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015B1 - 약액 용기 - Google Patents

약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015B1
KR101403015B1 KR1020120021144A KR20120021144A KR101403015B1 KR 101403015 B1 KR101403015 B1 KR 101403015B1 KR 1020120021144 A KR1020120021144 A KR 1020120021144A KR 20120021144 A KR20120021144 A KR 20120021144A KR 101403015 B1 KR101403015 B1 KR 10140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width
lid
chemical liquid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548A (ko
Inventor
이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준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준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준제약
Priority to KR102012002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0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뚜껑을 오픈한 후에 다시 고정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악액을 재사용할 수 있는 약액 용기를 제공한다. 약액 용기는 i) 뚜껑, 및 ii) 뚜껑과 연결되고, 뚜껑과 착탈 가능하도록 적용된 몸체를 포함한다. 몸체에는 약액 용기의 상측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약액 용기 {DISPENSING CONTAINER}
본 발명은 약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뚜껑을 오픈한 후에 다시 고정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약액을 재사용할 수 있는 약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약액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 액체 상태의 약을 휴대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시간에 인체에 투여할 수 있다. 대용량의 약액을 보관하는 약액 용기는 그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약액을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뚜껑을 약액 용기에 견고하게 결합시켜 약액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소량의 약액을 보관하는 약액 용기는 그 크기가 소형이므로, 약액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약액 용기의 구조가 달라져야 한다.
이러한 예로서, 일본공개특허 제2012-035886호는 약액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약액 용기는 리캡이 가능하므로, 약액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약액을 누설시키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약액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는, i) 뚜껑, 및 ii) 뚜껑과 연결되고, 뚜껑과 착탈 가능하도록 적용된 몸체를 포함한다. 몸체에는 약액 용기의 상측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홈의 상단의 폭은 홈의 하단의 폭 이상일 수 있다. 홈은 그 폭이 뚜껑과 멀어질수록 점차 줄어드는 폭감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홈의 상단의 폭은 0보다 크고 3.5mm 이하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홈의 상단의 폭은 1.5mm 내지 3.5mm일 수 있다. 한편, 홈의 하단의 폭은 0보다 크고 1.5mm 이하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홈의 하단의 폭은 0.5mm 내지 1.5mm일 수 있다.
몸체는 약액을 저장하도록 적용된 약액 저장부를 포함하고, 홈은 약액 저장부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는 뚜껑과 결합된 넥부를 포함하고, 뚜껑은, i) 넥부와 결합되는 캡부, 및 ii) 캡부와 연결되고 넥부를 둘러싸는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을 몸체와 분리시킨 후 뚜껑을 몸체와 재결합하는 경우, 날개부가 홈에 안착 고정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날개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날개부의 두께는 0 보다 크고 3mm 이하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날개부의 두께는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홈의 하단의 폭은 날개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홈은 한 쌍의 홈들을 포함하고, 한 쌍의 홈들은 몸체의 양측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날개부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과 한 쌍의 홈들을 포함하는 또 다른 가상 평면은 상호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날개부는 캡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날개부의 한 쌍의 외측 가장자리들은 약액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길게 뻗을 수 있다.
날개부는, i) 외측 가장자리, 및 ii) 외측 가장자리와 이웃하고 넥부에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의 거리는 약액 용기의 하측을 향하여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내측 가장자리의 곡률은 0보다 크고 4 이하일 수 있다.
