기어(728)와 맞물릴 수 있다.A space is formed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earing curve 771, and the rotation driving gear 768 can be engaged with the upper gear 728 through the space.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과 결합한 회전구동기어의 전면부(768a) 또는 후면부(768b)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며, 이를 제 3베어링(770)이라 한다. A bearing is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768a or the rear portion 768b of the rotary drive gear coupled with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and is called a third bearing 770.

상기 제 3베어링(770)은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과 결합한 회전구동기어(768)가 상기 상유압모터(761)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할 경우,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과 결합한 회전구동기어(768)가 상기 상유압모터홀더(763)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third bearing 770 is connected to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when the rotary drive gear 768 coupled with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rotates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761, So that the rotary drive gear 768 coupled to the upper hydraulic motor holder 763 can be easily rotated.

또한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과 결합한 회전구동기어(768)가 상기 상베어링커브(771) 안에서 안정하게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rotary drive gear 768 coupled with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is rotatably supported while being stably supported in the upper bearing curve 771.

상기 제 3베어링(770)은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과 결합한 회전구동기어의 전면부(768a) 또는 후면부(768b)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bearing 77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768a or the rear portion 768b of the rotary drive gear coupled with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즉,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과 결합한 회전구동기어의 전면부(768a)에 상기 제 3베어링(770)이 구비될 경우, 상기 회전구동기어(768)가 상기 상베어링 커브(771)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third bearing 770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768a of the rotary drive gear coupled with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the rotation drive gear 768 is coupled to the upper bearing curve 771, As shown in Fig.

만약 상기 회전구동기어(768)와, 상기 회전구동기어의 전면부(768a)에 상기 제 3베어링(770)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이 아래방향으로 돌출될 경우, 상기 회전구동기어(768)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If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protrudes downward even when the rotary drive gear 768 and the third bearing 770 ar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768a of the rotary drive gear,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gear 768 may not be easy.

또한 상기 회전구동기어(768)가 상기 상베어링 커브(771) 안에서 안정하게 지지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he rotation drive gear 768 is not stably supported within the phase bearing curve 771.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구동기어의 후면부(768b)에도 상기 제 3베어링(77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구동기어(768)의 원활한 회전 및 안정적인 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case, the third bearing 770 is also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768b of the rotation driving gear, so that the rotation driving gear 768 can smoothly rotate and rotate stably.

상기 상유압모터의 축(762)과 결합한 회전구동기어(768)는 상기 상유압모터(76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형의 상기어(728)를 회전구동시키며, 결국 상기어의 하면부(728b)와 볼트로 고정결합한 상기 상성형툴(730)이 회전하게 된다.The rotary driving gear 768 coupled with the shaft 762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761 to rotationally drive the upper rotary gear 728, 728b and the phase-shaping tool 730 fixed by bolts are rotated.

상기 회전구동부(760)에는 상유압모터의 축(762)과 결합한 회전구동기어(768)와 상기 상형의 상기어(728)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775)가 구비될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76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driving gear 768 coupled with the shaft 762 of the hydraulic motor and a connecting gear 775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gear 728 and the rotary driving gear 768.

상기 연결기어(775)는 상기 상유압모터(761)의 구동력을 상기 상형의 상기어(728)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necting gear 775 serves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upper hydraulic motor 761 to the upper gear 728.

상기 연결기어(775)의 중심에는 관통공(77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777)에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A through hole 777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gear 775, and a bearing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777.

상기 베어링을 제 4베어링(780)이라 하며, 상기 제 4베어링(780)은 후술하는 연결축(776)에 대하여 상기 연결기어(775)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bearing is referred to as a fourth bearing 780 and the fourth bearing 780 allows the connection gear 775 to rotate smoothly with respect to a connection shaft 776 described later.

상기 베어링의 외륜은 상기 연결기어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베어링의 내륜은 상기 연결축(776)과 접한다.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ng gear, and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shaft 776.

상기 베어링의 내륜의 하단부에 와셔(778)가 위치하며, 상기 와셔(778)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축(776)과 볼트로 고정결합한다.A washer 778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and the washer 778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inner ring of the bearing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nection shaft 776 with a bolt.

