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459B1 -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459B1
KR101400459B1 KR1020070122657A KR20070122657A KR101400459B1 KR 101400459 B1 KR101400459 B1 KR 101400459B1 KR 1020070122657 A KR1020070122657 A KR 1020070122657A KR 20070122657 A KR20070122657 A KR 20070122657A KR 101400459 B1 KR101400459 B1 KR 101400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area
scaling
information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825A (ko
Inventor
서현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4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앨범기능 구현시 포커스(Focus)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영역만을 추출하여 스케일링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 영역이 상기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며,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일정 범위의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화면의 사이즈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은 이미지 데이터의 중심이 되는 포커스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영역만을 검출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중요 포인트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쉽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포커스 영역 정보, 스케일링 비율, 스케일링 영역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앨범기능 구현시 포커스(Focus)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요즈음 영상표시기기를 기반으로 하여 전자앨범(EPF:Electronic Picture Frame)을 구현하는 기능/수단이 제공되고 있다. 이것은 영상표시기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Image Resource)를 적절하게 신호처리하고 TV 화면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쉽게 이루어진다.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된 영상을 휴대 가능한 메모리 장치(예: 메모리 카드 => MMC, SD, MS, SMC 등)에 저장하고, 이 메모리 카드를 해당 인터페이스 수단을 갖는 영상표시기기에 입력함으로써 TV 화면상에 전자앨범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Image Resource)는 디지털 카메라뿐만 아니라 이미 알려진 다른 여러 가지 방법/장치를 이용해서 획득할 수 있고, 이것을 휴대 가능한 저장장치를 이용해서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영상표시기기에 제공하거나, 해당 기기로부터 유선 케이블 등의 통신수단을 이용해서 직접 영상표시기기에 제공하는 방법 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의 확대 및 축소 기능이 가능하며, 상기 확대 및 축소를 수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센터 영역이다.
그러나,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확대했을 경우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가 센터가 아닌 가장자리 영역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전자앨범 기능 구현시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비율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스케일링 영역을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 영역을 기준으로 결정하여, 사용자가 이미지 데이터의 중요 포인트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부가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를 통해 신호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로부터 선택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스케일링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 법은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탐색 화면상에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명령이 수신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부가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은 이미지 데이터의 중심이 되는 포커스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영역만을 검출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중요 포인트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쉽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EXIF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에 따른 포커스 영역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스케일링 영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촬영기기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카드(10)와, 상기 메모리카드(1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해당 메모리 카드(1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해당 이미지 데이터 및 그에 따른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20)와, 상기 메모리 카드(20)로부터 전달되는 이미지 데이터 및 그에 따른 부가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0)와, 이미지 탐색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40)와, 상기 메모리부(30)에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영상처리부(50)와, 상기 영상처리부(50)를 통해 신호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60)와, 상기 키입력부(40)를 통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스케일링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20)는 메모리 카드(MMC, SD, MS, SMC, CF 등)(10)와 인터페이스를 하여 메모리 카드(10)로부터 부가정보(파일이름, 파일 크기, 생성날 짜 등등)와 이미지 데이터(예: JPEG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10)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휴대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장치이다.
제어부(70)는 상기 메모리카드 컨트롤러(20)로부터 전달된 이미지 데이터와 해당 부가정보를 메모리부(3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부(3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 내에 구비된 내부 메모리이고, 상기 메모리카드(10)는 외부 촬상장치(디지털 카메라 등)로부터 촬상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외부 메모리이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부가정보는 교환 이미지 파일 형식(EXchangeable Image File, EXIF)으로서 JPEG 파일포맷의 헤더(header) 부분에 저장된다.
상기 EXIF는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해 놓은 데이터로서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촬상한 카메라 제조자(Maker), 카메라 모델(Model), 이미지 에디터(Software), 이미지 보정 날짜(Datetime), Exif 버전(Exif Version), 사진 찍은 날짜(shoot Datetime), 실제 크기(Image Size), 노출 시간(= 셔터스피드(Exposure Time)), 조리개 개방 수치(F-Number), 촬영 프로그램(예:조리개 우선 모드 등)(Exposure Program), ISO 스피드(ISO speed rating), 노출보정(Exposure vias value), 플래쉬 사용 여부(Flash), 렌즈 초점 길이(Focal Length), 상기 이미지의 포커스 영역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70)는 상기 키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기준으로 해당 각 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키입력부(40)를 통해 이미지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30)에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탐색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데이터 탐색화면상에서 특정 이미지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부가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은 상기 키입력부(40)를 통해 확대 명령, 포인트 영역 디스플레이 명령 등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의 EXIF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포커스 영역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과 상기 검출한 포커스 영역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EXIF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TIFF Head를 읽고, 상기 TIFF Head에서 IFD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IFD 정보가 위치한 0th IFD Pointer를 읽어온다.
