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416B1 -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 Google Patents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416B1
KR101400416B1 KR1020130141424A KR20130141424A KR101400416B1 KR 101400416 B1 KR101400416 B1 KR 101400416B1 KR 1020130141424 A KR1020130141424 A KR 1020130141424A KR 20130141424 A KR20130141424 A KR 20130141424A KR 101400416 B1 KR101400416 B1 KR 101400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ion
base portion
storage space
lowermos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이가은
Original Assignee
이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상 filed Critical 이정상
Priority to US14/359,92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175302A1/en
Priority to PCT/KR2014/004015 priority patent/WO201420018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5Containers with stacking feet or cor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65F1/08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with a plurality of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489Refuse receptacles adapted or modified for gathering compostable domestic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24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stack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일측이 개구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함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적층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수납구조에 수납되는 수납물질들이 독립적이고 폐쇄적으로 수납되는 것과는 달리, 복수의 층에 형성된 수납공간들이 공동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통되어 수납물질의 보관 및 반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Applications of Open-Style Cavity}
본 발명은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수납구조에 수납되는 수납물질들이 독립적이고 폐쇄적으로 수납되는 것과는 달리, 복수의 층에 형성된 수납공간들이 공동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통되어 수납물질의 보관 및 반출이 용이한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납구조를 이용한 소정 물질의 구분, 수납, 이동, 재배치 및 보관(저장) 등에 관한 수납작업에 있어서, 소정 수납체들은 개별 수납장소 자체의 효율적인 관리에만 초점을 맞추어, 상기 수납체들의 내부 수납장소를 매우 독립적이고 폐쇄적으로 구성해 왔다.
상기와 같이 독립적이고 폐쇄적으로 구성된 종래의 수납구조에서는 초기에 고정적으로 정의된 용도 자체에 관해서는 그 사용상 충실도가 높지만, 고정적으로 정의된 초기의 수납 능력의 한계 크기를 벗어나는 수납 물질은 수용이 불가능하고, 초기에 설정한 용도를 다른 용도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예기치 못한 수납 물질의 크기 및 용도의 확장이 불가능한 수납구조를 가져 한계성이 있는 수납구조이다.
종래의 많은 수납구조 중의 하나인 서랍장을 통해서 초기의 수납 능력의 한계 크기를 벗어날 수 없음을 일례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수납구조를 구성하는 방법대로 4개 층의 소정 서랍장을 이용하면, 각 개별 층은 타 층과 완벽하게 분리되므로 각 층을 이루는 독립적인 서랍(수납체)의 개별 크기에 맞추어진 물질만을 폐쇄적으로 수납해야 할 수밖에 없다.
만일, 상기 서랍장 각 층의 서랍의 크기가 가로x세로x높이=1x1x1이고, 이를 4개 쌓아서 4층으로 구성하면 그 총 높이(z)는 쌓아 올린 4개의 서랍의 높이에 의해서 4로 정해진다.
그런데, 서랍장의 총 높이가 아무리 높아도, 상기 서랍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수납구조 내의 그 최대 수납능력은, 서랍 내부에 대각선으로 물건을 놓는 경우를 제외하면, 1x1x4 크기는 고사하고 해당 서랍 자체의 두께를 감안하면, 1x1x1 이하가 된다.
또한, 동 서랍장은 전체적인 구조 자체를 재조정하기도 매우 힘든 수납구조이므로 각 층을 구성하는 서랍 내부의 수납장소 크기에 맞추어진 물질만을 제한적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수납구조(수납체)에는, 수납하고자 하는 그 최대 수납능력의 크기가 총 높이에 의해서가 아닌 각 개별 층에 의해 제한된, 처음부터 무엇인가 활용하지 못한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특정 종류의 크기 또는 특정 물질만을 수납하도록 고정할 수밖에 없는 구조상의 문제 때문에, 기존의 수납구조는 예기치 못하게 큰 물질을 수납하고자 할 때는 물론이고, 상호 이질적이며 이형적으로 구성된 다양한 물질들을 다목적으로 동시에 수납하기 위해 구조를 재조정하기에도 매우 제한적이었다.
