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315B1 -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315B1
KR101401315B1 KR1020120124786A KR20120124786A KR101401315B1 KR 101401315 B1 KR101401315 B1 KR 101401315B1 KR 1020120124786 A KR1020120124786 A KR 1020120124786A KR 20120124786 A KR20120124786 A KR 20120124786A KR 101401315 B1 KR101401315 B1 KR 10140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wet
dry
pressur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131A (ko
Inventor
정영수
심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2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3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2Dust ar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6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02Evacuating and treating of exhaus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2017/009Cyclone for separating fines from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87Automatisation of the whole plant or a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노정의 송풍 유량과 노정의 가스 온도를 측정하여 집진 설비의 모드를 습식 집진 설비 또는 건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도록 하는 노정의 집진 설비 모드 자동 변환 장치로서, 노정에 위치되어 노정에 송풍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송풍 유량 측정기; 노정에 위치되어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 및 압력 측정 계기; 상기 송풍 유량 측정기에서 측정된 송풍 유량과 상기 온도 및 압력 측정 계기에서 측정된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소정의 기준에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기; 상기 연산기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집진 설비를 건식 집진설비 또는 습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는 모드 변경기; 상기 모드 변경기가 집진 설비를 습식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경우, 집진 설비를 습식 모드로 선택하도록 하는 습식 모드 선택기; 및 상기 모드 변경기가 집진 설비를 건식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경우, 집진 설비를 건식 모드로 선택하도록 하는 건식 모드 선택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DE OF PRECIPITATION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노정의 집진 설비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노정의 송풍 유량과 가스 온도를 측정하여, 소정의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습식 집진 모드를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여, 습식 집진 설비의 이상시 감풍 및 휴풍 발생으로 생산량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는 노정 집진 설비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용선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로의 노정 가스(BFG)를 청정히 하기 위해 습식 집진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습식 집진 설비는 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물과 슬러지 처리의 문제가 존재하며, 노정 가스를 이용한 노정압 발전기 전력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건식 집진 설비의 도입의 필요성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집진 설비에 있어서 노정의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습식 집진 설비를 사용하면, 노정의 온도는 온도 측정기(1)로 노정의 압력은 노정 압력 검출계기(2)로 측정한 후, 이들 온도 및 압력의 정보를 제 1 및 제 2 노정 압력 조절 계기로 전송한다.
먼저, 제 2 노정 압력 조절계기는 이들 노정의 온도 및 압력 정보를 수신하여, 제 2 노정 압력 설정 계기에 설정된 설정치들을 기준으로 노정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 2 비율기에 의해 RSW 밸브를 제어하여 유압 장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온도 및 압력 정보를 수신한 제 1 노정 압력 조절 계기는 제 1 노정 압력 설정 계기에 의해 설정된 온도 및 압력치에 맞도록 제 1 비율기는 BCV 밸브를 조절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노정 압력 설정 계기에 설정된 설정치는 제 1 연산기에 전송되며, 압력 검출 계기(4)에 의해 TRT 설비의 발전기에 공급되는 노정 압력을 검출하여, 노정 압력을 제 1 연산기에 전송된 설정치에 맞도록 제 3 비율기를 작동시켜 TCV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로의 용선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로 노정 가스(BFG)를 청정히 하기 위한 습식 집진 설비가 도입되게 되는데 습식 집진 설비가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습식 집진 설비 사용 중 노정 가스 온도 및 압력 변화 발생시 노로 내부의 압력을 신속히 배출하기 위하여 BV(by-pass valve; 5)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습식 집진기 사용시 노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온도가 일정 온도(B℃)이하로 저하되어 노정압 발전량에 악 영향을 초래하고, 습식 집진 집진 설비 이상시 감풍 및 휴풍 발생으로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노정에 송풍되는 유량과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습식 집진 