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512B1 -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 Google Patents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512B1
KR101400512B1 KR1020120116126A KR20120116126A KR101400512B1 KR 101400512 B1 KR101400512 B1 KR 101400512B1 KR 1020120116126 A KR1020120116126 A KR 1020120116126A KR 20120116126 A KR20120116126 A KR 20120116126A KR 101400512 B1 KR101400512 B1 KR 101400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raction grating
pulse
mirror
angle
spherical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826A (ko
Inventor
김승우
김윤석
김승만
한승회
박상욱
박지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1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5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16Adapting the beam shape of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such as a laser diode or an LED, e.g. for efficiently coupling into optical fi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02B27/0955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77Reflectiv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02B6/0208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 G02B6/02085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characterised by the grating profile, e.g. chirped, apodised, tilted, hel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5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the mutual position or the reflecting properties of the reflectors of the cavity, e.g. by controlling the cavity length
    • H01S3/1055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the mutual position or the reflecting properties of the reflectors of the cavity, e.g. by controlling the cavity length one of the reflectors being constituted by a diffraction gr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의 정렬방법에 관한 것으로,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에 있어서, 상기 펄스 확장기는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공진기, 제 1회절격자, 제 2회절격자, 구면거울 및 직각거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면거울을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정 θ
Figure 112012084908837-pat00008
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을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정 2θ
Figure 112012084908837-pat00009
만큼 회전시켜 입/출력 펄스간의 높이차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렌즈의 수차 및 분산에 의한 악영향을 제거할 수 있고, 광학부품간의 공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으며, 입/출사 펄스 간의 옵셋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An alignment method of grating pair based pulse stretcher at chirped pulse ampl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펄스 증폭 시스템 적용되는 회절격자를 기반으로 하는 펄스 확장기(pulse stretcher)의 디자인에 관한 것이다.
티타늄-사파이어 펨토초 레이저로 대표되는 고체 타입의 레이저는 높은 펄스당 에너지, 높은 출력 및 좋은 펄스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광원이다. 하지만 평균 출력의 확장성(Scalability)이 부족하고 직접적인 다이오드 레이저 펌핑이 어려운 관계로 효율이 낮으며, 시스템의 복잡성으로 인해 광 정렬, 유지 보수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증폭 매질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얇은 디스크(Thin Disk)나 슬랩(Slab) 타입의 증폭 매질 디자인이 제안되기도 했으나 낮은 효율로 인해 추가 증폭을 위한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광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증폭매질은 큰 표면적 대 부피 비로 인해 열 발산에 있어서 큰 장점을 가질 뿐 아니라 seed 레이저와 펌프 레이저간의 상호 작용하는 길이가 레일리 길이(Rayleigh Length)에 국한되지 않고 전 광 섬유 길이에 해당하기 때문에 한 번의 투과(Single Pass)만으로도 높은 이득(Gain) 값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간단한 구성 및 환경에 대한 둔감한 특성 역시 큰 장점이다.
특히, 이터븀 첨가 광섬유는 증폭 매질로서 여러 장점을 갖고 있다. 효율 면에 있어서는 발진 파장인 1030~1070 nm 대역과 펌프 다이오드의 파장인 980 nm 대역이 가깝기 때문에 광 변환 효율이 최대 80 %를 넘어서며 이로 인해 낮은 열 발산 특성 또한 동시에 갖는다. 또한 에너지의 방출 및 흡수에 있어서도 장점을 갖는데, 40 nm 에 이르는 넓은 방출 스펙트럼은 이론적으로 30 fs의 펄스 폭 구현을 가능케 하며, 흡수선 스펙트럼 역시 상용 펌핑 다이오드의 파장 대와 일치(980 nm)하여 경제적인 시스템 구현을 가능케 한다.
