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404B1 -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404B1
KR101401404B1 KR1020120103752A KR20120103752A KR101401404B1 KR 101401404 B1 KR101401404 B1 KR 101401404B1 KR 1020120103752 A KR1020120103752 A KR 1020120103752A KR 20120103752 A KR20120103752 A KR 20120103752A KR 101401404 B1 KR101401404 B1 KR 10140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frames
ban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515A (ko
Inventor
김장옥
Original Assignee
김장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옥 filed Critical 김장옥
Priority to KR1020120103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4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 빛의 분산을 유도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하여 영유아의 시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의 결합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관절로 구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대응하는 한 쌍의 프레임 각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타단이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밴드지지대; 및
상기 밴드지지대에 구비되어 조명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반투명 재질의 빛 조절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light controlling device of stand for baby}
본 발명은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 빛의 분산을 유도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하여 영유아의 시력 및 지각활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 시기의 아기들은 단계적으로 성장하게 되면서 근육의 형성과정에 따라 스스로의 힘으로 몸을 뒤집거나 또는 기어다니기 전 가지는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있는 자세로 지내게 되고 영유아의 시선은 거의 대부분이 천정만을 향하게 된다.
또한, 실내에는 실내의 조명을 위한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조명등은 천정에 설치되어 천정으로부터 바닥을 향해 직접적인 조명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실내의 활동을 위해 없어서는 않 될 꼭 필요한 전기기구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영유아가 깨어있는 상태에서는 영유아의 불안감을 달래기 위해서 조명등을 켜 놓고 있는데, 이는 영유아의 시력이 완전하게 형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고 영유아의 반응이 밝은 빛에 의해 반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유아가 잠드는 경우에는 빛을 차단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하고, 깨어있는 상태에서는 조명등을 켬으로써 불안감을 달래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모들은 조명등의 조명 빛이 영유아의 불안감을 달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조명등이 주변환경이 어두워진 상태에서 켜지는 경우에는 그 빛의 밝기가 낮보다는 강하기 때문에 영유아의 시력에 악 영향을 끼치고 있다.
즉, 누워 있는 영유아의 시선은 항상 천정을 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야간의 강한 조명 빛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고, 이로 인해 영유아의 시력 및 지각활동에 악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 빛의 분산을 유도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하여 영유아의 시력 및 지각활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의 결합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관절로 구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대응하는 한 쌍의 프레임 각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타단이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밴드지지대; 및 상기 밴드지지대에 구비되어 조명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반투명 재질의 빛 조절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밴드지지대의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힌지축이 관통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공에는 한 쌍의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핀이 상기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톱퍼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밴드지지대는 원형, 사각 및 다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빛 조절막은 상기 밴드지지대를 감싸도록 포켓형상을 이루며, 단부의 둘레면에는 수축 가능한 탄성밴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빛 조절막은 한지 또는 박막의 실리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밴드지지대의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중력방향으로 만곡되어 모빌(mobile)을 걸 수 있는 모빌걸이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의 하측 단부에는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의 하측 단부에는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는 고정의 용이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의 하측 단부에는 클램프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에 의하면, 영유아의 상측에 빛 조절막이 위치되도록 하여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 빛의 분산을 유도하여 눈부심을 방지함으로써 영유아의 시력 및 지각활동에 대한 정상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의 구성중 밴드지지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밴드지지대의 프레임이 이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의 구성중 지지대를 고정하는 다른 실시구조를 나타낸 요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의 구성중 지지대를 고정하는 또 다른 실시구조를 나타낸 요부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의 구성중 밴드지지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밴드지지대의 프레임이 이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의 구성중 지지대를 고정하는 다른 실시구조를 나타낸 요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의 구성중 지지대를 고정하는 또 다른 실시구조를 나타낸 요부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120)의 결합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관절(110)로 구성된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대응하는 한 쌍의 프레임(210) 각 일단이 힌지축(P)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P)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프레임(210) 타단이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밴드지지대(200); 및 상기 밴드지지대(200)에 구비되어 조명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반투명 재질의 빛 조절막(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100)는 상측으로 후술하게 되는 밴드지지대(200)를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120)의 결합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관절(11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회동부재(120)는 관절(110)과 관절(110)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재로써 복수개의 관절(110)이 다양한 각도로 회동 되도록 한다.
이 경우, 관절(110)은 원형의 봉 형상 또는 사각의 봉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회동부재(120)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관절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개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지지대(100)의 하측 단부에는 원형의 형상의 받침대(400)가 구비되며, 받침대(400)의 하부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41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받침대(400)는 지지대(100)의 하측 단부와 결합되어 지지대(100)가 바닥(거실 또는 방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바퀴(410)가 구비됨에 따라 스탠드(10)의 이동 용이성을 갖도록 한다.