모드를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자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습식 집진 모드를 건식 집진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 이러한 오동작 여부를 알릴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는 노정의 송풍 유량과 노정의 가스 온도를 측정하여 집진 설비의 모드를 습식 집진 설비 또는 건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도록 하는 노정의 집진 설비 모드 자동 변환 장치로서, 노정에 위치되어 노정에 송풍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송풍 유량 측정기; 노정에 위치되어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 및 압력 측정 계기; 상기 송풍 유량 측정기에서 측정된 송풍 유량과 상기 온도 및 압력 측정 계기에서 측정된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소정의 기준에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기; 상기 연산기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집진 설비를 건식 집진설비 또는 습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는 모드 변경기; 상기 모드 변경기가 집진 설비를 습식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경우, 집진 설비를 습식 모드로 선택하도록 하는 습식 모드 선택기; 및 상기 모드 변경기가 집진 설비를 건식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경우, 집진 설비를 건식 모드로 선택하도록 하는 건식 모드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의 연산기는 Z1값, Z2값 및 Z3값을 상기 모드 변경기로 송신하되, 상기 Z1값은, 상기 송풍 유량 측정기로부터 수신한 송풍 유량이 부등식 송풍 유량≥F을 만족하는 경우 Z1=1로 설정되고, 부등식 송풍 유량<F을 만족하는 경우 Z1=0으로 설정되며, 상기 Z2값은, 상기 온도 및 압력 측정 계기로부터 수신한 노정 가스의 압력이 부등식 노정 압력≥P를 만족하는 경우 Z2=1로 설정되고, 부등식 노정 압력<P를 만족하는 경우, Z2=0으로 설정되며, 상기 Z3값은, 상기 노정 가스의 온도가 부등식 B℃<노정 가스의 온도≤A℃를 만족하는 경우 Z3=1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Z3=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의 모드 변경기는, 상기 Z1, Z2 및 Z3를 AND 연산한 Z0값을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 및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로 전송하되, 상기 Z0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가 가동되며, 상기 Z0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는, 상기 모드 변경기로부터 상기 Z0값을 수신하여, 집진 모드가 습식 집진 모드인지 건식 집진 모드인지 확인하는 모드 확인부;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 및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에 연결되어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 및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작동 확인부; 및 상기 Z0값이 1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지 않거나,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는 경우 또는 상기 Z0값이 0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지 않거나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는 경우에 오작동임을 외부에 알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은 노정의 송풍 유량과 노정의 가스 온도를 측정하여 집진 설비의 모드를 습식 집진 설비 또는 건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도록 하는 노정의 집진 설비 모드 자동 변환 방법으로서, (a) 노정에 송풍되는 송풍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b)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송풍의 유량 및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습식 집진 모드에서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건식 집진 모드에서 습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의 소정의 기준은, 송풍 유량≥F, 노정 가스 압력≥P 및 B℃≤노정 가스 온도≤A℃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은, 상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함에도 불구하고, 습식 집진 모드에서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에 오작동 여부를 외부로 알리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노정에 송풍되는 유량과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여 이들 유량, 온도 및 압력이 소정의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건식 집진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바, 건·습식 모드 전환에 있어서 작업자의 임의 판단 및 수동 조작에 의한 대형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건·습식 모드 전환에 있어서 오동작 여부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오동작 여부를 알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집진 설비에 있어서 노정의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의 각 구성들을 블록과 실제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의 각 구성들을 블록과 실제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는 노정의 송풍 유량과 노정의 가스 온도를 측정하여 집진 설비의 모드를 습식 집진 설비 또는 건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도록 하는 노정의 집진 설비 모드 자동 변환 장치로서, 송풍 유량 측정기(110); 온도 및 압력 측정계기(120); 연산기; 모드 변경기(도 2의 '건습식 MODE 변경'으로 도시); 습식 모드 선택기; 및 건식 모드 선택기를 포함한다.