이와 같이 증폭매질로서의 광섬유는 여러 장점을 갖지만, 고체 타입의 레이저 및 증폭 시스템에 비해 비선형 현상이 크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극초단 펄스가 광섬유를 지나는 경우에는 좁은 단면적으로 인해 높은 단위면적당 첨두 출력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자가 위상 변조(Self-Phase Modulation) 영향이 커진다. 펄스가 길이 L의 광섬유를 투과하는 동안 파면의 첨두 출력값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굴절률을 겪게 되고, 이는 결국 파면 간 위상차를 유발하여 시간 축에서의 펄스의 왜곡을 불러온다.
시간 축에서의 펄스의 왜곡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스펙트럼의 변화를 동시에 수반하며, 이때 새로운 주파수 성분이 생겨나 스펙트럼이 넓어짐과 동시에 각 주파수 성분 간 위상차로 인해 펄스폭이 넓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결국 첨두 출력의 감소로 이어지며, 감소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방법으로 B integral 값이 있으며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간단하게 정량화 할 수 있다.
Figure 112012084908837-pat00001
(여기서, n2값은 비선형 굴절률이다.)
광섬유를 증폭 매질로 하는 증폭 시스템은 빛이 광섬유 도파로에 갇혀 진행하면서 증폭되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빛과 증폭 매질과의 interaction을 수십 cm 이상 유지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어 단일 진행을 통해 높은 증폭률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볼륨에 비해 넓은 표면적을 갖는 광섬유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의 방열 측면에 있어서 큰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bulk type의 증폭 시스템에 비해 높은 평균출력, 높은 반복률을 갖는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하다. 반면, 증폭된 빛은 좁은 단면적을 가지는 광섬유 도파로를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높은 단위 면적당 첨두출력(W/cm2)값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앞서 언급된 자가 위상 변조 현상뿐 아니라, 자가 집속(Self-Focusing), 조화파 생성(Harmonic Generation), 비선형 라만 브릴루잉 산란(Nonlinear Raman, Brillouin Scattering), 사광자 혼합(4-Wave Mixing) 등과 같은 비선형 현상이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비선형 현상은 증폭 시스템의 증폭 효율과 첨두 출력 값을 제한하는 원인이 된다.
광섬유를 증폭매질로 사용하는 증폭 시스템의 이와 같은 단점은 1980년대 중반 Strickland와 Mourou가 제안한 쳐프 펄스 증폭이라는 개념을 통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었다. 쳐프 펄스 증폭 방법은 이전까지 시도되었었던 빔의 지름을 키워 단위 면적당 첨두출력을 낮추는 방법이 아닌, 빔의 주파수 성분들을 시간축에 대해 확장시켜 펄스폭을 넓히는 방법으로, 이 방법을 적용하여 106 이상의 펄스폭 scaling도 가능하게 되었다.
공진기에서 발진한 펨토초 펄스 레이저는 보통 수 nm ~ 수십 nm에 이르는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며, 증폭단에 입사하기 전 광섬유나 쳐프 광섬유 Bragg 격자(chirped Fiber Bragg Grating), chirped Volume Bragg grating, 회절격자 쌍과 렌즈 등의 펄스 확장기 (Stretcher)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주파수에 따라 다른 굴절률을 겪게 되어 (낮은 주파수 성분이 높은 주파수 성분보다 앞서 진행), 결과적으로 시간축에서 펄스가 넓어져 펄스의 첨두 출력이 낮아지게 된다.
광섬유나 광섬유 Bragg 격자 등 광섬유 기반의 펄스 확장기는 광섬유 기반 시스템이기 때문에 환경 변화에 둔감하며 추가 정렬의 필요성이 없다는 장점을 갖지만, 가할 수 있는 양의 첩의 정도가 회절격자 등의 bulk 타입에 비해 작기 때문에 고출력 증폭 시스템에서는 주로 bulk 타입의 펄스 확장기가 적용된다.
