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175B1 -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성 시클릭 펩티드 - Google Patents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성 시클릭 펩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175B1
KR101399175B1 KR1020097001966A KR20097001966A KR101399175B1 KR 101399175 B1 KR101399175 B1 KR 101399175B1 KR 1020097001966 A KR1020097001966 A KR 1020097001966A KR 20097001966 A KR20097001966 A KR 20097001966A KR 101399175 B1 KR101399175 B1 KR 10139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amino acid
peptides
inflammatory
asth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900A (ko
Inventor
모니카 페레이라
카를라 실바
다니엘 피멘타
페르난다 포르타로
카티아 콘세사오
마릴린 디마시
Original Assignee
푼다싸웅 지 앙빠루 아 뻬스끼자 두 에스따두 지 싸웅 파울루 - 에피아뻬에에씨뻬
모니카 페레이라
크리스탈리아 프로듀토스 퀴미코스 팔마쎄우티코스 엘티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푼다싸웅 지 앙빠루 아 뻬스끼자 두 에스따두 지 싸웅 파울루 - 에피아뻬에에씨뻬, 모니카 페레이라, 크리스탈리아 프로듀토스 퀴미코스 팔마쎄우티코스 엘티디에이. filed Critical 푼다싸웅 지 앙빠루 아 뻬스끼자 두 에스따두 지 싸웅 파울루 - 에피아뻬에에씨뻬
Priority claimed from PCT/BR2007/000186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009085A1/en
Publication of KR2009003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6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81Protease inhibitors
    • C07K14/8107Endopeptidase (E.C. 3.4.21-99) inhibitors
    • C07K14/811Serine protease (E.C. 3.4.21)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64Cyclic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 및/또는 알레르기 치료에 유용한, 특히 급성 또는 만성 알레르기 천식 치료에 유용한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성 활성을 제공하는 자신의 일차 구조에서 13 L-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합성의 시클릭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펩티드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급성 및/또는 만성 염증성 및/또는 알레르기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이들의 용도 및 방법도 기재한다.
염증, 알레르기, 천식, 시클릭 펩티드, 약학적 조성물

Description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성 시클릭 펩티드{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yclic peptides}
본 발명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 및/또는 알레르기 치료에 유용한, 특히 급성 또는 만성 알레르기 천식 치료에 유용한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성 활성을 제공하는, 자신의 일차 구조에서 13 L-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합성의 시클릭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펩티드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급성 및/또는 만성 염증성 및/또는 알레르기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이들의 용도 및 방법도 기재한다.
약어
이하의 약어가 본 명세서를 통하여 사용될 것이다:
"Seq01"은 서열번호 1을 나타내고;
"Seq02"은 서열번호 2를 나타내며;
"Seq03"은 서열번호 3을 나타내고;
"Seq04"은 서열번호 4를 나타내며;
"Seq05"은 서열번호 5를 나타내고;
"Seq06"은 서열번호 6을 나타내며;
"Seq07"은 서열번호 7을 나타내고;
"Seq08"은 서열번호 8을 나타내며;
"Seq09"은 서열번호 9를 나타낸다.
발명의 기초
염증은 숙주가 받은 다양한 침습의 결과로서 생기는 동적이고 보호적인 항상성 반응이다. 염증의 급성 상은 혈관계의 변화를 특징으로 하고, 혈류 및 미세순환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여 순환으로부터 혈장 단백질 및 백혈구를 유출시키며, 항상성 회복을 위해 세포 및 조직에서 일련의 이벤트를 수반한다.
이 상에서 조직에서의 이벤트 측면에서, 백혈구는 상처 부위에 적용된다. 먼저, 우세한 유입은 호중구이고, 뒤이어 단핵구 세포이다. 이러한 유입은 염증 과정의 해결을 위한 것으로, 침입제를 제거하여 조직 항상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호중구는 병반 부위에 제일 먼저 도달하는 세포로서 조직 상처의 급성 상에서 수적으로 우세하다. 이들은 식균 작용 및 원인물질의 파괴를 통하여 생물의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호중구는 내피 세포 및 조직에 존재하는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된 사이토카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혈액 단구가 순환계를 떠나서 상처 부위로 들어가면, 이들은 염증 반응에서 최종 이팩터(effoctor) 세포인 대식세포로 분화된다. 대식세포는 외래 입자의 식균 작용에 관여하며 산화질소와 같은 반응성 산소종의 합성을 통하여 이들을 파괴한다. 이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세포 부서러기를 제거하고, 항원의 제거를 도모하며 또 염증 반응을 해결뿐만 아니라 적절한 면역 반응을 개시하는 것에 의해 작 용한다.
