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560B1 -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560B1
KR101399560B1 KR1020120081353A KR20120081353A KR101399560B1 KR 101399560 B1 KR101399560 B1 KR 101399560B1 KR 1020120081353 A KR1020120081353 A KR 1020120081353A KR 20120081353 A KR20120081353 A KR 20120081353A KR 101399560 B1 KR101399560 B1 KR 10139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information
shortest
vessel
unident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687A (ko
Inventor
배정혜
장승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5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의 주변의 다른 선박에 대한 위험도를 산출하여 당해 선박의 위험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위험 관리 장치는 미확인선박에 대한 미확인선박정보를 생성하는 레이더부 및 미확인선박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미확인선박이 미리 설정된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면, 제어부는 제1 기준에 따라 위험도를 산출하고, 기준에는 상기 제1 기준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managing risk of vess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의 주변의 다른 선박에 대한 위험도를 산출하여 당해 선박의 위험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선박은 여행, 화물 운송, 국가 방위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선박은 사용 목적에 따라 여객을 옮기는 여객 운송선, 여객과 화물 대포를 옮기는 화객 운송선, 화물 대포를 옮기는 화물 운송선 및 상업상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상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박은 항해 또는 정박 중에 해적을 만나게 되는 경우가 드물게 발생하고 있다. 70~80년대의 경우 해적은 선박에 몰래 침입하여 로프류 등 선내 의장품을 훔져가는 정도였으나, 90년대 이후에 해적은 권총, 소총, 자동화기 등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점점 무장이 강화되었고 고속정을 이용하던지 정박중인 상선에 침입하여 선원을 인질로 잡거나 선박 자체를 나포하는 일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해적은 선원들을 납치하거나 심지어 살인까지 하는 등 점점 잔인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선박은 해적을 만나면 선박 보안 경보 장치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본사와 근해 국가의 해양 경찰 등에 연락을 취하고, 선박 조정을 크게 움직이는 방법 등으로 아주 소극적인 방어를 해왔다. 이에 따라, 수많은 선박들은 특별한 수단이 없이 피해를 당해왔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9405호는 미확인선박이 경계 구역 내에 진입하면 위험 여부를 알려주는 시스템에 관한 특허이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9405호에 의하면 미확인 선박이 경계 구역에 진입하기 전까지 선원들이 아무런 대비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9405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변의 다른 선박에 대한 구체적인 위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선원들이 파악된 위험 정도를 이용하여 다른 선박의 접근에 철저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확인선박에 대한 미확인선박정보를 생성하는 레이더부; 및 상기 미확인선박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미확인선박이 미리 설정된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에는 상기 제1 기준이 포함되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미확인선박이 상기 위험지역 안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되, 상기 기준에는 상기 제2 기준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도를 이용하여 위험단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 위험 관리 장치는 입력된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단계에 상응하는 상기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더부는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주기로 생성되는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선박에 대한 속도정보 및 이동방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속도정보 및 상기 이동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근접거리정보 및 최단근접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 및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속도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최단시간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최단거리위험도, 상기 속도위험도 및 상기 최단시간위험도를 이용하여 아래 수식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2059603808-pat00001
단, 상기 W는 상기 위험도, 상기 A는 상기 최단거리위험도, 상기 B는 상기 속도위험도, 상기 C는 상기 최단시간위험도이고,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02
,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03
및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04
는 미리 설정된 실수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확인선박에 대한 미확인선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확인선박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확인선박이 미리 설정된 위험지역에 밖에 위치하면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에는 상기 제1 기준이 포함되는 선박 위험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확인선박이 상기 위험지역에 안에 위치하면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에는 상기 제2 기준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 위험 관리 방법은 상기 위험도를 이용하여 위험단계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 위험 관리 방법은 상기 위험단계에 상응하는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기로 생성되는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선박에 대한 속도정보 및 이동방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속도정보 및 상기 이동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근접거리정보 및 최단근접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 및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속도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최단시간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거리위험도, 상기 속도위험도 및 상기 최단시간위험도를 이용하여 아래 수식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2059603808-pat00005
단, 상기 W는 상기 위험도, 상기 A는 상기 최단거리위험도, 상기 B는 상기 속도위험도, 상기 C는 상기 최단시간위험도이고,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06
,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07
및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08
는 미리 설정된 실수임.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다른 선박에 대한 구체적인 위험 정도가 자동으로 파악될 수 있으므로, 선원들이 파악된 위험 정도를 이용하여 다른 선박의 접근에 철저하게 대비할 수 있다.
