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259B1 - 잠수함용 연료전지 장치 - Google Patents

잠수함용 연료전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259B1
KR101400259B1 KR1020067016825A KR20067016825A KR101400259B1 KR 101400259 B1 KR101400259 B1 KR 101400259B1 KR 1020067016825 A KR1020067016825 A KR 1020067016825A KR 20067016825 A KR20067016825 A KR 20067016825A KR 101400259 B1 KR101400259 B1 KR 101400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ell device
modules
cell module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7987A (ko
Inventor
게르트 알프
만프레드 에더
요제프 레르쉬
아르노 마테젯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127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021/003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ower plant using fuel cells for energy supply or accumulation, e.g. for buffering photovoltaic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프로펠러 모터, 배터리 세트, 드라이브를 구비한 충전 발전기, 버스바를 구비한 전력 공급 시스템, 그리고 스위칭 및 자동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잠수함용 H2O2 연료전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연료전지 장치는 요구에 따라 전력 전달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연료전지 장치는 PEM 장치로서 구성되고, 특히 전력 전달 시스템의 전압 레벨로 전력을 공급한다. PEM 장치는 연료전지 모듈들로 구성되고, 상기 연료전지 모듈들은 충격 방지형으로 설계되며 충격 방지형 연결부를 경유하여 산소 및 수소를 공급받는다.

Description

잠수함용 연료전지 장치{FUEL CELL SYSTEM FOR A SUBMARIN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프로펠러 모터, 배터리 세트, 드라이브를 구비한 충전 발전기(charging generator), 그리고 스위칭 장치와 자동제어 장치 그리고 버스바를 구비한 전력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잠수함을 위한 H2O2 연료 전지 모듈을 구비한 연료전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전지 장치는 요구되는 전력을 생성하고, 전력은 전력 전달 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연료전지 장치는 PEM 장치의 형태를 가지며, 특히, 전력 전달 시스템의 전압 레벨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언급된 연료전지 장치에 대응하는 연료전지 장치를 구비한 잠수함을 위한 추진 시스템은 SIEMENS AG(지멘스 아게)로부터 나온 제목 『공기-불요(不要) 추진(AIR-INDEPENDENT PROPULSION)』의 제10쪽, "잠수함용 전기 시스템, 174 D 6076 WS 06011"의 안내서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잠수함에 특히 적합하게 설계되는 방식으로 상기 안내서로부터 공지된 연료전지 모듈들을 가진 시스템을 개량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시스템 내에 형성된 연료전지 장치는 특히 잠수함 추진 장치 상에 주어지는 안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전쟁 상황에서 승무원에게 증가된 안전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부가하여, 흔적(signature), 즉, 잠수함으로부터 나오는 전기적 그리고 전자기적 방출이 검출될 수 있는 가능성은 감소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적으로 PEM 장치가 내재적 충격 방지형으로 설계된 연료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연료전지 모듈이 충격 방지형으로 설계된 연결부를 경유하여 수소 및 산소를 공급받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연료전지 모듈의 충격 방지 설계는 근처의 폭발에 의해 높은 가속이 야기되는 것이 항상 예상되어야 하는 전시 동작 동안에 특별한 안전성을 제공한다. 충격 방지 설계는 동작에 요구되는 수치보다 더 큰 수치를 갖는 재료를 갖는 바람직하게 강건한 내부 설계에 의해, 그리고 각각의 모듈 부품들이 바람직하게 상호 지지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충격 방지형으로 설계된 산소 및 수소 연결부와 함께 높은 가속을 견디어낼 수 있는 모듈 설계를 야기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안전성 레벨은 배터리 세트의 안전성 레벨과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는 연료전지 장치가 가스-기밀 스테인리스 스틸 압력관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된 연료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압력관은 특히 매끄러운 벽을 갖는 것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연료전지 모듈의 설계에 의해 연료전지 모듈의 가스-기밀 설계가 달성되고, 그 결과 수소가 선박 대기 내로 나타나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기간 밀봉이 또한 보장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스틸 압력관의 사용은 특히 가스-기밀 설계의 경우에 유리하다. 선박 대기는 부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매끄러운 벽 설계는 개별적인 연료전지 내부 부품들이 압력관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 스틸 압력관이 설치 랙(mounting rack)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보장한다. 이 경우 매끄러운 벽 설계는 바람직하게 부식 방지 기능을 한다. 그러한 것은 부식성으로 작용하는 응축물이 모일 수 있는 어떠한 모서리 및 각도가 형성될 수 없다.
