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821B1 -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821B1
KR101402821B1 KR1020130063043A KR20130063043A KR101402821B1 KR 101402821 B1 KR101402821 B1 KR 101402821B1 KR 1020130063043 A KR1020130063043 A KR 1020130063043A KR 20130063043 A KR20130063043 A KR 20130063043A KR 101402821 B1 KR101402821 B1 KR 101402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output position
speaker
priority
speak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남훈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은행 filed Critical 한국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3006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오브젝트별 음원들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그에 상응하는 스피커의 출력위치를 지정해 주도록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한 장치는 입력되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음원을 분리하는 음원 분리부, 음원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하여 각기 상이한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우선순위 지정부, 및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출력위치 지정부,를 포함한다. 출력위치 지정부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을 동시에 입력받게 되면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중에서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먼저 지정하되,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을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로 먼저 지정한다.

Description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Speaker output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sound source}
본 발명은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화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의 음원을 오브젝트(object)별로 구분하여 출력 스피커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VD 및 HDTV 등 기기의 보급과 디지털방송 추세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브라운관에서 LCD 및 PDP를 거쳐 OLED 방식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도 점점 더 대형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보다 고품질의 영상과 사운드로 영화 등을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면서, 보다 다이나믹하고 보다 실감나는 사운드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션이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다채널 스피커 장치 등을 구매하는데 비용을 아끼지 않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보다 생동감, 현장감이 있는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 제2007-027846호를 통하여 "화상 재생 시스템 및 화상 재생 방법" 기술이 소개되었다. 상기 일본공개특허 제2007-027846호에는 평면 표시 장치의 전면에 복수 개의 소형 스피커들이 배열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본공개특허 제2007-027846호 등에서 개시하고 있는 스크린과 스크린 상에 배치되는 2차원 어레이 스피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린(100) 상에 2차원 어레이 스피커가 배치되고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오브젝트(object)와 연동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2차원 어레이 스피커는 가로(X 축) 및 세로(Y 축) 방향으로 적절한 개수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스피커들(110, 120, 130, ...)로 구성된다.
도 2는 2차원 어레이 스피커 중 스크린 상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스피커 채널들만이 선택되어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오브젝트와 연동하여 2차원 어레이 스피커 중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채널들이 선택되고 선택된 스피커 채널들에 해당하는 스피커들만이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스크린 상에 말을 하는 사람이 표시되는 경우 그 사람의 입 부분에 위치한 스피커들에서 사운드가 출력된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 제2007-027846호 등은 2차원 어레이 스피커와 오브젝트를 연동시키는 아이디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을 뿐, 2차원 어레이 스피커들 중에서 해당 오브젝트와 연동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의 구체적인 기법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통상의 AV 시스템을 위한 원본 비디오 및 오디오에 대해 오소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위치와 연동하여 출력 스피커 채널을 지정하는 작업은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길수록 매우 지루하고 힘든 작업이 될 수 있고, 영화 1편의 상영시간이 2시간에 가까운 점을 고려하면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히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출력 스피커 채널을 지정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는 것은 2차원 어레이 스피커 시스템을 대중화하는데 너무나도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2차원 어레이 스피커를 이용한 사운드 시스템을 갖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출력 스피커 채널을 효율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오브젝트별 음원들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그에 상응하는 스피커의 출력위치를 지정해 주도록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object)의 음원을 분리하는 음원 분리부; 상기 음원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하여 각기 상이한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우선순위 지정부; 및 상기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출력위치 지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을 동시에 입력받게 되면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중에서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먼저 지정하되, 상기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을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로 먼저 지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에 인접하는 주변 스피커 채널로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을 제외한 나머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해서는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로부터 가까운 스피커 채널 순서로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복수개로 하는 경우,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가로, 세로, 및 사선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스피커 채널들로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복수개로 하는 경우,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가로, 세로, 및 사선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스피커 채널들로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 및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서로 겹쳐지지 않게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원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우선순위 지정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우선순위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선순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의 정보를 갖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원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 상기 