즉, 각 개별 서랍이 담고자 하는 수납물질에 대해 특화된 구조는 크기, 물질 등의 잠재적 환경 즉, 미래의 예기치 못한 수납환경의 대처에도 매우 취약하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수납구조의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격자형 내지 와이어 타입의 선반 구조체로 구성된 수납구조를 응용하여 대안적인 수납구조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격자형 내지 와이어 타입의 선반을 복수 격자로 구성한 수납공간 형상의 특성상, 특정한 형상을 갖는 물질에 대해서만 수납작업이 가능한 제한적인 구조를 갖는 단점은 물론이고, 기존의 수납구조는 초기에 일정 용도, 예컨대, 쓰레기통으로 정했다면, 상기 쓰레기통에 분리의 용도를 추가하거나 쓰레기통을 화분으로 그 용도를 완전히 바꾸어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 등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0823656호(발명의 명칭: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상자, 등록일자:2008년 04월 14일) 공개번호 제10-2012-0056185호(발명의 명칭:다단 화분, 공개일자:2012년 06월 0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수납구조에 수납되는 수납물질들이 독립적이고 폐쇄적으로 수납되는 것과는 달리, 복수의 층에 형성된 수납공간들이 연통공(공동)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통되어 수납물질의 보관 및 반출이 용이한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들이 유기적으로 연통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적층부를 베이스부로부터 분해하지 않고도 연통공을 통해 수납물질들의 이동이 용이한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 층별로 구비된 수납공간에 통공이 형성되는 경우, 하부로 배수를 하는 동시에 상방으로는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화분의 용도는 물론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어 외부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적층부재가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되되, 적층셀은 서로 이격거리가 조절가능하므로 연통공의 크기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이 가능하고, 특히, 경사면을 갖는 구조에서는 적층셀의 크기의 조절을 통해 적층부재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의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일측이 개구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함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적층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속으로 적층되며, 각각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복수의 적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또 다른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 및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수납공간 일부 또는 전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모두 연통되며, 하측의 적층부재가 상측의 적층부재에 비해 외향 돌출되어 상기 하측 적층부재의 수납공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최하측 적층부재에 비해 외향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적층부는 각각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적층부는 상호 조립되는 다수의 적층편으로 분할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상측 적층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적층부재의 상단 모서리에는 제1결합부가 돌출 또는 함몰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돌출 또는 함몰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 모서리에는 지면에 맞닿아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적층셀은, 이웃한 적층셀과 이격되는 거리가 가변되도록 일측은 어느 하나의 적층셀에, 타측은 이웃한 또 다른 적층셀에 각각 연결되는 길이조절 어댑터가 구비되며, 상기 길이조절 어댑터는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의 수납공간 또는 상기 적층부재의 수납공간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적층부는 각각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 높이 이상의 길이로 상향 돌출형성된 높이유지봉이 구비되고,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는 상기 높이유지봉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는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하부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가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1안착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또 다른 적층부재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또 다른 적층부재가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며, 하면은 상기 높이유지봉에 의해 지지되는 제2안착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일측이 개구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함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적층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된 베이스부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 및 상기 적층부의 연통공과 연통되는 중앙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내부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덮개의 외부를 덮어 상기 중앙통공과 상기 슬롯을 밀폐하는 외부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서 연속으로 적층되며, 각각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복수의 적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또 다른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 및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수납공간 일부 또는 전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와,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에 적층되는 또 다른 적층부재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걸림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걸림턱 또는 상기 베이스부에 타공된 복수의 걸림통공에 끼워지는 걸림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또는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적층부재는 각각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와 상기 적층셀은 상호 조립되는 다수의 적층편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상측 적층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적층부재의 상단 모서리에는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하측 적층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적층부재의 하단모서리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적층셀은, 이웃한 적층셀과의 이격되는 거리가 가변되도록 일측은 어느 하나의 적층셀에, 타측은 이웃한 또 다른 적층셀에 각각 연결되는 길이조절 어댑터가 구비되며, 상기 길이조절 어댑터는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의 수납공간 또는 상기 적층부재의 수납공간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에는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상측 적층부재에 탈착되도록 확장브라켓이 구비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확장수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브라켓은, 상기 최상측 적층부재의 수납공간의 내벽과 상기 최상측 적층부재의 상단 모서리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모서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수납구조에 수납되는 수납물질들이 독립적이고 폐쇄적으로 수납되는 것과는 달리, 복수의 층에 형성된 수납공간들이 연통공(공동)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통되어 수납물질의 보관 및 반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들이 유기적으로 연통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적층부를 베이스부로부터 분해하지 않고도 연통공을 통해 수납물질들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층별로 구비된 수납공간에 통공이 형성되는 경우, 하부로 배수를 하는 동시에 상방으로는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화분의 용도는 물론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어 외부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층부재가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되되, 적층셀은 서로 이격거리가 조절가능하므로 연통공의 크기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이 가능하고, 특히, 경사면을 갖는 구조에서는 적층셀의 크기의 조절을 통해 적층부재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간의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다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최하측 적층부재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최하측 적층부재의 상측에서 조립되는 또 다른 적층부재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저면사시도 이다.