캡부와 연결되는 넥부의 일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캡부는 삽입부에 대응하는 중공형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홈의 길이는 0보다 크고 10mm 이하이고, 홈의 깊이는 0보다 크고 5mm 이하일 수 있다. 홈의 길이는 5.5mm 내지 10mm이고, 홈의 깊이는 1.5mm 내지 5mm일 수 있다. 홈의 곡률은 0 보다 크고 12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를 이용하여 약액을 누설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 약액 용기의 뚜껑을 쉽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약액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액 용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액 용기를 III-III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의 약액 용기의 사용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측" 및 "하측"은 뚜껑이 위로 오도록 약액 용기를 똑바로 세웠을 때의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약액 용기의 뚜껑은 약액 용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약액 용기의 몸체는 약액 용기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용기(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약액 용기(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약액 용기(1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액 용기(100)는 뚜껑(10) 및 몸체(20)를 포함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약액 용기(100)는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용기(10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몸체(20)는 뚜껑(10)과 연결된다. 약액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약액을 사용하기 위하여 몸체(20)를 당기거나 비틀어서 뚜껑(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20)를 뚜껑(10)과 다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몸체(20)는 뚜껑(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뚜껑(10)은 캡부(101) 및 날개부(103)를 포함한다. 날개부(103)는 캡부(101)를 둘러싸는 형태로 캡부(101)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캡부(101)는 삽입부(2031)에 대응하는 중공형 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뚜껑(10)을 몸체(20)와 분리시켜 약액 용기(100)에 저장된 약액을 사용한 경우, 삽입부(2131)를 캡부(101) 내로 삽입시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남은 약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부(2031)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캡부(101)내에 삽입된 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날개부(103)는 -z축 방향으로 개방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날개부(103)의 형상으로 인하여 약액 용기(100)는 전체적으로 z축 방향으로 길게 뻗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4개 내지 7개 정도의 약액 용기들(100)을 나란히 붙여서 패키지 형태로 제조하고, 소비자는 약액 용기(100)를 하나씩 떼어서 사용할 수 있다. 약액 용기(100)가 직사각형 형상에 유사한 형상을 가지므로, 다수의 약액 용기들(100)을 모아서 패키지 형태로 제조하기에 편리하다. 한편, 날개부(103)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날개부(103)는 zx 평면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평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손으로 날개부(103)를 파지하기가 쉽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0)는 뚜껑(10)의 하부에 위치한다. 몸체(20)는 넥(neck)부(203), 약액 저장부(205) 및 지지부(207)를 포함한다. 여기서, 넥부(203), 약액 저장부(205) 및 지지부(207)는 약액 용기(1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차례로 연결된다.
넥부(203)는 캡부(101)과 결합된다. 넥부(203)의 일단에는 삽입부(2031)가 형성된다. 삽입부(2031)는 캡부(101)와 연결된다. 넥부(203)는 약액 저장부(207)에 저장된 약액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다만, 약액 용기(100)에 저장된 약액이 인체에 투여되는 경우, 그 사용량을 ml 단위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소량의 약액만 외부로 나올 수 있어야 된다. 이를 위하여 넥부(203)는 +z축 방향을 향하여 그 폭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날개부(103)는 넥부(203)의 양측을 둘러싸면서 형성된다.
약액 저장부(205)는 넥부(203)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넥부(203)와 연결된다. 약액 저장부(205)에는 약액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약액으로서 안약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액 저장부(205)는 약액을 저장하기 위하여 ±y축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약액 저장부(205)는 약액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넉넉하게 확보할 수 있다.