광섬유 Bragg 격자는 광섬유 내에 주기적인 굴절률 변화를 가하여, 특정 파장의 성분을 반사시키거나 투과시킬 수 있는 Bragg reflector의 일종이다. 광섬유 Bragg 격자는 굴절률 변화를 시키는 툴로서 UV 레이저를 이용하며, UV 레이저에 쉽게 반응하여 굴절률이 바뀌는 photosensitive 광섬유(ex. Germanium-doped silica fiber)를 제작 광섬유로 이용한다. (최근에는 수소 처리를 통해 photosensitivity를 높인 광섬유나 polymer 광섬유가 이용되기도 한다.) 굴절률의 변화 정도는 레이저의 노출 강도나 시간을 조절하여 변화를 가할 수 있다. 제작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미리 제작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통과한 UV 레이저가 제작 광섬유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며, UV 레이저의 간섭무늬를 통해 한 번에 전체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 그리고 스테이지를 움직여가며 굴절률 변화를 직접 새겨 넣는 방법 등이 있다. 펄스 확장기에 요구되는 쳐프 광섬유 Bragg 격자는 격자의 주기에 점진적인 변화가 있으며, 따라서 간섭을 이용한 제작은 불가능하고, 마스크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스테이지를 움직여가며 직접 새겨 넣는 방법을 통해서 제작 가능하다. 쳐프 광섬유 Bragg 격자는 격자의 평균 주기에 따라 반사되는 중심파장이 결정되며, 격자의 주기에 선형적인 증감 등을 가하여 특정 파장이 반사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파장 성분 간 광경로의 차이를 유발한다.
도 1은 회절격자 & 렌즈 기반의 펄스 확장기를 도시하고 있다.
회절격자 & 렌즈 기반 펄스 확장기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4-f pulse stretcher'가 있다. 같은 초점거리를 갖는 두 렌즈를 중심으로 회절격자와 초점 평면이 초점거리 f 만큼 떨어져있는 경우 이 시스템은 pulse shaper로 동작하게 되는데, 입사 빔과 출사 빔의 펄스폭은 같으며, 이때 초점 평면을 통과하는 각 파장 성분에 위상 및 진폭 변화를 가하면 펄스의 모양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다음으로 s<f 인 경우는 낮은 주파수 성분이 높은 주파수 성분보다 앞서 진행하는 펄스 확장기로서 동작하며, s>f 인 경우는 높은 주파수 성분이 낮은 주파수 성분보다 앞서 진행하는 펄스 압축기로서 동작한다. s는 렌즈와 회절격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확장기의 구성에서 렌즈의 수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하나의 직각 거울을 사용한 확장기를 도시한 것이다.
회절격자 & 구면거울 기반 펄스 확장기는 펄스 확장기 내에 렌즈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렌즈 물질에 기인하는 분산이 펄스에 영향을 미쳐 수십 fs 이하의 펄스를 다루는 시스템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한다. 또 렌즈의 넓은 면적이 이용되기 때문에 수차 역시 문제로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렌즈가 아닌 구면거울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도 3은 회절격자 두 개와 구면거울을 이용하여 펄스 확장기를 구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는 렌즈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렌즈로 인해 발생하는 분산, 수차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지만 광학 부품들의 정렬에 있어 어려움이 따른다.
도 4는 회절격자 한 개를 이용하여 펄스 확장기를 구성한 예(Offner-triplet type)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역시 광학 부품들의 정렬에 있어 어려움이 따른다. 앞서 언급된 펄스 확장기를 그럼처럼 완벽히 구현할 경우 펄스가 입사하고 출사하는 위치가 일치하여, 둘 간의 경로를 나눌 수가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통 입사 펄스의 입사각을 약간 틀어주는데, 이로 인해 회절격자와 펄스 간 네 번의 interaction 조건이 약간 달라진다.