부가하여 특히 유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낮은 표유 필드(stray field)를 생성하도록 설계된 내부 버스바 시스템을 갖는 연료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를 제공한다. 낮은 표유 필드를 갖는 내부 버스바 시스템에서, 각각의 컨덕터들은 그들의 필드가 대부분 서로 상쇄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연료전지 모듈의 양극은 2개의 음극 사이에 배치되고, 특히 출력측 상에서 그러하다. 내부에서, 컨덕터 한 쌍(하나의 음극 및 하나의 양극)이 직사각형 모듈의 각 측면 상에 배치된 4-컨덕터 장치를 갖는 모듈 내부 버스바 시스템이 사용된다. 발생하는 필드는 서로에 대해 완전히 상쇄하지 못하나, 방사된 방출은 잠수함 내부에서 어떠한 문제도 일으키지 않아 허용될 수 있을 정도로 낮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개선예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연료전지 모듈들, 및 가능하면 비축 모듈(reserve module)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모듈들의 개수는 가변적이며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전압 레벨 및 모듈들의 전압 레벨에 의존한다. 복수 개의 연료전지 모듈을 사용하는 것 및 요구된다면 비축 모듈을 사용하는 것은 연료전지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의 이용가능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2개의 모듈은 고전력 개별 모듈을 사용할 때 제공되는 한편, 다수 개의 모듈들은 예를 들어, 30 내지 40 kW 범위에 있는 작은 모듈들을 사용할 때 사용되고, 비축 모듈은 연료전지 모듈들 중 하나의 고장을 보상하기 위하여 항상 이용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작은 잠수함용으로 의도된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료전지 모듈들은 30 내지 70 kW의 전력을 갖고, 그들의 치수는 1200 mm 내지 2000 mm의 길이, 400 mm 내지 550 mm의 폭, 400 mm 내지 550 mm의 높이를 포함하며, 이 경우 모듈들은 공통의 설치 랙 안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통의 설치 랙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및 전력 레벨은 각각의 연료전지 모듈이 단순한 방식으로 표유 필드로부터 특히 양호한 자유를 획득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모듈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잠수함에서 이용가능한 매우 한정된 공간에서조차 잘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된다. 비교적 거의 관리가 요구되지 않는 충전가능한 배터리 블럭과 대조적으로, 연료전지 모듈에는 상당히 많은 보수 및 관리 노력이 예상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별적인 각각의 모듈은 잠수함에서 잘 동작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선예에 따른 연료전지 장치는 80 내지 160 kW의 전력을 갖는 연료전지 모듈들을 포함하고, 그들의 치수는 1500 mm 내지 2300 mm의 길이, 450 mm 내지 650 mm의 폭, 450 mm 내지 650 mm의 높이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모듈들은 또한 바람직하게 설치 랙에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형 연료전지 모듈을 갖는 연료전지 장치는 특히 비교적 깊은 물에서 동작하는 비교적 큰 잠수함용으로 사용되고, 잠수함 개조에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더 많은 개수의 모듈들을 사용하여 가능한 것보다 더 단순한 설계 및 더 단순한 매체 공급(H2, O2, N2 등)을 달성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개선예는 가스 및 물을 위한 대형-스케일-통합 매체 연결 블록(large-scale-integrated media connecting block)을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들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대형-스케일-통합 매체 연결 블록은 충격 방지형으로 설계되고, 가스 및 물을 위한 대형-스케일-통합 충격 방지 매체 커플링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외부 매체 입력 공급부 및 출력 공급부는 가스 및 물에 대한 대형-스케일-통합 밀봉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밀봉되고,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외부 매체를 위한, 물리적으로 작은 충격 방지형 공급 유닛을 달성한다. 양극 및 음극을 가진 전력 공급 라인들은 또한 밀봉 플레이트의 영역에 가스-기밀 방식으로 배치된다. 통합된 매체 커플링은 바람직하게 충격 방지 가스-기밀 스테인리스 스틸 압력관의 단부면들 중 하나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단부면들에 나사고정되어 충격 방지된다. 전체적으로, 이것은 잠수함에 특히 적합한 연료전지 장치 설계를 달성한다.