먼저, 노정(blast furnace; 100)에 송풍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송풍 유량 측정기(110)는 노정에 위치되어, 노정에 송풍되는 유량을 측정한다.
노정에 부착되는 위치는 제한이 없으나, 노정에 송풍되는 유량을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가 설치하면 될 것이다.
송풍 유량 측정기(110)는 측정된 유량을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구성 요소임이 바람직하며, 이후 설명하게 될 모드 변경기로 측정된 송풍의 유량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온도 및 압력 측정계기(120)는 노정에 위치되어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및 압력 측정계기(120)는 노정(100)에 부착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송풍 유량 측정기(110)와 마찬가지로 측정된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타 장치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할 수 있어야하며, 이후 설명하게 될 모드 변경기로 측정된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연산기(도 2의 '제 4 연산기'로 도시)는 송풍 유량 측정기(110)에서 측정된 송풍의 유량과 온도 및 압력 측정계기(120)에서 측정된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소정의 기준에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며, 모드 변경 신호는 이하에서 설명할 모드 변경기로 전송된다.
소정의 기준은 본 발명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가 노정의 송풍 유량,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 등의 개별 상황에 맞게 설정할 수 있되,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소정의 기준에서 송풍 유량의 경우는 부등식 즉, 송풍 유량≥F인 경우 송풍 유량에 대한 값 Z1=1로 설정하고, 반대로 부등식 송풍 유량<F인 경우에는 Z1=0으로 설정하여, Z1값을 모드 변경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송풍 유량에 대한 임계치 F는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송풍 유량 값으로 설정되는 값이다.
노정 가스의 압력이 부등식 노정 가스의 압력≥P인 경우 노정 가스의 압력에 대한 값 Z2=1로 설정하고, 반대로 부등식 노정 가스의 압력<P인 경우 Z2=0으로 설정하여, Z2값을 모드 변경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노정 가스의 압력에 대한 임계치 P는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노정 가스의 압력 값으로 설정되는 값이다.
노정 가스의 온도가 부등식 A℃≥노정 가스의 온도≥B℃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Z3=1로 설정되고, 상기 부등식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Z3=0으로 설정되어 Z3값을 모드 변경기로 전송한다.
상기 A 및 B는 운전자가 조업 상황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것이되, 노정 가스의 집진 설비가 건식 모드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온도의 범위이다.
모드 변경기는 연산기로부터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집진 설비를 건식 집진 설비 또는 습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도록 한다.
모드 변경 신호 즉, Z1, Z2 및 Z3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부등식의 조건으로 구하되, 모드 변경기는 이들 신호를 연산기로부터 수신한다. 수신한 이들 모드 변경 신호는 AND 연산 즉, Z1 AND Z2 AND Z3하여, Z0값을 산출한다. 즉, Z1, Z2 및 Z3모두가 1인 경우 Z0=1이 되지만, 이외의 경우에는 Z0=0으로 된다.
모드 변경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로 구성되기 때문에 Z0 값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Z1 내지 Z3는 디지털 신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 모드 선택기는 상기 모드 변경기와 연결되어 상기 모드 변경기가 출력하는 모드 변경 신호 Z0를 수신하며, Z0=1인 경우에는 습식 모드 선택기는 동작하지 않으며, Z0=0인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한다.
즉, Z0는 Z1 내지 Z3의 값 중 어느 하나라도 소정의 기준에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유지되는바 모드 변경기는 Z0=0을 출력하여 습식 모드 선택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노정의 집진 장치는 습식 집진 모드로 구동된다.
반대로, Z1 내지 Z3의 값 모두가 1인 경우에는 소정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바, Z0=1로 되어 건식 모드 선택기가 작동되어, 습식 집진 장치는 건식 모드로 전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모드 또는 건식 모드로 선택시에 작동되는 원리는 도 2의 도면으로부터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도 2의 예시된 각종 밸브나 각종 장치의 구성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인 건·습식 모드의 변경 후의 동작 관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함이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므로, 예시적인 것으로만 해석함이 바람직하다.
