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645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645B1
KR101403645B1 KR1020120045779A KR20120045779A KR101403645B1 KR 101403645 B1 KR101403645 B1 KR 101403645B1 KR 1020120045779 A KR1020120045779 A KR 1020120045779A KR 20120045779 A KR20120045779 A KR 20120045779A KR 101403645 B1 KR101403645 B1 KR 10140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information
learning
unit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438A (ko
Inventor
고명진
Original Assignee
고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동현 filed Critical 고동현
Priority to KR102012004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64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일일 단위로 설정된 시간 동안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학습자 또는 평가자로부터 회원 가입을 신청받고, 회원 가입시 입력된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각 학습자가 스케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스케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각 학습자별로 준비 학습 평가를 수행하도록 스케줄링하는 스케줄 관리부; 상기 각 학습자의 요청시 또는 스케줄 관리부에 의한 스케줄 도래시 각 학습자에게 해당하는 문제를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각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1회 분량의 문제를 생성하는 문제 생성부; 상기 문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문제 정보를 해당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문제 전송부; 상기 전송된 문제에 대한 학습이 종료되고 각 학습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문제 풀이 과정이 포함된 노트 이미지를 수신하는 노트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노트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노트 이미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해당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평가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 READY STUDYING USING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일일 단위로 설정된 시간 동안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들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일반 휴대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사용자들이 많이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휴대폰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폰으로서,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기능, 인터넷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이 추가되며, 다양한 입력 방식과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되어 사용에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뱅킹, 게임 등 단말기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아울러,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운영 체제(OS) 또는 전용 운영 체제를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스마트폰 내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전용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들과 콘텐츠(content)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오늘날의 유비쿼터스 시대에 있어 편리함은 필수 요소이다. 이에 따라, 정보 통신 기술이 융합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삶의 질을 높이고 편리함을 가져다주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더불어 인터넷의 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방식이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다.
통상 사용되는 학습 방식으로, 인터넷상의 학습 콘텐츠 제공 방식이 있다. 학습 콘텐츠 제공 방식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가 인터넷상에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를 미리 구축하고, 학습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축된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며, 그에 따른 학습 콘텐츠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의 편리함, 학습에 따른 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학습 방식의 서비스 이용자는 급증하는 추세이다. 또한,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와 더불어 무선 인터넷을 통한 학습 정보 제공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인터넷상의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0939호의 "이동 단말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박세환)"(문헌 1)에는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는 학습 관련 데이터 중에서 제2 사용자의 이동 단말의 요청에 부합하는 학습 관련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2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면, 이동 단말에 탑재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화면 출력 방식에 따라 이동 단말의 화면에 다양하게 표시함으로써 제2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 단말을 이용한 학습 방법은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학습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화면 크기가 작은 이동 단말을 장시간 들여다 볼 수 없으므로 제대로 된 학습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문제 풀이 과정 등의 입력이 불가능하므로 학습 결과 및 평가에 한계점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0939호 이동 단말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박세환) 2011.07.13
본 발명의 목적은 매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고,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타이머에 의해 정기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문제를 풀이한 노트를 학습자 단말을 통해 촬영하고, 이를 서버에서 확인하여 평가함으로써 실질적인 학습 평가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해당 문제에 대한 설명을 요청할 경우, 서버로부터 해당 문제에 대한 설명 내용이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문제를 풀이한 노트를 학습자 단말을 통해 촬영하고, 이를 서버에서 평가자 단말로 제공하여 직접 평가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습 평가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문제를 풀이한 노트를 학습자 단말을 통해 촬영하고, 이를 서버에서 확인하여 평가하며, 각 학습자의 학습 시간 및 학습 결과를 포인트로 산출하여 랭킹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문제를 풀이하고 학습한 결과를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오답 노트의 효과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학습자 또는 평가자로부터 회원 가입을 신청받고, 회원 가입시 입력된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각 학습자가 스케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스케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각 학습자별로 준비 학습 평가를 수행하도록 스케줄링하는 스케줄 관리부; 상기 각 학습자의 요청시 또는 스케줄 관리부에 의한 스케줄 도래시 각 학습자에게 해당하는 문제를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각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1회 분량의 문제를 생성하는 문제 생성부; 상기 문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문제 정보를 해당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문제 전송부; 상기 전송된 문제에 대한 학습이 종료되고 각 학습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문제 풀이 과정이 포함된 노트 이미지를 수신하는 노트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노트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노트 