도 14는 도 13의 적층셀이 적층편으로 분해된 모습을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베이스부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8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의 적층셀이 확장되는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의 길이조절 어댑터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두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에는 모두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적층부재(210, 220) 및 적층셀(1~6)도 모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과 적층부(200)의 수납공간(212, 222)도 각각 개별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라면 예컨대, 친환경 소재, 유리섬유, 금속재질, 목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후술할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 및 제11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100)는 적층부(200)의 하부에서 적층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7실시예 내지 제10실시예는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적층부(20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의 내부에는 각각 독립적인 공간을 갖는 수납공간(101, 212, 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적층부(200)는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마련된 수납공간(101)과 연통되는 연통공(211, 221)이 형성되며, 상기 적층부(200)는 복수의 적층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2개의 적층부재(210, 22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적층부(200)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갯수를 갖는 적층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2개의 적층부재(210, 220)에 형성된 연통공(211, 221)은 모두 연통된다.
상기 적층부재(210, 220)들의 연통공(211, 221)은 공동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공동은 "물체 속에 아무것도 없이 빈 것 또는 그런 구멍"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적층부재(210, 220)들의 연통공(211, 221)은 모두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과 연통된다.
본 발명은 초기에 정한 목적과 용도에 의해서 매우 다양한 외관의 형태 및 크기를 갖추는 연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책상 위에 놓이는 작은 크기로부터 야외 적재용으로까지 매우 큰 크기까지 다양한 용도의 수납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의 구조를 변경하여 초기의 용도를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적층부(200)는 2개의 적층부재(210, 220)로 구성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부재는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으므로 2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일측이 개구된 함 형상의 부재로서, 이러한 베이스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됨으로 인하여 내부에는 자연스럽게 수납공간(1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2개의 적층부재(210, 220)로 구성되는 적층부(200)가 적층된다.
상기 2개의 적층부재(210, 220)는 각각 개별적인 수납공간(212, 222)을 포함하는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2개의 적층부재(210, 220)가 연속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후술할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2개의 적층부재(210, 220) 중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층부재는 최하측 적층부재 또는 하측 적층부재라 하며, 최하측 적층부재와 하측 적층부재는 동일한 부호 "210"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하측 적층부재(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층부재는 또 다른 적층부재 또는 최상측 적층부재 또는 상측 적층부재라 하며, 상기 또 다른 적층부재, 최상측 적층부재 및 상측 적층부재는 동일한 부호 "220"을 부여한다.
상기와 같은 적층부(200)에는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과 연통되는 연통공(211, 221)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은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과 연통되며, 상측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21)은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과 연통된다.
즉,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은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과 상측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21)과 모두 연통되어 공동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 중 제1실시예에서는 상측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21)은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과 동일한 중심을 갖되,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측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21)이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측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21)은 하측 적층부재(210)의 수납공간(212)의 일부 또는 전부와 연통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을 상측에서 내려다보면, 상측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21)을 통해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과 하측 적층부재(210)의 수납공간(212) 및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적층된 2개의 적층부재(210, 220)들을 분리시키지 않아도 상측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21)을 통해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 또는 하측 적층부재(210)의 수납공간(212)으로 수납하고자 하는 물건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물건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는 하측 적층부재(210)가 일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측 적층부재(210)는 하측 적층부재(2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측 적층부재(220)와 같이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적층셀(1~4)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되는 적층셀의 갯수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부(200)의 외곽선이 대체로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ㄱ"자 형상의 4개의 적층셀(1~4)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할 실시예에서 개시된 "ㄷ"자 형상의 2개의 적층셀(5~6)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ㄱ"자, "ㄷ"자 형상을 갖는 적층셀들이 "ㅁ"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후술할 제11실시예에서는 "I"자 형상으로 조합된 4개의 적층셀이 "ㅁ"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이스부 또는 적층부들은 다양한 형상의 적층셀로 분할될 수 있어 각기 기능에 특화된 다양한 형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특히, 가정에서 다목적 수납장으로 사용하거나, 사업장에서 공구통이나 우산꽂이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바퀴(예:캐스터)(미도시)를 설치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4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100)와 2개의 적층부재(210, 220)를 포함하는 적층부(200)로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상측의 적층부재(220)에 비해 하측의 적층부재(210)가 더 크게 제작되고, 하측의 적층부재(210)에 비해 베이스부(100)가 더 크게 제작된다.