연료전지 장치의 개별적인 연료전지 모듈들은 20 내지 500개의 막을 포함하고, 상기 막은 이온을 전도하는 재료로 구성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PEM 연료전지 장치를 달성한다. 이 경우 막의 개수는 연료전지 모듈들의 요구 전압에 좌우된다.
본 발명의 부가 개선예에 따르면, 연료전지 모듈의 압력관들은 장벽 가스(barrier gas)를 포함하고, 장벽 가스는 장벽 가스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건조하게 유지된다. 한편으로 이것은 연료전지 모듈의 절연 저항을 높게 유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관 내부의 부식 문제를 회피하고 연료전지 모듈의 수명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N2가 장벽 가스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장치는 새로 건설되는 잠수함뿐만 아니라 종래의 잠수함을 개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그것의 이점은 특히 잘 이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종래의 잠수함의 수중 범위가 이러한 방식으로 큰 범위까지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잠수함에 대한 높은 비용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잠수함 내 전력 생성을 위한 연료전지 장치의 사용에 따른 모든 이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한 가지 특히 유리한 연료전지 장치의 개선예는 전류 제한기를 구비하며, 전류 제한기는 연료전지 모듈과 상호작용하고 HTS 기술을 사용하며 회로 차단기와 상호작용한다. 연료전지 장치는 특별한 보호를 요구하고, 그 결과 충격 방지 설계만이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 전기적으로도 또한 특히 양호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이것은 아크의 발화 또는 그 밖의 단순한 단락 회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보수 또는 가능하다면 새로운 생산의 매우 높은 비용을 회피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HTS 기술을 사용하는 전류 제한기는 특히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고, 상기 전류 제한기는 회로 차단기와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회로 차단기는 단지 낮은 전력 레벨에서만 스위칭되는데, 그 이유는 전류 제한기가 HTS 전류 제한기의 응답 이후에 선상의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전압 강하가 매우 바람직하게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아크의 발화 또한 대부분 피할 수 있다.
공지된 HTS 전류 제한기는 어떠한 지연도 없이 어떠한 가스도 생성하지 않으면서 스스로 동작한다. 그것은 연료전지 장치에 대한 최적 안전성을 나타내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 HTS 전류 제한기의 물리적 원리는 비교적 오랜 기간동안 이미 공지되어 있고, HTS 전류 제한기는 이제 성숙 레벨에 도달하였으며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냉각되도록 허용된다. 비록 잠수함 선상에서 액체 질소를 운반하는 것 또한 가능하지만, 액체 질소는 바람직하게 공기의 질소로부터 컴프레서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잠수함은 바람직하게 극저온 액체를 위한 공급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특히 전기적으로 냉각되는 액체 질소를 위한 공급 컨테이너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 HTS 전류 제한기를 위해 선상에 연료전지 장치를 구비하는 잠수함이 공급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것은 특히 유리하고, 상기 공급 컨테이너의 기화열은 연료전지 장치의 동작을 위해 제공되는 액체 질소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것은 연료전지를 구비한 잠수함 선상에 유리한 전력 공급 시스템을 달성한다.
