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544B1 - 지하수 관정 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관정 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544B1
KR101402544B1 KR1020120154360A KR20120154360A KR101402544B1 KR 101402544 B1 KR101402544 B1 KR 101402544B1 KR 1020120154360 A KR1020120154360 A KR 1020120154360A KR 20120154360 A KR20120154360 A KR 20120154360A KR 101402544 B1 KR101402544 B1 KR 10140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casing
head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병훈
Original Assignee
방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병훈 filed Critical 방병훈
Priority to KR102012015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cleaning boreholes or wells
    • E21B37/10Well sw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5/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use of gas or air flow
    • B08B2205/005Using the coanda effect of the gas flow/stre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의 케이싱에 결합하는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케이싱에 상기 헤드부를 고정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헤드부의 한 부분에 구비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탈착부 및 상기 헤드부의 다른 부분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탈착부에 에어공급호스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서 상기 헤드부를 상기 관정의 상단에 고정한 후 상기 주입부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 주입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에어공급호수를 통해 상기 관정의 내부에 공급되고 주입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기 관정의 지하수가 역류하면서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관정 청소시 정화되지 않은 지하수가 케이싱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수 관정 청소 오염물 회수장치{Discharging apparatus of contaminants of tube well}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에 사용되는 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 관정의 사후 관리를 위해 지하수 관정의 우물자재(케이싱)에 결합시키는 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자원 부족의 현실 속에 더욱 중요시 활용되고 있는 지하수 관정은 설치보다도 그 사후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그것은 이 같은 지하수를 인간이 직접적으로 음용하거나 이용하기 때문이고, 이를 위해 지하수 관정의 사후 관리는 법적으로도 의무화 되어 있다.
즉, 일정 기간 사용된 지하수 관정은 사후적으로 내부에 청소를 실시하여야 하고 이는 법적으로도 의무화 되어 있으며, 청소 후에는 이를 배출시킴으로써 정화 후 재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여러 가지 청소 방식들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지하수 내부 벽면의 찌꺼기, 슬라임 등을 떼어내기 위한 것과 화학적인 처리를 하게 되고, 청소 후 그러한 부유물 내지 침전물을 포함하는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에어서징(Air-Surging) 방식은 고압의 공기를 관정 내부로 주입하여 청소하고 지하수가 배출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이 같은 방식에 의해 지하수 관정을 청소하는 경우에, 지하수 관정 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게 됨으로써 청소와 동시에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지하수가 관정 상측으로 솟아오르게 되고, 이 같이 지하수 관정 청소 후 솟아오른 오염된 청소수가 관정 입구에 남아 있게 되며, 청소 후에 다시 관정 내부로 들어가서 지하수를 재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536061호 2. 한국등록특허 제10-0790516호 3. 한국등록특허 제10-083513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지하수 관정을 청소시에 지하수가 관정 내부로 인입되어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수 관정용 캡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의 케이싱에 결합하는 지하수 배출용 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케이싱에 상기 헤드부를 고정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헤드부의 한 부분에 구비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탈착부; 및 상기 헤드부의 다른 부분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탈착부에 에어공급호스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서 상기 헤드부를 상기 관정의 상단에 고정한 후 상기 주입부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 주입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에어공급호수를 통해 상기 관정의 내부에 공급되고 주입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기 관정의 지하수가 역류하면서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용 캡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헤드부는,
상부가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배출부는,
복수의 배출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지하수 배출시 배출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출라인이 양쪽으로 나눠지도록 상기 헤드부는 반으로 나눠져 형성되고 나눠져 형성된 상기 헤드부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하수 관정에서 플랜지가 생략된 케이싱와 결합하는 보조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결합부를 플랜지가 생략된 케이싱에 결합시킨 후 상기 헤드부를 상기 보조결합부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조결합부는,
반으로 나눠져 형성되되 일측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탈착부는,
상기 에어공급호스가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내부가 복수로 단차져 형성되되, 상기 지하수 배출과정에서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에어공급호스가 상기 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지하수 관정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정화되지 않은 지하수가 관정의 케이싱 주변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정의 케이싱 주변으로 지하수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관정 주변의 이물질이 지하수와 함께 관정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관정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복수의 배출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배출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셋째, 탈착부와 에어공급호스가 여러 단으로 결합함으로써 탈착부와 에어공급호스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특히 탈착부가 배출압력에 의해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탈착부로부터 에어공급호스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탈착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넷째, 관정의 케이싱에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보조결합부를 케이싱에 결합한 후 헤드부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탁월하다.
다섯째, 헤드를 반구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지하수의 배출압력을 견고하게 견딜 수 있고, 지하수가 배출라인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 청소오염물 회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 청소오염물 회수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 청소오염물 회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보조탈착부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1)는, 헤드부(10), 체결수단(13), 결합수단(11), 주입부(12), 탈착부(14) 및 배출부(15)를 포함한다. 여기에, 보조결합부(112)를 더 포함한다.
