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361B1 -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361B1
KR101401361B1 KR1020120083979A KR20120083979A KR101401361B1 KR 101401361 B1 KR101401361 B1 KR 101401361B1 KR 1020120083979 A KR1020120083979 A KR 1020120083979A KR 20120083979 A KR20120083979 A KR 20120083979A KR 101401361 B1 KR101401361 B1 KR 101401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rsion
nanoparticles
particles
coating material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088A (ko
Inventor
이인숙
고다현
주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to KR102012008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3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2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22F1/054Nanosiz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6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a non-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2/00Treatment under specific physical conditions
    • B22F2202/05Use of magnet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2/00Treatment under specific physical conditions
    • B22F2202/06Use of electr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4/00Physical aspects of the powder
    • B22F2304/05Submicron siz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입자 제조 방법은 (a) 제1 용매에 제1 입자를 분산시켜 제1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2 용매에 상기 제1 입자보다 굴절률이 큰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 물질을 분산시켜 제2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분산액과 상기 제2 분산액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제1 분산액 및 제2 분산액의 온도 및 pH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NANO PART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이 코팅된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소개되고 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서 전자 잉크(electronic-ink)를 들 수 있다. 전자 잉크는 각각 음전하 및 양전하를 갖는 특정 색(예를 들면, 각각 검은색 및 흰색)의 입자를 포함하는 캡슐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특정 색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전력 소모를 줄이고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전자 잉크에 의할 경우, 입자의 색이 특정 색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색을 표현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고, 디스플레이 전환 속도가 느려 동영상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 광결정(photonic crystal)의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광결정이란 입사되는 광 중 특정한 파장의 광만을 반사하고 나머지 파장의 광은 통과시킴으로써 특정한 파장에 해당하는 색을 띠는 성질을 갖는 물질 혹은 결정을 의미하는데, 광결정의 대표적인 예로는 나비의 날개, 딱정벌레의 등껍질 등이 있다. 이들은 색소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지만 특유의 광결정 구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특유의 색을 낼 수 있다.
최근 광결정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자연계에 존재하는 기존의 광결정의 경우에 특정 파장의 광만을 반사하던 것에 비하여, 소정의 물질을 포함하여 인공적으로 합성된 광결정의 경우에는 다양한 외부 자극에 의하여 광결정의 결정 구조(예를 들면, 광결정을 구성하는 층간 두께)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가시광선 영역뿐만 아니라 자외선 또는 적외선 영역까지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광결정을 구현하는 기술 중에 일정한 크기의 나노 입자를 굴절률이 다른 매질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외부 자극을 이용하여 나노 입자의 배열을 조절함으로써 나노 입자의 배열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하는 기술을 상정할 수 있는데, 이때 나노 입자와 매질 사이의 굴절률 차이가 클수록 반사되는 광의 반사율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광결정을 구성할 수 있는 나노 입자의 굴절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나노 입자 표면에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코팅하는 기술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유기고분자 또는 실리콘옥사이드(SiO2)와 같이 상대적으로 굴절률(refractive index)이 작은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입자의 표면에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큰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코팅함으로써, 나노 입자의 평균적인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입자 제조 방법은 (a) 제1 용매에 제1 입자를 분산시켜 제1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2 용매에 상기 제1 입자보다 굴절률이 큰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 물질을 분산시켜 제2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분산액과 상기 제2 분산액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제1 분산액 및 제2 분산액의 온도 및 pH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입자와 상기 코팅 물질의 굴절률의 차이는 0.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입자의 굴절률은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입자의 직경은 100 nm 이상 1 μ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입자는 상기 제1 용매에 대하여 0.1 내지 0.25 무게비율(wt%)로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자는 실리콘 옥사이드(SiO2), PMMA(polymethylmethacylate), PS(polystyr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의 표면에 하이드록시(hydroxyl)기, 티올(thiol)기, 설폰산(sulfonic acid)기,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기, 에스테르(ester)기 및 아실(acyl)기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 물질의 굴절률은 2 이상이고 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코팅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직경은 1 nm 이상 10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코팅 물질은 니켈(Ni), 크롬(Cr), 타이타늄 옥사이드(TiO2), 바륨 타이타네이트(BaTiO3), 크롬 옥사이드(Cr2O3), 카퍼 옥사이드(CuO), 헤마타이트(Fe2O3), 마그네타이트(Fe3O4), 망게니즈 옥사이드(MnO2), 스트론튬 타이타네이트(SrTiO3), 틴 옥사이드(SnO2), 지르코튬 