이 후, 상기 읽은 0th IFD Pointer를 토대로 Exif IFD Pointer, GPS IFD Pointer, Next Pointer에 진입하고, 상기 진입한 IFD Pointer 정보에서 실제 포커스 영역 정보가 존재하는 Exif IFD Pointer를 읽어온다.
이에 따라 상기 읽어온 Exif IFD Pointer를 토대로 Exif IFD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정보 중에서 상기 Exif IFD의 속성 정보가 담겨있는 Exif IFD Attribute Information 영역으로 진입한다.
여기에서 상기 진입한 Exif IFD Attribute Information 영역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영역(A~G)이 존재하며, 그 중 G. Tags Relating to Picture-Taking Conditions 영역을 참조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Subject area 영역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Subject area 영역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존재하며,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 영역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Subject area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는 Tag=37396(9214.H), Type=SHORT, Count=2 or 3 or 4, Default=none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Count 값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 영역 정보가 정의된다.
즉, 상기 Count 값이 2일 경우에는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좌표정보는 2개가 존재하는데, 그 중 첫 번째 값은 상기 포커스 영역의 X좌표 값을 의미하고, 두 번째 값은 상기 포커스 영역의 Y 좌표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Count 값이 3일 경우에는 상기 포커스 영역은 원 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중심지점 좌표값 및 상기 원 영역의 지름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Count 값이 3일 경우에는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좌표정보는 3개가 존재하는데, 그 중 첫 번째 값은 해당 포커스 영역의 중심지점에 대한 X좌표 값을 의미하고, 두 번째 값은 상기 포커스 영역의 중심지점에 대한 Y 좌표값을 의미하며, 세 번째 값은 상기 원 형태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지름 값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Count 값이 4일 경우에는 상기 포커스 영역은 직사각형 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직사각형 형태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중심지점 좌표값 및 상기 직사각형 영역의 너비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Count 값이 4일 경우에는 상기 포커스 영역에 대한 좌표정보는 4개가 존재하는데, 그 중 첫 번째 값은 해당 포커스 영역의 중심 지점에 대한 X좌표 값을 의미하고, 두 번째 값은 상기 포커스 영역의 중심지점에 대한 Y 좌표값을 의미하며, 세 번째 값은 상기 직사각형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너비 값을 의미하고, 네 번째 값은 상기 직사각형의 포커스 영역에 대한 길이 값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에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Subject area 영역에 존재하는 Count 값이 4일 경우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포커스 영역을 가지며, 그 중 첫 번째 값은 X coordinate을 의미하고, 두 번째 값은 Y coordinate 값을 의미하며, 세 번째 값은 해당 포커스 영역의 Area width 값을 의미하고, 네 번째 값은 해당 포커스 영역의 Area height 값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70)는 Exif 정보의 Subject area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포커스 영역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포커스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한다.
즉,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에서 가중 중요한 포인트는 포커스 영역일 것이며, 사용자는 상기 포커스 영역만을 확인해도 해당 이미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포커스 영역만을 확대해서 보고 싶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추출한 포커스 영역 정보를 기초로 하며, 상기 포커스 영역 정보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일정 범위의 수평 측(X측)/수직 측(Y측)의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영역을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으로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기 설정된 일정 범위라 함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일정 범위가 6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 사이즈에서 60%만을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으로 결정하는데, 상기 60%의 스케일링 영역은 상기 추출한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결정된다.
즉, 상기 스케일링 비율이 60%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포커스 영역의 좌표값을 중심으로 수직 측/수평 측으로 전체 사이즈의 60%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포커스 영역의 좌표값을 중심으로 추출한 영역을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으로 결정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결정된 스케일링 영역이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 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 즉, 포커스 영역에서 좌우상하 측으로 동일한 범위를 추출한 영역 중,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측 너비 및/또는 수직 측 길이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측/수직 측으로 벗어난 영역만큼 상기 스케일링 영역을 안으로 이동시킨다.