우선순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 및,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은, 음원 분리부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object)의 음원을 분리하는 단계; 우선순위 지정부가, 상기 음원을 분리하는 단계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하여 각기 상이한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 및 출력위치 지정부가, 상기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에 의해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을 동시에 입력받게 되면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중에서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먼저 지정하되, 상기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을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로 먼저 지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에 인접하는 주변 스피커 채널로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을 제외한 나머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해서는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로부터 가까운 스피커 채널 순서로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복수개로 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가로, 세로, 및 사선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스피커 채널들로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복수개로 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가로, 세로, 및 사선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스피커 채널들로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 및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서로 겹쳐지지 않게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브젝트의 음원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 사이에, 입력부가, 상기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입력받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는 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우선순위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피커의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사이에, 입력부가, 상기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의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는 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스피커 출력위치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오브젝트의 음원을 분리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은 해당 음원 위치의 스피커 채널이 스피커 출력위치로 지정되고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는 우선순위가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의 주변으로 지정되므로, 음원에 따라 스피커 채널의 위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스크린 및 스크린 상에 배치되는 2차원 어레이 스피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2차원 어레이 스피커 중에서 스크린상에 오브젝트(object)와 관련된 스피커 채널들만이 선택되어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ehauss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우선순위 지정부에 의한 메타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출력위치 지정부에 의한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테이블을 근거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음원 오브젝트별 스피커 출력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출력위치 지정부에 의한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테이블을 근거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의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30)는 비디오 및 오디오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기존의 오소링 툴(authoring tool)에 플러그 인 방식으로 임베디드(embedded)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30)는 오소링 과정 중 오소링 툴의 임포트(import, 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object)의 음원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오브젝트의 음원별로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이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이 출력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스피커 채널을 스피커 출력위치로 지정하여 오소링 툴의 익스포트(export, 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30)는 음원 분리부(10), 입력부(12), 우선순위 지정부(14), 메타데이터 저장부(16), 출력위치 지정부(18), 및 표시부(20)를 포함한다.
음원 분리부(10)는 오소링 툴의 임포트(40)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object)의 음원을 분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원 분리부(10)는 편집을 위해 오쏘링 툴의 임포트(40)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31), 비디오 신호와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오디오 신호, 자막 데이터, 인터뷰 등과 같은 추가 데이터 중에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음원 분리부(1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서 오브젝트의 음원만을 분리한다. 이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는데, 음원 분리부(10)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가 2 이상인 경우 각각의 오브젝트의 음원을 따로 분리할 수 있다. 음원 분리부(10)는 분리한 오브젝트의 음원을 우선순위 지정부(14) 및 표시부(20)에게로 전달한다. 오브젝트라 함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오브젝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람 또는 기타 사물이 될 수 있다. 물론, 대사 또는 주변음도 오브젝트라고 할 수 있다.
입력부(12)는 음원 분리부(10)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문자, 숫자, 부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기기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키보드 조작으로부터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이름 및 우선순위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0)는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자는 이를 보고서 키보드와 같은 입력기기를 조작하여 분리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이름 및 우선순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X-Y 좌표 패너,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이 사용자가 방향을 조작할 수 있는 입력기기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X-Y 좌표 패너, 마우스, 조이스틱 등의 조작으로부터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이 출력되어야 하는 스피커 채널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X, Y 좌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20)에 표시되는 화면 즉, 스크린 후면에 X, Y 축상으로 어레이 배치되는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X-Y 좌표 패너, 마우스, 조이스틱 등을 통해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출력 스피커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는 사용자의 X-Y 좌표 패너, 마우스, 조이스틱 등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X, Y 좌표를 입력받는 것이 아니라, 오브젝트와 연동되는 스피커 채널의 위치를 나타내는 X, Y 좌표 정보를 외부의 오브젝트 위치 추정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는 입력받은 스피커 채널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X, Y 좌표를 출력위치 지정부(18)에게로 전달한다.