습식 모드 선택기로부터의 Z0=0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습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게 된다. 습식 모드 선택기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제 4 노정 압력 설정 계기에 설정된 노정 압력과 측정된 노정 가스의 압력의 측정치와 비교하여, 제 4 비율기로 입력되며, 제 4 노정 압력 설정 계기에 설정된 노정 압력과 측정된 노정 가스의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RSW 밸브(146)를 조절하게 된다. 조절된 RSW 밸브(146)는 노정 가스의 압력이 조절하게 된다.
또한, 습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 2 연산기로 노정 온도 및 압력 측정 기(120)에 의한 노정 압력이 제 5 노정 압력 설정 계기로 입력되며, 이후 제 5 비율기에 의해 노정 압력 설정 계기와 측정된 노정 압력과의 차이를 상쇄하도록 SEPTUM 밸브(145)를 조절하도록 하여, 노정 압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만약, 습식 모드에서 건식 모드로 변경 즉 Z0=1의 경우, 건식 모드 선택기는 동작하게 되며, 이후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Z0=0 즉, 건식 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노정 압력 설정 계기로부터 입력된 노정 압력 설정치가 제 2 연산기로 전송되며, 이후 제 5 노정 압력 조절계기로 전송된다. 노정 압력 검출기(120)에 의해 검출된 노정 압력이 제 5 노정 압력 조절 계기로 전송되어, 노정 압력이 설정치에 맞도록 하기 위해 SEPTUM 밸브(145)는 제어 된다.
또한, 집진 후단 압력 검출 계기(130)에 의해 측정된 압력 정보는 제 5 노정 압력 조절 계기로 전송되며 제 6 노정 압력 조절 계기에 입력되며, 노정 압력 설정 계기에 의한 설정치가 제 6 노정 압력 조절계기에 입력된 후 양 값의 비교 값을 제 6 비율기에 비교된 후, 차이값 만큼 TCV 밸브(109)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도 2에서 도시된 각 밸브 및 기타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이 실제로 구현된 각 장치에서 어떻게 세부적인 작동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설명일 뿐이며, 이들 도 2에 도시된 각 밸브 및 장치들의 변경은 얼마든지 당업자가 변경사용가능하며, 이들 각 밸브 및 장치들의 변경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변경을 가져 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는 모드 확인부(미도시); 작동 확인부(미도시); 및 알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드 확인부는 모드 변경기에 연결되어, Z0값을 수신하여 집진 모드가 습식 집진 모드 인지 건식 집진 모드인지 확인한다. 즉, Z0=1인 경우, 건식 집진 모드로 판단하고, Z0=0인 경우 습식 집진 모드로 판단한다.
작동 확인부는 모드 확인부와 연결되어 모드 확인부가 판단한 정보를 수신하며, 동시에 습식 모드 선택기 및 건식 모드 선택기에 연결되어 실제로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 및 건식 모드 선택기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알람부는 상기 작동 확인부에 연결되어, Z0=1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는 오동작임을 인식하고 이를 외부에 알림을 발생시킨다.