즉, 하측에 위치한 적층부재 또는 베이스부(100)로 갈수록 점점 더 크기가 커지는 것이 특징이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적층부재(210, 220)에 형성된 연통공(211, 221)은 모두 연통되고, 하측 적층부재(210)가 상측 적층부재(220)에 비해 외향 돌출되어 하측 적층부재(210)의 수납공간(212)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하측 적층부재(210)의 하측에 위치한 베이스부(100)는 하측 적층부재(210)에 비해 외향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의 외관은 계단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측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21)은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 및 수납공간(212)의 일부 또는 전부와 연통되고,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은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과 연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특히, 외부로 노출된 수납공간에 흙을 담고, 흙에 꽃이나 묘목들을 심어 화단으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부재(210, 220)들의 연통공(211, 221)으로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므로 노출되지 않은 수납공간에는 가위, 삽, 비료, 영양제, 농약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화단의 용도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각각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다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은 도 7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정면도, 도 11은 도 7의 최하측 적층부재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12는 도 7의 최하측 적층부재의 상측에서 조립되는 또 다른 적층부재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도 상술한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2개의 적층부재(210, 220)를 포함하는 적층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적층부재(210, 220) 모두에는 상호 연통되는 연통공(211, 2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베이스부(100)와 복수의 적층부재(210, 220)가 연속으로 적층되는 경우, 서로 결합되는 부위의 결합구조를 예시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하단 모서리에는 지면에 맞닿아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부(2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가(102) 형성되며, 상단 모서리에는 제1결합부(3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2개의 적층부재(210, 220)들 중 상측 적층부재(220)를 제외한 하측 적층부재(210)의 상단 모서리에도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를 제외한 2개의 적층부재(210, 220)의 하단 모서리에는 제2결합부(400)가 구비되며, 이러한 제2결합부(400)는 상기 제1결합부(300)와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 모두 각 모서리에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홈(미도시)이,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돌기(미도시)가 구비되어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 중 어느 하나가 돌출형성되고, 나머지 하나가 함몰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가 각 부재에서 돌출되는 경우, 미돌출 부분은 자연스럽게 열린 공간(a)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열린 공간(a)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01, 212)으로 물건을 넣거나 빼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외부에서 수납공간(101, 212)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21)으로 하측 적층부재(210)의 수납공간(212) 및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해 수납공간(101, 212, 222)으로의 접근이 더 용이하며, 수납공간(101, 212, 222)의 통풍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특히, 흙을 담고 씨앗을 배양하는 용도나, 식료품의 보관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용도에 대하여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600)이 분리될 수 있는데, 상기 바닥면(600)은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가 꺾어진 부분의 내벽에 설치되는 보강기둥(500)에 의해 지지되어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강기둥(500)은 도 11 내지 도 12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걸림턱(510)이 돌출형성되고, 걸림턱(510)이 돌출형성된 상면에는 바닥면(60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600)은 보강기둥(500)의 걸림턱(510)의 형상에 따라 모서리 부분에 홈(610)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기둥(500)은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의 높이 보다 약간 길게 제작하면,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에 설치시 상부와 하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렇게 노출된 보강기둥(500)은 상술한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2개의 적층부재(210, 220)가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각각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적층셀(1~6)로 분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적층셀이 적층편으로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베이스부(100)가 복수의 적층편(10)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을 예시한 것이며, 상기 적층부(200) 또한 베이스부(100)와 동일하게 복수의 적층편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적층편(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예:볼트, 핀, 클립 등)(20)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어, 미사용시 분리하여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복수의 적층편(10)의 색상을 달리하는 경우, 외관이 미려해져 실내 인테리어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적층편(10)이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적층편(10)만 교체하면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도 15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차례대로 적층되는 적층부(200)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부(100)와 하측 적층부재(210)가 맞닿는 부분에 제1결합부(300)와 제2결합부(400)가 구비되는데, 베이스부(100)의 상단 모서리에 돌출된 제1결합부(300)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측 적층부의 하단 모서리에 돌출된 제2결합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하측 적층부재(210)와, 하측 적층부재(2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측 적층부재(220)도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와 적층부재(210, 