도 1은 당해 선박 주위에 다른 선박들이 위치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위험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산출을 위한 제1 기준들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산출을 위한 제2 기준들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단계에 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위험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당해 선박 주위에 다른 선박들이 위치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항해 또는 정박 중인 당해 선박(110)의 주위에는 다양한 다른 선박들(120-1, ... , 120-n)(단, n은 자연수)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선박(110)은 구비된 레이더(Radar)를 이용하여 다른 선박들(120-1, ... , 120-n)과의 충돌을 회피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런데, 해적 선박과 같은 미확인선박의 경우에는 단순히 충돌을 회피하는 것으로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해적 선박의 접근에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당해 선박(110)은 미확인선박에 대한 위험 정도를 판단하여 위험 정도가 높은 미확인선박의 접근에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하, 당해 선박(110)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위험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미확인선박의 위험 정도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위험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는 당해 선박(110)에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210), 저장부(220), 입력부(230), 레이더부(240), 디스플레이부(250) 및 스피커부(260)를 포함한다.
먼저,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미확인선박이 자주 출몰하는 지역에 대한 위도, 경도 및/또는 반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입력부(230)는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지역은 미리 설정된 지역으로서, 미확인선박이 자주 출몰하는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30)는 키패드(keypad) 및/또는 터치패드(touchpad) 등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는 디폴트(default)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디폴트 및/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생성된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
레이더부(240)는 전송된 전파가 임의의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탐지하여 당해 물체와의 거리정보, 방위정보 등을 측정한다. 따라서, 레이더부(240)는 미확인선박과 당해 선박(110)과의 거리정보 및 방위정보(이하, '미확인선박정보'라 통칭함)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부(240)는 미확인선박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주기가 2.5초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레이더부(240)는 2.5초마다 미확인선박정보를 계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레이더부(240)는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미확인선박정보를 이용하여 미확인선박에 대한 속도정보 및/또는 이동방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레이더부(240)는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미확인선박의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미확인선박의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즉, 속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레이더부(240)는 미확인선박이 한 주기 동안 이동한 거리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레이더부(240)는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미확인선박의 방위정보를 이용하여 미확인선박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즉, 이동방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부(240)는 생성된 미확인선박에 대한 속도정보 및/또는 이동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근접거리정보 및/또는 최단근접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최단근접거리정보는 당해 선박(110)으로부터 미확인선박까지의 최단 근접 거리에 대한 정보(CPA, Closet Point of Approach)일 수 있고, 최단근접시간정보는 미확인선박이 당해 선박(110)까지 접근하는데 걸리는 최단 시간에 대한 정보(TCPA, Time of Closet Point of Approach)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레이더부(240)가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에 포함된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레이더부(240)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와 연결된 별도의 레이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제어부(210)는 레이더부(240)에서 생성된 미확인선박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위험도를 산출한다. 