지지부(207)는 약액 저장부(205)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약액 저장부(205)와 연결된다. 지지부(207)는 z축 방향으로 길게 뻗어서 약액 용기(100)의 구조를 견고하게 만든다. 그 결과, 약액 용기(100)를 소형으로 제조하더라도 지지부(207)로 인하여 약액 용기(100)를 손쉽게 휴대할 수 있고, 파지도 용이하다. 한편, 지지부(205)는 평면 형상을 가지므로, 지지부(205)에 상표 등을 부착하여 약액 용기(100)가 타사 상품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0)에는 홈(201)이 형성된다. 도 1에는 하나의 홈(201)만을 도시하였지만, 몸체(20)의 배면에는 또다른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홈들(201)을 형성하는 경우, 한 쌍의 홈들(201)은 몸체(20)의 양측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편, 몸체(20)에 하나의 홈(201)만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홈(201)은 약액 용기(100)의 상측을 향한다. 즉, 홈(201)은 약액 용기(100)의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약액 용기(100)에 담긴 약액을 사용하기 위하여 뚜껑(10)을 몸체(20)와 분리시킨 후 뚜껑(10)을 다시 몸체(20)와 재결합시켜 남은 약액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뚜껑(10)을 몸체(20)와 밀착 결합시켜 잔여 약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뚜껑(10)을 90도로 비틀어서 날개부(103)를 홈(201)에 안착 고정한다. 이러한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날개부(103)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 즉 zx 평면에 평행한 평면과 한 쌍의 홈들(201)을 포함하는 또다른 가상 평면, 즉 yz 평면에 평행한 평면은 상호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201)이 약액 용기(100)의 상측을 향하여 형성되므로, 날개부(103)를 홈(201)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약액 용기(100)를 재사용하는 경우, 떼어낸 삽입부(2031)를 캡부(101) 내에 삽입하여 약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날개부(103)를 홈(201)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킴으로써 뚜껑(10)과 몸체(20)의 결합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약액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면서 약액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홈(201)은 약액 저장부(205)에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홈(201)은 약액 저장부(205)의 상측 외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홈(201)은 넥부(203)에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넥부(203)를 통해 빠져나가는 약액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홈(201)을 약액 저장부(205)에 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약액 용기(100)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약액 용기(100)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진다. 날개부(103)는 캡부(101)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 형상을 가지면서 형성되거나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한 쌍의 홈들(201)이 몸체(20)에 형성된 경우, 날개부(103)는 캡부(101)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날개부(103)의 한 쌍의 외측 가장자리들(1031)은 약액 용기(100)의 길이 방향, 즉 z축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길게 뻗어 있다. 약액 용기(100)가 전술한 형상을 가지므로, 다수의 약액 용기들(100)을 병렬 연결하여 패키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날개부(103)는 외측 가장자리(1031) 이외에 내측 가장자리(103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 가장자리(1033)는 외측 가장자리(1031)와 이웃하고, 넥부(203)에 대향한다. 내측 가장자리(1033)와 외측 가장자리(1031)의 거리는 약액 용기(100)의 하측을 향하여 점차 감소한다. 즉, 뚜껑(10)을 몸체(2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 날개부(103)가 넥부(203)와 저촉되어 뚜껑(10)이 몸체(20)와 잘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날개부(103)가 전술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날개부(103)와 넥부(203)를 상호 이격시킨다. 그 결과, 뚜껑(10)을 몸체(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내측 가장자리(1033)의 곡률은 넥부(203)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내측 가장자리(1033)의 곡률(k1033)은 0보다 크고 4 이하일 수 있다. 내측 가장자리(1033)의 곡률(k1033)이 4보다 큰 경우, 내측 가장자리(1033)와 넥부(203)와의 거리가 너무 커지면 약액 용기(10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가장자리(1033)의 곡률(k1033)을 넥부(203)의 곡률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201)은 상단(2011) 및 하단(20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단(2011)의 폭은 하단(2013)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폭은 x축 방향에 평행한 길이를 의미한다. 상단(2011)의 폭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캡(10)을 몸체(20)로부터 떼어낸 후, 캡(10)을 몸체(20)와 재결합시 날개부(103)를 홈(201)에 안정적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홈의 상단의 폭은 0보다 크고 3.5mm 이하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홈의 상단의 폭은 1.5mm 내지 3.5mm일 수 있다. 또한, 하단(2013)의 폭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날개부(103)를 조여서 홈(20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하단(2013)의 폭(w2013)은 1.5mm 이하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하단(2013)의 폭(w2013)은 0.5mm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2013)의 폭(w2013)이 너무 작은 경우, 날개부(103)가 홈(201)에 잘 고정되지 않고 홈(201)으로부터 튕겨져 나올 수 있다. 