이때, 받침대(400)의 내측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절(110) 및 밴드지지대(200)의 무게 즉 스탠드(10)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가 내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대(400)를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100)의 하측 단부에는 원형의 형상의 받침대(400')가 구비되며, 받침대(400')의 하부에는 고정의 용이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착부재(42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스탠드(10)가 설치되는 장소 즉 누워있는 영유아의 거실 또는 방의 바닥을 흡착부재(420)가 흡착토록 함으로써 스탠드(10)의 설치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여 혹시 모를 영유아의 움직임에 의해 스탠드(10)가 넘어지는 것을 막아 영유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대(400')의 저면에 흡착부재(420)가 한 개인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그 개수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받침대(400')의 내측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관절(110) 및 밴드지지대(200)의 무게 즉 스탠드(10)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무게추가 내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대(400')를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100)의 하측 단부에는 클램프(500)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의 스탠드(10)가 바닥에 설치가 곤란한 경우 클램프(500)가 클램핑 될 수 있는 돌출된 플레이트(미 도시) 등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스탠드(10)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50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돌출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구조로 집게가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구조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밴드지지대(200)는 후술하게 되는 빛 조절막(300)이 씌워지는 것으로, 지지대(100)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대응하는 한 쌍의 프레임(210) 각 일단이 힌지축(P)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축(P)을 중심으로 한 쌍의 프레임(210) 타단이 밀착 또는 이격된다.
한 쌍의 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210) 하단에는 지지대(100)와 결합되는 결합구(215)가 형성되어있다. 이때, 결합구(215)는 지지대(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 될 수도 있다.
상기의 밴드지지대(2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은 빛 조절막(300)이 밴드지지대(200)에 씌워질 때 빛 조절막(300)을 통해 조명 빛이 투과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밴드지지대(200)는 원형, 사각 및 다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지지대(200)의 한 쌍의 프레임(210)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힌지축(P)이 관통된 한 쌍의 프레임(210)의 일단에는 힌지축(P)을 중심으로 프레임(21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고정공(213)이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고정공(213)에는 한 쌍의 고정핀(233)과 고정핀(233)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35)로 구성되어 한 쌍의 고정핀(233)이 고정공(213)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한 쌍의 프레임(210)의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톱퍼(2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스톱퍼(230)는 한 쌍의 프레임(210)이 힌지축(P)을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질 때 한 쌍의 고정핀(233)이 각 프레임(21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공(213)을 일치시켜 관통함으로써 프레임(210)의 회동 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스톱퍼(230)를 통해 프레임(210)의 다양한 회동각도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스톱퍼(230)는 한 쌍의 프레임(210) 타단이 밀착된 상태에서도 프레임(210)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의 밴드지지대(200)가 상호 밀착 또는 이격되는 구조를 갖는 이유는, 영유아의 얼굴로 향하는 조명 빛의 범위를 넓게 확대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후술하게 되는 빛 조절막(300)의 크기가 커져야 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빛 조절막(300)의 사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지지대(200)의 구조를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밴드지지대(200)의 한 쌍의 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210)에는 프레임(210)을 가로지르며 중력방향으로 만곡되어 모빌(mobile)을 걸 수 있는 모빌걸이대(22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로 이루어진 모빌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워있는 영유아의 시각과 청각의 발달을 돕고 사물을 구별하는 능력을 키워주며 주의력과 집중력 및 정서적인 안정감을 길러주기 위함이다.
빛 조절막(300)은 밴드지지대(200)에 구비되며 누워있는 영유아의 얼굴로 향하는 조명 빛의 분산을 유도하여 빛의 세기가 은은한 빛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영유아의 시력을 보호하도록 한다.
이때, 빛 조절막(300)의 재질은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명 빛의 직접 투과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빛 조절막(300)의 재질은 한지 또는 박막의 실리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빛의 투과율이 저하 또는 조절되도록 하는 재질이라면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빛 조절막(300)은 밴드지지대(200)의 한 쌍의 프레임(210)을 감싸도록 포켓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단부의 둘레면에는 수축 가능한 탄성밴드(30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탄성밴드(303)는 빛 조절막(300)이 한 쌍의 프레임(210)을 감싸는 상태로 씌워진 상태에서 프레임(210)의 하단부를 조임에 따라 빛 조절막(300)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불어 빛 조절막(300)의 착탈에 대한 용이성이 보장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는 바닥에 거치 된 상태로 밴드지지대(200)에는 빛 조절막(300)이 씌워져 있으며, 지지대(100)의 복수개의 관절(110)은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어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천정의 조명등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조사된 빛은 빛 조절막(300)을 투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빛의 일부만이 빛 조절막(300)을 투과함으로써 결국 빛의 세기가 약하게 조절된다.
