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222B1 -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222B1
KR101399222B1 KR1020120033403A KR20120033403A KR101399222B1 KR 101399222 B1 KR101399222 B1 KR 101399222B1 KR 1020120033403 A KR1020120033403 A KR 1020120033403A KR 20120033403 A KR20120033403 A KR 20120033403A KR 101399222 B1 KR101399222 B1 KR 10139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interior
air
eardr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993A (ko
Inventor
조양선
김수찬
한규철
최재순
Original Assignee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2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61B5/6817Ear ca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68Endoscopic i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측정부를 통하여 고막의 움직임에 대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중이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중이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획득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출력하는 정보처리부를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중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는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An otoscopy apparatus and it using method for middle ear state}
본 발명은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막의 움직임을 특정 지표로 분석하여 고막 운동성을 좀 더 간편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출성 중이염의 진단을 위해서는 이경을 통한 고막의 관찰, 순음청력검사, 고막운동성계측(tympanometry)이 흔히 이용되어 왔는데 최근 공기이경(pneumatic otoscopy)을 통한 고막 움직임의 관찰이 삼출성 중이염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도구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2004년에 미국보건관리정책 및 연구기구(AHCPR, Agency for healthcare policy and reseach)에서 발표한 삼출성 중이염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guideline에서는 공기이경을 중이 내 삼출액에 대해 유용한 일차적 진단도구로 권장하고 있고 고막운동성계측과 순음 청력 검사는 추가적인 고려사항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공기이경을 통한 진단은 아직도 주관적이고 직관에 의존하여 검사의 결과를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검사의 한계점이 될 수 있고 검사의 정확도나 재현성을 떨어뜨리는 주된 원인이 된다.
최근 내시경의 광학적 발전과 소형 비디오 카메라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많은 비디오 내시경을 진료에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공기이경검사도 비디오 내시경을 이용하여 크고 선명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대표 발명자는 공기이경검사를 이용하여 중이 삼출액이 있는 귀를 정상으로부터 구별할 수 있었으며, 중이 삼출액의 양을 추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고막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최소압력과 고막 제(umbo)의 움직임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공기이경검사를 이용하여 정상 고막을 가진 전음성난청 환자에서 난청의 원인을 추정하고 이를 수술소견과 비교하는 연구를 시행하여 공기이경검사로서 전음성 난청의 원인 중 추골 및 침골의 고정을 구별해 낼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에서는 공기이경검사의 정량화를 시도하였지만 실시간으로 고막 운동성을 분석하여 임상적 판단에 도움을 주기에는 고막의 움직임이 너무 미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석의 과정에서 많은 과정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객관성과 반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록된 영상을 나중에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실시간으로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측정부를 통하여 고막의 움직임에 대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중이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획득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출력하는 정보처리부를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는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기에 비해 소형으로 제작하여 임상의의 검사 편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경검사장치는 이도의 내부에 삽입되는 공기차단부재; 상기 공기차단부재와 연통하여 이도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 및 상기 공기차단부재에 일부가 삽입되는 영상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측정부가 공기 주입 여부에 따른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다수 측정하고,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다수 측정된 상기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통하여 상기 고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고막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umbo)의 위치(b) 및 추골의 각(β)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경검사장치는, 상기 공기주입부와 연결되어 일정한 압력을 주입하도록 유지시키는 압력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경검사장치는, 상기 공기차단부재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이도 내에 광원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에 따른 이경검사장치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은 (a) 공기차단부재와 연통한 광조사부가 이도의 내부로 광원을 조사하는 단계; (b) 공기주입부가, 압력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일정량의 공기를 이도의 내부에 주입하는 단계; (c) 영상측정부가 상기 주입된 공기에 의한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영상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통하여 정보처리부가 제의 위치(b) 및 추골의 각(β)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이도의 내부에 제 1 마커(A), 제 2 마커(B) 및 제 3 마커(C)를 설정하는 단계; 및 (d2) 상기 마커들(A, B, C) 중 기 설정된 참고점(reference)인 상기 제 1 마커(A)와 제 2 마커(B)에 대한 제 3 마커(C)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의 위치(b) 및 추골의 각(β)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마커(A) 및 상기 제 2 마커(B)의 위치는 고정되며, 상기 공기주입부에 의한 공기 주입시 상기 제 3 마커(C)가 이동되며, 상기 제 1 마커(A)와 상기 제 3 마커(C) 사이의 직선(b)의 길이가 연산됨으로써 상기 제의 위치(b)가 연산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마커(B)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마커(A)와 상기 제 3 마커(C) 사이의 각(β)이 연산됨으로써 상기 추골의 각(β)으로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2) 단계는, 상기 마커들(A, B, 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을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laser doppler vibrometry) 또는 빛간섭 단층촬영(OCT, Optical coherent tomography)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1) 단계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고막의 혈관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고막의 혈관에 상기 제 1 마커(A), 상기 제 2 마커(B) 및 상기 제 3 마커(C)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영상측정부를 통하여 고막의 움직임에 대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중이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중이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획득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출력하는 정보처리부를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중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기에 비해 소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휴대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저가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경검사장치가 중이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경검사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경검사장치의 영상측정부를 통하여 획득된 고막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도 3에서 고막의 움직임에 따른 특정 지표를 나타낸 그래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경검사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경검사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이경검사장치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경검사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경검사장치(100)는 이도의 내부에 삽입되는 공기차단부재(101), 공기차단부재(101)와 연통하여 이도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110), 공기차단부재(101)에 일부가 삽입되는 영상측정부(120), 공기주입부(110)와 연결되어 일정한 압력을 주입하도록 유지시키는 압력조정부(130), 공기차단부재(101)에 일부 삽입되어 이도 내에 광원을 조사하는 광조사부(140), 영상측정부(120), 압력조정부(130) 및 광조사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영상측정부(120)에서 감지된 고막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정보처리부(160)를 포함한다.
