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309B1 -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309B1
KR101399309B1 KR1020130027168A KR20130027168A KR101399309B1 KR 101399309 B1 KR101399309 B1 KR 101399309B1 KR 1020130027168 A KR1020130027168 A KR 1020130027168A KR 20130027168 A KR20130027168 A KR 20130027168A KR 101399309 B1 KR101399309 B1 KR 10139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vehicle number
vehicle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호
임경묵
Original Assignee
임경묵
황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묵, 황용호 filed Critical 임경묵
Priority to KR102013002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부; 충격 및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감지 신호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촬영된 영상 내의 차량번호를 자동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부; 및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BLACKBOX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랙박스에 촬영 및 녹화된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식별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항공기의 운항기록을 저장하여 사고 원인을 파악하는 블랙박스를 차량에 적용하는 기술이 상용화되었다.
차량에 탑재된 블랙박스는 차량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외부 영상을 기록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블랙박스가 개발 출시되고 있지만, 종래의 블랙박스는 감지된 운행정보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기능만을 하고 있다. 그리고, 블랙박스는 차량 전면 유리 또는 후면 유리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블랙박스는 사이즈가 작아야하고, 고화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블랙박스에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블랙박스 내의 저장 매체를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영상 처리 매체를 통해 재생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의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녹화된 영상내의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121824호 (특허 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4299호 (특허 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0469131호 (특허 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2006-007355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LPR 기술을 통해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녹화된 영상을 이용하여 블랙박스에서 직접 차량 번호를 식별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부와, 충격 및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와, 감지 신호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와, 촬영된 영상 내의 차량번호를 자동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부 및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영상 촬영부의 해상도는 상기 화면 표시부의 해상도 보다 높고, 상기 화면 표시부는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스케일을 축소시키는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차량 번호 인식 명령 확인부와, 상기 차량 번호 인식 명령 확인부에 의해 동작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부와, 상기 관심 영역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판 자동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를 화면 표시부에 표시하는 인식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심 영역 추출부는 사용자가 터치한 화면 표시부에 보이는 영상에 해당하는 원본 영상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저장하거나,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1 내지 10초 전의 촬영 영상에서 1 내지 10개의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번호판 자동 인식부는 인식된 차량 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번호 인식부는, 상기 관심 영역 영상 이미지의 기울기 및 위치 보정과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번호를 확인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차량 번호 인식 요청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인식 요청이 발생한 경우, 촬영된 영상에서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관심 영역 이미지 내의 차량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번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인식 요청과 동시에 촬영된 영상의 원본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저장하거나, 인식 요청 시점을 기준으로 1 내지 10초 전의 촬영된 영상에서 1 내지 10개의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인식 요청 시 촬영된 영상의 원본 이미지를 제 1 관심 영역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제 1 관심 영역 이미지 중 번호판 영역을 설정 받아 이 영역을 제 2 관심 영역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녹화된 영상을 이용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블랙박스에서 차량 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외부 장치 없이도 영상 내의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부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부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부(110)와, 충격 및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120)와, 감지 센서 신호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130)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140)와, 촬영된 영상 내의 차량번호를 자동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부(150)와,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6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70)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GPS 센서부와, 영상 촬영과 동시에 음성을 녹음하는 음성 녹음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10)는 50만 화소 이상의 해상도를 갖는 카메라부(111)를 구비한다. 물론 카메라부(111)는 100만 내지 1,500만 화소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촬영된 영상 내의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111)가 하기 해상도의 범위보다 낮은 해상도를 갖는 경우 촬영된 영상을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11)의 해상도는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의 1,500만 화소 이상의 경우 필요로 하는 영상 저장부의 용량이 커져야 하고, 많은 량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부는 자동 노즐 조절 기능을 갖고 있어 야간에도 원활하게 촬영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 촬영 성능 향상을 위해 별도의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영상 촬영부(110)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야간에는 적외선 센서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어두운 야간에도 원활한 촬영이 가능하고, 또한 차량의 번호 식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는 조도 센서를 구비하여 조도에 따라 영상 촬영부의 동작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감지 센서부(120)는 충격 감지 센서(121)와 동작 감지 센서(1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알 수 있고, 차량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감지 센서부(120)로 G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시 및 설명되지 않았지만, 감지 센서부(120)로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감지 센서부(120)는 차량의 충격이 감지되거나 차량 주변에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동작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감지 신호에 따라 메인 제어부(160)에 의해 영상 촬영부(110)가 동작하거나, 촬영된 영상이 저장된다.
영상 저장부(130)는 블랙박스의 기본 동작을 위한 시스템을 저장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저장부(130)는 영상 촬영부(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임시로 저장하다가 충격 감지에 따른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서부터 10 내지 30초 앞의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영상 저장부(130)는 메모리 장치의 일부 공간을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 저장부(130)는 저장될 영상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가장 먼저 저장된 영상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여 저장한다.
