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506B1 -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및 이의 통합교전 방법 - Google Patents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및 이의 통합교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506B1
KR101403506B1 KR1020130039205A KR20130039205A KR101403506B1 KR 101403506 B1 KR101403506 B1 KR 101403506B1 KR 1020130039205 A KR1020130039205 A KR 1020130039205A KR 20130039205 A KR20130039205 A KR 20130039205A KR 101403506 B1 KR101403506 B1 KR 10140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pedo
information
control
sensor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수진
김기성
김은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3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9/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against submarines, torpedoes, or mines
    • B63G9/02Means for protecting vessels against torpedo att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8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marine torpedo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7Combinations of son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교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어뢰음향대항체계를 전투체계와 통합 운용할 수 있는 통합 교전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기 통합교전 시스템은 선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어뢰 정보를 센싱하는 고정형 센서;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정보를 바탕으로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제 1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전투체계; 및 실행된 제 1 교전 통제에 따라 기만기를 상기 어뢰쪽으로 발사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계 운용측면에서 어뢰음향대항체계를 전투체계와 통합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및 이의 통합교전 방법{Integrated warfare system for Torpedo Acoustic Counter Measure of a targ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합교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어뢰음향대항체계를 전투체계와 통합 운용할 수 있는 통합 교전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뢰음향대항체계를 전투체계와 통합 운용할 수 있는 통합 교전 방법에 대한 것이다.
어뢰(torpedo)란 수상함정이나 잠수함 또는 비행기로부터 발사되어 자체 추진 장치로 수중을 항주하여 수상함 또는 잠수함을 파괴하거나 격침시키는 무기체계를 말한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어뢰는 음향정보를 사용해 표적을 탐지/추적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음향추적 어뢰의 경우 이미 개발되어 있는 어뢰음향대항체계에 기만되어 표적 탐지 및 추적 성능이 저하된다.
즉, 어뢰음향대항체계(TACM: Torpedo Acoustic Counter Measure)는 어뢰의 공격으로부터 자함을 보호하기위해 기만기를 운용하는 방어무기체계이다. 어뢰음향대항체계의 일반적인 교전방법은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함미의 예인 음향센서로부터 어뢰의 음향신호를 탐지, 추적, 식별하고 운용자가 위협 어뢰에 대한 교전을 결심하면 전술통제콘솔을 이용해 전술을 산출하고 발사대를 이용하여 기만기를 발사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전술통제콘솔을 이용한 교전이 용이하지 않은 비상 상황에서는 발사 통제기를 이용해 함교에서 신속하게 제한된 정보로 어뢰 공격에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인 어뢰음향대항체계의 교전 방법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어뢰음향대항체계가 전투체계와 연동하면서 전투체계로 어뢰 위협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전투체계는 어뢰음향대항체계로부터 수집된 음향정보뿐만 아니라 타체계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즉 어뢰음향대항체계의 전투체계 및 타체계 센서와의 연동통합 운용성을 이용하여 운용자가 종합적인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전투체계가 어뢰음향대항체계의 발사대 제어권한을 갖는다면 전투체계는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전술을 산출하고 운용자의 결심에 따라 어뢰음향대항체계를 이용한 교전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어뢰음향대항체계가 보유하고 있던 운용개념에 전투체계 고유의 기능을 추가하여 어뢰 위협에 대응하는 통합적인 운용방안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정보 수집 및 교전 통제 방안의 도출이 요구되고 있다.