이미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해당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평가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노트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노트 이미지로부터 비정상적으로 촬영되어 전송된 이미지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 필터링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학습자에 대한 일일 평가가 종료되면, 학습 내용, 노트 이미지,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미리 설정된 탬플릿에 따라 자동으로 가공 처리 및 편집하여 요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요약 정보를 요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요약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학습자가 특정 문제를 푸는 중에 상담을 요청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면, 해당 문제에 대한 상담 정보를 상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추출하여 해당 요청한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담 요청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각 학습자가 로그인할 경우, 준비 학습을 실행할 경우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부여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추가 포인트를 부여하여 누적하고, 상기 각 학습자별 포인트에 따라 랭킹을 설정하며, 상기 랭킹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랭킹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포인트 산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준비 학습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가, 회원 관리부에서, 각 학습자 또는 평가자로부터 회원 가입을 신청받고, 회원 가입시 입력된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스케줄 관리부에서, 상기 각 학습자가 스케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스케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각 학습자별로 준비 학습 평가를 수행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단계; 문제 생성부에서, 상기 각 학습자의 요청시 또는 스케줄 관리부에 의한 스케줄 도래시 각 학습자에게 해당하는 문제를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각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1회 분량의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 문제 전송부에서, 상기 문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문제 정보를 해당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노트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전송된 문제에 대한 학습이 종료되고 각 학습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문제 풀이 과정이 포함된 노트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평가 정보 처리부에서, 상기 노트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노트 이미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여 해당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포인트 산출부에서, 상기 각 학습자가 로그인할 경우, 준비 학습을 실행할 경우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부여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추가 포인트를 부여하여 누적하고, 상기 각 학습자별 포인트에 따라 랭킹을 설정하며, 상기 랭킹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랭킹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방법을 제공받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매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을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지속적이고 꾸준한 학습이 가능하며, 본격적인 공부에 앞서 뇌를 깨우고 집중할 수 있도록 워밍업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타이머에 의해 문제 풀이를 위한 시간 체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문제를 풀이한 노트를 학습자 단말을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학습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실질적인 학습 평가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해당 문제에 대한 설명을 요청할 경우, 서버로부터 해당 문제에 대한 설명 내용이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됨으로써 학습자가 미진한 부분에 대해 특히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의 학습 진행 및 학습 결과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고 이를 누적출하여 랭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비 학습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안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문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학습 결과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랭킹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상담 메일 전송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학습 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 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매일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0분) 동안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고, 매일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학습 테스트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학습 평가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매일 진행되며, 본격적인 학습에 앞서 뇌를 깨우고 집중할 수 있도록 워밍업하는 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학습 평가 진행시 사용자는 노트 등을 이용하여 직접 문제를 풀고, 상기 필기된 노트를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풀이 과정 등의 구체적인 채점 및 평가가 가능하다. 즉, 일일 테스트가 시작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타이머가 구동되고, 타이머가 종료될 때 테스트는 종료된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학습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구동시켜, 문제 풀이 과정이 적혀진 노트를 촬영하도록 한다. 상기 노트를 촬영한 이미지는 서버에서 평가자 단말로 전송하여 실질적인 학습 결과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해당 문제에 대한 설명을 요청할 경우, 서버로부터 해당 문제에 대한 설명 내용이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학습자가 학습자의 학습 시간 및 학습 결과는 포인트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산출된 포인트를 근거로 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학습자 단말(100), 통신 네트워크(110),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 및 평가자 단말(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0)에 본 발명에 따른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은 통신 네트워크(110)를 통해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즉, 상기 학습자 단말(100)에서는 상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부터 학습 관련 정보를 제공받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일 일정 시간 동안 테스트할 수 있는 평가 문제를 제공받는다. 한편, 학습자는 자신의 노트를 이용하여 제공된 평가 문제를 풀게 되며, 노트에 작성된 문제 풀이 결과는 학습자가 상기 학습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상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서는 상기 촬영된 문제 풀이 결과의 이미지 파일을 미리 할당된 평가자 단말(130)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문제 풀이 결과의 이미지 파일은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평가자 단말(130)에서 상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 접속하여 이미지 파일을 열람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서는 평가할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였음을 평가자 단말(130) 또는 평가자의 휴대 단말 등으로 통보할 수 있다.