220)들의 외주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면(30)이 형성되며, 이 경사면(30)이 기울어진 각도는 적층부재(210, 220)들의 연통공(211, 221)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2개의 적층부재(210, 220)가 차례대로 적층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30)이 모두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경우,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부(100)에 하측 적층부재(210)가 끼워지기 힘들며, 억지로 끼우려는 과정에서 결합부위의 파손이 발생될 염려가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00)와 이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부재(210, 220)들의 경사면(30)의 각도를 하측에서부터 각각 a,b,c라 하면, a>b>c>를 이루며, 예컨대, 상기 a는 연통공(211, 221) 중심의 연장선과 경사면(30)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이 9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된 상기 b는 8도, 상기 c는 7도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특히, 가정에서 소형 수납장(책상위에 놓는 다목적 문방 수납용구)으로 사용하거나, 사업장에서 공구통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베이스부의 하면에 바퀴(예:캐스터)(미도시)를 설치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상술한 제5실시예의 적층부재(210, 220)들의 적층셀(1~6)이 각각 분리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데, 분리된 후 조립이 가능하도록 예컨대, 조립시 맞닿는 결합면에는 홈과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적층셀(1~6)이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경우, 수납공간(212, 222)에 수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위치를 변경하여도 조립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 또는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를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적층셀(1~6)이 외측면이 다양한 색상을 갖는 경우에는 외관이 미려해지고, 인테리어의 효과도 가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도 18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내부에 수납공간(101)이 형성된 베이스부(100)와, 이 베이스부(100)의 내부에서 연속으로 적층되어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수납공간(211, 221)이 형성된 적층부(200)로 구성된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적층부(200)가 적층되는 것임에 반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는 적층부(200)가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적층부(200)는 베이스부(100)의 내부에서 항상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2개의 적층부재(210, 220)는 베이스부(100)의 내주면에 구비된 걸림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베이스부(100) 내부에서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수단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걸림턱(105) 또는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관통공(103)을 관통하여 끼워진 걸림봉(104)일 수 있다.
상기 관통공(103)은 베이스부(100)에 복수개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2개의 적층부재(210, 220)가 베이스부(100)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제7실시예의 적층부(20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적층부(200)와 마찬가지로, 2개의 적층부재(210, 220)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적층부재(210, 220)는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는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적층편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도 18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는 일측이 개구된 함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횡단면이 원형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00)의 내부로 삽입 및 적층되는 2개의 적층부재(210, 220) 또한 외곽이 원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부(100)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베이스부(100)가 직사각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2개의 적층부재(210, 220)의 외곽도 직사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베이스부(100)의 횡단면이 정사각형을 갖고, 2개의 적층부재(210, 220)의 외곽이 원형을 가지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 등 다양한 형상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적층부(200)에는 연통공(211, 221)이 형성되는데,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은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과 연통되며, 하측 적층부재(2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측 적층부재(220)는 하측 적층부재(210)의 연통공(211) 및 하측 적층부재(210)의 열려있는 수납공간(212) 일부와 연통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걸림수단에 의해 2개의 적층부재(210, 2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걸림봉(104)의 경우, 하측 적층부재(210)의 수납공간(212)에 수납되는 물건에 따라 상측 적층부재(220)와의 이격 거리, 즉, 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2개의 적층부재(210, 220)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하측 적층부재(210)의 수납공간(212)에 수납할 수 있는 물건의 높이 또는 식물의 크기가 확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가정에서 수납장으로 사용하거나, 작업장에서 공구통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베이스부의 하면에 바퀴(예:캐스터)(미도시)를 설치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베이스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는 상술한 제7실시예의 상부에 내부덮개(700)와 외부덮개(800)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부(100)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내부덮개(700)는 개구된 베이스부(100)의 일측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덮개(700)의 중앙에는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 및 2개의 적층부재(210, 220)에 형성된 연통공(211, 221)과 연통되는 중앙통공(7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통공(710)의 주변에는 상측 적층부재(220)의 수납공간(222)과 연통되는 통공인 슬롯(720)이 형성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720)이 2개 형성되는 경우, 중앙통공(71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덮개(800)는 내부덮개(700)의 외부를 덮어 상기 중앙통공(710)과 슬롯(720)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는, 