1.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037201호 2.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0979290호 3.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09743호
1. 박정민 외, "표적회피기동과 어뢰음향대항체계를 고려한 경어뢰의 효과도 분석", 한국시뮬레션학회 논문지 Vol.20, No.4, pp.1-11(2011.2)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어뢰음향대항체계를 전투체계와 통합 운용할 수 있는 통합 교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뢰음향대항체계를 전투체계와 통합 운용할 수 있는 통합 교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어뢰음향대항체계를 전투체계와 통합 운용할 수 있는 통합 교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통합 교전 시스템은,
선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어뢰 정보를 센싱하는 고정형 센서;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정보를 바탕으로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제 1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전투체계; 및
실행된 제 1 교전 통제에 따라 기만기를 상기 어뢰쪽으로 발사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뢰음향대항체계는, 상기 어뢰 정보를 센싱하는 예인형 센서;
상기 예인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 또는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제 2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발사통제기; 상기 예인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 또는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제 3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전술통제콘솔; 및 상기 제 1 교전 통제, 제 2 교전 통제, 및 제 3 교전 통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기만기를 발사하는 발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투체계는 선택적으로 상기 예인형 센서보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제 1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술통제콘솔은, 상기 전투체계로부터 제 1 교전 통제를 수신하거나 상기 발사통제기로부터 제 2 교전 통제를 수신하여 상기 발사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사대를 통제하는 우선순위는 전투체계, 전술통제콘솔, 발사통제기의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술통제콘솔은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제 1 어뢰 정보 및 운용자 경고에 대한 그램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램 데이터는 그래픽 형태이고, 1차 및 2차로 구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어뢰를 센싱하여 어뢰 정보를 생성하는 어뢰 정보 생성 단계;
센싱된 어뢰 정보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 단계;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고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상기 어뢰에 대한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교전 통제 실행 단계; 및
실행된 교전 통제의 우선순위에 따라 기만기를 상기 어뢰쪽으로 발사하는 기만기 발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어뢰 정보는 고정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정보 및 예인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전 통제는 전투체계에 의해 상기 제 1 어뢰정보 또는 제 2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실행되는 제 1 교전 통제, 발사통제기에 의해 제 1 어뢰 정보 또는 제 2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실행되는 제 2 교전 통제, 전술통제콘솔에 의해 제 1 어뢰 정보 또는 제 2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실행되는 제 3 교전 통제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전 통제 실행 단계는, 상기 전술통제콘솔이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제 1 어뢰 정보 및 운용자 경고에 대한 그램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계 운용측면에서 어뢰음향대항체계를 전투체계와 통합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성능 측면에서 전투체계가 어뢰음향대항체계의 교전통제 권한을 활용하여 운용자가 더 많은 정보를 활용하여 기만기를 운용함으로써 어뢰 경보에 대한 오경보율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타 체계 센서의 운용상황을 고려함으로써 어뢰음향대항체계의 전투체계 및 타체계 센서와의 연동통합 운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1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휘결심을 위한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지휘결심 유닛(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뢰음향대항체계에서 통합 교전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및 이의 통합교전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1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교전 시스템(10)은 크게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어뢰음향대항체계(100)와, 선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어뢰의 정보를 센싱하는 고정형 센서(20)와, 이 고정형 센서(20)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전투체계(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형 센서(20)에는 센싱된 어뢰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제 1 센서 신호 처리부(21) 등이 구성된다.
또한, 전투체계(30)에는 고정형 센서(20)로부터 처리된 어뢰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신호 획득부(31) 및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제 1 교전 통제부(32) 등이 구성된다.
물론, 어뢰음향대항체계(100)는 종합적으로 상황을 판단하고 결심하여 전술을 산출하는 지휘결심 유닛(미도시)과 음향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유닛(미도시), 기만기(미도시)를 발사하는 발사체 유닛(미도시)으로 분류될 수 있다. 어뢰음향대항체계(100)가 전투체계와 통합하고 선체 고정형 센서(20)와 연동하게 되면 어뢰음향대항체계는 통합시스템 측면에서 지휘결심 유닛으로 전투체계(30)가 추가되고 센서 유닛으로 선체 고정형 센서(20)가 추가된다.
부여하면, 어뢰음향대항체계(100)는 어뢰의 정보를 센싱하는 예인형 센서(110)와, 상기 예인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 또는 상기 고정형 센서(20)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제 2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발사통제기(120)와, 상기 예인형 센서(110)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 또는 상기 고정형 센서(20)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제 3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전술통제콘솔(130)과 상기 제 1 교전 통제, 제 2 교전 통제, 및 제 3 교전 통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기만기(미도시)를 발사하는 발사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고정형 센서(20)와 유사하게 예인형 센서(110)에도 제 2 센서신호처리부(111) 등이 구성되며, 발사통제기(120)에는 제 2 센서신호획득부(121) 및 제 2 교전 통제부(122) 등이 구성되고, 전술통제콘솔(130)에는 제 3 센서신호 획득부(131) 및 제 3 교전 통제부(132) 등이 구성된다.
또한, 발사대(140)에는 제 1 교전 통제 내지 제 2 교전 통제에 따라 기만기(미도시)의 발사를 제어 운용하는 발사대 운용부(141) 등이 구성된다. 여기서, 기만기(미도시)로는 주로 음향 기만기를 이용한다.