이러한 경우, HTS 전류 제한기 및 공급 컨테이너가 전력 공급 설비와 동일한 세그먼트에 배열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특히 HTS 전류 제한기가 예를 들어, 개조된 AIP 잠수함 세그먼트(AIP: 공기 불요 추진)에 배열될 때, 이것은 최적 방식으로 개조된 전력 공급 부품들을 포함하는 잠수함에 대한 개조 세그먼트를 달성하고, 그 결과 이들은 원래의 선박 몸체에 배치될 필요가 없고, 사실 선박 몸체의 모든 마지막 모서리가 사용된다.
모든 HTS 전류 제한기는 초전도 상태에서, 측정될 수 없을 만큼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작은 전기적 저항을 갖는다.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의 경우에, HTS 전류 제한기의 전기적 저항은 초전도 상태로부터 정상적 전도 상태로 변화할 때까지 갑자기 상승한다. HTS 전류 제한기 및 그것의 초전도체는 다시 냉각될 때까지 유한 저항을 취한다. 전력 공급 시스템에서, HTS 전류 제한기는 연결해제 능력, 즉, 회로 차단기를 구비한 DC-절연 요소와 연결하여 사용된다. DC-절연 요소는 자동적으로 구동되고, 정상적 전도 상태에서 HTS 전류 제한기의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압 차이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다. DC-절연 요소는 일단 단락 회로가 정류되면 수동으로 재연결되고, 그것의 정류는 잠수함 승무원에 의해 확인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 개선예는 제어 패널을 갖는 연료전지 장치에 대하여 제공되고, 상기 제어 패널에는 SIMATIC S 7 자동제어 시스템이 연료전지 모듈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배치되고, 자동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정보 레벨로서 연료전지 모듈의 연료전지 전압들을 측정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스마트 전압 측정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것은 특히 연료전지 전압의 양호한 모니터링 및 제어, 연료전지 모듈의 제어를 허용하고, 그리하여 연료전지 장치의 전력 제어를 허용한다.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연료전지 장치를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그리고 특히 연료전지 장치를 위한 자동 안전 시스템을 위한 SIMATIC S 7 자동제어 부품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연료전지 장치의 제어 및 모니터링에 대한 높은 안전 표준을 달성한다. 이것은 또한 연료전지 모듈 내 트랜스미터 및 밸브의 DC-절연 공급을 위한 DC/DC 컨버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ICOS-PC는 바람직하게 인시츄(in-situ) 제어 및 관측을 위해 사용되고, 연료전지 장치의 제어 및 관측을 위해 사용되며 연료전지 장치를 위한 인시츄로 배열된 제어 패널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이것은 매우 엄격한 기계적 전기적 안전성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연료전지 장치를 달성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현저한 세부 특징이 종속항들과 함께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압력관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30 내지 40 kW의 전력 범위를 갖는 연료전지 모듈(A)을 보여준다.
도 2는 압력관을 구비하고 120 내지 140 kW의 전력 범위를 갖는 연료전지 모듈을 보여준다.
도 3은 외부로부터 그리고 서로로부터 매체 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플레이트를 보여준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통합된 매체 연결 블록을 나타내고,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된 매체 연결 블록에는 각각의 튜브들이 매체 커플링(17)으로서 배치된다. 참조번호 2는 모듈의 측정, 제어 및 조절을 위한 다극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3은 잠수함 선상 전력 공급 시스템에 연결된 전류 연결부를 나타낸다. 음극은 바람직하게 최상부 및 최하부에 배치되는 반면, 양극은 중심에 배치된다. 이것은 낮은 표유 필드를 가진 설계를 달성한다. 참조번호 4는 모듈-내부 버스바 시스템의 위치를 표시하는 화살표를 나타낸다. 버스바 시스템은 4-컨덕터 장치이고, 이 경우 한 쌍의 컨덕터(1개의 음극, 1개의 양극)는 각각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참조번호 5는 전류 생산을 위한 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의 부분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7은 연료전지 블록을 위한 연결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6은 연료전지 모듈의 전면판을 나타낸다. 이것은 충격 방지 방식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압력관에 연결될 수 있고, 유사하게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여 설계된다.