한편, 평가자는 상기 평가자 단말(130)을 이용하여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 접속하고, 상기 문제 풀이 결과의 이미지 파일을 채점 또는 평가하며, 상기 채점 또는 평가 결과를 상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 등록한다.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서는 상기 등록된 평가 결과를 해당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상기 평가는 1일 마다 적어도 한 번 수행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학습자가 준비 학습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요청할 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가가 시작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0분)만 진행되며,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강제로 평가가 종료되도록 구현된다.
한편, 상기 학습자 단말(100)은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 가능하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학습자 단말(100)은 유무선 전화기를 비롯하여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카메라가 내장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 단말(1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1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유무선 공중 전화망을 비롯하여,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1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100)의 세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100)은 입력부(210)와 표시부(220)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카메라부(230), 제어부(240), 무선 통신부(250), 저장부(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60)는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26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상기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며, 학습자의 각종 선택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표시부(220)는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각종 메뉴 화면, 문제 화면 등을 제공한다.
한편, 학습자는 문제 풀이 결과를 노트 등을 통해 작성하고 상기 카메라부(230)를 통해 노트 이미지를 촬영한다. 상기 촬영된 노트 이미지 파일은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문제 풀이에 대한 평가 결과 정보, 포인트 정보, 랭킹 정보 등을 수신한다.
저장부(260)에 저장된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261)은 사용자의 실행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준비 학습 평가 및 학습 관리와 관련된 각종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컨대, 미리 설정된 준비 학습 평가 시간이 도래하거나, 학습자가 평가를 요청하면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와 접속하여 일정 시간(예컨대, 10분) 동안 평가할 수 있는 분량의 평가 문제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261)은 상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평가를 자동으로 종료시키고 카메라부(230)를 구동하여 문제 풀이한 노트를 촬영하도록 한다. 상기 노트가 촬영되면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부(26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은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자동으로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 전송 처리된다.
제어부(240)는 상기 각 기능부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260)의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261)이 실행되고 평가 타이머가 종료되어 카메라 구동을 지시하면, 카메라부(230)를 제어하여 문제를 푼 노트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노트 이미지를 저장부(260)에 저장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261)은 준비 학습 평가를 위한 각종 처리를 수행하는 일일 스터디 구동부(310)와 준비 학습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스터디 관리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일 스터디 구동부(310)는 문제 표시부(311), 타이머부(312), 카메라 제어부(313), 촬영 정보 생성부(314), 노트 정보 전송부(315) 및 피드백 요청부(3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문제 표시부(3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거나 학습자가 준비 학습을 요청할 경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부터 해당 문제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이를 표시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타이머부(3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준비 학습이 시작될 때 타이머를 구동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0분)이 경과하면 평가를 강제로 종료시킨다.
카메라 제어부(313)는 상기 타이머부(312)에 의해 평가가 종료되면, 학습자가 문제 풀이를 기록한 노트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구동시킨다. 상기 카메라 구동 후, 노트가 촬영되면, 촬영된 노트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며, 이때 촬영 정보 생성부(214)에서는 상기 촬영된 노트 이미지에 매핑된 촬영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시킨다. 예컨대, 상기 촬영 정보 생성부(214)에서 생성하는 촬영 정보로는 학습자 아이디, 학습 단원명, 학습 문제 식별 번호, 학습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촬영 정보는 저장부(26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된 노트 이미지를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때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트 정보 전송부(315)는 상기 촬영된 노트 이미지와 상기 자동 생성된 촬영 정보를 함께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드백 요청부(316)는 상기 평가 중 학습자가 특정 문제에 대한 설명을 요청하는 기능을 선택할 경우,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 문제의 고유한 식별 번호와 학습자의 아이디를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문제에 대한 설명 정보를 요청한다.