전술한 상형의 상기어(728)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760)에 대응되도록 하형의 하기어(828)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860)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rotation driving unit 860 for rotating the lower teeth 828 of the lower mol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riving unit 760 for rotating the upper teeth 728 of the above-described shape is form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크라운 공정으로 크라운 공정이 완료된 제 7차제품(700)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venth product 700 having completed the crown process according to the crow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by the following method.

먼저 아이어닝 공정을 마친 제 6차제품(600)을 상기 하패드(825)에 올려놓는다.First, the sixth product 600 having undergone the ironing process is placed on the lower pad 825.

상기 제 6차 제품의 외통부(601)를 상기 하성형툴(830)과 상기 하펀치(822) 사이의 공간(836)에 배치한다. The outer tube 601 of the sixth product is disposed in the space 836 between the lower forming tool 830 and the lower punch 822. [

상기 하성형툴과 상기 하펀치 사이의 공간(836)은 상기 하성형툴의 곡면(834)과 상기 하성형툴의 내측저면(835)이 상기 하펀치의 외주면(825a)과 이루는 공간이다.The space 836 between the lower forming tool and the lower punch is a space formed by the curved surface 834 of the lower forming tool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835 of the lower forming tool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825a of the lower punch.

상기 제 6차제품의 연결부(610)의 내측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이 상기 하펀 치(822)의 상부에 형성된다.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connecting portion 610 of the sixth produc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unch 822.

상기 제 6차제품의 연결부(610)의 외측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이 상기 상패드(725)의 하부에 형성된다.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onnecting portion 610 of the sixth produc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d 725.

상기 상프레스를 작동시키면 상기 상형이 하강하면서 상기 상형(720a)과 상기 하형(720b)은 서로 근접하게 된다.When the upper press is operated, the upper mold is lowered and the upper mold 720a and the lower mold 720b come close to each other.

상기 상형(720a)과 상기 하형(720b)이 정해진 값 이상으로 근접하는 것이 근접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되면, 유압모터(761, 861)가 작동하게 된다.When the proximity sensor (not shown) detects that the upper die 720a and the lower die 720b are close to each other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hydraulic motors 761 and 861 are operated.

따라서 상기 유압모터의 축(762, 862)과 결합한 회전구동기어(768, 868)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구동기어(768, 868)와 맞물린 상기 상형의 상기어(728) 및 상기 하형의 하기어(828)도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The rotary drive gears 768 and 868 coupled with the shafts 762 and 862 of the hydraulic motor are rotated and the upper gear 728 and the lower gear shaft 768 engaged with the rotary drive gears 768 and 868, And the finger 828 rotates in conjunction therewith.

상기 상형의 상기어의 하면부(728b)에 상기 상성형툴(730)이 볼트로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형의 하기어의 상면부(828a)에 상기 하성형툴(830)이 볼트로 고정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성형툴(730,830)도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The phase forming tool 73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728b of the upper mold by bolts and the lower forming tool 83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828a of the lower mold by bolts So that the forming tools 730 and 830 are also rotat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상형(720a)과 상기 하형(720b)이 더욱 근접하게 됨으로써, 결국 상기 상형의 상펀치(722)의 하부와 상기 하패드(825)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826)가 서로 접촉하고, 상기 상패드(725)의 하부와 상기 하펀치(822)의 상부가 제 6차 제품(600)을 중간에 두고 인접하게 된다.The upper mold 720a and the lower mold 720b become closer to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unch 722 and the protrusion 826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ad 825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pad 725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unch 822 are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sixth product 600 interposed therebetween.

즉, 상기 제 6차제품(600)의 연결부(610) 아래쪽에는 상기 하펀치의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6차제품(600)의 연결부(610) 위쪽에는 상기 상패드의 돌출부가 배치된다. That is, the protrusion of the lower punch is disposed below the connection portion 610 of the sixth product 600, and the protrusion of the upper pad is disposed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610 of the sixth product 600.

상기 상프레스가 계속 작동됨에 따라, 상기 상형(720a)의 하강이 계속된다. As the upper press continues to be operated, the lowering of the upper die 720a continues.

따라서, 상기 상형(720a)의 상패드(725)는 상기 상패드(725)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스프링(727)을 밀면서 위로 올라가고, 상기 하형(720b)의 하패드(825)는 상기 쿠션핀(829)에 의한 쿠션압력을 받으면서 하강하게 된다. The upper pad 725 of the upper mold 720a pushes up the spring 727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pad 725 and the lower pad 825 of the lower mold 720b moves upwardly 829 in response to the cushion pressure.