헤드부(10)는, 대략 챙이 달린 반구 형태의 모자 형상으로, 반으로 나눠져 형성된다.
체결수단(13)은, 헤드부(10)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나눠진 헤드부(10)의 경계부분에 각각 구비되고, 나사로 결합한다. 즉, 체결수단(13)에 나사를 끼워서 조이면 반으로 나눠진 헤드부(10)가 결합하여 고정된다.
헤드부(10)는 150, 200, 250, 300mm 등으로 그 크기의 변경이 가능하고, 헤드부(10)의 변경을 위해서는 체결수단(13)을 분리시키고 헤드부(10)와 체결수단(13)을 탈부착시켜서 변경시킨다.
결합수단(11)은, 헤드부(10)를 지하수 관정의 케이싱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의 고정편(111)을 포함한다.
고정편(111)은, 대략 "ㄷ"형태로 헤드부(10)의 둘레에 끼워지되, 헤드부(10)가 관정에 설치된 케이싱(P)의 플랜지(F)에 얹혀진 상태에서 헤드부(10)와 플랜지가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6개의 고정편(111)을 헤드부(10)의 둘레에 끼운 후 볼트로 조여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 고정편(111)에 의해서 헤드부(10)가 케이싱의 플랜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결합수단(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결합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결합부(112)는,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은 관정의 케이싱(P')에 헤드부(1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대략 와셔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때, 보조결합부(112)는 관정의 케이싱(P')에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반으로 나눠져 형성되고, 일측은 힌지(H)로 결합되고 타측은 나사결합된다. 즉, 보조결합부(112)가 관정의 케이싱(P')에 끼워지도록 보조결합부(112)를 벌려서 관정의 케이싱(P')에 끼운 후 보조결합부(112)를 볼트로 조여서 보조결합부(112)를 관정의 케이싱(P')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헤드부(10)를 보조결합부(112)에 얹은 후 고정편(111)을 이용하여 헤드부(10)를 보조결합부(112)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관정의 케이싱(P')에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보조결합부(112)를 통해 헤드부(10)를 관정의 케이싱(P')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주입부(12)는, 대략 관 형태로 헤드부(10)의 중앙에 관통되어 고정되되, 헤드부(10)와 마찬가지로 반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즉, 헤드부(10)를 분리하면 주입부(12) 또한 분리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탈착부(14)는, 대략 관 형태로 내부는 복수로 단차져 형성되고, 주입부(12)의 하부에 배치되되 주입부(12)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는 인입되는 호스의 크기에 따라 변경 교체가 가능하고, 탈착부(14)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의 소재로 3 내지 5단까지 그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지게 형성되어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최소화하고, 탈착부(14)와 에어공급호스(A.H)는 다단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탈착부(14)의 어느 한 단이 손상되더라도 탈착부(14)로부터 에어공급호스(A.H)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착부(14)가 파손되면 헤드부(10)를 분리하고 주입부(12)에 끼워진 파손된 탈착부(14)를 꺼낸 후 새로운 탈착부(14)를 주입부(12)에 끼워서 교체할 수 있다.
배출부(15)는, 배출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4개의 배출라인(151)이 헤드부(10)의 상단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고, 반쪽의 헤드부(10)에 2개의 배출라인(151)이 구비되고, 다른 반쪽의 헤드부(10)에 2개의 배출라인(151)이 구비된다. 그리고, 양측으로 나눠진 2개의 배출라인(151)에는 일단이 막힌 원통 형태의 배출부(15)가 2개의 배출라인(151)과 연결되되 개구가 전방을 향하도록 연결된다. 즉, 배출부(15)는 1쌍으로 구비되고, 헤드부(10)가 분리되면 배출부(15) 또한 나눠진다.
상술한, 헤드부(10)와 헤드부(10) 사이, 헤드부(10)와 플랜지 사이, 헤드부(10)와 보조결합부(112) 사이 및 보조결합부(112)와 케이싱(P') 사이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밀폐를 위해 패킹(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헤드를 결합한 후 탈착부(14)에 에어공급호스(A.H)를 끼우고 에어공급호스(A.H)를 관정의 케이싱 내부로 삽입한 후 헤드를 케이싱의 플랜지에 고정한다.
주입부(12)를 통해 외부에 구비되는 에어콤푸레셔로부터의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 지하수가 상부로 솟아오르고 솟아오른 지하수는 배출라인(151)을 거쳐 배출부(15)를 통해 배출된다.
만약, 지하수 관정의 케이싱에 플랜지가 없으면 케이싱에 보조결합부(112)를 결합한 후 헤드부(10)를 보조결합부(112)에 고정시켜서 사용한다.