한편, 상기 스터디 관리부(320)는 스케줄 입력부(321), 복습 관리부(322), 예습 관리부(323), 히스토리 관리부(324), 랭킹 표시부(3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케줄 입력부(321)는 학습자의 학습 스케줄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준비 학습을 실행할 날짜, 요일, 시간, 주기 등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의 편의를 위해 달력 이미지 등과 같은 보조 수단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복습 관리부(322)는 학습자가 이미 학습한 과제 또는 단원에 대해 학습 결과 정보를 정리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복습 관리부(322)는 상기 학습자가 촬영한 노트 이미지,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평가 결과 정보 등을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학습한 과제 또는 단원에 대한 정리된 콘텐츠도 제공할 수 있다.
예습 관리부(323)는 다음날 평가할 학습 내용에 대해 미리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히스토리 관리부(324)는 학습자가 학습한 기록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 저장된 학습 기록을 수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랭킹 표시부(3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기록을 토대로 누적된 포인트로부터 전체 학습자의 랭킹을 산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비 학습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는 회원 관리부(401), 스케줄 관리부(402), 문제 생성부(403), 문제 전송부(404), 노트 정보 수신부(405), 이미지 필터링부(406), 평가 정보 처리부(407), 요약 정보 생성부(408), 상담 요청 처리부(409), 포인트 산출부(4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는 상기 각 기능부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들로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11), 스케줄 정보 데이터베이스(412),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413), 노트 정보 데이터베이스(414), 평가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415), 요약 정보 데이터베이스(416), 상담 정보 데이터베이스(417), 랭킹 정보 데이터베이스(418)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원 관리부(401)는 각 학습자 또는 평가자로부터 회원 가입을 신청받고, 회원 가입시 입력된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학습자 회원 또는 평가자 회원이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 로그인 요청할 때 로그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 관리부(402)는 각 학습자가 스케줄 입력부(321)를 통해 입력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스케줄 정보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하고,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각 학습자별로 준비 학습 평가를 수행하도록 스케줄링한다.
문제 생성부(403)는 각 학습자의 요청시 또는 스케줄 관리부(402)에 의한 스케줄 도래시 각 학습자에게 해당하는 문제를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413)로부터 추출하여 각 학습자 단말(100)로 제공할 1회 분량(예컨대, 1일 분량)의 문제(예컨대, 7문제 내지 10문제)를 생성한다.
문제 전송부(404)에서는 상기 문제 생성부(403)를 통해 생성된 문제 정보를 해당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노트 정보 수신부(4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해당 평가가 종료되고 각 학습자에 의해 촬영된 문제 풀이 과정이 포함된 노트 이미지를 수신한다.
이미지 필터링부(406)는 상기 수신된 노트 이미지로부터 비정상적으로 촬영된 또는 전송된 이미지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적절한 문제 풀이 결과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아닌 학습 내용과 관련 없는 이미지(예컨대, 음란물 등)가 포함된 경우, 이를 필터링하여 파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필터링부(406)의 필터링 결과 정상적인 노트 이미지로 판별될 경우 상기 노트 이미지를 노트 정보 데이터베이스(414)에 저장한다.
한편, 평가 정보 처리부(407)에서는 상기 저장된 노트 이미지는 각 평가자 단말(130)로 전송하거나, 평가자 단말(130)의 요청에 의해 열람될 수 있다. 상기 각 학습자에 매핑된 해당 평가자는 상기 노트 이미지를 확인하고 채점 또는 평가한다. 이때, 상기 노트 이미지상에 각종 이미지 편집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 결과를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평가 결과에 대한 이미지는 상기 노트 이미지와 다른 레이어(layer)로서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평가자가 평가한 평가 결과는 평가 정보 처리부(407)에서 평가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415)에 저장하며, 상기 평가 결과를 각 해당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100)로도 전송할 수 있다.
요약 정보 생성부(405)에서는 각 학습자에 대한 일일 평가가 종료되면, 학습 내용, 노트 이미지, 평가 결과 등의 정보를 미리 설정된 탬플릿에 따라 자동으로 가공 처리 및 편집하여 요약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요약 정보 데이터베이스(416)에 저장한다.