상기 상형(720a)의 상펀치(722)와 상기 하형(720b)의 하패드(825)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 6차제품(600)의 외통부(601)는 상기 하성형툴과 상기 하펀치사이의 공간(836)에 배치되며, 상기 상형(720a)의 하강이 계속됨에 따라,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단부(601a)는 성형툴(730,8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압된다.The outer tube 601 of the sixth product 600 disposed between the upper punch 722 of the upper die 720a and the lower pad 825 of the lower die 720b is connected to the lower molding tool, As the upper mold 720a continues to be lowered, the end portion 601a of the outer tube of the sixth product is press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molding tools 730 and 830.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외주면(601b)은 상하방향의 가압에 의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크라운이 형성되어 진다. Therefo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of the sixth product is formed with a convexly convex crown by upward and downward pressing.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툴(730,830)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구동기어(768,868)와 연동하여 회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orming tools 730 and 830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driving gears 768 and 868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따라서, 상기 제 6차제품(600)의 외통부의 단부(601a)는 상하방향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회전한다.Therefore, the end portion 601a of the outer tube of the sixth product 600 is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otated at the same time.

상기 상성형툴(730)과 상기 하성형툴(83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 6차제품(600)의 외통부(601)에의 크라운의 형성 및 외경과 두께의 균 일화를 더욱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다.When the phase shaping tool 730 and the lower shaping tool 830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formation of the crowns on the outer cylinder 601 of the sixth product 600 and the uniformity of the outer diameter and the thickness Can be achieved quickly.

상기 크라운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상프레스(미도시)가 작동을 시작함에 따라, 상기 상형(720a)과 상기 하형(720b)은 서로 멀어지게 된다. When the crown process is completed, the upper mold 720a and the lower mold 72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the upper press (not shown) starts operating.

상기 상형(720a)과 상기 하형(720b)이 정해진 값 이상으로 멀어지게 되는 것이 근접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유압모터(761,861)는 작동을 멈춘다.When the upper mold 720a and the lower mold 720b are moved away from the predetermined value by a proximity sensor (not shown), the hydraulic motors 761, 861 stop operating.

이때 상기 하패드(825)는 상기 쿠션핀(829)에 의해 공기쿠션압력을 받으면서 위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상형(720a)과 상기 하형(720b)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 후 크라운 형상의 성형이 완성된 풀리(제 7차제품, 700)를 취출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ad 825 is raised by the air cushion pressure by the cushion pin 829, and after the upper mold 720a and the lower mold 720b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e finished pulley (seventh product, 700) may be taken out.

상기 제 6차제품(600)의 외통부의 단부(601a)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압하여, 외통부(601)에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크라운이 형성되는 동안, 상기 외통부의 외주면(601b)에는 내측방향으로 회전가압력이 작용한다.The end portion 601a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sixth product 600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portion is rotated in the inward direction while the crown is formed outwardly convexly on the outer tube portion 601 Pressure is applied.

즉,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단부(601a)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압하여, 상기 외통부(601)에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크라운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통부의 외주면(601b)은 상기 하성형툴의 곡면(834)과 접하게 된다.That is,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end portion 601a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sixth product vertically and forming a crown convex outwardly on the outer tube portion 60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portion is formed by the lower molding And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834 of the tool.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1) 먼저, 상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전 상태인, 아이어닝 공정이 완료된 제품(600)은 상기 외통부(601)의 두께 불균일이 있으며, 상기 외통부의 외주면(601b) 은 파형 형태를 이루며 4군데는 직경이 크고, 4군데는 직경이 작은 부분이 형성된다. 1) First, the product 600 that has undergone the ironing process in a state before pressuriza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has a thickness unevenness of the outer tube 60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has a wave shape, And four small-diameter portions are formed.

2)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단부(601a)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압하기 시작하면,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601)에 바깥 쪽으로 크라운이 형성되기 시작한다.2) When the end portion 601a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sixth product starts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rown starts to form outwardly in the outer tube portion 601 of the sixth product.