영상처리부(50)는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결정된 스케일링 영역만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스케일링하며, 상기 영상처리부(50)를 통해 스케일링된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즉, 본 발명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 한 후, 또 다른 특정 명령(예를 들어, 확대 등)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고, 특정 이미지를 선택했을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영역만을 추출하여 스케일링한다. 또한,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 영역이 상기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이미지 데이터의 중심이 되는 포커스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영역만을 검출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중요 포인트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쉽게 탐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미지 탐색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0).
이어서, 상기 이미지 탐색 화면상에서 폴더 또는 특정 파일의 이미지 데이터를 검색한다(S20).
그리고, 상기 이미지 탐색화면상에서 특정 이미지 데이터 파일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30) 상기 이미지 탐색 화면상에서 특정 이미지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 영역 정보를 추출한다(S40).
그리고, 상기 추출한 포커스 영역 정보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일정 범위를 상기 선택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으로 결정한다(S50).
이어서, 상기 결정된 스케일링 영역이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폭 및/또는 수직 길이에 따른 전체 사이즈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즉,상기 결정된 스케일링 영역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 수직 측 및 수평 측 사이즈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70) 상기 결정된 스케일링 영역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수평 폭 및/또는 수직 길이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초과한 수직 및/또는 수평 측의 영역만큼 상기 결정된 스케일링 영역을 이동시킨다(S70).
이어서, 상기 결정된 스케일링 영역만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사이즈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한다(S8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은 이미지 데이터의 중심이 되는 포커스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영역만을 검출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중요 포인트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쉽게 탐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EXIF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영역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스케일링 영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메모리카드 20: 메모리카드 컨트롤러
30: 메모리부 40: 키입력부
50: 영상처리부 60: 디스플레이부
70: 제어부

Claims (12)

  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Focus) 영역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를 통해 신호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로부터 선택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 영역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스케일링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스케일링 비율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 영역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일정 범위의 영역을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스케일링 영역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길이 및 수평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벗어나면, 상기 벗어난 수직 및 수평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큼 상기 스케일링 영역을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6. 제 4항 및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결정된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만을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의 사이즈에 대응하게 스케일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7.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탐색 화면상에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명령이 수신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포커스(Focus) 영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포커스 영역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영역을 중심으로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포커스(Focus)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에 따른 일정 범위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한 스케일링 영역이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수직 길이 및 수평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벗어나면, 상기 벗어난 수직 및 수평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큼 상기 스케일링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12. 제 10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이미지 데이터의 스케일링 영역만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사이즈에 대응되게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표시방법.
KR1020070122657A 2007-11-29 2007-11-29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 KR10140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57A KR101400459B1 (ko) 2007-11-29 2007-11-29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57A KR101400459B1 (ko) 2007-11-29 2007-11-29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25A KR20090055825A (ko) 2009-06-03
KR101400459B1 true KR101400459B1 (ko) 2014-05-28

Family

ID=4098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657A KR101400459B1 (ko) 2007-11-29 2007-11-29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4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130A (ko)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물화상기 카메라에서의 줌방법
JP2007531934A (ja) 2004-03-26 2007-11-08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画像中の重要領域の判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1934A (ja) 2004-03-26 2007-11-08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画像中の重要領域の判別
KR20060014130A (ko)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물화상기 카메라에서의 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25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8422B2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n incline thereof
JP5217193B2 (ja) 撮像装置、寸法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2594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of providing composition of image pickup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0946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capture and facilitated annotation
CN112017137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357125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portrait on display
JP2006094082A (ja) 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09306A (ja) カメラ
KR10140045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
EP29097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 capture and facilitated annotation
CN106415528B (zh) 翻译装置
EP3232653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5055973A (ja) 携帯情報端末
EP38632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arrier mean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436634B1 (ko) 이미지 탐색 장치 및 방법
TW201640471A (zh) 可攜式視訊拍攝裝置及在其所聯結顯示螢幕上至少一視訊圖框之顯示方法
KR10139238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의 파노라마 기능 구현 방법 및장치
JP4298727B2 (ja) 画像情報表示システム、画像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20140094331A (ko) 촬영자 식별 장치 및 방법
JP2011041167A (ja) 撮像装置及び位置情報付加装置
JP2008083437A (ja) 表示装置、撮像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2012178833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