또한, 하단(2013)의 폭(w2013)이 너무 큰 경우, 너무 헐거워져서 날개부(103)가 홈(201)에 잘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단(2013)의 폭(w2013)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홈(201)은 폭감소부(20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폭감소부(2015)가 홈(201)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폭감소부(2015)를 홈(201)에 전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폭감소부(2015)는 지지부(207)를 향하여, 즉 뚜껑(10)과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날개부(103)를 홈(201)에 서서히 안착시켜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약액 용기(100)를 자른 약액 용기(1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의 약액 용기(100)의 단면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약액 용기(100)의 단면 구조는 다른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부(103)의 두께(t103)는 0보다 크고 3mm 이하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날개부(103)의 두께(t103)는 1mm 내지 3mm 일 수 있다. 날개부(103)의 두께(t103)가 너무 작은 경우, 약액 용기(100)를 재사용시 날개부(103)가 홈(201)에 잘 고정되지 않아 헐거워진다. 또한, 날개부(103)의 두께(t103)가 너무 큰 경우, 날개부(103)의 제조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약액 용기(100)를 재사용시 날개부(103)가 홈(201)에 잘 안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날개부(103)의 두께(t103)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날개부(103)의 두께(t103)에 따라 홈(201)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약액 용기(100)를 재사용하는 경우, 날개부(103)를 홈(201)에 안착하여 고정하므로, 홈(201)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예를 들면, 홈(201)의 하단(2013)의 폭(w2013)(도 2에 도시)은 날개부(103)의 두께(t103)(도 3에 도시)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날개부(103)를 홈(201)에 잘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홈(201)의 길이(l201)는 10mm 이하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홈(201)의 길이(l201)는 5.5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201)의 길이(l201)가 너무 작은 경우, 약액 용기(100)를 재사용시 날개부(103)가 홈(201)에 잘 안착되지 않는다. 또한, 홈(201)의 길이(l201)가 너무 큰 경우, 약액 저장부(205)의 약액 저장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홈(201)의 길이(l201)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홈(201)의 깊이(d201)는 0보다 크고 5mm 이하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홈(201)의 깊이(d201)는 1.5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액 용기(100)의 크기를 감안시 홈(201)의 깊이(d201)를 너무 크게 형성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한, 홈(201)의 깊이(d201)를 너무 작게 형성하는 경우, 약액 용기(100)를 재사용시 날개부(103)가 홈(201)에 잘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홈(201)의 깊이(d201)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홈(201)의 곡률은 0 보다 크고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201)의 곡률이 너무 큰 경우, 약액 용기(100)를 재사용시 날개부(103)가 홈(201)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없다. 따라서 홈(201)의 곡률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의 약액 용기(100)의 사용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몸체(20)로부터 뚜껑(10)을 떼어내어 약액 용기(100)에 저장된 약액을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의 약액 용기(1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약액 용기(100)의 사용 상태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뚜껑(10)을 몸체(20)로부터 떼어낸다. 약액 용기(100)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소재로 제조하므로, 손으로 뚜껑(10)을 파지한 후 비틀어서 몸체(2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는 약액을 사용한 후 뚜껑(10)을 몸체(20)에 재결합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약액 용기(1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약액 용기(100)의 사용 상태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액 용기(100)에 저장된 약액을 사용한 후, 뚜껑(10)을 90도 회전시켜 날개부(103)를 홈(201)에 안착 고정시킨다. 이와 함께, 삽입부(2031)(점선으로 도시, 이하 동일)은 캡부(101)의 중공형 공간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삽입부(2031)가 캡부(101)에 의해 둘러싸이면서 밀폐되므로, 삽입부(2031)를 통하여 약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날개부(103)가 홈(201)에 안착 고정되므로, 뚜껑(10)과 몸체(20)의 재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약액 용기에 형성된 홈의 수치와 날개부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홈에 날개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홈의 크기와 날개부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길이가 63mm이고, 폭이 12mm이며, 도 1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약액 용기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약액 용기는 폴리에틸렌으로 제조하였다. 약액 용기의 뚜껑에는 길이가 23mm인 날개부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약액 저장부의 상측에 다양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홈의 상단의 폭을 홈의 하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고, 홈의 폭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게 형성하였다. 약액 용기의 제조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험예 1
날개부의 두께가 0.8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0.4mm로 형성하였고, 홈의 상단의 폭은 2.0mm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5.5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11.0mm로 형성하였다.
실험예 2
날개부의 두께가 1.0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0.4mm로 형성하였고, 홈의 상단의 폭은 2.0mm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5.5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11.0mm로 형성하였다.