이때, 미확인선박이 저장부(220)에 기저장된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면, 제어부(210)는 제1 기준에 의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미확인선박이 저장부(220)에 기저장된 위험지역 안에 위치하면, 제어부(210)는 제2 기준에 의하여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미확인선박의 위치가 위험지역 안에 위치되어 있으면 해적 선박과 같이 당해 선박(110)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선박일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어부(210)가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는 레이더부(240)에서 생성된 미확인선박의 거리정보, 방위정보 등과 당해 선박(110)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어부(210)가 위험도를 산출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산출을 위한 제1 기준들에 대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미확인선박이 저장부(220)에 기저장된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어부(210)는 제1 기준에 의하여 위험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1 기준은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서 미확인선박의 최단근접거리정보, 속도정보 및/또는 최단근접시간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위험도를 256단계로 구분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에서 최단근접거리정보에 대한 위험도(이하, '최단거리위험도'라 칭함)는 도 3에서 가장 위에 도시된 제1 최단근접거리그래프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최단근접거리정보가 0.5[NM]인 경우 최단거리위험도는 204에 상응할 수 있고, 1.0[NM]인 경우 최단거리위험도는 153에 상응할 수 있으며, 1.8[NM]인 경우 최단거리위험도는 102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최단근접거리정보를 제1 최단근접거리그래프에 대비하여 상응하는 최단거리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준에서 미확인선박의 속도정보에 상응하는 위험도(이하, '속도위험도'라 칭함)는 도 3에서 가운데에 도시된 제1 미확인선박속도그래프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미확인선박의 속도정보가 16[kn]인 경우, 속도위험도는 204에 상응할 수 있고, 미확인선박의 속도정보가 12[kn] 이하이거나 43.5[kn] 이상인 경우, 속도위험도는 0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미확인선박의 속도정보가 20[kn] 내지35.5[kn]인 경우, 속도위험도는 255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속도정보를 제1 미확인선박속도그래프에 대비하여 상응하는 속도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준에서 최단근접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위험도(이하, '최단시간위험도'라 칭함)는 도 3에서 가장 밑에 도시된 제1 최단근접시간그래프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최단근접시간정보가 12[min]인 경우 최단시간위험도는 204에 상응할 수 있고, 30[min]인 경우 최단시간위험도는 153에 상응할 수 있으며, 54[min]인 경우 최단시간위험도는 102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최단근접시간정보를 제1 최단근접시간그래프에 대비하여 상응하는 최단시간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산출된 최단거리위험도, 속도위험도 및/또는 최단시간위험도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아래 수식에 따라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2059603808-pat00009
..................<수식>
단, W는 위험도, A는 최단거리위험도, B는 속도위험도, C는 최단시간위험도이고,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0
,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1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2
는 미리 설정된 실수이다.
예를 들어,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고 있고, 최단근접거리정보가 1.8[NM], 속도정보가 24[kn], 최단근접시간정보가 30[min]인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3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4
가 0.4,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5
가 0.2로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제1 기준에 의하여 최단거리위험도를 102로, 속도위험도를 255로, 최단시간위험도를 153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위의 수식에 의하여 당해 미확인선박에 대한 위험도(W)를 153으로 산출할 수 있다(즉, W=0.4*102+0.2*255+0.4*153=153).
다른 예를 들어,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고 있고, 최단근접거리정보가 1.0[NM], 속도정보가 20[kn], 최단근접시간정보가 12[min]인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6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7
가 0.4,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8
가 0.2로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제1 기준에 의하여 최단거리위험도를 204로, 속도위험도를 255로, 최단시간위험도를 204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위의 수식에 의하여 당해 미확인선박에 대한 위험도(W)를 214로 산출할 수 있다(즉, W=0.4*204+0.2*255+0.4*204=214).