다른 방식의 세포 이벤트를 고려할 때, 상처 부위에 이용되는 백혈구는 프로-염증성(Pro-inflammatory) 또는 "알람(alarm)" 사이토카인(IL-1, TNF-α 및 IL-6)의 분비 과정을 개시하여 염증 부위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떨어진 부위에서 일련의 액성 및 세포성 반응을 개시한다.
사이토카인에 의한 스트로마(stroma) 세포의 활성화는 화학주성(chemotactic) 케모카인(chemokines)의 분비를 유도하며, 이것은 호중구 및 단핵구 세포 상에 작용한다. 염증부위에서, 후-모세관 세정맥의 혈관확장이 먼저 생길 뿐만 아니라 혈류의 변화(감소)가 생기고, 이는 탄수화물이 풍부한 셀렉틴 및 이들의 리간드에 의해 매개된 과정인 혈관 내피를 따라 백혈구의 연변추향(margination)을 초래한다.
활성화 후, 백혈구는 회전을 중지하고 내피에 단단하게 고착된다. 이러한 이벤트는 내피(ICAM-1, ICAM-2 및 VCAM-1)에서 표현된 면역글로불린 수퍼패밀리의 다양한 구성원에 대하여 백혈구에서 발현된 인테그린 β1 및 β2의 결합으로 생긴 것이다. 마지막으로, 백혈구는 혈관외 공간 방향으로 기저측 표면에 대한 꼭지 영역의 내피 세포 사이에서 이동한다(혈구 누출). 이어 혈관외 조직을 통한 서브-내피 이동은 케모카인, 화학주성 사이토카인 및 세포외 매트릭스와의 접착성 상호작용 구배에 따라 다르다. 결국, 염증 면에서, 백혈구는 이들의 세포독성 작용을 증가시켜서 산화제, 프로테아제 및 생장인자 및 사이토카인과 같은 기타 물질을 방출한다. 호중구와 대조적으로, 호산구는 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사이토카인에 따라 장시 간, 때때로 수 주간 조직에서 생존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관련된 사이토카인과 관련하여, 단구, 대식세포, 활성화된 NK 세포 및 T-림프구에 의해 생성된 프로-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는 내피세포의 접착성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호중구를 활성화시키며;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IL-1, IL-6 및 IL-8을 생성하게 하고; 클래스 I MHC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시상하부 세포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혈청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생성에서 간세포 상에 작용하며; 속질(medulla)에서 세포 분열 억제; 세포 관류 감소(심근 수축성 감소에 의해); 혈관 평활근 토너 이완시키고 또 혈관내 혈전증을 증가시킨다.
대식세포, 내피 세포 및 상피세포에 의해 생성된 사이토카인 IL-1은 T 림프구에 의한 IL-2 합성 및 B 림프구의 분화를 증진시키고;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증가시키며; T 및 B 림프구의 증식을 증가시키며; 대식세포에 작용하여 IL-1, IL-6, TNF-α 및 IL-8의 합성을 유도하고; 단백질의 급성 상 합성을 증진시키며; 카켁시아를 유발하고; 속질에서 세포 분열을 증가시킨다.
대식세포, 내피세포 및 T 림프구에 의해 생성된 사이토카인 IL-6은 피브리노겐의 생산에서 간세포에 작용하며; 활성화된 B 림프구에 대한 생장인자이며; 속질에서 세포 분열을 증가시킨다.
이들 세포 및 조직 이벤트는 통증, 체온 증가, 홍반, 부종 및 상처부위 근처에서 기능 상실과 염증이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염증 과정 제어의 조절 실패가 생기고 이는 상피세포, 내피세포 또는 근육세포 파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세포 수준 또는 영향을 받은 기관에서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천식은, 예컨대, 기관지수축 에피소드 및 호산성 폐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 폐염증 질병이다. 급성 상의 경우 기관지수축은 알레르겐이 표면 상의 알레르겐-특이적 IgE 분자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된 비만세포에 의해 방출된 약리학적 매개자에 의해 유발되며, 후기 상 기관지 반응성은 심각한 호산성 폐 염증을 동반한다. T 림프구, 원칙적으로 서브타입(subtype) Th2,는 유전적으로 제어되는 IL-4, IL-5, IL-9 및 IL-13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산에 의해 상기 반응들을 조율한다.
성숙 폐 수상돌기 세포(dendrite cell)에 의하여 항원의 제시는 알레르기 환자 또는 공기성 알레르겐에 노출된 동물에서 생기는 Th2 감작화 과정을 기본으로 한다.