조절된 빛은 영유아의 시력으로 향하더라도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는, 영유아의 상측에 빛 조절막이 위치되도록 하여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 빛의 분산을 유도하여 눈부심을 방지함으로써 영유아의 시력 및 지각활동에 대한 정상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받침대의 형상, 지지대의 구조, 회동부재와 관절의 개수, 밴드지지대의 형상 및 구조, 빛 조절막의 재질 및 구조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스탠드 100 : 지지대
110 : 관절 120 : 회동부재
200 : 밴드지지대 210 : 프레임
213 : 고정공 220 : 모빌걸이대
230 : 스톱퍼 233 : 고정핀
235 : 연결부재 300 : 빛 조절막
303 : 탄성밴드 400,400' : 받침대
410 : 바퀴 420 : 흡착부재
500 : 클램프 P : 힌지축

Claims (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부재(120)의 결합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관절(110)로 구성된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100)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대응하는 한 쌍의 프레임(210) 각 일단이 힌지축(P)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P)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프레임(210) 타단이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밴드지지대(200); 및
    상기 밴드지지대(200)에 구비되어 조명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반투명 재질의 빛 조절막(300);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지지대(200)의 상기 한 쌍의 프레임(210)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힌지축(P)이 관통된 상기 한 쌍의 프레임(210)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축(P)을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21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고정공(213)이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공(213)에는 한 쌍의 고정핀(233)과 상기 고정핀(233)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35)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핀(233)이 상기 고정공(213)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프레임(210)의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톱퍼(2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지지대(200)는 원형, 사각 및 다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빛 조절막(300)은 상기 밴드지지대(200)를 감싸도록 포켓형상을 이루며, 단부의 둘레면에는 수축 가능한 탄성밴드(30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빛 조절막(300)은 한지 또는 박막의 실리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지지대(200)의 상기 한 쌍의 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210)에는 상기 프레임(210)을 가로지르며 중력방향으로 만곡되어 모빌(mobile)을 걸 수 있는 모빌걸이대(2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
  7.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의 하측 단부에는 받침대(400)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400)의 하부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한 복수개의 바퀴(4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
  8.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의 하측 단부에는 받침대(400')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400')의 하부에는 고정의 용이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착부재(4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
  9.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의 하측 단부에는 클램프(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10).
KR1020120103752A 2012-09-19 2012-09-19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 KR10140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752A KR101401404B1 (ko) 2012-09-19 2012-09-19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752A KR101401404B1 (ko) 2012-09-19 2012-09-19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15A KR20140037515A (ko) 2014-03-27
KR101401404B1 true KR101401404B1 (ko) 2014-05-30

Family

ID=5064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752A KR101401404B1 (ko) 2012-09-19 2012-09-19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6164A (zh) * 2017-11-30 2018-02-23 苏州承腾电子科技有限公司 带夜灯的床头壁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517U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용 실내등의 간접 조명 장치
KR19990017717U (ko) * 1997-11-01 1999-06-05 김영길 유모차용 햇빛가리개
KR101052723B1 (ko) * 2010-09-20 2011-07-29 김상일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517U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용 실내등의 간접 조명 장치
KR19990017717U (ko) * 1997-11-01 1999-06-05 김영길 유모차용 햇빛가리개
KR101052723B1 (ko) * 2010-09-20 2011-07-29 김상일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15A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95988B (zh) 一种多光源作业灯
US20100029170A1 (en) Infant accomodation apparatus
WO2016074601A2 (zh) 照明设备
KR101639670B1 (ko) 스마트 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친환경 led 수유등
KR101401404B1 (ko) 영유아용 조명 빛 조절 스탠드
US20100186145A1 (en) Infant sleeping cap
CN205136983U (zh) 一种用于手机或平板电脑支架的可翻转夹子
KR101876073B1 (ko) 다기능 미술교구
CN207112492U (zh) 一种多角度消防应急灯
CN203000132U (zh) 家庭用婴儿床
JP3209636U (ja) 丸太椅子又は台若しくはテーブル
CN2554958Y (zh) 一种视力架及其台灯
US20160186965A1 (en) Face illumination means
CN205391563U (zh) 一种脑性瘫痪儿童康复训练装置
CN220648044U (zh) 一种护眼灯
CN215585466U (zh) 一种玩具及包括其的装置
TWI716325B (zh) 免下床嬰兒床
US20220297020A1 (en) Mobile hub
CN207394481U (zh) 一种防近视矫姿无影台灯
US1501777A (en) Doll
JP2015104592A (ja) シーソ型遊戯装置
CN207514733U (zh) 一种角度可调的嵌入式天花射灯
CN207146292U (zh) 照射灯的防眩光装置
CN107687607A (zh) 一种台灯
JP3150007U6 (ja) 遮光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