공기차단부재(101)는 이도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도의 직경과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공기차단부재(101)는 피부와 접촉하므로 피부와의 접촉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을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기차단부재(101)는 이도의 내부에 삽입되어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탄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기주입부(110)는 공기차단부재(101)과 연통하는 소형펌프(111) 및 소형펌프(111)와 연통하는 공기주입관(112)을 포함한다.
소형펌프(111)는 공기차단부재(101)과 연통하여 이도의 내부로 공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소형펌프(111)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 모터의 회전에 따른 링크의 움직임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자석 방식, 모터 방식 이외에 소형으로 제작되어 이도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공기주입관(112)은 소형펌프(111)와 연통하는 중공의 관의 형태를 지니며, 이러한 공기주입관(112)을 통하여 소형펌프(111)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이도의 내부로 이동한다.
영상측정부(120)는 공기주입부(110)와 인접하고 공기차단부재(101)와 연통하한다.
이러한, 영상측정부(120)는 공기주입부(110)에서 제공되는 공기에 의한 고막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다시 말해, 영상측정부(120)는 공기 주입 여부에 따른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다수 측정한다.
여기서, 영상측정부(120)는 의료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내시경을 의미하지만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 이미지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용하는데 제한됨이 없음은 물론이다.
압력조정부(130)는 공기주입부(110)와 연결되어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도록 조정한다.
광조사부(140)는 공기차단부재(101)와 연통하여 이도 내에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이도의 내부를 밝게 함으로써 영상측정부(120)가 이미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어부(150)는 영상측정부(120), 압력조정부(130) 및 광조사부(14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영상측정부(120)의 온오프(on/off) 및 이미지 영상을 획득하는 시간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압력조정부(130)의 온오프(on/off) 및 공기주입부(120)의 공기가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압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광조사부(140)의 온오프(on/off) 및 빛의 세기 등을 제어한다.
정보처리부(160)는 광조사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영상측정부(120)에서 감지된 고막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상측정부(120)에서 획득한 동영상을 분석할 때 고막에 있는 지표를 알고리즘을 가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처리부(160)는 다수 측정된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통하여 고막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나아가, 고막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의 위치(b) 및 추골의 각(β)을 연산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정보처리부(160)는 컴퓨터, 노트북 등 관련 자료를 수신하여 연산함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2. 중이 상태 평가방법의 설명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이 상태 평가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검사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이경검사장치를 피검사자의 이도에 설치하고, 광조사부(140)를 작동하여 이도의 내부로 광원을 조사한다(S10).
다음, 공기주입부(110)를 통하여 이도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압력조정부(130)에 의하여 주입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S20).
공기 주입에 의하여 고막이 움직이는데, 영상측정부(120)를 이용하여 그 영상을 측정한다(S30).
다음, 정보처리부(160)가 측정된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이용하여 제의 위치(b) 및 추골의 각(β)을 연산한다(S40).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의 S40의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설정되는 각각의 마커(A, B, C)들을 설명한다.
제 1 마커(A) 및 제 2 마커(B)는 검사자에 의하여 고정된 위치로 기 설정한 참고점(reference)이며, 제 3 마커(C)의 위치는 공기 주입에 따라 움직일 것이다. 구하고자 하는 "제의 위치"는 제 3 마커(C)의 위치이다.