화면 표시부(140)는 촬영된 영상의 내용을 표시하거나, 기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화면 표시부(140)로는 그 해상도가 상기 영상 촬영부(110)의 해상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랙박스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화면 표시부(140)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화면 표시부(140)의 해상도로 1 내지 50만 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해상도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과 화면 표시부(140)에서 표시할 수 있는 해상도의 차이로 인해, 화면 표시부(140)는 영상의 스케일을 축소시키는 영상 변환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화면 표시부(140)로 터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터치 디스플레이로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면 표시부(140)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차량 번호 인식부(150)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번호를 식별하여 화면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차량 번호 인식부(150)는 차량 인식 명령 확인부(151)와, 관심 영역 추출부(152)와, 전처리부(153)와, 번호판 자동 인식부(154)와, 인식 결과 표시부(155)를 구비한다. 물론, 차량 번호 인식부(150)는 인식부 동작 중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처리를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인식 결과 표시부(155)는 관심 영역 이미지 또한, 화면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 인식 명령 확인부(151)는 사용자로부터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는 별도의 제어 스위치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을 화면 표시부(140)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것으로 상기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명령 신호가 화면 표시부(140)에 표시되고, 이 명령 신호 중 하나가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인식 명령 확인부(151)에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차량 번호 인식부(150)가 동작한다. 즉, 차량 인식 명령 확인부(151)가 차량번호 인식 명령 신호를 인식하는 순간 인식 동작 신호가 관심 영역 추출부(152)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관심 영역 추출부(152)는 촬영된 영상에서 관심 영상 즉,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일정시간 터치하면 차량 인식 명령 확인부(151)에서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가 인가된 것을 확인하고, 관심 영역 추출부(152)는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한다.
관심 영역 추출부(152)는 사용자가 터치한 화면 표시부(140)에 보이는 영상에 해당하는 원본 영상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저장한다.
이는 화면 표시부(140)에 보이는 영상 이미지는 영상 변환부에 의해 그 영상이 축소된 이미지이기 때문에 해당 영상으로는 차량 번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관심 영역 추출부(152)는 차량 번호 인식이 가능한 원본 영상 이미지 즉, 영상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가상의 관심 영역 저장 공간에 저장한다. 이때, 관심 영역 저장 공간은 영상 저장부(13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실시예의 관심 영역 추출부(152)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이는 화면 표시부(140)에는 현재 촬영되는 영상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보여 지기 때문에 차량이 이동하는 중에는 현 시점에서 터치할 때 차량의 번호판이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심 영역 추출부(152)는 차량 인식 명령 확인부(151)가 동작하는 순간(즉,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가 인가되는 순간)의 시점을 기준으로 뒤로 1초 내지 10초 범위 내의 촬영 영상에서 1 내지 10개의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차량 번호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영역 추출부(152)는 터치 패널을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 주변의 영역 이미지를 관심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주변 영역 이미지는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0.5 내지 2cm의 반경을 갖는 원 형태이고, 이는 축소된 이미지 영역 즉, 화면 표시부(140)내의 사이즈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원본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본 이미지의 크기의 1/10 내지 1/5 사이즈의 크기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심 영역 추출부(152)는 SRG(Seeded Region Growing)방법을 통해 관심 영역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즉, 관심 영역 추출부(152)는 차량 명령 인식 확인부(151)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 좌표를 씨드 포인트로 하고, 이 씨드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한 크기(원본 이미지 크기의 1/20 내지 1/3)의 영상을 원본 이미지에서 설정하여 이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저장한다.
전처리부(153)는 촬영된 원본 영상 또는 관심 영역 이미지의 기울기 보정과 노이즈를 제거한다. 또한, 관심 영역 이미지 및 씨드 포인트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기울기 보정은 영상 또는 이미지 내의 수평 색상 차이에 의한 선들의 평균 기울기를 갖고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울기 보정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제거는 이미지 또는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또한, 관심 영역 위치 보정은 저장된 관심 영역 이미지의 위치가 화면 표시부 중심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번호판 자동 인식부(154)는 관심 영역 이미지로 부터 차량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자동인식은 관심 영역 이미지 내의 색상변화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번호판 자동 인식부는 관심 영역 이미지의 색좌표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번호판 자동 인식부(154)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외에 다양한 인식 기술을 통해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차량 번호를 해당 차량 번호가 있는 번호판 부분의 이미지와 차량 번호가 텍스트 정보 형태로 저장된다.
그리고, 번호판 자동 인식부(154)는 인식된 차량 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한다. 즉, 차량 번호는 사각판 내에 6자리 숫자와 하나의 글자가 위치하거나, 6자리 숫자와 3개의 한글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된 차량 번호의 숫자의 자리수가 맞는지와 한글이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한다.