옥사이드(ZrO2) 및 지르코늄 실리케이트(ZrSiO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혼합된 제1 분산액 및 제2 분산액의 온도는 섭씨 40도 이상 120도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분산액에는 N-비닐 피롤리돈 중합체, 글리세릴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올레익아미드 에톡실레이트, 소르비톨 유도체 및 폴리 에스테르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2 분산액에는 금속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a), (b) 및 (c)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입자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위치 또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매 및 상기 제2 용매는 극성 용매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분산액 및 상기 제2 분산액의 pH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입자의 표면과 상기 코팅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표면이 서로 다른 전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입자는, 제1 입자, 및 상기 제1 입자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코팅 물질 - 상기 코팅 물질은 상기 제1 입자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노 입자는, (a) 제1 용매에 상기 제1 입자를 분산시켜 제1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2 용매에 상기 제1 입자보다 굴절률이 큰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코팅 물질을 분산시켜 제2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분산액과 상기 제2 분산액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제1 분산액 및 제2 분산액의 온도 및 pH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입자의 굴절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나노 입자가 적용되는 광결정의 광 반사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팅된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구성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팅된 나노 입자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팅된 나노 입자를 에너지 분산성 엑스선 분광기(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로 분석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입자 제조 방법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코팅"은 한 입자의 표면에 다른 입자가 결합, 부착 또는 흡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한 입자의 표면 전부에 다른 입자가 부착 또는 흡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한 입자의 표면 일부에만 다른 입자가 부착 또는 흡착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팅된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구성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 입자를 극성 용매에 분산시켜 제1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도 1의 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산액에 분산되는 나노 입자는 극성 용매에 대하여 0.1 내지 25 무게비율(wt%)로 분산될 수 있으며, 제1 분산액은 초음파 분산기 또는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산액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나노 입자의 크기(즉, 직경)는 100 나노미터(nm) 이상 1 마이크로미터(μm) 이하일 수 있고, 제1 분산액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나노 입자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은 2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입자는 실리콘 옥사이드(SiO2), PMMA(polymethylmethacylate), PS(polystyr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등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 입자의 표면에는 하이드록시(hydroxyl)기, 티올(thiol)기, 설폰산 (sulfonic acid)기,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기, 에스테르(ester)기, 아실(acyl)기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산액에는 나노 입자의 분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산액에는 N-비닐 피롤리돈 중합체, 글리세릴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올레익아미드 에톡실레이트, 소르비톨 유도체(예를 들면, Tween20 등), 폴리 에스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solseperse 54000 등)과 같은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로 구성되는 코팅 물질이 분산된 제2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도 1의 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분산액에 분산되는 코팅 물질은 굴절률이 2 이상이고 3 이하인 금속이나 금속화합물, 특히, 금속산화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분산액에 분산되는 코팅 물질은 크기(즉, 직경)가 1 나노미터(nm) 이상 100 나노미터(nm) 이하인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 물질은 니켈(Ni), 크롬(Cr) 등의 금속을 포함하거나 크롬 옥사이드(Cr2O3), 카퍼 옥사이드(CuO), 헤마타이트(Fe2O3), 마그네타이트(Fe3O4), 망게니즈 옥사이드(MnO2), 스트론튬 타이타네이트(SrTiO3), 틴 옥사이드(SnO2), 지르코튬 옥사이드(ZrO2), 지르코늄 실리케이트(ZrSiO4) 등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 분산액에 금속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가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원제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hydrazine hydrate)로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산액과 제2 분산액을 혼합하고, 이렇게 혼합된 제1 분산액 및 제2 분산액의 온도를 조절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나노 입자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코팅 물질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구성되는 코팅된 나노 입자를 형성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도 1의 S130). 