상담 요청 처리부(409)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자가 특정 문제를 푸는 중에 상담을 요청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면, 해당 문제에 대한 상담 정보를 상담 정보 데이터베이스(417)를 통해 추출하여 해당 요청한 학습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포인트 산출부(4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학습자가 로그인할 경우, 준비 학습을 실행할 경우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부여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추가 포인트를 부여하여 누적한다. 또한, 각 학습자별 포인트에 따라 랭킹을 설정하고, 상기 랭킹 정보 및 포인트 정보는 랭킹 정보 데이터베이스(418)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학습자 단말(100)에서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 회원으로 가입(S501)하고, 회원 정보를 전송(S502)한다. 상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는 해당 학습자를 회원 가입 처리하고 회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503)한다. 이때,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각 학습자에 대해 평가자를 지정하고 해당 지정된 평가자의 평가자 단말(130)로 학습자 매핑 정보를 전송(S504)할 수 있다.
한편, 각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100)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즉,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S505)하고 실행하며,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상에서 학습 스케줄을 설정(S506)한다. 상기 설정된 학습 스케줄 정보는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 전송(S507)되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서는 상기 각 학습자의 학습 스케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508)한다. 또한, 상기 저장된 스케줄 정보는 상기에서 지정된 해당 평가자 단말(130)로도 전송(S509)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학습 시간이 도래(S510)하면, 각 학습자에 맞는 문제를 추출하여 문제 정보를 생성(S511)한다. 또한, 상기 생성된 문제를 해당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S512)한다.
상기 학습자 단말(100)에서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타이머가 구동(S513)되고 문제 풀이가 시작된다. 상기 문제 풀이가 시작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0분)이 경과되어 타이머가 종료(S514)되면, 평가가 종료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학습자가 문제를 풀이한 노트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구동한다. 학습자는 자신이 작성한 풀이 노트를 촬영(S515)하고, 촬영된 노트 이미지 정보를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 전송(S516)한다.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서는 상기 전송된 노트 이미지 정보를 필터링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517)한다. 또한, 상기 노트 이미지 정보는 상기에서 지정된 평가자 단말(130)로 전송(S518)된다. 평가자는 상기 노트 이미지 정보를 확인하고 평가 결과 또는 채점 결과를 입력(S519)한다. 상기 평가자가 입력한 평가 결과는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로 전송(S520)되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서는 상기 평가 결과를 해당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S521)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준비 학습 관리 서버(120)에서는 상기 각 학습자의 활동(예컨대, 로그인, 학습 수행, 평가 결과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부여하고, 각 학습자의 누적 포인트에 따라 랭킹을 산출(S522)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실제 스마트폰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에 설치된 준비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항목들(600)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과목명이 표시되고, 10분 학습 소개 항목(Introduce 10m Study), 오늘의 10분 학습 항목(Today's 10m Study), 히스토리 항목(History), 랭크 항목(Rank), ID 항목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10분 학습 소개 항목을 선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학습 소개 내용(700)이 제공된다. 예컨대, 10분 학습에 대한 간단한 소개 글과, 이용 방법, 랭킹 제도 등과 같은 각종 기능들의 개략적인 소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에서 오늘의 10분 학습 항목을 선택하면 10분 학습이 시작되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제 화면(800, 900, 1000)이 제공된다.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타이머가 동작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문제로 진행하며, 전체 문제에 대한 타이머가 종료되면 학습이 종료된다.