3)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외주면(601b) 가운데 외경이 가장 큰 부분 의 일부분이 상기 회전하는 성형툴(730,830)과 먼저 접촉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외주면(601b) 가운데 외경이 가장 큰 부분의 일부분은 상하방향의 힘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3) A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part of the sixth produ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tating forming tool 730, 83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part of the sixth product, A part of the portion having the largest outer diameter of the center is subjected not only to the upward and downward forces but also to the circumferential forces.

4) 상기 상형(720a)과 상기 하형(720b)이 더욱 근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 6차 제품(600)은 더욱 눌러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외주면(601b)의 전체가 상기 성형툴(730, 830)의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4) As the upper mold 720a and the lower mold 720b are brought closer to each other, the sixth product 600 is further pressed, whereby the entirety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601b of the sixth produc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orming tools 730 and 830.

이때,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외주면(601b) 가운데 외경이 큰 부분은 상기 성형툴(730,83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정도가 크며, 외경이 작은 부분은 상기 성형툴(730,83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정도가 작다.Th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of the sixth product is larg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ing tools 730 and 830. The portion of small outer diameter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ing tools 730 and 830 .

5) 결국,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외주면(601b)은 상하방향의 힘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의 힘을 전체적으로 받게 되고, 소성흐름에 의한 소재의 상하 방향과 원주방향의 흐름이 더욱 원활해진다. 5) Final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01b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sixth product is entirely subjected not only to the upward and downward forces but also to the circumferential forces, and the flow of the materi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comes more smooth by the firing flow .

따라서,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601)는 외경과 두께가 균일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601)가 전체적으로 상기 성형툴(730,830)과 접촉함에 따라 압축응력을 받게 되므로, 완성품의 내구성의 향상도 가능하다.(C-C 단면)Accordingly, the outer tube 601 of the sixth product is not only uniform in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but also receives compressive stress as the outer tube 601 of the sixth product contacts the forming tool 730, 830 as a whole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finished product. (CC section)

또한,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601)의 외경 균일화를 정밀절삭 등의 기계가공이 아닌 소성변형에 의해 달성하므로, 소재의 단류선의 흐름이 연속적이며, 이러한 소재의 연속적인 단류선은 완성품의 우수한 강도 및 기계적 성질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external diameter uniformization of the outer tube 601 of the sixth product is accomplished by plastic deformation instead of machining such as precision cutting, the flow of the end stream of the material is continuous, Excellent strength and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assured.

금속판재의 가공시 흔히 발생하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을 방지 내지는 감소할 수 있으므로, 크라운 성형공정이 완료된 풀리의 외통부의 치수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spring back phenomenon often occurring in the machining of the metal plate can be prevented or reduced, so that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pulley having completed the crown forming process can be improv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601)에 크라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단부(601a)는 상하방향의 힘을 받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rowns on the outer tube 601 of the sixth product, the ends 601a of the outer tube of the sixth product are subjected to upward and downward forces.

이때,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단부(601a)에는 상하방향의 힘 뿐만 아니라, 외통부의 단부(601a)가 상기 하성형툴의 내측저면(835)과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단부(601a)의 둘레에 걸쳐 원주방향의 힘이 동시에 작용한다.At this time, the end portion 601a of the outer tube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surface 835 of the under-molding tool as well as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end portion 601a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sixth product, The circumferential force acts simultaneously around the end portion 601a of the end portion 601a.

이와 같이 상기 외통부의 단부(601a)에 미끄러지며 작용하는 원주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외통부의 단부(601a)가 매끈하게 마무리 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this way, the end portion 601a of the outer tube can be smoothly finished by the circumferential force that slips and acts on the end 601a of the outer tube.

도 8은 아이어닝 공정을 마친 제 6차제품(600)과 크라운 공정을 마친 제 7차제품(700)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product 600 after the ironing process and a seventh product 700 after the crowning process.