우선순위 지정부(14)는 음원 분리부(10)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한다. 즉, 우선순위 지정부(14)는 음원 분리부(10)에서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하여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우선순위를 지정한다. 이 경우, 우선순위 지정부(14)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오브젝트의 음원의 이름(오브젝트 1, 오브젝트 2, …) 및 각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저장부(16)에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형태로 저장함과 더불어 이를 출력위치 지정부(18)에게로 전달한다.
한편, 입력부(12), 우선순위 지정부(14), 및 표시부(20)를 각기 별개의 구성요소로 두지 않고 하나의 유니트(unit)로 통합시켜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서, 우선순위 지정부(14)는 입력부(12) 및 표시부(20)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저장부(16)는 우선순위 지정부(14)에서 전달해 주는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저장부(16)는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의 정보를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은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출력위치 지정부(18)는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한다. 즉, 출력위치 지정부(18)는 우선순위 지정부(14)에 의해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하여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스피커 채널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X, Y 좌표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한다. 이 경우, 출력위치 지정부(18)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은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위치 지정부(18)는 임포트(40)를 통해 동시간(즉, 동일한 시간 또는 약간의 오차범위에 존재하는 시간)에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그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 및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중에서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먼저 지정한다. 즉, 출력위치 지정부(18)는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을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로 먼저 지정한 후에,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의 주변으로 지정한다.
한편, 입력부(12), 출력위치 지정부(18), 및 표시부(20)를 각기 별개의 구성요소로 두지 않고 하나의 유니트(unit)로 통합시켜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서, 출력위치 지정부(18)는 입력부(12) 및 표시부(20)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표시부(20)는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 및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출력위치 지정부에 의한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테이블을 근거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음원 오브젝트별 스피커 출력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오소링 과정 중 오소링 툴의 임포트(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음원이 시간별로 하나이면 기존의 방식대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위치에 연동하여 출력 스피커 채널을 지정하면 된다. 여기서, 오브젝트에 연동한다라는 것은 스크린 후면에 2차원 어레이 배열된 다수의 스피커 채널들 중에서 스크린상에 사람 또는 특정 사물 등과 같은 오브젝트(object)가 발생시키는 사운드(대사 등)를 출력하는 스피커 채널의 위치를 스크린상의 오브젝트의 위치와 일치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화면상에서 등장인물들의 대사소리가 스크린상에서 인물의 입이 위치하는 곳에 있는 스피커 채널에서 나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오브젝트에 연동한다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소링 과정 중 오소링 툴의 임포트(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음원이 시간별로 복수개 일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음원이 조합된 경우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오브젝트 1의 음원과 오브젝트 2의 음원이 동일시간에 입력되어 이들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해야 되는 경우, 이 두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는 출력위치 지정부(18)에 의해 각각 지정되고, 그 결과는 표시부(20)에 도 6에서와 같이 오브젝트 1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60), 오브젝트 2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62)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4를 보면 오브젝트 1의 음원의 우선순위가 오브젝트 2의 음원의 우선순위에 비해 높기 때문에,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 1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을 해당 오브젝트 1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60)로 먼저 지정한다. 그리고 나서, 오브젝트 2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62)는 그 오브젝트 1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60)의 주변으로 지정된다.
여기서, 오브젝트 1은 시간대별로 음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제로 오브젝트 1은 다수의 음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앞서 기술한 오브젝트 1의 음원은 오브젝트 1이 가지는 다수의 음원을 통칭하는 것이 아니라 오브젝트 1이 가지는 다수의 음원중에서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오브젝트 1이 3개의 음원을 가지고 있다면 오브젝트 1의 첫번째 음원이 오브젝트 1이 되고, 오브젝트 1의 두번째 음원이 오브젝트 2가 되고, 오브젝트 1의 세번째 음원이 오브젝트 3이 될 수 있다.