실험예 3
날개부의 두께가 1.2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0.5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5.0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10.5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4
날개부의 두께가 1.4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0.6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4.5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10.0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5
날개부의 두께가 1.6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0.7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4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9.5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6
날개부의 두께가 1.8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0.8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3.5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9.0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7
날개부의 두께가 2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0.9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3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8.5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8
날개부의 두께가 2.2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1.0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2.5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8.0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9
날개부의 두께가 2.4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1.1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2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7.5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0
날개부의 두께가 2.6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1.2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1.5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7.0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1
날개부의 두께가 2.8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1.3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1.0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6.5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2
날개부의 두께가 3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1.4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1.0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6.0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3
날개부의 두께가 3.2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1.5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1.0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5.5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4
날개부의 두께가 3.4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1.6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1.0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5.0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5
날개부의 두께가 3.6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1.7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1.0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4.5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16
날개부의 두께가 3.8mm가 되도록 날개부를 제조하였다. 홈의 하단의 폭은 1.8mm로 형성하였다. 홈의 깊이는 1.0mm로 형성하였으며, 홈의 길이는 4.0mm로 형성하였다. 나머지 안약 용기의 수치는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실험결과
전술한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6에 따른 약액 용기의 실험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에서는 약액 용기의 뚜껑과 약액 용기의 본체를 상호 분리시킨 후, 날개부를 홈에 안착 고정시켜서 악액 용기의 재결합시 용이성과 견고함을 판단하였다.
Figure 112012016924739-pat00001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6에 따른 실험결과,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2에서의 재결합 용이성은 양호하였다. 즉, 날개부를 홈에 잘 안착 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예 14 내지 실험예 16에서는 날개부의 두께가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홈의 폭에 비해 커져서 날개부가 홈에 잘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뚜껑과 몸체와의 재결합이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실험예 1에서는 재결합시의 견고성을 불량하였다. 이는 날개부의 두께가 너무 작아서 날개부의 강도가 저하되어 홈에 날개부를 고정하더라도 날개부로 인한 약액 용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는 점에 기인하였다. 또한, 실험예 14 내지 실험예 16에서도 재결합시의 견고성이 불량하였다. 이는 날개부가 홈에 잘 안착될 수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홈의 길이가 너무 짧아서 날개부의 고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날개부의 두께가 너무 큰 점에 기인하였다. 따라서 날개부의 두께, 홈의 하단폭, 홈의 깊이, 및 홈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재결합 용이성 및 재결합 견고성이 우수한 약액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뚜껑
20. 몸체
100. 약액 용기
101. 캡부
103. 날개부
201. 홈
203. 넥부
205. 약액 저장부
207. 지지부
1011. 중공형 공간
1031. 외측 가장자리
1033. 내측 가장자리
2011. 상단
2013. 하단
2031. 삽입부
2015. 폭감소부

Claims (20)

  1. 뚜껑, 및
    상기 뚜껑과 연결되고, 상기 뚜껑과 착탈 가능하도록 적용된 몸체
    를 포함하는 약액 용기로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약액 용기의 상측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상단의 폭은 상기 홈의 하단의 폭 이상이며, 상기 홈은 그 폭이 상기 뚜껑과 멀어질수록 점차 줄어드는 폭감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의 하단의 폭은 0.5mm 내지 1.5mm이며,
    상기 몸체는 상기 뚜껑과 결합된 넥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넥부와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와 연결되고 상기 넥부를 둘러싸는 날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두께는 1mm 내지 3mm이고,
    상기 뚜껑을 상기 몸체와 분리시킨 후 상기 뚜껑을 상기 몸체와 재결합하는 경우, 상기 날개부가 상기 홈에 안착 고정되도록 적용되며,
    상기 홈의 길이는 5.5mm 내지 10mm이고, 상기 캡부와 연결되는 상기 넥부의 일단에는 볼록한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삽입부에 대응하는 중공형 공간을 가져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캡부내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적용된 약액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상단의 폭은 0보다 크고 3.5mm 이하인 약액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상단의 폭은 1.5mm 내지 3.5mm인 약액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약액을 저장하도록 적용된 약액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약액 저장부에 형성된 약액 용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약액 용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하단의 폭은 상기 날개부의 두께보다 작은 약액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홈은 한 쌍의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홈들은 상기 몸체의 양측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과 상기 한 쌍의 홈들을 포함하는 또다른 가상 평면은 상호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약액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캡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한 쌍의 외측 가장자리들은 상기 약액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길게 뻗은 약액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외측 가장자리, 및
    상기 외측 가장자리와 이웃하고 상기 넥부에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
    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내측 가장자리의 거리는 상기 약액 용기의 하측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약액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장자리의 곡률은 0보다 크고 4 이하인 약액 용기.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길이는 0보다 크고 10mm 이하이고, 상기 홈의 깊이는 0보다 크고 5mm 이하인 약액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는 1.5mm 내지 5mm인 약액 용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곡률은 0 보다 크고 12 이하인 약액 용기.