음향 기만기는 어뢰가 표적 탐지를 위해 송신한 음향신호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분석된 음향신호가 어뢰 송신신호일 경우 최대 기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만신호를 생성하여, 고준위 음압으로 증폭하여 송신한다. 음향 기만기에 의해 송신되는 기만신호는 표적 반사음을 모사한 신호로 어뢰가 수신할 경우 기만기를 표적으로 오인하게 만들어 기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신호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휘결심을 위한 유닛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지휘결심 유닛(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휘결심 유닛(200)은 크게 전투체계(30)와, 어뢰음향대항제계(100)내에 구비되는 전술통제콘솔(130)과, 어뢰음향대항제계(100)내에 구비되는 발사통제기(120)로 구성된다.
정보의 통합 및 융합 측면에서 우선순위는 전투체계(30), 어뢰음향대항체계의 전술통제콘솔(130), 어뢰음향대항체계의 발사통제기(120) 순으로 정한다.
통합적인 어뢰음향대항체계의 원활한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적절한 정보공유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인 음향정보의 공유를 위해서는 실시간 음향정보 신호처리에 따른 대용량의 정보 공유가 요구된다.
그러나, 공유 가능한 정보량의 제한으로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어뢰 위협 경고정보를 1차 및 2차로 구분하여 해당 경고에 대한 그램 데이터를 그래픽 형태로 전투체계(30)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의 용량을 최소화하고 교전에 필요한 정보 수집 요건을 만족한다. 선체 고정형 센서(20)의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전투체계(30)에 음향정보를 제공한다.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전술통제콘솔은 같은 체계의 예인형 센서(110)로부터는 획득된 모든 음향정보를 제공받아 신호처리하고 선체 고정형 센서(20)로부터는 표적화된 어뢰 위협 정보 및 해당 정보에 대한 경고 발생 시 그램 정보를 그래픽으로 제공 받는다.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발사통제기(140)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예인형 센서(110) 및 선체 고정형 센서(20)로부터 어뢰 위협에 대한 방위 신호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교전을 위한 통합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교전 구성은 아래의 표와 같다.
우선
순위
지휘결심 유닛 센서 유닛 발사체 유닛
1 전투체계(30) 어뢰음향대항체계
예인형 센서(110)
어뢰음향대항체계 발사대(140)
선체 고정형 센서(20)
2 어뢰음향대항체계의
전술통제콘솔(130)
어뢰음향대항체계
예인형 센서(110)
선체 고정형 센서(20)
3 어뢰음향대항체계의
발사통제기(140)
어뢰음향대항체계
예인형 센서(110)
선체 고정형 센서(20)
전투체계(30)는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예인형 센서(110) 및 선체 고정형 센서(20)로부터 상시적으로 어뢰 위협 정보를 수집하고 상황 발생 시 어뢰음향대항체계의 발사대(140)를 이용하여 교전을 수행한다.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전술통제콘솔(130)은 예인형 센서(110)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집하여 신호처리하고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한다.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전술통제콘솔(130)은 선체 고정형 센서(20)로부터 어뢰 위협 표적 정보 및 운용자 경고에 대한 그램 데이터를 제공 받고 상황 발생 시 발사대(140)를 이용하여 교전을 수행한다.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발사통제기(120)는 예인형 센서(110) 및 선체 고정형 센서(20)로부터 어뢰 위협 방위를 제공받고 발사대(140)를 운용하여 교전을 수행한다.
또한, 전투체계(30) 및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전술통제콘솔(130), 발사통제기(120)는 어뢰 위협에 대한 정보를 상시 수집하고 상황 발생 시, 발사대(140)의 교전 권한에 따라 전술 운용권을 보유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전투체계(30)가 발사대(140)의 운용권한을 가지고 있으면, 전술통제콘솔(130)과 발사통제기(120)는 발사대의 운용권이 없어 교전을 수행할 수는 없지만 어뢰 위협에 대한 모든 정보는 정상적으로 수집이 가능하다. 타 지휘 결심 유닛이 발사대 운용권을 보유하고 있을 때도 상황은 동일하다.
부연하여 교전을 위한 발사대(140)의 통제 권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합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교전 권한은 발사대(140)를 통제하는 것이다. 지휘결심 유닛은 어뢰음향대항체계(100)의 전술통제콘솔(130) 전면판에 위치한 발사대 운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발사대의 전원을 켬/끔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통합 어뢰음향대항체계(100)는 각 지휘결심 유닛의 독립적인 교전 통제권을 보전하기 위해서 다른 지휘결심 유닛이 교전 중일 경우 발사대 운용 스위치의 조작으로 임의 권한 변경이 불가하다.