도 2는 120 내지 140 kW의 전력 범위를 위한 연료전지 모듈을 나타내고, 매체 연결 블록은 참조번호 8로 표시된다. 참조번호 9는 전력 전달 연결부를 나타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 마찬가지로, 양극은 중심에 배치되고 2개의 음극은 외부에 배치된다. 매끄러운 스테인리스 스틸 압력관은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되고, 유사하게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된 플랜지 플레이트(11)가 압력관의 전면에 배치된다. 후면 플랜지 플레이트(더 이상 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면 플랜지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 아이(eye)(12)를 나사 고정하여 유지하기 위한 나사산 홀을 갖는다. 이것은 앞서 언급된 용이한 관리 능력을 달성하는데, 그 이유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연료전지 모듈의 관리를 허용하기 위하여 비교적 작은 리프팅 장치들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도 3은 연료전지 모듈의 밀봉 플레이트(16)를 보여준다. 알 수 있듯이,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각각의 구멍(13, 14 및 15)에는 바람직하게 통합된 밀봉 링이 제공된다(도면에서 어둡게 도시됨). 이것은 여러 매체를 서로로부터 신뢰성있게 분리시키는 통합된 밀봉 플레이트를 달성한다. 도시된 밀봉 플레이트는 30 내지 40 kW 연료전지 모듈에 포함되고, 바람직하게 200 mm 내지 250 mm의 폭 및 110 mm 내지 140 mm의 높이를 가지며, 표면 영역에서는 약 1 mm의 두께, 밀봉 영역에서는 약 1.3 mm 내지 1.5 mm의 두께를 갖는다. 전체적으로, 이것은 양호한 충격 방지 밀봉을 갖는 매우 큰 스케일의 매체 구멍의 통합을 달성한다. 120 내지 140 kW의 전력 범위를 갖는 연료전지 모듈을 위한 밀봉 플레이트는 대응하여 더 큰 수치를 갖는다.
연료전지 모듈의 모니터링 및 제어는 연료전지 제어 패널 및 보조 연료전지 스위치 패널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것은 "자립형" 스위치 패널의 형태일 수 있거나, 기존의 주요 잠수함 스위치 패널에 통합된 스위치 패널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하에 기술되는 기능적 분류는 이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부가적인 본 발명의 세부사항들이 자명해질 것이다.
연료전지 제어 패널은 이하의 주요 기능을 갖는다.
- 연료전지 모듈의 제어 및 모니터링 (연료전지 모듈에 설치된 트랜스미터 및 밸브는 연료전지 제어 패널로부터 24V DC/DC 컨버터에 의해 연료전지 모듈이 요구하는 전력을 획득하는 반면, 전술한 24 V DC/DC 컨버터를 위한 주요 전력은 보조 연료전지 스위치 패널로부터 나온다.)
- H2, O2, 냉각수, 질소, 탈염수(demineralized water), 진공 등을 위한 주변 입력 및 출력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연료전지 설비의 제어 및 모니터링; 연료전지 설비(연료전지 모듈 제외) 내 트랜스미터 및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모든 신호들은 우선 보조 연료전지 스위치 패널로 전달되고, 보조 연료전지 스위치 패널로부터 신호들은 적절한 트랜스미터 및 밸브로 전달된다(앞서 언급된 트랜스미터 및 밸브를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은 보조 연료전지 스위치 패널로부터 제공됨).
- 연료전지 제어 패널에 설치된 PC를 사용하여 연료전지 설비를 인시츄 동작
- 연료전지 설비 상태(AIP 개조 아님)의 시각화를 위한 더 높은 레벨의 제어 시스템을 위한 신호의 제공
다른 것들 가운데 이하의 하드웨어 부품들이 연료 제어 패널에 고정된다.