참고로 광섬유 증폭매질의 디자인을 통해서도 높은 첨두출력으로 인한 비선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접근으로 코어의 지름을 키워 단위 면적당 광 강도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있다. 이러한 광섬유로는 LMA(Large Mode Area) 광섬유가 있는데, 이 경우 보통 표준 주파수(Normalized Frequency, V)값이 5-10 정도로 단일 모드 전파 조건인 2.4 이하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단일 모드와 더불어 고차 모드도 함께 전파하게 된다. 이러한 고차 모드 전파 현상은 광섬유에 굽힘(Bending)을 가해줌으로써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단일 모드 증폭을 구현해낼 수 있다.
광결정 광섬유(Photonic Crystal Fiber)의 코어의 지름은 수십 μm 수준이지만 완전한 단일 모드 전파가 가능한 광섬유이다. 광결정 광섬유는 광섬유 중심의 코어와 주변의 규칙적인 에어 홀의 배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어 홀의 지름, d 와 홀 간의 간격, Λ를 조절함으로써 광섬유의 분산 및 굴절률을 정교하게 디자인할 수 있으며, 전파하는 파장, λ에 대해 적절한 에어 홀의 지름 및 홀의 간격을 선택하면 완벽한 단일 모드의 전파를 실현할 수 있다.
광섬유의 코어를 넓히는 것과 함께 증폭 효율을 증가시켜 필요로 하는 광섬유의 길이를 줄이는 것도 비선형 현상을 줄이는 하나의 방법이다. 1988년 Snitzer는 이중 모드(Double-Clad Fiber) 광섬유 개념을 제안하였는데 기존 광섬유의 코어와 클래드(Clad) 외에 펌핑 레이저가 지나는 내부 클래드(Inner-Clad)가 추가로 존재하여 코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높은 pump to signal 변환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펄스 압축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본다.
펄스 확장기와 증폭단을 통과한 펄스는 펄스 압축기를 통과하며 분산이 보상되어 원래 펄스폭을 회복한다. 펄스 압축기의 구조는 펄스 확장기에 비해 간단하고 펄스의 이동 경로도 단순하여 광학 부품들의 정렬이 용이하다. 또한 펄스확장기와 같이 구면거울(볼록, 오목)이나 렌즈 등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닮음 꼴의 광학 부품들이 없기 때문에, 직각거울을 적용하면 입사 펄스의 각도를 틀어주지 않고도 입ㅇ출사 펄스 간 옵셋을 주어 경로를 나눌 수 있다.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펄스 압축기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평행한 회절격자의 반사 혹은 투과 면은 서로 마주보게 되며, 따라서 구성 및 정렬이 용이하다. 또한 직각 거울을 사용하면 입사 펄스의 방향을 약간 조절하지 않더라도 입ㅇ출사 펄스간의 경로 옵셋을 구현할 수 있다. 반면 렌즈를 이용한 펄스 확장기의 경우에는 렌즈의 수차 및 분산이 펄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이 있고, 회절격자의 주기가 짧아 회절각이 커지면 커질수록 펄스의 경로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구면 거울을 이용한 펄스 확장기의 경우에는 종류에 따라 원하는 펄스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면 거울, 반사 거울 등에 pitch 방향의 각도까지 계산하여 펄스 경로의 높이까지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펄스 경로 중간에 몇몇 광학 부품들이 위치하고 있어 이들의 크기 선정에 있어서도 자유롭지 못하고 매우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다.