모든 지휘결심 유닛은 스스로 발사대(140)의 전원을 끔으로써 발사대(140)의 운용권을 이양한다. 예를 들면 전술통제콘솔(130)이 발사대(140)를 켜서 운용하고 있다면 발사대(140)의 운용 스위치(미도시)를 발사통제기(120)로 이동하더라도 발사통제기(120)는 전술통제콘솔(130)이 발사대(140)의 스위치를 끄기 전까지 발사대(140)의 운용권한은 발사통제기(120)로 이양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뢰음향대항체계에서 통합 교전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형 센서(20) 및/또는 예인형 센서(110)가 어뢰를 센싱하여 어뢰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300).
신호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전투체계(30), 발사통제기(120) 또는 전술통제콘솔(1300은 센싱된 어뢰 정보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한다(단계 S310).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여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한 후 상기 어뢰에 대한 교전 통제를 실행하고, 실행된 교전 통제의 우선순위에 따라 기만기를 상기 어뢰쪽으로 발사한다(단계 S330,S340).
10: 통합교전 시스템
20: 고정형 센서 21: 제 1 센서신호 처리부
30: 전투체계
31: 제 1 센서신호 획득부 32: 제 1 교전 통제부
100: 어뢰음향대항체계
110: 예인형 센서 111: 제 2 센서신호 처리부
120: 발사통제기
121: 제 2 센서신호 획득부 122: 제 2 교전 통제부
130: 전술통제콘솔
131: 제 3 센서신호 획득부 132: 제 3 교전 통제부
140: 발사대
141: 발사대 운용부
200: 지휘결심 유닛

Claims (12)

  1. 선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어뢰 정보를 센싱하는 고정형 센서;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정보를 바탕으로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제 1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전투체계; 및
    실행된 제 1 교전 통제에 따라 기만기를 상기 어뢰쪽으로 발사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뢰음향대항체계는,
    상기 어뢰 정보를 센싱하는 예인형 센서;
    상기 예인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 또는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제 2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발사통제기;
    상기 예인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 또는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제 3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전술통제콘솔; 및
    상기 제 1 교전 통제, 제 2 교전 통제, 및 제 3 교전 통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기만기를 발사하는 발사대;를 포함하고,
    상기 전투체계(30)는 선택적으로 상기 예인형 센서보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제 1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통제콘솔은, 상기 전투체계로부터 제 1 교전 통제를 수신하거나 상기 발사통제기로부터 제 2 교전 통제를 수신하여 상기 발사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대를 통제하는 우선 순위는 전투체계, 전술통제콘솔, 발사통제기의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통제콘솔은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제 1 어뢰 정보 및 운용자 경고에 대한 그램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램 데이터는 그래픽 형태이고, 1차 및 2차로 구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7. 어뢰를 센싱하여 어뢰 정보를 생성하는 어뢰 정보 생성 단계;
    센싱된 어뢰 정보를 수신하여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 단계;
    처리된 신호를 획득하여 어뢰 위협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여 상기 어뢰에 대한 교전 통제를 실행하는 교전 통제 실행 단계; 및
    실행된 교전 통제의 우선순위에 따라 기만기를 상기 어뢰쪽으로 발사하는 기만기 발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뢰 정보는 고정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1 어뢰정보 및 예인형 센서로부터 센싱된 제 2 어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전 통제는 전투체계에 의해 상기 제 1 어뢰정보 또는 제 2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실행되는 제 1 교전 통제, 발사통제기에 의해 제 1 어뢰 정보 또는 제 2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실행되는 제 2 교전 통제, 전술통제콘솔에 의해 제 1 어뢰 정보 또는 제 2 어뢰 정보를 바탕으로 실행되는 제 3 교전 통제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발사대를 통제하는 순위로서 전투체계, 전술통제콘솔, 발사통제기의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전 통제 실행 단계는, 상기 전술통제콘솔이 상기 고정형 센서로부터 제 1 어뢰 정보 및 운용자 경고에 대한 그램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램 데이터는 그래픽 형태이고, 1차 및 2차로 구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방법.