- 연료전지 모듈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Simatic S7 자동제어 시스템
- 연료전지 설비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Simatic S7 자동제어 시스템
- 연료전지 설비용 자동제어 안전 시스템을 위한 Simatic S7 자동제어 시스템
- 연료전지 모듈 내 트랜스미터 및 밸브의 DC 절연 공급을 위한 DC/DC 컨버터
- 연료전지 모듈의 전압들의 측정 및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전압 측정 시 스템
- 인시츄로 연료전지 설비를 동작시키고 관찰하기 위한, 트랙볼을 구비한 키보드를 포함하는 ICOS-PC
- 연료전지 설비 상태의 시각화를 위해 더 높은 레벨의 제어 시스템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광학 링크 모듈(AIP 개조 아님)
보조 연료전지 스위치 패널은 이하의 주요 작업을 갖는다.
- 연료전지 제어 패널의 공급
- 모든 트랜스미터, 밸브, 펌프 등, H2, O2, 냉각수, 질소, 탈염수, 진공 등을 위한 주변 입력 및 출력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여 전체 연료전지 설비로 요구된 전력(DC 24V, DC 160-330V, 3-0 AV 60 Hz 115V)을 전기적으로 공급
- 인시츄로 펌프를 동작(수동 제어)시키고 연료전지 설비를 예열
- 연료전지 설비를 위한 절연 측정 및 표시
- 여러 선박 시스템, 예를 들어, 추진 시스템, 선상 전력 공급 시스템, 연료전지 설비 등으로부터 신호를 수집하여 전달
다른 것들 가운데 이하의 하드웨어 부품들이 보조 연료전지 스위치 패널에 설치된다.
- 연료전지 설비의 절연 측정을 위한 측정 장치
- 330V/24V DC 전력 공급 유닛
- 전압 버퍼링을 위한 커패시터
- 연료전지 설비 내 높은 유입 전류를 갖고 펌프 및 부하를 온오프 스위칭하기 위한 3극 회로 차단기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전기 프로펠러 모터, 배터리 세트, 드라이브를 구비한 충전 발전기, 그리고 스위칭 및 자동제어 장치 그리고 버스바를 구비한 전력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잠수함을 위한 H2O2 연료전지 모듈(A)들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로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요구되는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전력은 전력 전달 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PEM 장치의 형태를 갖고,
    상기 PEM 장치는 내재적으로 충격 방지형으로 설계된 연료전지 모듈(A)들을 포함하며, 충격 방지 목적을 위하여 동작을 위해 필요한 치수보다 더 큰 재료 치수를 갖는 강건한 내부 설계를 갖고,
    개별적인 모듈 부품들은 상호 지지되며 충격 방지형으로 설계되는 연결부들을 사용하여 산소 및 수소를 공급받고, 충격 방지형으로 설계되는 대형-스케일-통합 매체 연결 블록(1)을 구비하며,
    상기 대형-스케일-통합 매체 연결 블록(1)은 가스 및 물을 위한 대형-스케일-통합 매체 커플링(17)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가스 및 물을 위한 하나의 대형-스케일-통합 밀봉 플레이트(16)를 경유하여 상기 연료전지 모듈(A)들의 상기 매체 커플링(17)들 내에 밀봉된 외부 매체 입력 공급부 및 출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가스-기밀 스테인리스 스틸 압력관들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된 연료전지 모듈(A)들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낮은 표유 필드(stray field)를 생성하도록 설계된 내부 버스바 시스템을 갖는 연료전지 모듈(A)들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연료전지 모듈들, 및 비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들의 개수는 상기 전력 공급 시스템의 전압 레벨 및 상기 모듈들의 전압 레벨에 의존하는,
    연료전지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30 내지 70 kW의 전력을 갖는 연료 전지 모듈(A)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전지 모듈(A)의 치수는 1200 mm 내지 2000 mm의 길이, 400 mm 내지 550 mm의 폭, 및 400 mm 내지 550 mm의 높이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전지 모듈(A)들은 공통의 설치 랙 안으로 도입될 수 있는,
    연료전지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80 내지 160 kW의 전력을 갖는 연료 전지 모듈(A)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전지 모듈(A)의 치수는 1500 mm 내지 2300 mm의 길이, 450 mm 내지 650 mm의 폭, 및 450 mm 내지 650 mm의 높이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전지 모듈(A)들은 설치 랙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연료전지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20 내지 500 개의 막들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모듈(A)들을 포함하고, 상기 막들은 이온을 전도하는 재료로 구성되는,
    연료전지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모듈(A)들의 압력관들은 장벽 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장벽 가스는 장벽 가스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건조 상태로 유지되는,
    연료전지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종래의 잠수함을 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료전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수함을 위한 상기 전력 전달 시스템은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제한기는 상기 연료전지 모듈(A)들과 상호작용하고 HTS 기술을 사용하며, 회로 차단기와 상호작용하는,