한편,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제2 기준에 의하여 위험도를 판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산출을 위한 제2 기준들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기준에 상응하는 그래프들이 도시되어 있다.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안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어부(210)는 제2 기준에 의하여 위험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2 기준은 제1 기준과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서 미확인선박의 최단근접거리정보, 속도정보 및/또는 최단근접시간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위험도를 256단계로 구분한 기준일 수 있다. 다만,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내에 위치되고 있으므로 미확인선박은 해적 선박과 같은 위험 정도가 높은 선박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미확인선박정보라고 하여도 제2 기준에 의하여 산출된 위험도는 제1 기준에 의하여 산출된 위험도에 비하여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에서 최단거리위험도는 도 4에서 가장 위에 도시된 제2 최단근접거리그래프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최단근접거리정보가 0.5[NM]인 경우 최단거리위험도는 220에 상응할 수 있고(제1 기준의 경우 204), 1.0[NM]인 경우 최단거리위험도는 204에 상응할 수 있으며(제1 기준의 경우 153), 1.8[NM]인 경우 최단거리위험도는 153에 상응할 수 있다(제1 기준의 경우 102). 결국, 위험지역 안에 위치된 미확인선박은 위험지역 밖에 위치된 미확인선박에 비하여 (당해 선박(110)에 더 멀리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위험도가 높게 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안에 위치하는 경우 최단근접거리정보를 제2 최단근접거리그래프에 대비하여 상응하는 최단거리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준에서 미확인선박의 속도위험도는 도 4에서 가운데에 도시된 제2 미확인선박속도그래프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미확인선박의 속도정보가 16[kn]인 경우, 속도위험도는 255에 상응할 수 있고(제1 기준의 경우 204), 미확인선박의 속도정보가 8[kn] 이하이거나 47.5[kn] 이상인 경우, 속도위험도는 0에 상응할 수 있다. 결국, 위험지역 안에 위치된 미확인선박의 속도는 조금 느리더라도 위험지역 밖에 위치된 미확인선박에 비하여 더욱 위험도가 높게 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안에 위치하는 경우 속도정보를 제2 미확인선박속도그래프에 대비하여 상응하는 속도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준에서 최단시간위험도는 도 4에서 가장 밑에 도시된 제2 최단근접시간그래프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최단근접시간정보가 12[min]인 경우 최단시간위험도는 220에 상응할 수 있고(제1 기준의 경우 204), 30[min]인 경우 최단시간위험도는 204에 상응할 수 있으며(제1 기준의 경우 153), 54[min]인 경우 최단시간위험도는 153에 상응할 수 있다(제1 기준의 경우 102). 결국, 위험지역 안에 위치된 미확인선박은 위험지역 밖에 위치된 미확인선박에 비하여 (당해 선박(110)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 걸림에도 불구하고) 더욱 위험도가 높게 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안에 위치하는 경우 최단근접시간정보를 제2 최단근접시간그래프에 대비하여 상응하는 최단시간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안에 위치된 경우라고 하여도 제2 기준에 의하여 산출된 최단거리위험도, 속도위험도 및/또는 최단시간위험도를 이용하여 위의 수식에 따라 위험도(W)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산출된 위험도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210)가 위험단계를 파악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단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험단계를 판단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대한 표가 도시된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산출된 위험도가 102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가 '매우 안전'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산출된 위험도가 102 이상 166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가 '안전'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산출된 위험도가 166 이상 204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가 '의심'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산출된 위험도가 204 이상인 경우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가 '위험'임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파악된 위험단계에 상응하는 경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위험단계가 '매우 안전' 및 '안전'인 경우에는 경고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210)는 위험단계가 '의심'인 경우에는 '의심'에 상응하는 경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위험단계가 '위험'인 경우에는 '위험'에 상응하는 경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생성된 경고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0) 및/또는 스피커부(26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50)로 출력되는 경고정보는 영상데이터일 수 있고, 스피커부(260)로 출력되는 경고정보는 음성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선박(110)의 선원들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출력되는 경고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미확인선박의 접근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선박(110)의 선원들은 스피커부(260)를 통하여 출력되는 경고정보를 청각적으로 인식하여 미확인선박의 접근에 대비할 수 있다. 이렇듯 디스플레이부(250) 및/또는 스피커부(260)는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출력부'로 통칭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위험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위험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들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즉, 사용자는 구비된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위험지역에 대한 위도, 경고 및/또는 반경을 입력하여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어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주변에 미확인선박이 존재하고,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30). 여기서, 미확인선박의 존재 여부 및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가 구비된 레이더 장치에서 생성된 미확인선박의 거리정보, 방위정보 등과 당해 선박(110)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단계 S640에서,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에 따라 위험도를 산출한다. 