한편, 상기 문제 화면 제공에 따라 학습자는 자신의 노트에 직접 문제를 풀고 답안을 기입하거나, 상기 학습자 단말의 화면상에서 정답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노트에 기재한 문제 풀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로 촬영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도 6의 메뉴에서 히스토리 항목을 선택하면 도 11과 같은 학습 이력 화면(1100)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총 학습한 날 수 및 획득한 점수 또는 각 학습일별 정오답 개수 등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의 메뉴에서 랭크 항목을 선택하면 도 12와 같은 랭킹 화면(1200)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 학습을 수행한 각 학습자들의 포인트별로 랭킹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에 대한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상담 메일 전송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 진행 도중 서버로 상담 메일을 발송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준비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학습 관리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준비 학습 수행과 관련된 각종 관리 정보들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열람, 오늘의 학습 결과, 내일의 예습 내용, 시험 과목, 학습 관리자 소개 항목 등의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학습자 단말 110 : 통신 네트워크
120 : 준비 학습 관리 서버 130 : 평가자 단말
210 : 입력부 220 : 표시부
230 : 카메라부 240 : 제어부
250 : 무선 통신부 260 : 저장부
261 : 준비 학습 응용 프로그램 310 : 일일 스터디 구동부
311 : 문제 표시부 312 : 타이머부
313 : 카메라 제어부 314 : 촬영 정보 생성부
315 : 노트 정보 전송부 316 : 피드백 요청부
320 : 스터디 관리부 321 : 스케줄 입력부
322 : 복습 관리부 323 : 예습 관리부
324 : 히스토리 관리부 325 : 랭킹 표시부
401 : 회원 관리부 402 : 스케줄 관리부
403 : 문제 생성부 404 : 문제 전송부
405 : 노트 정보 수신부 406 : 이미지 필터링부
407 : 평가 정보 처리부 408 : 요약 정보 생성부
409 : 상담 요청 처리부 410 : 포인트 산출부
411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412 : 스케줄 정보 데이터베이스
413 :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 414 : 노트 정보 데이터베이스
415 : 평가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416 : 요약 정보 데이터베이스 417 : 상담 정보 데이터베이스
418 : 랭킹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각 학습자 또는 평가자로부터 회원 가입을 신청받고, 회원 가입시 입력된 정보를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각 학습자가 스케줄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스케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각 학습자별로 준비 학습 평가를 수행하도록 스케줄링하는 스케줄 관리부;
    상기 각 학습자의 요청시 또는 스케줄 관리부에 의한 스케줄 도래시 각 학습자에게 해당하는 문제를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각 학습자 단말로 제공할 1회 분량의 문제를 생성하는 문제 생성부;
    상기 문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문제 정보를 해당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문제 전송부;
    상기 전송된 문제에 대한 학습이 종료되고 각 학습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문제 풀이 과정이 포함된 노트 이미지를 수신하는 노트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노트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노트 이미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노트 이미지 상에 상기 평가 결과에 대한 이미지가 상기 노트 이미지와는 다른 레이어(Layer)로 중첩되어 표시되어 해당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평가 정보 처리부;
    상기 노트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노트 이미지로부터 비정상적으로 촬영되어 전송된 이미지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 필터링부;
    상기 학습자에 대한 일일 평가가 종료되면, 학습 내용, 노트 이미지, 평가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미리 설정된 탬플릿에 따라 자동으로 가공 처리 및 편집하여 요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요약 정보를 요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요약 정보 생성부;
    상기 학습자가 특정 문제를 푸는 중에 상담을 요청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면, 해당 문제에 대한 상담 정보를 상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추출하여 해당 요청한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담 요청 처리부;
    상기 각 학습자가 로그인할 경우, 준비 학습을 실행할 경우 미리 설정된 포인트를 부여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추가 포인트를 부여하여 누적하고, 상기 각 학습자별 포인트에 따라 랭킹을 설정하며, 상기 랭킹 정보 및 포인트 정보를 랭킹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포인트 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은 스마트 단말로 구성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은,
    상기 스케줄 정보에 기초한 기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문제 전송부로부터 문제를 수신하는 문제 표시부, 상기 준비 학습이 시작될 때 타이머를 구동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평가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타이머부, 상기 타이머부에 의해 평가가 종료되면, 상기 학습자가 문제 풀이를 기록한 노트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카메라 구동 후 촬영된 노트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촬영된 노트 이미지에 매핑된 학습자 아이디, 학습 단원명, 학습 문제 식별 번호, 학습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촬영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된 노트 이미지와 상기 자동 생성된 촬영 정보를 함께 상기 노트 정보 수신부로 전송하는 노트 정보 전송부, 상기 학습자에 의해 문제에 대한 설명을 요청하는 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문제의 식별 번호와 학습자의 아이디를 상기 상담 요청 처리부로 전송하는 피드백 요청부를 포함하는 일일 스터디 구동부;