예를 들면, 제1 분산액과 제2 분산액의 온도는 섭씨 40도 이상 120도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팅된 나노 입자의 형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분산액과 제2 분산액의 pH(수소이온농도지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산액과 제2 분산액의 pH를 조절함으로써 제1 분산액에 포함되어 있는 나노 입자의 표면 전하와 제2 분산액에 포함되어 있는 코팅 물질의 표면 전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코팅 물질이 나노 입자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분산액과 제2 분산액의 혼합액이 염기성이 되도록 pH를 조절함으로써 제1 분산액에 포함되어 있던 나노 입자의 표면이 음전하(혹은 양전하)를 띄고 제2 분산액에 포함되어 있던 코팅 물질의 표면이 양전하(혹은 음전하)를 띄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면에 서로 다른 전하를 갖는 나노 입자와 코팅 물질은 정전기적 인력(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나노 입자는 모입자가 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코팅 물질은 자입자가 될 수 있으며, 자입자가 모입자의 주변으로 모여서 모입자의 표면에 부착되는 양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산액과 제2 분산액의 pH를 조절하여 나노 입자와 코팅 물질의 표면 전하를 조절하고 제1 분산액과 제2 분산액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나노 입자의 표면에 코팅 물질(즉, 금속)이 환원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 입자의 표면에는 -COOH, -OH, -SH 등이 형성되어 있어서 pH가 조절됨에 따라 음전하를 띨 수 있고, 여기에 코팅 물질인 Ni2 + 이온과 같은 금속 양이온이 혼합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나노 입자의 표면에 Ni2 + 이온이 모여들 수 있다. 이때,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hydrazine hydrate)와 같은 환원제를 이용하여 Ni2 + 이온이 Ni로 환원되도록 온도를 조절하면 나노 입자의 표면에 Ni 입자가 부착되어 코팅된 나노 입자가 얻어질 수 있다. 즉, 위의 과정에서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반응과 환원 반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형성된 코팅된 나노 입자를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도 1의 S14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산액과 제2 분산액의 혼합을 통하여 형성된 코팅된 나노 입자는 중력에 의한 침전 과정이나 여과 과정을 거쳐 분리 및 회수될 수 있으며, 코팅된 나노 입자가 자성을 갖는 경우에는 코팅된 나노 입자에 대하여 자기장을 인가하여 코팅된 나노 입자를 분리 및 회수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로 코팅된 나노 입자를 제조한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분산액의 제조
먼저,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나노 입자 0.3g을 극성 용매인 에틸렌글리콜 150mL에 혼합하고, 초음파기(sonicator)를 이용하여 30분간 분산시킨 후, 첨가제로서 1 몰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mL를 첨가함으로써, 제1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2) 제2 분산액의 제조
한편, 코팅 물질인 니켈아세테이트((CH3COO)2Ni·4H2O) 0.22g을 극성 용매인 에틸렌글리콜 80mL에 용해시킨 후, 환원제로서 히드라진 수화물(N2H4·H20) 9.23g을 첨가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2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3) 코팅 물질이 코팅된 나노 입자의 제조, 분리 및 회수
다음으로, 제1 분산액이 들어 있는 반응조를 250rpm으로 교반하면서, 제2 분산액을 약 30분에 걸쳐 반응조에 부어 제1 분산액과 제2 분산액을 혼합시킨 후, 반응조의 온도를 섭씨 120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그 후, 반응조의 온도를 상온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반응조에 대하여 자기장을 인가하여 자성을 갖는 코팅된 나노 입자를 분리 및 회수하였다. 이렇게 분리 및 회수된 코팅된 나노 입자를 에탄올 30mL에 혼합하여 다시 분산시킨 후 자석을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코팅된 나노 입자를 분리 및 회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3번 반복한 후 모아진 코팅된 나노 입자를 상온에서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0.3g의 코팅된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팅된 나노 입자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자(210)의 표면에 보다 작은 크기의 니켈 성분의 코팅 물질(220)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팅된 나노 입자를 에너지 분산성 엑스선 분광기(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로 분석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코팅된 나노 입자의 표면에서 니켈(Ni) 원소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장, 자기장 등의 외부 자극을 이용하여 코팅된 나노 입자의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코팅된 나노 입자의 배열에 의하여 형성되는 광결정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광결정을 구성하는 코팅된 나노 입자의 굴절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코팅된 나노 입자의 배열로 구성되는 광결정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반사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a) 제1 용매에 제1 입자를 분산시켜 제1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2 용매에 상기 제1 입자보다 굴절률이 큰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 물질을 분산시켜 제2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분산액과 상기 제2 분산액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제1 분산액 및 제2 분산액의 온도 및 pH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의 직경은 100 nm 이상 1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입자는 상기 제1 용매에 대하여 0.1 내지 0.25 무게비율(wt%)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자는 실리콘 옥사이드(SiO2), PMMA(polymethylmethacylate), PS(polystyr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의 표면에 하이드록시(hydroxyl)기, 티올(thiol)기, 설폰산(sulfonic acid)기,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기, 에스테르(ester)기 및 아실(acyl)기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의 굴절률은 2 이상이고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직경은 1 nm 이상 10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은 니켈(Ni), 크롬(Cr), 타이타늄 옥사이드(TiO2), 바륨 타이타네이트(BaTiO3), 크롬 옥사이드(Cr2O3), 카퍼 옥사이드(CuO), 헤마타이트(Fe2O3), 마그네타이트(Fe3O4), 망게니즈 옥사이드(MnO2), 스트론튬 타이타네이트(SrTiO3), 틴 옥사이드(SnO2), 지르코튬 옥사이드(ZrO2) 및 지르코늄 실리케이트(ZrSiO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혼합된 제1 분산액 및 제2 분산액의 온도는 섭씨 40도 이상 120도 이하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분산액에는 N-비닐 피롤리돈 중합체, 글리세릴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올레익아미드 에톡실레이트, 소르비톨 유도체 및 폴리 에스테르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2 분산액에는 금속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b) 및 (c)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나노 입자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위치 또는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매 및 상기 제2 용매는 극성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분산액 및 상기 제2 분산액의 pH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입자의 표면과 상기 코팅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표면이 서로 다른 전하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제조 방법.