    연료전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하나 이상의 HTS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고, 상기 HTS 전류 제한기는 회로 차단기와 상호작용하며 극저온 액체를 사용하여 냉각되는,
    연료전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HTS 전류 제한기는 극저온 액체를 위한 공급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연료전지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HTS 전류 제한기는 공급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 컨테이너의 기화열은 상기 연료전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 산소(O2)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료전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HTS 전류 제한기 및 상기 공급 컨테이너는 상기 연료전지 모듈(A)들과 동일한 상기 잠수함의 세그먼트 내에 배치되는,
    연료전지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장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패널내에는 스마트 전압 측정 시스템들이 상기 연료전지 모듈(A)들의 전지 전압들을 측정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치되며, 또한 자동제어 시스템이 상기 연료전지 모듈(A)들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제어 패널 내에 배치되는,
    연료전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SIEMENS의 SIMATIC S 7에 기초한 자동제어 시스템은 전체 연료전지 장치를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어 패널 내에 배치되고, 또한 SIEMENS의 SIMATIC S 7에 기초한 자동제어 시스템이 상기 연료전지 장치를 위한 상기 자동제어 안전 시스템을 위해 제어 패널 내에 배치되는,
    연료전지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67016825A 2004-01-29 2004-12-29 잠수함용 연료전지 장치 KR101400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04623A DE102004004623B4 (de) 2004-01-29 2004-01-29 Brennstoffzelleneinrichtung für ein U-Boot
DE102004004623.9 2004-01-29
PCT/EP2004/053724 WO2005073075A1 (de) 2004-01-29 2004-12-29 Brennstoffzelleneinrichtung für ein u-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987A KR20060127987A (ko) 2006-12-13
KR101400259B1 true KR101400259B1 (ko) 2014-05-27

Family

ID=3481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825A KR101400259B1 (ko) 2004-01-29 2004-12-29 잠수함용 연료전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708920B1 (ko)
KR (1) KR101400259B1 (ko)
DE (2) DE102004004623B4 (ko)
WO (1) WO2005073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21411B1 (es) * 2013-05-03 2014-09-05 Abengoa Hidrógeno, S.A. Sistema de control de una planta anaeróbica de generación de energía
CN106299406A (zh) * 2016-11-02 2017-01-04 上海钧希新能源科技有限公司 水下燃料电池aip动力系统
EP3324476A1 (de) 2016-11-18 2018-05-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Brennstoffzellenmodul, brennstoffzellensystem sowie betriebsverfahren
EP3324475A1 (de) 2016-11-18 2018-05-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Brennstoffzellenmodul, brennstoffzellensystem sowie betriebsverfahren
DE102017214972A1 (de) 2017-08-28 2019-02-28 Audi Ag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8200485A1 (de) 2018-01-12 2019-07-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Wassergebundenes Fahrzeug mit einer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DE102018205985A1 (de) 2018-04-19 2019-10-24 Audi Ag Elektrisches Energiesystem mit Brennstoffzellen
DE102019207184A1 (de) * 2019-05-16 2020-11-19 Thyssenkrupp Ag Unterseebo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026A (ko) * 1999-12-14 2001-07-04 윤영석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재순환 장치
JP2002544649A (ja) * 1999-05-06 2002-12-24 サンディア コーポレーション 燃料電池及び膜