외부덮개(800)가 구비되어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 2개의 적층부재(210, 220)에 형성된 연통공(211, 221), 2개의 적층부재(210, 220)에 형성된 수납공간(212, 222) 및 내부덮개(700)의 중앙통공(710)과 슬롯(720)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8실시예는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의 수납공간(212, 222)에 예컨대, 냄새가 나는 물건(예:음식물 쓰레기)을 내부덮개(700)의 연통공(710)과 슬롯(720)을 통해 베이스부(100) 및 2개의 적층부재에 구비된 수납공간(101, 212, 222)에 수납하고, 외부덮개(800)를 덮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용도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는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로 구성되되,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과 적층부(200)의 수납공간(212, 222)의 바닥면에 통공(H)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2개의 적층부재(210, 220)가 적층되는 경우 화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에 흙과 식물을 담고, 상측 적층부재(220)에 물을 부으면, 상측 적층부재(220)의 통공(H)을 통해 하측 적층부재(210)로 물이 이동되고, 하측 적층부재(210)의 통공(H)을 통해 베이스부(100)로 물이 이동되며, 베이스부(100)의 통공(H)을 통해 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적층부재(210, 220)에 구비된 수납공간(212, 222)이 각각 분리된 상태이므로 통공(H)을 통해 이동되는 수분은 매우 한정적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9실시예는 적층부(200)에서 베이스부(100)로 이동되지 않은 물은 흙 속의 수분으로 존재하여 화분 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실시예는 적층부(200)의 수납공간(212, 222)에 수분이 포함된 물건, 특히, 부패하면서 수분이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하는 경우 상기 통공(H)에 의해 하부(베이스부)로 물빠짐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하수구가 위치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하수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하수구가 위치되기 힘든 경우에는, 별도의 마개(미도시)를 이용하여 베이스부(100)에 수분을 보관하였다가 하수구에 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를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경우, 각 수납공간에 흙을 담고, 씨앗을 심어 발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9실시예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져 2개의 적층부재(210, 220)의 외곽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경사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5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부(100)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되면, 적층부재(2110, 220)의 지름(좌우 폭)에 의해 적층부재(210, 220)는 베이스부(100)의 내부에서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2개의 적층부재(2110, 220)의 지름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베이스부(100)의 내부에서 적층부재(210, 220)들 사이의 공간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는 베이스부의 외부에 수납공간(901)이 구비된 확장수납부재(90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확장수납부재(90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내부에서 적층되는 적층부재 중 최상측 적층부재(220)에 탈착되도록 확장브라켓(910)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브라켓(900)은 최상측 적층부재(220)에 형성된 수납공간(212)의 내벽에 탈착되도록 상측 적층부재(220)의 수납공간(221) 내벽과, 상기 상측 적층부재(220)와 베이스부(100)의 상단 모서리를 감싸듯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체결부재(볼트, 핀 등)(902)를 매개로 최상측 적층부재(220)의 수납공간(221)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는 적층부(200)의 수납공간(212, 222)과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101) 외에도 확장수납부재(900)의 수납공간(901)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변형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는 베이스부(100)가 4개의 적층셀(11~14)로 분할될 수 있으며,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적층셀(11~14)은 모두 같은 크기를 갖는 정사각형(또는 정사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부(100)는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반드시 4개의 적층셀로 분할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측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높이유지봉(110)이 복수개 형성되는데,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유지봉(100)의 하측은 수납공간(101)의 바닥면에 연결될 수도 있고, 베이스부(10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210)는 상술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는 반대로 베이스부(100)의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210)가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경우, 높이유지봉(110)의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최하측 적층부재(2110)가 안착되도록 제1안착플레이트(P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안착플레이트(P1)는 최하측 적층부재(210)의 하부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여 최하측 적층부재(210)가 제1안착플레이트(P1)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210)의 상부에는 또 다른 적층부재(220)가 안착되도록 제2안착플레이트(P2)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안착플레이트(P2)는 또 다른 적층부재(220)의 하부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여 또 다른 적층부재(220)가 제2안착플레이트(P2)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안착플레이트(P2)의 하면은 높이유지봉(110)의 상측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또 다른 적층부재(220)는 높이유지봉(110)과 제2안착플레이트(P2)에 의해 최하측 적층부재(220)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210)와 또 다른 적층부재(220)가 "I"자 형상의 적층셀 4개가 연결되며, 중앙에는 연통공(211, 221)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통공(211, 221)이 형성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변형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는 베이스부(100)와 또 다른 적층부재(2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열린공간(120)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가 화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열린공간(120)으로 인하여 베이스부(100)의 수납공간에 심어진 꽃 등에 