도 7은 3개의 오브젝트의 음원이 조합된 경우에 표시부(20)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피커 출력위치를 예시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오브젝트 1, 오브젝트 2, 오브젝트 3의 음원이 조합된 경우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오브젝트 1, 오브젝트 2, 오브젝트 3의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오브젝트 1의 우선순위가 제일 높기 때문에,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 1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을 해당 오브젝트 1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60)로 먼저 지정한다. 그리고 나서, 오브젝트 2 및 오브젝트 3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62, 64)를 오브젝트 1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60)에 인접하는 주변 스피커 채널로 지정한다. 즉, 상기 예시한 오브젝트 2 및 오브젝트 3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는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즉, 오브젝트 1)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로부터 가까운 스피커 채널 순서로 지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였으나,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우선순위가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에 대해 상하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근접하게 지정하여도 무방하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출력위치 지정부에 의한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 위치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테이블을 근거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와 도 5의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를 비교하여 보면, 예를 들어 도 5의 각각의 오브젝트는 하나의 (X, Y) 좌표를 가지는데 반해, 도 8의 각각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X, Y) 좌표를 가진다는 차이가 있다.
그에 따라, 도 8을 근거로 표시부(20)에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이 출력되는 스피커 그룹(70),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이 출력되는 스피커 그룹(72 또는 74)이 표시된다. 여기서, 스피커 그룹(70, 72, 74)는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가 된다. 그리고, 스피커 그룹(70)중에서 어느 한 스피커 채널은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스크린에 실제로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 1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일 수 있다.
한편,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 및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70, 72, 74)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번에는,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음원 분리부(10)가 오소링 툴의 임포트(40)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음원을 분리한다(S10).
그 다음으로, 입력부(12)는 각각의 오브젝트의 음원의 우선순위를 입력받는다(S12).
이어, 우선순위 지정부(14)는 음원 분리부(10)에서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하여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우선순위를 지정한다(S14).
그리고, 우선순위 지정부(14)는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 정보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메타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한다(S16).
그 다음으로, 입력부(12)는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입력받는다. 이 경우, 입력부(12)는 사용자의 X-Y 좌표 패너, 마우스, 조이스틱 등의 조작으로부터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이 출력되어야 하는 스피커 채널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X, Y 좌표를 입력받을 수 있다(S18). 이때, 임포트(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음원이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을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로 먼저 지정한 후에,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예컨대, (X, Y) 좌표 포함)를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에 인접하는 주변의 스피커 채널로 지정한다.
그에 따라, 출력위치 지정부(18)는 우선순위 지정부(14)에 의해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하여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스피커 채널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X, Y 좌표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한다(S20).
마지막으로, 출력위치 지정부(18)는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 정보를 오소링 툴의 익스포트(50)를 통해 출력한다(S22).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음원 분리부 12 : 입력부
14 : 우선순위 지정부 16 : 메타데이터 저장부
18 : 출력위치 지정부 20 : 표시부
30 :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40 : 임포트 50 : 익스포트

Claims (19)

  1.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object)의 음원을 분리하는 음원 분리부;
    상기 음원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우선순위 지정부; 및
    상기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출력위치 지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을 동시에 입력받게 되면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중에서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먼저 지정하되, 상기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array)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을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로 먼저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에 인접하는 주변 스피커 채널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을 제외한 나머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해서는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로부터 가까운 스피커 채널 순서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복수개로 하는 경우,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가로, 세로, 및 사선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스피커 채널들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복수개로 하는 경우,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가로, 세로, 및 사선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스피커 채널들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 및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서로 겹쳐지지 않게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원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 및 상기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지정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우선순위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의 정보를 갖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원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 상기 우선순위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별 우선순위 및, 상기 출력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별 스피커 출력위치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11. 음원 분리부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object)의 음원을 분리하는 단계;
    우선순위 지정부가, 상기 음원을 분리하는 단계에 의해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 및
    출력위치 지정부가, 상기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에 의해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을 동시에 입력받게 되면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의 음원중에서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먼저 지정하되, 상기 스크린의 후면에 2차원으로 어레이(array)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중에서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 채널을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로 먼저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에 인접하는 주변 스피커 채널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을 제외한 나머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해서는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의 스피커 출력위치로부터 가까운 스피커 채널 순서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복수개로 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가로, 세로, 및 사선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스피커 채널들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복수개로 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 출력위치를 가로, 세로, 및 사선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스피커 채널들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오브젝트의 음원 및 우선순위가 낮은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서로 겹쳐지지 않게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음원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와의 사이에,
    입력부가, 상기 분리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입력받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는 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우선순위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피커의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의 사이에,
    입력부가, 상기 우선순위가 지정된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의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받는 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스피커 출력위치를 근거로 해당 오브젝트의 음원에 대한 스피커 출력위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방법.