다만, 이경 검사 시에 카메라와 같은 영상측정부(120) 자체가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제의 위치"가 제 3 마커(C)의 좌표와 같은 절대 위치로 확인될 수 없다. 따라서, 고정된 위치로서 기 설정한 제 1 마커(A)의 위치를 검사자는 알고 있기에, 제의 위치는 제 1 마커(A)와 제 3 마커(C) 사이의 거리인 "b"로 지칭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추골의 각"은 제 2 마커(B)를 기준으로, 제 1 마커(A)와 제 3 마커(C) 사이의 각도(β)가 된다.
다음,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촬영된 영상에서, 제 1 마커(A), 제 2 마커(B) 및 제 3 마커(C)의 위치를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마커(A) 및 제 2 마커(B)의 위치는 고정되는 참조점으로 설정되며, 제 3 마커(C)는 제의 위치로 설정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촬영된 다수의 영상에서 제 3 마커(C)의 위치만 변화될 것이다. 정보처리부(160)는 다수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제 1 마커(A)와 제 3 마커(C) 사이의 거리(b)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산한다(도 4 참조). 영상에서 확인되는 거리(b)인바, 2차원 좌표의 픽셀로 연산될 수 있다. 구하여진 거리(b)가 제의 위치(b)인바,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제의 위치(b)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제 3 마커(C)의 위치만 변화되기에, 정보처리부(160)는 제 2 마커(B)를 기준으로 제 1 마커(A)와 제 3 마커(C) 사이의 각도(β)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산한다(도 4 참조). 구하여진 각도(β)가 추골의 각(β)인바,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추골의 각(β)을 연산할 수 있다.
특히, 추골의 각(β)은 거리(a, b, c)를 모두 연산한 후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2025887894-pat00001
이상과 같이 구하여진 제의 위치(b) 및 추골의 각(β)의 정보를 토대로 고막의 움직임을 진단할 수 있다.
도 4는 평가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검정색으로 도시된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제 1 마커(A)와 제 3 마커(C) 사이의 거리인 제 2 거리(b)의 변화로서, 제의 위치(b)를 의미한다. 또한, 회색으로 도시된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추골의 각인 추골의 각(β)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laser doppler vibrometry) 또는 빛간섭 단층촬영(OCT, Optical coherent tomography)을 이용하여 마커들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막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먼저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고막의 혈관의 위치를 설정한 후, 설정된 고막의 혈관에서 제 1 마커(A), 제 2 마커(B) 및 제 3 마커(C)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경검사장치
101 : 공기차단부재
110 : 공기주입부
111 : 소형펌프
112 : 공기주입관
120 : 영상측정부
130 : 압력조정부
140 : 광조사부
150 : 제어부
160 : 정보처리부
A : 제 1 마커
B : 제 2 마커
C : 제 3 마커
a : 제 2 마커(B)와 제 3 마커(C) 사이의 거리
b : 제 1 마커(A)와 제 3 마커(C) 사이의 거리, 제의 위치
c : 제 1 마커(A)와 제 2 마커(B) 사이의 거리
β: 추골의 각

Claims (9)

  1. 정보처리부;
    이도의 내부에 삽입되는 공기차단부재;
    상기 공기차단부재와 연통하여 이도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 및
    상기 공기차단부재에 일부가 삽입되는 영상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도의 내부에는 제 1 마커(A), 제 2 마커(B) 및 제 3 마커(C)가 설정되며,
    상기 영상측정부가 공기 주입 여부에 따른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다수 측정하고,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다수 측정된 상기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통하여, 상기 제 1 마커(A), 제 2 마커(B) 및 제 3 마커(C) 중 기 설정된 참고점(reference)인 상기 제 1 마커(A)와 제 2 마커(B)에 대한 제 3 마커(C)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umbo)의 위치 및 추골의 각(β)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고막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경검사장치는,
    상기 공기주입부와 연결되어 일정한 압력을 주입하도록 유지시키는 압력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경검사장치는,
    상기 공기차단부재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이도 내에 광원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검사장치.