KR 10-023793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각 거울(혹은 같은 기능을 하는 프리즘)을 사용하여, 광학 정렬이 용이한 펄스 확장기를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회절격자 & 렌즈 기반 펄스 확장기'에서 제기되는 렌즈의 수차 및 분산에 의한 악영향을 제거할 수 있고, 회절각 및 회절능이 큰 회절격자를 사용할 때 펄스 확장기 내부를 진행하는 펄스 간 독립적인 경로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에 있어서, 상기 펄스 확장기는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공진기, 제 1회절격자, 제 2회절격자, 구면거울 및 직각거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면거울을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정 θ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을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정 2 θ만큼 회전시켜 입/출력 펄스간의 높이차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회절격자는, 투과형 회절격자 또는 반사형 회절격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을 회전각도 방향은 음, 양 둘 중 모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 1회절격자에 의해 분사된 입사 펄스가 상기 제 2회절격자가 겹치지 않는 조건하에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각거울은, 2θ만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각거울은, 직각거울과 동일한 반사 특성을 갖는 프리즘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으로,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에 있어서, 상기 펄스 확장기는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공진기, 제 1회절격자, 제 2회절격자, 구면거울 및 직각거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면거울을 분산된 입사 펄스에 대해 일정 θ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을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에 대해 일정 2θ만큼 회전시켜 입/출력 펄스간의 높이차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절격자는, 투과형 회절격자 또는 반사형 회절격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각거울은, 직각거울과 동일한 반사 특성을 갖는 프리즘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을 회전각도방향은 음, 양 둘 중 모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기존의 '회절격자 & 구면거울 기반 펄스 확장기'에서 제기되는 구성 광학 부품들의 여러 각도 자유도를 부여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2차원 평면상에서 서로 겹치는 광학 부품들이 없기 때문에, 이들의 크기 선정 및 배치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사 펄스에 별도의 각도 조절 없이도 입ㅇ출사 펄스 간 옵셋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직각 거울의 높이 조절을 통해 입ㅇ출사 펄스 간 옵셋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회절격자/ 렌즈 기반 펄스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두 개의 회절격자와 구면 거울을 이용한 일반적인 펄스 확장기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회절격자와 구면 거울을 이용하고, 구면 거울이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θ
Figure 112012084908837-pat00002
만큼 회전, 두 번째 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이 구면 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2θ만큼 회전한 도면의 top view,
도 8은 도 7의 side view,
도 9는 도 7의 회절격자가 반사형으로 대체된 시스템 개략도,
도 10은 제안된 펄스 확장기를 통과한 펄스의 shape을 beam profiler장비를 통해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및 정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및 정렬방법은,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에 있어서, 상기 펄스 확장기는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공진기, 제 1회절격자, 제 2회절격자, 구면거울 및 직각거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면거울을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정 θ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이 구면 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2θ만큼 회전시켜 입/출력 펄스간의 높이차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은,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광학 정렬이 용이하고 입/출사간의 높이 차를 구현할 수 있는 하는 펄스 확장기의 정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 확장기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펄스 확장기로서, 일례로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은 크게 레이저를 공급하는 레이저 공진기(oscillator), 펄스 확장기, 그리고 증폭기(amplifier)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기존의 펄스 확장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회절격자와 구면 거울을 이용한 펄스 확장기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면 거울을 이용한 펄스 확장기는 렌즈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로 인한 분산, 수차 문제가 없으니 광학 부품들의 정렬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학 부품의 정렬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직각거울(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리즘)을 적용하여 렌즈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광학 정렬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회절격자와 구면 거울 및 직각거울을 이용하고, 상기 구면거울을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정 θ만큼 회전, 상기 제 2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이 구면 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2θ
Figure 112012084908837-pat00003
만큼 회전한 도면의 top view이다. 공진기에서 출력되는 광은 제 1회결격자에 입사됨에 따라 분사되어 구면거울에 입사된다. 이때, 상기 구면거울을 θ
Figure 112012084908837-pat00004
만큼 회전시켜 펄스를 제 2회절격자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 2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은 구면거울의 중심에 대해 2θ만큼 회전시켜 입사펄스를 반사시킨다. 이때, 상기 제 1회절격자에서 분산된 펄스와 제 2회절격자가 겹치지 않는 조건에서 회전 각도를 조절하며,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펄스 확장기에서 확장된 펄스는 평면거울(103)로 입사되고, 다시 평면거울(103)에서 반사되어 펄스 증폭기로 입사된다.