KR20030040401A (ko) * 2000-08-17 2003-05-22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해상 선박 및 잠수함, 특히 해안 설치용 선박 및 해안 설비의 전기 dc-네트워크 및 ac-네트워크에서 단락이 발생될 경우 즉각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3397A1 (de) * 1984-09-12 1986-03-20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Hamburg und Kiel, 2300 Kiel Einrichtung zur verminderung der schwingungen von sehrohren und aehnlichen vorrichtungen
DE9213863U1 (ko) * 1992-10-14 1993-01-07 Varta Batterie Ag, 3000 Hannover, De
DE29602068U1 (de) * 1996-02-07 1996-06-13 Rippe Juergen Vielzweck-Vieleck-Stoßdämpfer
WO2002027833A2 (de) * 2000-09-27 2002-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Brennstoffzellenanlage
DE10223965A1 (de) * 2002-05-29 2003-12-11 Siemens Ag Schwingungsdämpfungsvorrichtung für Antriebsaggregate von Schiffsantriebsanlagen von Über- und Unterwasserschiffen
DE10224015A1 (de) * 2002-05-29 2003-12-11 Siemens Ag Marine-(Navy)Schif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4649A (ja) * 1999-05-06 2002-12-24 サンディア コーポレーション 燃料電池及び膜
KR20010056026A (ko) * 1999-12-14 2001-07-04 윤영석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재순환 장치
KR20030040401A (ko) * 2000-08-17 2003-05-22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해상 선박 및 잠수함, 특히 해안 설치용 선박 및 해안 설비의 전기 dc-네트워크 및 ac-네트워크에서 단락이 발생될 경우 즉각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unter Sattler, "Fuel cells going on-board", Journal of Power Sources, Elsevier Sciences S.A., 86, (2000.03.31.) *
Gunter Sattler, "Fuel cells going on-board", Journal of Power Sources, Elsevier Sciences S.A., 86, (2000.03.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73075A1 (de) 2005-08-11
EP1708920A1 (de) 2006-10-11
DE102004004623B4 (de) 2005-12-29
DE502004011254D1 (de) 2010-07-15
KR20060127987A (ko) 2006-12-13
DE102004004623A1 (de) 2005-09-01
EP1708920B1 (de)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7267A (en) Zinc-chlorine battery plant system and method
CA2797542C (en) Method for packaging and connecting ultracapacitors for energy storage purposes
KR101400259B1 (ko) 잠수함용 연료전지 장치
US20030137193A1 (en) Fuel cell and control unit in a detachable housing
JP5601960B2 (ja) 蓄電システム
US20060240297A1 (en) Fuel cell unit and power generating system using the fuel cell unit
KR100842950B1 (ko) 해상 선박 및 잠수함, 그리고 해안 설비의 전기 dc-네트워크 및 ac-네트워크에서 단락이 발생될 경우 즉각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장치
NO313068B1 (no) Undersjoisk transformator - distribusjonssystem med et forste og et andre kammer
RU2664507C2 (ru) Под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US9742163B2 (en) Subsea switchgear
US20200020964A1 (en) Fuel cell stack grounding through an impedance creating element
CA2423463C (en) Fuel cell system with a gas-tight pressure container for use in submarines
US20170141548A1 (en) Subsea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system
KR20070085072A (ko) 잠수함용 전력 공급 장치
US11489189B2 (en) Subsea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RU2646530C2 (ru) Портативный водородны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CN109155522B (zh) 海底配电装置
EP2407983B1 (en) Method for packaging and connecting ultracapacitors for energy storage purposes
KR20200105715A (ko) 전력 공급 유닛을 갖는 수상 차량
US20230395879A1 (en) Energy device control system
EP3986098A1 (en) Subsea drive with integrated breaker
KR20230043731A (ko) 냉각제 매체와 수소의 분리가 개선된 연료 전지 시스템
Robillard Lithium-metal-polymer batteries
CN116632666A (zh) 一种潜水器分布式综合配电系统
CN108365670A (zh) 一种水下机器人电池及供电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20

Effective date: 201402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