상기 제 6차제품(600)의 외통부(601)에서 두께와 외경부가 불균일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크라운 공정을 마친 상기 제 7차제품(700)에서 두께와 외경부가 균일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The thickness and outer diameter of the outer tube 601 of the sixth product 600 are shown to be uneven and the thickness and outer diameter of the seventh product 700 after the crown process are unifor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도 1은 본 발명의 블랭킹 공정을 마친 제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blank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품의 사시도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차 부가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first car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차 부가드로잉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second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피어싱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아이어닝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ished product of the iron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크라운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wn-finish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크라운 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duct after completion of the cr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크라운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cr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크라운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확대 단면도.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cr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크라운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확대 단면도.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cr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풀리의 크라운 성형방법의 순서도.12 is a flow chart of a crown forming method of the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 제 1차제품 101 : 제 1차제품의 단부 100: first product 101: end of the first product

200 : 제 2차제품 201 : 제 2차제품의 측면부200: Second product 201: Side part of the second product

202 : 제 2차제품의 측면부의 단부 203 : 제 2차제품의 곡면부202: end por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secondary product 203: curved portion of the secondary product

204 : 제 2차제품의 중심부 204: the center of the secondary product

300 : 제 3차제품 301 : 제 3차제품의 외통부300: Third product 301: Third product outer tube

302 : 제 3차제품의 내통부 305 : 제 3차제품의 바닥부302: Inner tube of the third product 305: Bottom of the third product

310 : 제 3차제품의 연결부 311 : 제 3차제품의 볼록부310: connection part of the third product 311: convex part of the third product

312 : 제 3차제품의 경사부312: inclined portion of the third product

400 : 제 4차제품 401 : 제 4차제품의 외통부400: The fourth product 401: The outer tube of the fourth product

402 : 제 4차제품의 내통부 406 : 제 4차제품의 제 1바닥부402: Inner tube portion of the fourth product 406: First bottom portion of the fourth product

407 : 제 4차제품의 제 2바닥부 408 : 제 4차제품의 바닥 연결부407: second bottom part of the fourth product 408: bottom connection part of the fourth product

410 : 제 4차제품의 연결부 411 : 제 3차제품의 볼록부410: connection part of the fourth product 411: convex part of the third product

412 : 제 3차제품의 경사부412: inclination part of the third product

500 : 제 5차제품 501 : 제 5차제품의 외통부500: Fifth product 501: External part of the fifth product

502 : 제 5차제품의 내통부 505 : 제 5차제품의 중공부502: Inner tube portion of the fifth product 505: Hollow portion of the fifth product

509 : 제 5차제품의 바닥부 510 : 제 5차제품의 연결부509: bottom part of the fifth product 510: connection part of the fifth product

511 : 제 5차제품의 볼록부 512 : 제 5차제품의 경사부511: convex part of the fifth product 512: inclined part of the fifth product

600 : 제 6차제품 601 : 제 6차제품의 외통부600: The sixth product 601: The outer tube of the sixth product

601a :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단부 601b : 제 6차제품의 외통부의 외주면601a: an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sixth product 601b: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sixth product

602 : 제 6차제품의 내통부 602a : 제 6차제품의 내통부의 내주면602: inner tube portion of the sixth product 602a: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portion of the sixth product

602b : 제 6차제품의 내통부의 외주면 602b: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of the sixth product

605 : 제 6차제품의 중공부605: Hollow part of the sixth product

609 : 제 6차제품의 바닥부 610 : 제 6차제품의 연결부609: bottom part of sixth product 610: connection part of sixth product

611 : 제 7차제품의 볼록부 612 : 제 7차제품의 경사부611: convex part of the seventh product 612: inclined part of the seventh product

615 : 제 7차제품의 내통부와 외통부 사이의 공간615: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of the seventh product

700 : 제 7차제품 720 : 크라운 장치700: Seventh product 720: Crown device

720a : 상형 720b : 하형720a: upper figure 720b: lower figure

721 : 상홀더 722 : 상펀치721: phase holder 722: upper punch

725 : 상패드 726 : 상패드의 플랜지725: phase pad 726: flange of phase pad

727 : 스프링 728 : 상기어727: spring 728:

728a : 상기어의 상면부 728b : 상기어의 하면부728a: upper surface portion 728b of the fisher:

728c : 상기어의 측면부728c:

729 : 스페이서 730 : 상성형툴729: spacer 730: phase forming tool

740 : 상툴홀더 741 : 상툴홀더의 관통공740: phase holder 741: through-hole of phase holder

742 : 상툴홀더 제 1내주면 743 : 상툴홀더 제 2내주면742: phase holder holder first inner peripheral surface 743: phase holder holder second inner peripheral surface

744 : 상툴홀더 제 3내주면 745 : 상툴홀더 제 4내주면744: phase holder holder third inner peripheral face 745: phase holder holder fourth inner peripheral face