도 8은 도 7의 side view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회절격자와 하나의 구면거울로 이루어진 펄스 확장기에 있어 직각거울(201)을 제 2회절격자에서 반사되는 광 경로에 위치시키고 직각거울과 상기 구면거울(101)을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입/출사 펄스간의 높이차를 구현하다. 여기서 상기 직각거울은 같은 반사 특성을 가지는 프리즘으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예로 제 2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이 구면 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2θ만큼 회전한다. 이때 회전의 방향은 양, 음 모두 가능하며, 첫 번째 회절격자에 의해 분산된 입사 펄스와 두 번째 회절격자가 겹치지 않는 조건하에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9는 도 7의 회절격자가 반사형으로 대체된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9에는 회절격자가 반사형으로 대체된 시스템이며, 나머지 구성은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회절격자를 반사형으로 대체할 경우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을 입/출사 경로에 위치시키고 제 1회절격자에서 분사된 펄스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면거울, 제 2회절격자 및 직각거울을 회전시켜 구현한다.
도 10은 제안된 펄스 확장기를 통과한 펄스의 shape을 'beam profiler'장비를 통해 관찰한 결과이다.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을 일정각도 회전시켜 광학 정렬을 구현하고, 입/출사 펄스간의 높이차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빔 프로파일을 통해 측정된 광은 가우시안 형태의 펄스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렌즈의 수차 및 분산에 의한 악영향을 제거할 수 있고, 펄스 간 독립적 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광학 부품의 배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입/출사 펄스 간 옵셋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투과형 회절격자(제 1회절격자, 제 2회절격자)
101 : 구면 거울(spherical mirror)
102 : 평면 거울
103 : 평면 거울
201 : 루프 거울(roof mirror)
400 : 반사형 회절격자

Claims (10)

  1.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에 있어서,
    상기 펄스 확장기는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공진기, 제 1회절격자, 제 2회절격자, 구면거울 및 직각거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면거울은 입사되는 빔의 입사각에 대하여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정 θ
    Figure 112014008664452-pat00005
    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을 빔의 입사각에 대해 일정 2θ
    Figure 112014008664452-pat00006
    만큼 회전시켜 입/출력 펄스간의 높이차를 구현하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회절격자는,
    투과형 회절격자 또는 반사형 회절격자로 구성되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을 회전각도의 부호는,
    음, 양 둘 중 모두 가능한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 1회절격자에 의해 분사된 입사 펄스가 상기 제 2회절격자가 겹치지 않는 조건하에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거울은,
    직각거울과 동일한 반사 특성을 갖는 프리즘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6.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에 있어서,
    상기 펄스 확장기는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공진기, 제 1회절격자, 제 2회절격자, 구면거울 및 직각거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면거울은 입사되는 빔의 입사각에 대하여 상기 구면거울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정 θ
    Figure 112014008664452-pat00020
    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회절격자와 직각거울을 빔의 입사각에 대해 일정 2θ
    Figure 112014008664452-pat00021
    만큼 회전시켜 입/출력 펄스간의 높이차를 구현하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회절격자는,
    투과형 회절격자 또는 반사형 회절격자로 구성되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을 회전각도의 부호는,
    음, 양 둘 중 모두 가능한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거울과 직각거울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 1회절격자에 의해 분사된 입사 펄스가 상기 제 2회절격자가 겹치지 않는 조건하에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거울은,
    직각거울과 동일한 반사 특성을 갖는 프리즘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KR1020120116126A 2012-10-18 2012-10-18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KR101400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26A KR101400512B1 (ko) 2012-10-18 2012-10-18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126A KR101400512B1 (ko) 2012-10-18 2012-10-18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826A KR20140049826A (ko) 2014-04-28
KR101400512B1 true KR101400512B1 (ko) 2014-05-27

Family