  16. 삭제
  17. 제1 입자, 및
    상기 제1 입자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코팅 물질 - 상기 코팅 물질은 상기 제1 입자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을 포함함 -
    을 포함하고,
    (a) 제1 용매에 상기 제1 입자를 분산시켜 제1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제2 용매에 상기 제1 입자보다 굴절률이 큰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코팅 물질을 분산시켜 제2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분산액과 상기 제2 분산액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제1 분산액 및 제2 분산액의 온도 및 pH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
    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
KR1020120083979A 2012-07-31 2012-07-31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1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79A KR101401361B1 (ko) 2012-07-31 2012-07-31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79A KR101401361B1 (ko) 2012-07-31 2012-07-31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088A KR20120092088A (ko) 2012-08-20
KR101401361B1 true KR101401361B1 (ko) 2014-06-02

Family

ID=4688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979A KR101401361B1 (ko) 2012-07-31 2012-07-31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853B1 (ko) * 2017-02-09 2019-07-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ZnO 나노입자에 의해 코팅된 게르마늄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ZnO 나노입자에 의해 코팅된 게르마늄 나노입자 및 상기 ZnO 나노입자에 의해 코팅된 게르마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913A (ko) * 2005-01-11 2006-07-14 (주)나노클러스터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를 이용한 촉매물질 제조 방법
KR20110016720A (ko) * 2009-08-12 2011-02-18 (주)씽크루트 나노 실리카-금속 복합 입자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913A (ko) * 2005-01-11 2006-07-14 (주)나노클러스터 금속 나노입자가 분산된 콜로이드를 이용한 촉매물질 제조 방법
KR20110016720A (ko) * 2009-08-12 2011-02-18 (주)씽크루트 나노 실리카-금속 복합 입자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088A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8682B2 (ja) フォトニック結晶特性を用いた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TWI229115B (en) Core-shell particles for electrophoretic display
US10118834B2 (en) Superparamagnetic colloidal photonic structures
Han et al. Full color tunable photonic crystal from crystalline colloidal arrays with an engineered photonic stop‐band
JP6205985B2 (ja) 表示装置
JP5884659B2 (ja) 電気泳動素子および表示装置
Shah et al. Direct current electric field assembly of colloidal crystals displaying reversible structural color
US20110298880A1 (en) Printing medium,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using photonic crystal characteristic
JP4033225B1 (ja) 表示媒体、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5942394B2 (ja) 電気泳動素子および表示装置
KR101199976B1 (ko) 자성 입자를 이용한 표시 방법, 필름 및 표시 장치
WO2021175034A1 (zh) 复合粒子及包含复合粒子的调光器件
JP5900179B2 (ja) 電気泳動素子および表示装置
KR101401361B1 (ko)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JP5061318B2 (ja) 表示デバイス用粒子、電気泳動表示用液および表示デバイス
CN108048912A (zh) 球形胶体光子晶体的制备方法
TW201206823A (en) Large-area particle-mono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5942776B2 (ja) 電気泳動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967541B2 (ja) 光学素子及び光学装置
KR101290313B1 (ko) 중공형 대전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JP2013109222A (ja) 電気泳動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JP2010122256A (ja) 白色表示粒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10035568A (ko) 흑색 이산화티탄을 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용 안료 및 잉크
Li Synthesis and electric field-manipulation of high aspect ratio barium titanate
WO2016114011A1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