채광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최하측 적층부재(210)와 또 다른 적층부재(220)의 연통공(211, 221)을 통해서, 베이스부(100)와 최하측 적층부재(210)의 각 수납공간(101, 212)에 심어진 나와무 같이 일정한 높이를 갖는 식물이 자랄 수 있어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는 화단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가 화분의 용도를 갖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100)와 적층부(200)에는 물빠짐을 위한 배수공(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상기 열린공간(120)과 연통공(211, 221)을 이용하여 꽃과 나무가 심어진 화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특징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복수의 적층셀을 포함하는 적층부재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적층부재(210, 220)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적층셀(1~4)로 분할되거나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적층셀(5~6)로 분할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29에는 2개의 적층부재(210, 220) 중 상측 적층부재(220)의 중앙에 연통공(221)이 형성된 원형상(도우넛형상, 링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부재(210, 220)가 "ㄴ"자 형 또는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29에는 2개의 적층부재(210, 220) 중 하측 적층부재(2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적층셀(1~6)은 길이조절 어댑터(70)를 매개로 이격되는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 어댑터(70)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어느 하나의 적층셀(3)에, 타측은 이웃한 또 다른 적층셀(4)에 각각 연결되는데, 이러한 길이조절 어댑터(70)는 2중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2중관 구조라 함은, 어느 하나의 관의 내주면에 또 다른 관의 외주면이 끼워져 슬라이딩 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중관 구조를 갖는 길이조절 어댑터(70)는 결합이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톱퍼(미도시)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적층셀(1~6) 간의 이격거리가 커지면, 연통공(211, 221)의 크기가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 어댑터(70)의 하부에는 지지봉(71)이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봉(71)은 2개의 적층부재(210, 220) 중 하측 적층부재(210)의 수납공간(211)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72)애 끼워져 상측 적층부재(220)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적층부재에 설치한 상기 길이조절 어댑터(70)는 2개의 적층부재(210, 220) 사이에 추가적인 공간을 마련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봉(71)은 길이조절 어댑터(70)에 탈착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베이스부
200-적층부
300-제1결합부
400-제2결합부
500-보강기둥
600-바닥면
700-내부덮개
800-외부덮개
900-확장수납부재

Claims (20)

  1. 일측이 개구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함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적층부가 포함되되,
    상기 적층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속으로 적층되며, 각각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복수의 적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또 다른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 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또 다른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수납공간 일부 또는 전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과 상기 또 다른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동일한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적층부재의 연통공을 통해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 및 수납공간과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으로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모두 연통되며, 하측의 적층부재가 상측의 적층부재에 비해 외향 돌출되어 상기 하측 적층부재의 수납공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최하측 적층부재에 비해 외향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적층부는 각각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적층부는 상호 조립되는 다수의 적층편으로 분할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상측 적층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적층부재의 상단 모서리에는 제1결합부가 돌출 또는 함몰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돌출 또는 함몰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 모서리에는 지면에 맞닿아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셀은,
    이웃한 적층셀과 이격되는 거리가 가변되도록 일측은 어느 하나의 적층셀에, 타측은 이웃한 또 다른 적층셀에 각각 연결되는 길이조절 어댑터가 구비되며,
    상기 길이조절 어댑터는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의 수납공간 또는 상기 적층부재의 수납공간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적층부는 각각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 높이 이상의 길이로 상향 돌출형성된 복수의 높이유지봉이 구비되고,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는 상기 복수의 높이유지봉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는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하부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가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1안착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또 다른 적층부재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또 다른 적층부재가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며, 하면은 상기 높이유지봉에 의해 지지되는 제2안착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8. 일측이 개구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함 형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적층부가 포함되며,