ID=5065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126A KR101400512B1 (ko) 2012-10-18 2012-10-18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5855B (zh) * 2015-11-23 2019-01-2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高效率氟化氢激光光栅非稳腔
CN110535008B (zh) * 2019-08-26 2020-10-16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基于全反射望远系统离轴补偿构型的消色差光栅展宽器
CN111948828B (zh) * 2020-08-25 2021-12-17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一种无时空畸变的激光脉冲展宽方法
US11921273B2 (en) 2020-10-30 2024-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wo-photon excited fluorescence microscope fo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AD)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pulse compressor including there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9735B2 (ja) * 1996-04-25 2003-12-15 イムラ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光パルスの増幅装置および発生装置、非線形群速度分散ミスマッチの補正方法
JP2006229080A (ja) * 2005-02-18 2006-08-31 Olympus Corp 超短パルスレーザ伝達装置
JP2008035188A (ja) * 2006-07-28 2008-02-14 Advantest Corp 波長分散補償装置
JP2011133902A (ja) * 2003-06-27 2011-07-07 Imra America Inc 通信型構成要素を使用する高パワーファイバチャープパルス増幅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9735B2 (ja) * 1996-04-25 2003-12-15 イムラ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光パルスの増幅装置および発生装置、非線形群速度分散ミスマッチの補正方法
JP2011133902A (ja) * 2003-06-27 2011-07-07 Imra America Inc 通信型構成要素を使用する高パワーファイバチャープパルス増幅システム
JP2006229080A (ja) * 2005-02-18 2006-08-31 Olympus Corp 超短パルスレーザ伝達装置
JP2008035188A (ja) * 2006-07-28 2008-02-14 Advantest Corp 波長分散補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826A (ko) 201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2129B (zh) 单片可见光波长光纤激光器
Thomas et al. Femtosecond pulse written fiber gratings: a new avenue to integrated fiber technology
US7835646B2 (en) High-order Bragg fiber dispersion correction
US8107782B2 (en) Microstructuring optical wave guide devices with femtosecond optical pulses
US10156680B2 (en) Forming an optical grating with an apparatus providing an adjustable interference pattern
Fu et al. Femtosecond laser writing Bragg gratings in pure silica photonic crystal fibres
US8515224B2 (en) Method for writing high power resistant bragg gratings using short wavelength ultrafast pulses
KR101400512B1 (ko)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에서 회절격자 기반 펄스 확장기
CN111856644B (zh) 切趾长周期光纤光栅刻写装置、刻写方法以及激光系统
Saliminia et al. Inscription of strong Bragg gratings in pure silica photonic crystal fibers using UV femtosecond laser pulses
US20090041062A1 (en) Fiber-based tunable laser
JP6744074B2 (ja) 光ファイバグレーティング用光ファイバおよびファイバレーザ装置
Wang et al. Photonic-lattice-like guiding microstructures in Nd: YVO4 waveguides: Fabrication, 3D splitting, and lasing
Prakash et al. Effect of the spatial coherence of ultraviolet radiation (255 nm) on the fabrication efficiency of phase mask based fiber Bragg gratings
JP2017181777A (ja) 透明光学材料の改質方法、光デバイス、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光デバイスの製造装置
KR101361980B1 (ko) 광섬유를 증폭 매질로 하는 쳐프 펄스 증폭 시스템의 능동적 보상 시스템
Marshall et al. Point by point femtosecond laser inscription of fibre and waveguide Bragg gratings for photonic device fabrication
CN220874007U (zh) 全光纤2微米超短腔单频、高线偏振脉冲激光振荡器
JPH07261038A (ja) 光導波路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US20220283540A1 (en) Volume bragg grating in a cylindrical bulk medium
Huang et al. Line-by-Line inscription of phase-shifted fiber Bragg gratings with femtosecond laser
Zhu et al. Gaussian beam shaping based on multimode interference
Bannerman et al. Fiber Bragg Gratings fabricated using highly detunable Small-spot UV-writing around 1550 nm
Wikszak et al. Inscribing fiber Bragg gratings using IR-fs pulses and a phase-mask scanning technique: potential and applications
Kalli et al. Spatial apodization of femtosecond laser inscribed fibre Bragg gratings with arbitrary pro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