746 : 상툴홀더 제 5내주면 747 : 상툴홀더 제 6내주면746: phase holder holder fif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7: phase tool holder six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748 : 상툴홀더 측면공간 750 : 상형 제 1베어링748: Phase holder side space 750: Upper first bearing

751 : 상형 제 1베어링의 상면 752 : 상형 제 1베어링의 측면751: Upper surface of the upper die first bearing 752: Side surface of the upper die first bearing

755 : 상형 제 2베어링755: Upper bearing second bearing

760 : 회전구동부 761 : 상유압모터760: rotation drive part 761: phase hydraulic motor

762 : 상유압모터의 축 763 : 상유압모터홀더762: Axis of the phase hydraulic motor 763: Phase hydraulic motor holder

768 : 회전구동기어 768a : 회전구동기어의 전면부768: rotation drive gear 768a: front end of the rotation drive gear

768b : 회전구동기어의 후면부 769 : 회전구동기어의 관통공768b: rear portion of rotation drive gear 769: through hole of rotation drive gear

770 : 제 3베어링 771 : 상베어링 커브770: third bearing 771: phase bearing curve

775 : 연결기어 776 : 연결축775: connecting gear 776: connecting shaft

777 : 연결기어 관통공 778 : 와셔777: Connecting gear through ball 778: Washer

780 : 제 4베어링780: Fourth bearing

821 : 하홀더 822 : 하펀치821: Lower holder 822: Lower punch

823 : 하펀치고정판 824 : 받침판 823: Lower punch fixing plate 824:

825 : 하패드 825a : 하패드의 외주면825: lower pad 825a: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ad

825b : 하패드의 걸림부 826 : 하패드의 돌기825b: latching portion of the lower pad 826: projection of the lower pad

828 : 하기어 829 : 쿠션핀828: Hua 829: Cushion pin

828a : 하기어의 상면부 828b : 하기어의 하면부828a: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828b:

828c : 하기어의 측면부828c:

830 : 하성형툴 831 : 하성형툴 하면830: Lower forming tool 831: Lower forming tool

832 : 하성형툴 상면 833 : 하성형툴 연결면832: Lower shaping tool upper surface 833: Lower shaping tool connecting surface

834 : 하성형툴 곡면 835 : 하성형툴 내측저면834: Lower shaping tool curved surface 835: Lower shaping tool inner lower surface

836 : 하성형툴과 하펀치 사이의 공간836: Space between lower forming tool and lower punch

840 : 하툴홀더 841 : 하툴홀더의 관통공840: Haul holder 841: Through hole of the holder

842 : 하툴홀더 제 1내주면 843 : 하툴홀더 제 2내주면842: first holder inner surface 843: second holder inner surface

844 : 하툴홀더 제 3내주면 845 : 하툴홀더 제 4내주면844: thir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845: four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holder

848 : 하툴홀더 측면공간 850 : 하형 제 1베어링848: Haatul holder side space 850: Lower bearing first bearing

851 : 하형 제 1베어링의 상면 852 : 하형 제 1베어링의 측면851: upper surface of lower bearing first bearing 852: side surface of lower bearing first bearing

855 : 하형 제 2베어링855: Lower bearing second bearing

860 : 회전구동부 861 : 하유압모터860: rotation drive part 861: lower hydraulic motor

862 : 하유압모터의 축 863 : 하유압모터홀더862: shaft of lower hydraulic motor 863: lower hydraulic motor holder

868 : 회전구동기어 868a : 회전구동기어의 전면부868: rotation drive gear 868a: front end of the rotation drive gear

868b : 회전구동기어의 후면부 869 : 회전구동기어의 관통공868b: rear portion of the rotation drive gear 869: through hole of the rotation drive gear

870 : 제 3베어링 871 : 하베어링 커브870: Third bearing 871: Lower bearing curve

875 : 연결기어 876 : 연결축875: Connecting gear 876: Connecting shaft

877 : 연결기어 관통공 878 : 와셔877: Connecting gear through ball 878: Washer

880 : 제 4베어링 880: Fourth bearing

Claims (1)