    상기 학습자의 준비 학습을 실행할 날짜, 요일, 시간,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설정하는 학습 스케줄을 입력받는 스케줄 입력부, 상기 학습자가 이미 학습한 과제 또는 단원에 대해 학습 결과 정보를 정리하여 제공하는 복습 관리부, 현재를 기준으로 그 다음 일자에 평가할 학습 내용에 대하여 미리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예습 관리부, 상기 학습자가 학습한 기록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스토리 관리부, 상기 학습자의 학습 기록을 기초로 하여 누적된 포인트로부터 전체 학습자의 랭킹을 산출하고 표시하는 랭킹 표시부를 포함하는 스터디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은 상기 준비 학습에 관련된 준비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준비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학습자 단말은, 상기 준비 학습을 실시할 과목명, 10분 학습 소개 항목(Introduce 10m Study), 오늘의 10분 학습 항목(Today's 10m Study), 히스토리 항목(History), 랭크 항목(Rank), ID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45779A 2012-04-30 2012-04-30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03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79A KR101403645B1 (ko) 2012-04-30 2012-04-30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79A KR101403645B1 (ko) 2012-04-30 2012-04-30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438A KR20130122438A (ko) 2013-11-07
KR101403645B1 true KR101403645B1 (ko) 2014-06-05

Family

ID=4985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779A KR101403645B1 (ko) 2012-04-30 2012-04-30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502B1 (ko) * 2015-12-02 2016-07-22 송재중 학습 검토 대기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507B1 (ko) * 2016-06-02 2018-06-22 황순신 오답노트를 제공하는 데이터 활용시스템
KR102027488B1 (ko) 2018-03-21 2019-10-01 더에이치알더 주식회사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법
KR102390676B1 (ko) * 2021-04-26 2022-04-26 김예원 학습자에게 학습 유형에 매칭되는 교수자를 추천하는 에듀테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08B1 (ko) * 2005-11-29 2007-05-07 오명석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교육 방법
JP2008233537A (ja) * 2007-03-20 2008-10-02 Root Co Ltd 学習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20090066825A (ko) * 2007-12-20 2009-06-24 김재우 예체능 실기 모의고사 시행시스템
KR20110005405A (ko) * 2009-07-10 2011-01-18 김상철 학습게임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08B1 (ko) * 2005-11-29 2007-05-07 오명석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교육 방법
JP2008233537A (ja) * 2007-03-20 2008-10-02 Root Co Ltd 学習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20090066825A (ko) * 2007-12-20 2009-06-24 김재우 예체능 실기 모의고사 시행시스템
KR20110005405A (ko) * 2009-07-10 2011-01-18 김상철 학습게임 제공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502B1 (ko) * 2015-12-02 2016-07-22 송재중 학습 검토 대기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438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92360A1 (en) System for online automated exam proctoring
Saf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phone-based travel survey
JP7440020B2 (ja) 情報処理方法、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30090949A1 (en) Therapy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ystem
CN105103182A (zh) 用于交互式实时的基于平板的教学的系统和方法
KR10140364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준비 학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900527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safe on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for alerting users of the status of their mental health
CN104486653A (zh) 一种基于网络互动的视频体感健身系统及其方法
CN109688475A (zh) 视频播放跳转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333774A (zh) 一种基于多模态交互的远程用户注意力评估方法及系统
CN105679130A (zh) 利用微信公众平台实现多校师生互动个性化学习的系统
JP6031010B2 (ja) ウェブラーニングシステム、ウェブラーニング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及びウェブラーニング方法
CN112152903A (zh) 通过即时通信应用进行的信息提供方法及系统
CN105100207A (zh) 家长对孩子上网的智能控制方法及其系统
JP2015102994A (ja) 学習・生活支援システム
CN1682213A (zh) 基于视讯的在线面试培训系统及方法
CN112382151B (zh) 一种线上学习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ediyono et al. Software requirement specification of intelligent system for monitoring and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CN105282305A (zh) 一种综合利用手机功能高效率的学习的方法
KR101562012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군사 교육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268512B (zh) 基于互联网平台的企业岗位职业技能培训系统
CN114999249A (zh) 一种基于云平台的远程教学系统、方法及存储介质
CN110322086A (zh) 一种基于智能硬件和云平台的教育板书考核系统
CN113361924A (zh) 一种用于优化教学质量的作业布置方法
US202102802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On-Demand Behavioral Insigh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