알림은 싸이렌 등의 경보음을 통한 소리 신호 또는 발광 등의 광 신호로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은 노정의 송풍 유량과 노정의 가스 온도를 측정하여 집진 설비의 모드를 습식 집진 설비 또는 건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도록 하는 노정의 집진 설비 모드 자동 변환 방법으로서, (a) 노정에 송풍되는 송풍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b)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c) 측정된 송풍의 유량 및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습식 집진 모드에서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건식 집진 모드에서 습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 단계에 있어서, 소정의 기준은 송풍 유량≥F, 노정 가스 압력≥P 및 B℃≤노정 가스 온도≤A℃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F, P, A 및 B의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노정과 습식 집진 모드 및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설정할 수 있는 임계치들인바, 적절히 적용해서 사용하면 되는 변수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함에도 불구하고, 습식 집진 모드에서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에 오작동 여부를 외부로 알리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4는 상기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실제로 각 밸브들에서 오작동임을 감지하여, 습식 또는 건식 모드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기초하여 일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온도 측정기
2: 노정 압력 검출 계기
3: 유압장치
4: 압력 검출 계기
5: BV(bypass valve)
6: BCV(bypass control valve)
7: TCV(turbine control valve)
8: 노정압 발전기
100: 노정
110: 송풍 유량 측정기
120: 온도 및 압력 측정 계기
130: 집진 설비 후단 압력 검출 계기
140: 건식 입구 밸브
141: 습식 PRV
142: 건식 출구 밸브
143: 건식 체인지 오버 밸브
144: TRC TCV(turbine control valve)
145: SEPTUM 밸브
146: 습식 RSW 밸브
150: RSW
160: BDC
170: 집진 설비 후단 압력 검출 계기
180: TRC
190: DC

Claims (7)

  1. 삭제
  2. 노정의 송풍 유량과 노정의 가스 온도를 측정하여 집진 설비의 모드를 습식 집진 설비 또는 건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도록 하는 노정의 집진 설비 모드 자동 변환 장치에 있어서,
    노정에 위치되어 노정에 송풍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송풍 유량 측정기;
    노정에 위치되어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 및 압력 측정 계기;
    상기 송풍 유량 측정기에서 측정된 송풍 유량과 상기 온도 및 압력 측정 계기에서 측정된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소정의 기준에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기;
    상기 연산기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집진 설비를 건식 집진설비 또는 습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는 모드 변경기;
    상기 모드 변경기가 집진 설비를 습식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경우, 집진 설비를 습식 모드로 선택하도록 하는 습식 모드 선택기; 및
    상기 모드 변경기가 집진 설비를 건식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경우, 집진 설비를 건식 모드로 선택하도록 하는 건식 모드 선택기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기는,
    Z1값, Z2값 및 Z3값을 상기 모드 변경기로 송신하되,
    상기 Z1값은,
    상기 송풍 유량 측정기로부터 수신한 송풍 유량이 부등식 송풍 유량≥F을 만족하는 경우 Z1=1로 설정되고, 부등식 송풍 유량<F을 만족하는 경우 Z1=0으로 설정되며,
    상기 Z2값은,
    상기 온도 및 압력 측정 계기로부터 수신한 노정 가스의 압력이 부등식 노정 압력≥P를 만족하는 경우 Z2=1로 설정되고, 부등식 노정 압력<P를 만족하는 경우, Z2=0으로 설정되며,
    상기 Z3값은,
    상기 노정 가스의 온도가 부등식 B℃<노정 가스의 온도≤A℃를 만족하는 경우 Z3=1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Z3=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기는,
    상기 Z1, Z2 및 Z3를 AND 연산한 Z0값을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 및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로 전송하되,
    상기 Z0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가 가동되며,
    상기 Z0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는,
    상기 모드 변경기로부터 상기 Z0값을 수신하여, 집진 모드가 습식 집진 모드인지 건식 집진 모드인지 확인하는 모드 확인부;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 및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에 연결되어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 및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작동 확인부; 및
    상기 Z0값이 1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지 않거나,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는 경우 또는 상기 Z0값이 0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습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지 않거나 상기 건식 모드 선택기가 동작하는 경우에 오작동임을 외부에 알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5. 삭제
  6. 노정의 송풍 유량과 노정의 가스 온도를 측정하여 집진 설비의 모드를 습식 집진 설비 또는 건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도록 하는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노정에 송풍되는 송풍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b)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송풍의 유량 및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습식 집진 모드에서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건식 집진 모드에서 습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기준은,
    송풍 유량≥F, 노정 가스 압력≥P 및 B℃≤노정 가스 온도≤A℃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
  7. 노정의 송풍 유량과 노정의 가스 온도를 측정하여 집진 설비의 모드를 습식 집진 설비 또는 건식 집진 설비로 자동 변경하도록 하는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노정에 송풍되는 송풍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b)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송풍의 유량 및 노정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습식 집진 모드에서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건식 집진 모드에서 습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은,
    상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함에도 불구하고, 습식 집진 모드에서 건식 집진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에 오작동 여부를 외부로 알리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방법.