금속판재를 원형의 블랭크로 가공하는 블랭킹 공정단계;A blanking process step of processing the metal plate into a circular blank; 상기 블랭크를 외통부와 내통부, 상기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제품으로 성형하되, 상기 블랭크의 단부를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외통부의 단부에 파형을 형성하는 드로잉 공정단계;A drawing process step of forming the blank into a product having an outer tube portion and an inner tube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tube portion and the inner tube portion, and forming a corrugation at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portion by restraining the end portion of the blank; 드로잉 공정단계를 마친 제품의 두께 또는 크기를 조절하는 아이어닝 공정단계;An ironing process step of adjusting the thickness or size of the finished product of the drawing process;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통부에 바깥쪽으로 볼록한 크라운을 형성하는 크라운 공정단계를 포함하되,And a crown processing step of forming an outwardly convex crown on the outer tube of the ironing finished product, 상기 크라운 공정단계는, Wherein the crown processing step comprises: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통부의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동안 외통부의 외주면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되, 아이어닝이 완료된 제품의 외통부의 단부에는 상하방향의 가압력과 원주방향의 힘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의 크라운 성형방법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portion is pressed inward while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finished product is rotated and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a pressing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ircumferential force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tube portion of the finished product A method of forming a crown of a pulley
KR1020090015940A 2009-02-25 2009-02-25 Method for making crown of pulley KR101403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40A KR101403909B1 (en) 2009-02-25 2009-02-25 Method for making crown of pull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40A KR101403909B1 (en) 2009-02-25 2009-02-25 Method for making crown of pulle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701A Division KR100916577B1 (en) 2009-02-13 2009-02-13 Crown of pulley ma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845A KR20100092845A (en) 2010-08-23
KR101403909B1 true KR101403909B1 (en) 2014-06-09

Family

ID=4275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940A KR101403909B1 (en) 2009-02-25 2009-02-25 Method for making crown of pull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9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4434A1 (en) 2010-09-24 2012-03-29 Jun Seok Park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892B1 (en) * 1997-06-24 2001-06-01 심국보 Drawing apparatus of automobile engine pulle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346676A (en) * 2001-05-23 2002-12-03 Kojima Press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pulley having plural grooves
KR20060027922A (en) * 2004-09-24 2006-03-29 김호동 Manufacturing method of pulley for vehicle and crown making device the same
KR20070096136A (en) * 2006-01-26 2007-10-02 주식회사 구산 Apparatus for bending a pulle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892B1 (en) * 1997-06-24 2001-06-01 심국보 Drawing apparatus of automobile engine pulle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346676A (en) * 2001-05-23 2002-12-03 Kojima Press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pulley having plural grooves
KR20060027922A (en) * 2004-09-24 2006-03-29 김호동 Manufacturing method of pulley for vehicle and crown making device the same
KR20070096136A (en) * 2006-01-26 2007-10-02 주식회사 구산 Apparatus for bending a pull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845A (en)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4791B1 (en) Method of spin forming and part made thereof
KR101547741B1 (en) Method for producing tooth profile component, and device for producing tooth profile component
CA2615220C (en) Method for producing internal and external toothings on thin-walled, cylindrical hollow parts
GB208727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ulleys
KR101403909B1 (en) Method for making crown of pulley
KR0127877B1 (en) Method for wheels
JP2009061481A (en) Metal parts manufacturing method, core metal, and injection gear
KR100916577B1 (en) Crown of pulley making device
KR100885977B1 (en) 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
JP2009061503A (en) Metal parts manufacturing method, core metal, and injection gear
KR100583826B1 (en) Crown making device of pulley for vehicle
KR101151463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lange on a metal blank, and transmission part
CN107984039A (en) A kind of progressive die Screw thread process method
JP461905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mber having tooth profile forming portion
KR20090084295A (en) Crown making device and method of pulley for vehicle
KR100288892B1 (en) Drawing apparatus of automobile engine pulle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494933B1 (en) A press system for flange pressing
KR101293975B1 (en) Device for press die
CN220049735U (en) Automatic car stamping die of drawing of patterns
CN212551221U (en) Leaf spring mounting stamping forming frock
CN210334175U (en) Rolling expansion for profiling outer square groove bearing forge piece
CN107999616A (en) Progressive die mould tapping device
EP2407258B1 (en) Method for producing a pulley for motor vehicle applications and the lik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shaped peripheral races
CN202114088U (en) Cold extruding die for drive plate hub of automobile transmission
JP2000210754A (en) Forging method of crowning gear tooth of helical gear and forging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