즉, 구비된 레이더장치는 미확인선박에 대한 거리, 방위 등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미확인선박에 대한 속도정보 및/또는 이동방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장치는 생성된 미확인선박에 대한 속도정보 및/또는 이동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근접거리정보 및/또는 최단근접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는 제1 기준에 따라 최단근접거리정보, 속도정보 및/또는 최단근접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위험도, 속도위험도, 최단시간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는 산출된 최단거리위험도, 속도위험도, 최단시간위험도를 이용하여 위의 수식에 따라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안에 위치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에 따라 위험도를 산출한다. 미확인선박이 위험지역 내에 위치되고 있으므로 미확인선박은 해적 선박과 같은 위험 정도가 높은 선박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미확인선박정보라고 하여도 제2 기준에 의하여 산출된 위험도는 제1 기준에 의하여 산출된 위험도에 비하여 높게 산출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2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산출되는 방법은 제1 기준에 따라 위험도가 산출되는 방법과 그 기준만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660에서, 산출된 위험도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산출된 위험도는 0 내지 255 중 어느 하나의 숫자일 수 있고,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는 산출된 위험도가 102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가 '매우 안전'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는 산출된 위험도가 102 이상 166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가 '안전'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는 산출된 위험도가 166 이상 204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가 '의심'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위험 관리 장치(200)는 산출된 위험도가 204 이상인 경우 미리 설정된 판단방법에 따라 위험단계가 '위험'임을 파악할 수 있다.
단계 S670에서, 파악된 위험단계에 상응하는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당해 선박(110)의 선원들은 경고정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하여 미확인선박의 접근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당해 선박(110) 주변의 다른 선박에 대한 구체적인 위험도가 자동으로 파악될 수 있으므로, 당해 선박(110)의 선원들은 파악된 위험도를 이용하여 미확인선박의 접근에 철저하게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위험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당해 선박 120-n : 미확인선박
210 : 제어부 220 : 저장부
230 : 입력부 240 : 통신부
250 : 디스플레이부 260 : 스피커부

Claims (12)

  1. 미확인선박에 대한 미확인선박정보를 생성하는 레이더부; 및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확인선박이 미리 설정된 위험지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최단근접거리정보, 속도정보 및 최단근접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데,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는 당해 선박에서 상기 미확인선박까지의 최단 근접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정보는 상기 미확인선박의 속도를 포함하며,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는 상기 미확인선박이 상기 당해 선박까지 접근하는데 걸리는 최단 시간을 포함하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인선박이 상기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미확인선박이 상기 위험지역 안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되, 상기 기준에는 상기 제1 기준 및 상기 제2 기준이 포함되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도를 이용하여 위험단계를 파악하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입력된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단계에 상응하는 상기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부는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주기로 생성되는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확인선박에 대한 상기 속도정보 및 이동방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속도정보 및 상기 이동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 및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속도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최단시간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최단거리위험도, 상기 속도위험도 및 상기 최단시간위험도를 이용하여 아래 수식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선박 위험 관리 장치.
    Figure 112012059603808-pat00019

    단, 상기 W는 상기 위험도, 상기 A는 상기 최단거리위험도, 상기 B는 상기 속도위험도, 상기 C는 상기 최단시간위험도이고,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20
    ,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21
    및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22
    는 미리 설정된 실수임.
  7. 미확인선박에 대한 미확인선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기초로 상기 미확인선박이 미리 설정된 위험지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최단근접거리정보, 속도정보 및 최단근접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는 당해 선박에서 상기 미확인선박까지의 최단 근접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정보는 상기 미확인선박의 속도를 포함하며,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는 상기 미확인선박이 상기 당해 선박까지 접근하는데 걸리는 최단 시간을 포함하는 선박 위험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확인선박이 상기 위험지역 밖에 위치하면, 제1 기준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고, 상기 미확인선박이 상기 위험지역에 안에 위치하면 제2 기준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에는 상기 제1 기준 및 상기 제2 기준이 포함되는 선박 위험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이용하여 위험단계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 위험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단계에 상응하는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 위험 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기로 생성되는 상기 미확인선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속도정보 및 이동방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속도정보 및 상기 이동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 및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위험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단근접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속도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단근접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최단시간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단거리위험도, 상기 속도위험도 및 상기 최단시간위험도를 이용하여 아래 수식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 위험 관리 방법.