KR1020120124786A 2012-11-06 2012-11-06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0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86A KR101401315B1 (ko) 2012-11-06 2012-11-06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86A KR101401315B1 (ko) 2012-11-06 2012-11-06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31A KR20140058131A (ko) 2014-05-14
KR101401315B1 true KR101401315B1 (ko) 2014-05-29

Family

ID=5088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786A KR101401315B1 (ko) 2012-11-06 2012-11-06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907B1 (ko) * 2018-05-03 2020-07-14 주식회사 포스코 노정압 발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1011A (en) * 1981-03-30 1982-10-04 Sumitomo Metal Ind Ltd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for blast furnace gas
JPS63109109A (ja) * 1986-10-28 1988-05-13 Nippon Steel Corp 高炉ガス清浄設備
JPH0691125A (ja) * 1992-09-10 1994-04-05 Nippon Steel Corp 高炉用集塵装置の異常高温ガス発生時の運転方法
JP2004147831A (ja) 2002-10-30 2004-05-27 Sankyo Frontier Co Ltd リサイクルカーペ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1011A (en) * 1981-03-30 1982-10-04 Sumitomo Metal Ind Ltd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for blast furnace gas
JPS63109109A (ja) * 1986-10-28 1988-05-13 Nippon Steel Corp 高炉ガス清浄設備
JPH0691125A (ja) * 1992-09-10 1994-04-05 Nippon Steel Corp 高炉用集塵装置の異常高温ガス発生時の運転方法
JP2004147831A (ja) 2002-10-30 2004-05-27 Sankyo Frontier Co Ltd リサイクルカーペ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131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429B2 (en) Valve-member monitoring system
EP1821082A3 (en) Flow meter diagnostics device
CN103542533A (zh) 锅炉燃烧及余热回收综合监测智能控制系统
CN204469366U (zh) 一种过滤设备及污水处理车
CN102764550A (zh) 一种布袋除尘器检漏装置及其检漏方法
CN104236108A (zh) 一种燃气热水器燃气二次压力检测调节装置及方法
CN110085002A (zh) 燃气管道检测系统
KR101589127B1 (ko) 체크밸브 개폐특성 모니터링 및 진단을 수행하는 장치
KR101401315B1 (ko) 노정 집진 설비 모드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094794A (ja) 制御ループ診断装置
CN202281046U (zh) 用于天然气管道安装检测的报警装置
CN104965496B (zh) 基于防喘振控制系统的防喘振控制方法
WO2021178292A1 (en) Dry pipe fire protection system air maintenance device with pressure monitor
CN201340549Y (zh) 一种水冷系统中的水流量测控装置
CN204330069U (zh) 一种空冷塔液位检测装置
CN105658934B (zh) 控制燃气轮机设备的排放物的方法和燃气轮机设备
JP4557411B2 (ja) 流体流量計測システム
CN106996622A (zh) 一种基于节能环保型空气监控系统的控制系统
CN106227191A (zh) 一种火力发电机组控制品质监测报警方法
CN106996712A (zh) 一种冷却塔的监控装置及系统
JPH08261399A (ja) ガスホルダの並列運転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5807793A (zh) 一种除尘管道尘气流量调整系统
JP2010140189A (ja) 二次側圧力監視装置及び二次側圧力判別方法
CN216449122U (zh) 电石炉安全防泄漏装置
CN104132247B (zh) 先导式安全阀的远程取压线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