  5. (a) 공기차단부재와 연통한 광조사부가 이도의 내부로 광원을 조사하는 단계;
    (b) 공기주입부가, 압력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일정량의 공기를 이도의 내부에 주입하는 단계;
    (c) 영상측정부가 상기 주입된 공기에 의한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영상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고막의 움직임 영상을 통하여 정보처리부가 제의 위치(b) 및 추골의 각(β)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이도의 내부에 제 1 마커(A), 제 2 마커(B) 및 제 3 마커(C)를 설정하는 단계; 및
    (d2) 상기 마커들(A, B, C) 중 기 설정된 참고점(reference)인 상기 제 1 마커(A)와 제 2 마커(B)에 대한 제 3 마커(C)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의 위치(b) 및 추골의 각(β)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이 상태 평가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커(A) 및 상기 제 2 마커(B)의 위치는 고정되며,
    상기 공기주입부에 의한 공기 주입시 상기 제 3 마커(C)가 이동되며,
    상기 제 1 마커(A)와 상기 제 3 마커(C) 사이의 직선(b)의 길이가 연산됨으로써 상기 제의 위치(b)가 연산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마커(B)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마커(A)와 상기 제 3 마커(C) 사이의 각(β)이 연산됨으로써 상기 추골의 각(β)으로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이 상태 평가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상기 마커들(A, B, 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을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laser doppler vibrometry) 또는 빛간섭 단층촬영(OCT, Optical coherent tomography)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이 상태 평가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고막의 혈관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고막의 혈관에 상기 제 1 마커(A), 상기 제 2 마커(B) 및 상기 제 3 마커(C)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이 상태 평가방법.
KR1020120033403A 2012-03-30 2012-03-30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 KR101399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403A KR101399222B1 (ko) 2012-03-30 2012-03-30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403A KR101399222B1 (ko) 2012-03-30 2012-03-30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993A KR20130110993A (ko) 2013-10-10
KR101399222B1 true KR101399222B1 (ko) 2014-05-30

Family

ID=4963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403A KR101399222B1 (ko) 2012-03-30 2012-03-30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2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783A1 (ko) * 2017-01-02 2018-07-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고압산소 치료를 위한 챔버 내 압력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10720141B1 (en) * 2018-12-28 2020-07-21 X Development Llc Tympanic membrane measurement
US10729327B2 (en) 2015-10-16 2020-08-04 Audioptics Medic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vibrography
US11647902B2 (en) 2019-04-05 2023-05-16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Otosco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1347A (zh) * 2016-09-08 2017-02-01 佛山博智医疗科技有限公司 检测鼓膜振动形态的装置及方法
KR20230097692A (ko) 2021-12-24 2023-07-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공기이경검사 영상을 이용하여 중이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및 분석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987A (ja) * 1993-10-14 1995-05-02 Toshimitsu Kobayashi 中耳の動特性測定および観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987A (ja) * 1993-10-14 1995-05-02 Toshimitsu Kobayashi 中耳の動特性測定および観察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9327B2 (en) 2015-10-16 2020-08-04 Audioptics Medic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vibrography
WO2018124783A1 (ko) * 2017-01-02 2018-07-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고압산소 치료를 위한 챔버 내 압력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10720141B1 (en) * 2018-12-28 2020-07-21 X Development Llc Tympanic membrane measurement
US11270681B1 (en) * 2018-12-28 2022-03-08 Iyo Inc. Tympanic membrane measurement
US11647902B2 (en) 2019-04-05 2023-05-16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Ot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993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222B1 (ko) 이경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이 상태 평가방법
US20120253224A1 (en) Skin test image analysis apparatuses and methods thereof
US10299710B2 (en) Organism optical measurement device
US9867528B1 (en) Quantitative pneumatic otoscopy using coherent light ranging techniques
JP2010524518A (ja) 支持構造及び該支持構造を含む子宮の生体内検査を改良し、客観化し、文書化するワークステーション
US20170078584A1 (en) Optical dynamic imaging system
JP6858245B2 (ja) 撮像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KR102267509B1 (ko) 달팽이관에서의 미세 혈류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100249607A1 (en) Quantitative spectroscopic imaging
JP4490303B2 (ja) 生体光計測装置
TWI681755B (zh) 脊椎側彎量測系統與方法
CN104083172A (zh) 一种电子内窥镜病灶尺寸定量测量的方法和装置
CN102670176B (zh) 口腔光学诊断装置及其操作方法
WO2021157962A1 (ko) 조직의 기능적 영상 획득 장치 및 이의 생성 방법
JP2005013464A (ja) 生体光計測装置
KR101693819B1 (ko) 초음파 열분포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초음파 성능 분석 장비
KR102235818B1 (ko) 경막외강 내시경술 훈련 장치
KR101871451B1 (ko) 결막 모세혈관 이미징 장치 및 방법
KR200457337Y1 (ko) 적외선 체열 진단 기기
CN101536907A (zh) 使用虚拟内标的内镜测量方法及其物距测量装置
WO2021156926A1 (ja) 内視鏡制御装置、内視鏡制御方法および内視鏡制御プログラム
KR20150054605A (ko) 거리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이를 이용한 병변 크기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4400968B2 (ja) 無侵襲生体検査用生体モデル
RU27531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змера перфорации барабанной перепонки
US10258237B2 (en) Photobiomedical measur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