KR1020120021144A 2012-02-29 2012-02-29 약액 용기 KR10140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44A KR101403015B1 (ko) 2012-02-29 2012-02-29 약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44A KR101403015B1 (ko) 2012-02-29 2012-02-29 약액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48A KR20130099548A (ko) 2013-09-06
KR101403015B1 true KR101403015B1 (ko) 2014-06-03

Family

ID=4945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144A KR101403015B1 (ko) 2012-02-29 2012-02-29 약액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05Y1 (ko) * 2016-05-16 2018-02-09 (주)피티아이 화재 대피용 타월 팩
CN110615182A (zh) * 2019-10-25 2019-12-27 温州大邦笔墨科技有限公司 液体包装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6748A1 (en) 2000-12-06 2002-06-06 Weiler Gerhard H.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with medicament storing and dispensing insert
JP2004083115A (ja) 2002-08-29 2004-03-18 Pharmapack Kk 薬液容器
JP2005329958A (ja) 2004-05-18 2005-12-02 Pharmapack Kk 樹脂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35886A (ja) * 2010-08-10 2012-02-23 Pharmapack Kk 薬液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6748A1 (en) 2000-12-06 2002-06-06 Weiler Gerhard H.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with medicament storing and dispensing insert
JP2004083115A (ja) 2002-08-29 2004-03-18 Pharmapack Kk 薬液容器
JP2005329958A (ja) 2004-05-18 2005-12-02 Pharmapack Kk 樹脂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35886A (ja) * 2010-08-10 2012-02-23 Pharmapack Kk 薬液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48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09692A2 (pt) embalagem resistente a rasgos e vazamentos para dispensar lìquidos de um modo controlado
EP3081111A1 (en) Tube-type cosmetics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contents in drop form
CA2664246C (en) Blow-molded plastic infusion container
JP6305843B2 (ja) 詰め替え容器セット
JP2014069818A (ja) 注出器
US9815253B2 (en) Dual compartmented pouch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9011137A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その折畳み方法
RU2495681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аппликатор
KR101403015B1 (ko) 약액 용기
JP6340256B2 (ja) パウチ容器
JP5279970B1 (ja) 残量低減部材
JP6901835B2 (ja) スパウト付容器及び詰め替え方法
US20100243836A1 (en) Vial holder with side gripping and clamping holding
US20100101966A1 (en) Extraction bag and packing material
JP6466759B2 (ja) 注出ポンプの支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注出ポンプと注出容器
JP5634481B2 (ja) 詰替え用漏斗
JP2010179961A (ja) 液状物充填包装体用保持容器
KR200490570Y1 (ko) 안약주입 보조기
WO2017079126A1 (en) Insulated geodesic beverage container
EP3875390A1 (en) Pouring spout
WO2015030249A1 (ja) 液体容器及び該液体容器に用いられる液体吐出部材
JP6405088B2 (ja) 詰替え用袋容器
JP2014198579A (ja) 収納ケース
JP2013216372A (ja) 漏斗
KR102205149B1 (ko) 주사기형 충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