이와 같이 번호판 자동 인식부(154)를 통해 인증되어 검증된 차량 번호는 인식 결과 표시부(155)에 의해 번호판 부분의 이미지와 차량 번호가 텍스트 형태로 화면 표시부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차량 번호 인식부(150)는 차량 번호의 자동 인식 도중에도 영상 촬영부를 통해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블랙박스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영상 촬영부(110), 감지 센서부(120), 영상 저장부(130), 화면 표시부(140)와 차량 번호 인식부(15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에 따라 차량 번호 인식부(150)의 동작과 화면 표시부(140)에 보여 지는 이미지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각부에 제공하거나, 내부 자체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즉, 차량 번호 확인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번호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먼저, 블랙박스의 영상 촬영부를 통해 차량 전면, 측면 및 후면 중 어느 하나의 영역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블랙박스의 화면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어서, 차량에 충격 또는 주변 움직임 유무를 판단하여 차량에 충격 또는 주변 움직임이 파악된 경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이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차량 번호 인식 요청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10). 만일 차량 번호 인식 요청이 발생한 경우, 차량 번호 인식부가 동작한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갖는 화면 표시부를 1 내지 3초간 누를 경우 차량 번호 인식 요청이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사용자가 누른 포인트가 씨드 포인트가 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인식 요청 스위치를 동작시키거나, 인식 명령을 입력하여 차량 번호 인식 요청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순간 제어부가 동작하여 블랙박스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화면에 표시되고, 이 중 차량 번호 식별 명령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를 차량번호 인식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차량번호 인식 요청을 수행하기 전에 화면상 보여 지는 영상을 일시 정지로 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치 지점 즉, 씨드 포인트를 정확하게 지칭할 수 있다. 이경우, 블랙박스를 통한 영상 촬영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순간에 차량 번호 인식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 요청이 발생하면, 먼저, 촬영된 영상에서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한다(S120).
관심 영역 이미지는 인식 명령 입력과 동시에 촬영된 영상의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순간 촬영된 영상이미지에서 터치 영역이 확대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물론, 화면상에 보여 지는 영상은 일시 정지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한번 터치 또는 더블 터치하는 경우 확대된 화면의 영상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관심 영역 이미지의 사이즈는 촬영된 영상의 원본 이미지인 것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번호 인식 명령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에 촬영된 영상에서 다수의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즉, 터치 시점을 기준으로 뒤로 1초 내지 10초 범위 내의 촬영 영상에서 1 내지 10개의 이미지를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심 영역 이미지의 크기 또한, 원본 이미지가 아닌 터치 지점의 근방 영역의 크기일 수 있다. 즉,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원본 이미지의 1/10 내지 1/5 크기의 영역을 관심 영역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본 이미지 저장, 터치 영역 확인, 이미지 크기 결정 및 관심 영역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 영역을 절단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관심 영역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우, 번호의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심 영역 이미지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 인해 번호의 식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 중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역의 영상을 터치하는 경우, 전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보다 해당 번호판 영역에 한정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때, 앞서와 같이 사용자가 차량 번호 인식 명령을 직접 입력시키는 경우에는 제 1 관심 영역 이미지로 전체 원본 이미지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원본 이미지 중에서 번호판 영역을 다시 설정하도록 하여 선택된 영역을 제 2 관심 영역 이미지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 2 관심 영역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블랙박스 영상을 보다 영상 일시 정지를 시키고, 알고자 하는 번호판 위치를 터치하면, 그 터치 지점이 초기 씨드 포인트가 되고, 이 씨드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 크기 영상을 원본에서 가져와 관심 영역 이미지로 화면상에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관심 영역 이미지를 화면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관심 영역 이미지가 저장 및 선택된 이후에 관심 영역 이미지에 대한 기울기 보정 및 노이즈 제거 작업을 진행한다(S130).
이어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영역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자동 인식한다(S140). 번호의 자동 인식은 이미지 색좌표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차량 번호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여기서, 다수의 관심 영역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각 관심 영역 이미지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추가적인 유효성 검사를 할 수 있다. 만일 번호가 상이한 경우에는 가장 많은 번호가 있는 차량 번호를 인식된 차량번호로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어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차량 번호를 이미지 형태로 화면 표시부에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인식된 차량 번호의 텍스트 값 또한 화면 표시부에 표시한다(S150).