    상기 개구된 베이스부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 및 상기 적층부의 연통공과 연통되는 중앙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내부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부덮개의 외부를 덮어 상기 중앙통공과 상기 슬롯을 밀폐하는 외부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서 연속으로 적층되며, 각각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복수의 적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베이스부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또 다른 적층부재의 연통공은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연통공 및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의 수납공간 일부 또는 전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와,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에 적층되는 또 다른 적층부재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걸림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걸림턱 또는 상기 베이스부에 타공된 복수의 걸림통공에 끼워지는 걸림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또는 상기 최하측 적층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적층부재는 각각 독립적인 수납공간을 갖는 복수의 적층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와 상기 적층셀은 상호 조립되는 다수의 적층편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상측 적층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적층부재의 상단 모서리에는 결합홈이 구비된 결합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하측 적층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적층부재의 하단모서리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셀은,
    이웃한 적층셀과의 이격되는 거리가 가변되도록 일측은 어느 하나의 적층셀에, 타측은 이웃한 또 다른 적층셀에 각각 연결되는 길이조절 어댑터가 구비되며,
    상기 길이조절 어댑터는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의 수납공간 또는 상기 적층부재의 수납공간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외부에는 상기 복수의 적층부재 중 최상측 적층부재에 탈착되도록 확장브라켓이 구비되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확장수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확장브라켓은, 상기 최상측 적층부재의 수납공간의 내벽과 상기 최상측 적층부재의 상단 모서리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모서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KR1020130141424A 2013-06-10 2013-11-20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KR101400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59,929 US20150175302A1 (en) 2013-06-10 2014-05-07 Various receptacles applying the opened cavity
PCT/KR2014/004015 WO2014200185A1 (ko) 2013-06-10 2014-05-07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632 2013-06-10
KR20130065632 2013-06-10
KR20130085767 2013-07-22
KR1020130085767 2013-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416B1 true KR101400416B1 (ko) 2014-06-10

Family

ID=5113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424A KR101400416B1 (ko) 2013-06-10 2013-11-20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75302A1 (ko)
KR (1) KR101400416B1 (ko)
WO (1) WO20142001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613B1 (ko) * 2016-11-09 2017-06-05 김태열 화장용품 수납용기
KR101955418B1 (ko) * 2017-05-29 2019-03-07 김태열 화장용품 수납용기
KR200494304Y1 (ko) * 2021-03-18 2021-09-13 비알코리아주식회사 케이크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크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1138A (zh) * 2015-12-11 2016-03-23 黄晨校 一种多功能收纳盒
CN108307865A (zh) * 2018-03-16 2018-07-24 中国林业科学研究院沙漠林业实验中心 用于处理垃圾的生态环保型花盆
CN118270362B (zh) * 2024-06-03 2024-08-02 兴友新材料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清水剂集中存储用安全存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81U (ja) * 1991-07-26 1993-02-23 晃栄電設株式会社 束線引出し容器
KR20120056185A (ko) * 2010-11-24 2012-06-01 임근용 다단 화분
KR200463447Y1 (ko) * 2010-07-23 2012-11-05 최시수 적층식 재배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3248U (ko) * 1976-12-09 1978-07-10
US5040681A (en) * 1987-02-26 1991-08-20 Dart Industries Inc. Desk organizer or the like
US5518139A (en) * 1993-11-24 1996-05-21 Waterloo Industries, Inc. Portable storage assembly
KR200320265Y1 (ko) * 2003-04-19 2003-07-16 윤진영 다단화분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81U (ja) * 1991-07-26 1993-02-23 晃栄電設株式会社 束線引出し容器
KR200463447Y1 (ko) * 2010-07-23 2012-11-05 최시수 적층식 재배용기
KR20120056185A (ko) * 2010-11-24 2012-06-01 임근용 다단 화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613B1 (ko) * 2016-11-09 2017-06-05 김태열 화장용품 수납용기
KR101955418B1 (ko) * 2017-05-29 2019-03-07 김태열 화장용품 수납용기
KR200494304Y1 (ko) * 2021-03-18 2021-09-13 비알코리아주식회사 케이크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크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0185A1 (ko) 2014-12-18
US20150175302A1 (en)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416B1 (ko) 개방형 공동이 구비된 수납체
CA2706950C (en) Stackable elevated planter
US20160029572A1 (en) Living Plant Display and Stor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9139322B2 (en) Multi-partite article
US9003700B2 (en) Multi-functional furniture-accessory system
US8132367B2 (en) Container for growing plants
WO2008140456A1 (en) Multi-pot container
US20200146221A1 (en) Transportable Planter
KR20160022968A (ko) 가변형 모듈러 텃밭
US7712255B1 (en) Nesting planter arrangement
WO1997028682A1 (en) Three-dimensional modular cultivation container
US6655084B1 (en) Planter caddie having a tray with wells for receiving wheels and stacking caddies
US20130042528A1 (en)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KR200390539Y1 (ko) 화분
KR20060110080A (ko) 화분
TWI819983B (zh) 組合式植栽單元及植栽座
JP7498936B2 (ja) 鉢植え用鉢
JP3150832U (ja) 植物育苗ポット
CN216314212U (zh) 一种具有储存杂物功能的叠层组合花箱
JP3168954U (ja) 立体型植栽器
JP3124793U (ja) 植物育苗ポット
AU2011201568A1 (en) Collapsible Garden Container
RU72381U1 (ru) Контейнер и многоярусная грядк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EP4440292A1 (en) Planter module and modular expandable planter system
GB2613828A (en) A plan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