KR1020130039205A 2013-04-10 2013-04-10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및 이의 통합교전 방법 KR10140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205A KR101403506B1 (ko) 2013-04-10 2013-04-10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및 이의 통합교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205A KR101403506B1 (ko) 2013-04-10 2013-04-10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및 이의 통합교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506B1 true KR101403506B1 (ko) 2014-06-09

Family

ID=5113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205A KR101403506B1 (ko) 2013-04-10 2013-04-10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및 이의 통합교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5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492A (ko) * 2018-01-04 2019-07-12 국방과학연구소 양상태 음향 탐지가 적용된 어뢰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255323B1 (ko) * 2019-11-27 2021-05-24 국방과학연구소 어뢰 음향 기만기와 어뢰 음향 기만기를 이용한 어뢰 공격 방어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10469B1 (ko) 2022-07-07 2023-03-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방어시스템 및 함정 방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756A (ko) * 1991-10-12 1993-05-20 아르레뜨 다낭제 어뢰 파괴 방법
KR200250160Y1 (ko) 2001-06-18 2001-11-16 (주)창화디지트로닉스 고감도 자기 감응 센서를 이용한 폭발장치
KR20070101582A (ko) * 2006-04-11 2007-10-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방공 사격 통제 시스템
JP2009515131A (ja) 2005-11-11 2009-04-09 ラインメタル バッフェ ムニツィオ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戦闘車両または他の防御すべき対象のための自己防御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756A (ko) * 1991-10-12 1993-05-20 아르레뜨 다낭제 어뢰 파괴 방법
KR200250160Y1 (ko) 2001-06-18 2001-11-16 (주)창화디지트로닉스 고감도 자기 감응 센서를 이용한 폭발장치
JP2009515131A (ja) 2005-11-11 2009-04-09 ラインメタル バッフェ ムニツィオ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戦闘車両または他の防御すべき対象のための自己防御設備
KR20070101582A (ko) * 2006-04-11 2007-10-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방공 사격 통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492A (ko) * 2018-01-04 2019-07-12 국방과학연구소 양상태 음향 탐지가 적용된 어뢰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107020B1 (ko) * 2018-01-04 2020-05-06 국방과학연구소 양상태 음향 탐지가 적용된 어뢰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255323B1 (ko) * 2019-11-27 2021-05-24 국방과학연구소 어뢰 음향 기만기와 어뢰 음향 기만기를 이용한 어뢰 공격 방어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10469B1 (ko) 2022-07-07 2023-03-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방어시스템 및 함정 방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4459B2 (en) Reflexive response system for popup threat survival
KR102103846B1 (ko) 차세대 함정의 표적 정보 처리 장치
KR101403506B1 (ko) 어뢰음향대항체계의 통합교전 시스템 및 이의 통합교전 방법
WO2008035338A3 (en) Active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US5970024A (en) Acousto-optic weapon location system and method
CN109029122B (zh) 一种海防指挥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0816388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JP5649999B2 (ja) 射撃訓練システム及び射撃訓練システムの命中判定方法
SE1050240A1 (sv) System och förfarande för att bedöma ett potentiellt mål
KR102279590B1 (ko) 진입각을 이용하는 위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진입각을 이용한 위협평가방법
KR101488106B1 (ko) 훈련용 유도탄 모의기
SE1350219A1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hothantering för ett markbaserat fordon
JP2018091713A (ja) 追尾装置およびマルチセンサシステム
KR101076013B1 (ko) 복수의 이동식 소나의 표적 정보를 통합 전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9235B1 (ko) 공대공 미사일 유도 장치
JP6713918B2 (ja) 電子戦装置及びマルチセンサシステム
JP2009300063A (ja) 飛行体捕捉システムおよび飛行体捕捉方法
O'Rourke Navy Littoral Combat Ship/frigate (LCS/FFGX) Program: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KR20150054348A (ko) 해상에서의 레이더를 이용한 위협물체 자동감지 및 알림시스템, 및 방법
RU2287189C1 (ru) Система имитации воздушного боя
CN112254573B (zh) 一种空中电磁威胁训练场景分级方法
RU2770388C1 (ru) Комплекс тех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противоторпедной защиты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JP2008151484A (ja) 敵情判定支援システム
KR101229862B1 (ko) 대인탄 모의 화기에 의한 피해를 모의하는 레이저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ang et al. Automatic control of multi-platform anti-submarine torpedo based on discovery prob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