이를 통해, 블랙박스에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블랙박스에서 바로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촬영된 영상내의 다수의 차량 번호를 동시에 자동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차량 번호 영역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촬영된 모든 차량의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 1회의 터치를 통해 블랙박스에 찍힌 차량 번호를 블랙박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영상 촬영부 120 : 감지 센서부
130 : 영상 저장부 140 : 화면 표시부
150 : 차량번호 인식부 151 : 차량 인식 명령 확인부
152 : 관심 영역 추출부 153 : 전처리부
154 : 번호판 자동 인식부 155 : 인식 결과 표시부
160 : 메인 제어부 170 : 전원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촬영부와, 충격 및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와, 감지 신호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의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를 갖고, 이와 같은 해상도 차이로 인하여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스케일을 축소하는 영상 변환부를 구비하여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 차량 번호 인식 명령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차량 번호 인식 명령 확인부와, 상기 차량 번호 인식 명령 확인부에 의해 동작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부와, 상기 관심 영역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차량 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는 번호판 자동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를 화면 표시부에 표시하는 인식 결과 표시부와, 상기 관심 영역 영상 이미지의 기울기 및 위치 보정과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 번호 인식부 및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번호를 확인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차량 번호 인식 요청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인식 요청이 발생한 경우, 촬영된 영상에서 관심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되,
    사용자가 터치한 화면 표시부의 터치 시점을 기준으로 뒤로 1초 내지 10초 범위 내의 촬영 영상 즉,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어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이미지에서 2 내지 10개의 관심 영역 이미지를 관심 영역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관심 영역 이미지의 크기는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0.5 내지 2cm의 반경을 갖는 화면 표시부의 주변 영역 이미지에 대응하는 원본 이미지 크기로 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 이미지를 화면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 이미지 내의 차량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의 유효성을 검사하되, 각 관심 영역 이미지를 통해 인식된 차량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인식된 차량 번호를 이미지 형태로 화면 표시부에 표시하고, 동시에 인식된 차량번호의 텍스트 값 또한 화면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30027168A 2013-03-14 2013-03-14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9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68A KR101399309B1 (ko) 2013-03-14 2013-03-14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68A KR101399309B1 (ko) 2013-03-14 2013-03-14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309B1 true KR101399309B1 (ko) 2014-05-28

Family

ID=5089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168A KR101399309B1 (ko) 2013-03-14 2013-03-14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3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626B1 (ko) 2014-08-11 2015-10-30 주식회사 카눅스 주행차량의 번호판 인식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KR20190143536A (ko) * 2018-06-12 2019-12-31 홍기태 인공지능을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956B1 (ko) * 2005-10-12 2007-04-04 정보안주식회사 차량의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처리하는 방법
KR20070074388A (ko) * 2006-01-09 2007-07-12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보험처리 단말장치
KR20090075914A (ko) * 2008-01-07 2009-07-13 백덕수 자동차 보안을 위한 정보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956B1 (ko) * 2005-10-12 2007-04-04 정보안주식회사 차량의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처리하는 방법
KR20070074388A (ko) * 2006-01-09 2007-07-12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보험처리 단말장치
KR20090075914A (ko) * 2008-01-07 2009-07-13 백덕수 자동차 보안을 위한 정보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626B1 (ko) 2014-08-11 2015-10-30 주식회사 카눅스 주행차량의 번호판 인식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WO2016024680A1 (ko) * 2014-08-11 2016-02-18 주식회사 엠브레인 주행차량의 번호판 인식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KR20190143536A (ko) * 2018-06-12 2019-12-31 홍기태 인공지능을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2066146B1 (ko) * 2018-06-12 2020-01-14 홍기태 인공지능을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9681B2 (en) Augmented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nd pla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808015B1 (ko) 최적 문자 인식을 위한 모바일 문서 획득 지원
CN107977659B (zh) 一种文字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732485B2 (en) Imaging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ing support device
JP2005229415A (ja) 複数のカメラ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US102918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camera function and producing guide display to capture character recognizable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1401525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hand shape trace recognition in vehicle
CN101877764A (zh) 拍摄系统及使用该拍摄系统进行辅助构图的方法
KR101561626B1 (ko) 주행차량의 번호판 인식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CN102939617A (zh) 姿势识别装置、姿势识别方法和程序
US20170359508A1 (en)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s using the capturing apparatus
US9039537B2 (en) Light gun and method for determining shot position
US20180288315A1 (en) Ima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0738078A (zh) 一种人脸识别方法及终端设备
KR1013993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363485B (zh) 非触摸屏显示终端的控制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设备
US9838615B2 (en) Image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7119493B2 (ja) 認識装置、認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123880A (ko)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차량 위치 정보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10020486A (ja) 道路標示認識装置
KR101612817B1 (ko) 차량 추적 방법 및 그 장치
KR101696647B1 (ko) 모션 인식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의 데이터 처리 개선 방법
CN110308821B (zh) 触控响应方法及电子设备
JP2013134565A (ja) 個人認証装置
KR101434743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재생정보를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