따라서, 지하수 관정의 케이싱에 플랜지가 생략되더라도 보조결합부(112)에 의해서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다. 게다가, 복수의 배출라인(151)을 형성함으로써, 배출압력에 따른 지하수의 누출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관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 지하수 관정 청소오염물 회수장치
10; 헤드부
11; 결합수단
111; 고정편
112; 보조결합부
H; 힌지
12; 주입부
13; 체결수단
14; 탈착부
15; 배출부
151; 배출라인
P, P'; 케이싱
A.H; 에어공급호스

Claims (7)

  1. 지하수 관정의 케이싱에 결합하는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케이싱에 상기 헤드부를 고정하는 결합수단;
    상기 헤드부의 한 부분에 구비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탈착부; 및
    상기 헤드부의 다른 부분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탈착부에 에어공급호스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서 상기 헤드부를 상기 관정의 상단에 고정한 후 상기 주입부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 주입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관정의 내부에 공급되고 주입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기 관정의 지하수가 역류하면서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부가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복수의 배출라인을 형성하되,
    상기 지하수 배출시 배출압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라인이 양쪽으로 나눠지도록 상기 헤드부는 반으로 나눠져 형성되고 나눠져 형성된 상기 헤드부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하수 관정에서 플랜지가 생략된 케이싱와 결합하는 보조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결합부를 플랜지가 생략된 케이싱에 결합시킨 후 상기 헤드부를 상기 보조결합부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부는,
    반으로 나눠져 형성되되 일측은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에어공급호스가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내부가 복수로 단차져 형성되되, 상기 지하수 배출과정에서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에어공급호스가 상기 탈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KR1020120154360A 2012-12-27 2012-12-27 지하수 관정 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KR10140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360A KR101402544B1 (ko) 2012-12-27 2012-12-27 지하수 관정 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360A KR101402544B1 (ko) 2012-12-27 2012-12-27 지하수 관정 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544B1 true KR101402544B1 (ko) 2014-05-30

Family

ID=5089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360A KR101402544B1 (ko) 2012-12-27 2012-12-27 지하수 관정 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5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61B1 (ko) 2005-10-19 2005-12-12 최운동 지하수공의 청소 방법 및 그 청소장치
KR100790516B1 (ko) 2007-04-05 2008-01-03 이순하 지하수 관정의 청소장치 및 그 방법
KR100835138B1 (ko) 2008-02-18 2008-06-04 홍만표 지하수공 세척장치
KR20100088472A (ko)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상하 구동형 브러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61B1 (ko) 2005-10-19 2005-12-12 최운동 지하수공의 청소 방법 및 그 청소장치
KR100790516B1 (ko) 2007-04-05 2008-01-03 이순하 지하수 관정의 청소장치 및 그 방법
KR100835138B1 (ko) 2008-02-18 2008-06-04 홍만표 지하수공 세척장치
KR20100088472A (ko)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상하 구동형 브러쉬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949B1 (ko) 수중펌프용 헤드 보호 및 막힘 방지장치
US11512274B2 (en) Microorganism sampling device
US20230118899A1 (en) Pi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and pig therefor
KR102120645B1 (ko)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부단수 분기장치
KR100651052B1 (ko) 지하수 관정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공법
KR102150301B1 (ko)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
KR100745551B1 (ko) 엔트란스슬리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지하여과수 수평취수관 설치방법 및 장치
KR101402544B1 (ko) 지하수 관정 청소 오염물 회수장치
US11560696B2 (en) Water main flushing with high pressure jetting
KR101394162B1 (ko) 지하수 관정 청소 및 청소오염물 회수시스템
KR101763885B1 (ko) 지하수 관정 청소장치
JP2005180569A (ja) 止水プラグ及びバイパスシステム
KR101831728B1 (ko) 활성탄소섬유필터가 구비된 샤워기
JP2006035110A (ja) 管洗浄装置
KR101222608B1 (ko) 지하수 관정 청소장치
KR100993838B1 (ko) 내부 청소가 가능한 밀폐식 관정 상부 보호 장치
KR100715290B1 (ko) 지하수공의 청소를 위한 고압축 분사 파워비트 써징 공법
KR20070020309A (ko) 활성탄을 이용한 지하수에 포함된 라돈 저감화 방법
KR101352582B1 (ko)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WO2014104422A1 (ko) 지하수 관정 청소 및 청소오염물 회수시스템
KR200451043Y1 (ko) 수로변경용 오수받이
CN208486352U (zh) 一种建筑施工用家庭地漏
US11644144B2 (en) Pig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and pig therefor
KR101472327B1 (ko) 배수 트랩 장치
KR200304091Y1 (ko) 지하수 심정 청소를 위한 덮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