KR1020130063043A 2013-05-31 2013-05-31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 KR101402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043A KR101402821B1 (ko) 2013-05-31 2013-05-31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043A KR101402821B1 (ko) 2013-05-31 2013-05-31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821B1 true KR101402821B1 (ko) 2014-06-02

Family

ID=5113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043A KR101402821B1 (ko) 2013-05-31 2013-05-31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8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3581A (ja) 1996-11-07 2001-03-13 ドイチェ トムソン―ブラ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音源をスピーカへ投射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1133888A (ja) 1999-11-02 2001-05-18 Seiko Epson Corp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アプロジェクタ
JP2005117267A (ja) 2003-10-06 2005-04-28 Sony Corp 情報伝達システム、スクリーン装置及び投影用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101060643B1 (ko) 2009-06-02 2011-08-31 박승민 오브젝트 기반의 위치 좌표 효과를 갖는 사운드 출력을 위한 투음성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3581A (ja) 1996-11-07 2001-03-13 ドイチェ トムソン―ブラ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音源をスピーカへ投射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1133888A (ja) 1999-11-02 2001-05-18 Seiko Epson Corp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アプロジェクタ
JP2005117267A (ja) 2003-10-06 2005-04-28 Sony Corp 情報伝達システム、スクリーン装置及び投影用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101060643B1 (ko) 2009-06-02 2011-08-31 박승민 오브젝트 기반의 위치 좌표 효과를 갖는 사운드 출력을 위한 투음성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48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mixing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9544527B2 (en) Techniques for localized perceptual audio
US20190139312A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20103553A1 (en) Specifying a point of origin of a sound for audio effects using displayed visual information from a motion picture
EP2400764A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of
JP4951912B2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の視覚的忠実性を最適化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12527A (ko) 오디오 트랙의 결정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70188176A1 (en) Sound objec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additional image object
US8311400B2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US20190394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movie screenings
US20080063215A1 (en) Multi-window picture audio visual system with targeted audio
KR101410975B1 (ko) 오브젝트 중심의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4187288A (ja) 音源映像の表示領域からその音声を出力させる映像音声再生方法
KR101402821B1 (ko) 음원 구분에 따른 스피커 출력위치 지정 장치 및 방법
KR101038102B1 (ko) 2차원 어레이 스피커를 위한 오디오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038101B1 (ko) 2차원 어레이 스피커를 위한 오디오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TWI531224B (zh) Multimedia Dynamic Advertisement Playing System and Method
EP3321795B1 (en) A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es
KR101454342B1 (ko) 서라운드 채널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추가 채널 오디오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JPWO2011018888A1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055798B1 (ko) 2차원 어레이 스피커를 위한 오디오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200388069A1 (en) Method for 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an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digital storage medium and a computer system
US20110123055A1 (en) Multi-channel on-display spatial audio system
KR101469104B1 (ko) 오브젝트 중심의 스피커 채널을 지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78687B1 (ko) 스탬별 음원 편집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