    Figure 112012059603808-pat00023

    단, 상기 W는 상기 위험도, 상기 A는 상기 최단거리위험도, 상기 B는 상기 속도위험도, 상기 C는 상기 최단시간위험도이고,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24
    ,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25
    및 상기
    Figure 112012059603808-pat00026
    는 미리 설정된 실수임
KR1020120081353A 2012-07-25 2012-07-25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353A KR101399560B1 (ko) 2012-07-25 2012-07-25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353A KR101399560B1 (ko) 2012-07-25 2012-07-25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87A KR20140014687A (ko) 2014-02-06
KR101399560B1 true KR101399560B1 (ko) 2014-05-30

Family

ID=5026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353A KR101399560B1 (ko) 2012-07-25 2012-07-25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643B1 (ko) * 2021-02-22 2023-01-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레이더를 이용한 격추 및 피해도 평가 장치
KR102553331B1 (ko) * 2021-07-08 2023-07-07 한화오션 주식회사 4차원 레이더를 활용한 선외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157A (ja) * 1994-03-30 1995-10-20 Anima Denshi Kk 船舶等の海上監視装置
JP2004318561A (ja) 2003-04-17 2004-11-11 Yazaki Corp 不審船舶監視システム
JP2005096674A (ja) 2003-09-26 2005-04-14 Kawasaki Shipbuilding Corp 不審船探知方法及び装置
KR20090036683A (ko) * 2007-10-10 2009-04-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충돌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157A (ja) * 1994-03-30 1995-10-20 Anima Denshi Kk 船舶等の海上監視装置
JP2004318561A (ja) 2003-04-17 2004-11-11 Yazaki Corp 不審船舶監視システム
JP2005096674A (ja) 2003-09-26 2005-04-14 Kawasaki Shipbuilding Corp 不審船探知方法及び装置
KR20090036683A (ko) * 2007-10-10 2009-04-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충돌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87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9501B2 (en) Vessel monitoring system and vessel monitoring method thereof
US93340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considering GPS jamming
JP6257687B2 (ja) ディープラーニングアルゴリズムを利用した海上交通管制専門家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47743B1 (ko) 시계열 그래픽 표시를 이용한 선박 충돌회피 안내시스템
CN103714718B (zh) 一种内河桥区船舶安全航行预控系统
CN203698621U (zh) 船舶防撞系统及具有防撞系统的船
KR101193687B1 (ko) 선박 충돌 방지를 위한 운항 제어 시스템
Du et al. A COLREG-compliant ship collision alert system for stand-on vessels
KR101693981B1 (ko) 선박의 충돌 회피 방법 및 장치
KR101163734B1 (ko) 선박 충돌 방지 및 인지 시스템
KR20170133010A (ko)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선박의 안전접안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2382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vessels
JP2003048595A (ja) 他船表示装置
JP2012021947A (ja) 航行援助装置
KR101693982B1 (ko) 선박의 충돌 회피 방법 및 장치
KR20110009983A (ko) 선박용 충돌 회피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충돌 회피 방법
CN103129720A (zh) 一种船舶防碰撞信号装置及方法
KR101399560B1 (ko) 선박 위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2237B1 (ko) 선박의 충돌방지장치
KR20090069711A (ko) 선박의 충돌 방지 시스템
KR101378859B1 (ko) 위험 선박 판별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해적선 퇴치 통합 시스템
KR102142381B1 (ko) 선박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2069A (ko) 선박에 구비된 통합정보 관리 시스템
KR20130131961A (ko)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선박간 지능적 충돌예측정보 제공방법
KR102415979B1 (ko) 주의 선박의 안전거리 침입 경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