천식에서 염증의 증거는 치명적인 천식에 걸린 환자의 폐에서 T, CD4+ 림프구, 타입 Th2, 비만세포 및 대식세포의 우선적 축적을 나타내는 발견으로부터 처음에 유도되었다. 후기 상 반응(LPR) 동안 천식 환자의 기관지허파꽈리 세척의 분석은 또한 T CD4+ 림프구 및 호산구의 증가된 수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활성화된 T CD4+ 세포는 알레르기성 폐 염증 반응, 전형적으로 Th2의 발달과 더불어 호산구 침입의 우세성 및 IgE의 생산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IL-4, IL-5, IL-9 및 IL-13)의 주요 공급원이다. 호산구는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과 같은 다양한 인자의 작용으로 인하여 폐에 끌리게되며, 이는 화학주성을 증진시키며, 혈관 내피에서 접착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또 세포 표면에서 활성화 및 세포 이동을 증가시킨다.
일단 활성화되면 호산구는 이들의 과립상 함량을 방출하며(기본적인 단백질, 호산구로부터 유래된 신경독소, 호산구로부터 유도된 양이온성 단백질 및 호산구 생성된 퍼옥시다아제), 이것은 또한 헬민테스(helminthes) 및 세균에 독성인 이외에, 콜린성 매개제에 대한 증가된 반응의 수축 및 증진을 초래한다.
앞서 확립된 폐 침입에서, 호산구는 반응을 증폭시킬 수 있고, 프로-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국소화된 생산으로 인하여 세로운 세포를 이용할 수 있다. 만성 호산구 염증 및 IgE 항체는 천식의 심각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천식에서 만성 염증은 폐 과반응성(비-특이적 자극에 대한 반응에서 증가된 기관지수축) 및 공기 통과에서 구조적 변화를 수반한다.
알레르겐,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 운동, 급격한 기상학적 변화 또는 공기성 자극인자, 예컨대 담배 연기에 대한 노출을 비롯한 많은 인자가 천식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5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천식의 주요 원인은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IV), 융합체 호흡기 바이러스(VSR), 리노바이러스 및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한 바이러스성 감염이다.
민감한 천식 환자는 공기 형태의 알레르겐에 노출되면 5 내지 10분 이내에 증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즉각적인 상의 천식 동안, 이하의 증상이 관찰된다: 평활 기관지 근조직의 수축, 국소화된 부종, 상피 기관지선에 의한 점액 분비 증가 및 약간의 세포 침윤(infiltration). 이들 특징은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D2 (PGD2), 류코트리엔 C4 (LTC4), 혈소판 활성화 인자(PAF) 및 IgE 알레르겐-특이적 항체에 의해 활성화된 비만세포에 의해 방출된 사이토카인 TNF-α 및 IL-1과 같은 매개제의 작용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of the Center for the Control and Prevention of Diseases (NCHS-CDC, 2005, Hyattsville, MD)에 의한 추산에 따르면, 약 22.2 백만명이 미국에서 천식으로 고생하며, 그 중에서 6.5 백만명은 18살 미만이다. 미국에서만, 매일 거의 11명이 천식으로 사망한다. 브라질에서, 추산에 따르면 인구의 10%가 천식 증상을 나타내고, 2500명이 매면 사망하고 있으며,이는 SUS(Universal Health Care System)에 대하여 4번째 사망 원인이다. 천식 환자 중에서 사례의 60%는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염증 및 천식에 대한 치료는 2개 유형의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 1) 신속하게 작용 개시되는 β2-작용물질(agonist)에 의해 주로 제공되는 급성 증상(천식의 60%)을 개선시키기 위한 약학적 물질로서 4급 암모늄 항콜린성 약물인 이프라트로퓸 브로마이드 및 아미노필린, 세기관지의 평활근의 이완을 초래하는 크산틴 유도체; 및 흡입되고 전신적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의해 주로 제시되는 천식의 증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지약(maintenance drug).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약물의 사용, 특히 반복 사용 또는 장기간 사용은 환자에 대한 비특이적 작용 및 그에 따른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항염증성 약물은 천식과 관련된 폐 작용 손 실을 상당히 예방할 수 없다.
부작용 우려를 최소화하고 더욱 특이적으로 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이 여전히 연구되고 있다. 몇 개의 예를 인용할 수 있다.
특허출원 WO 03/070194호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α-아미노산으로 에스테르화하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특히 흡입을 통하여 비염 및 천식 치료, 및 지역적 또는 국소 투여에 의한 염증 치료에 유용한 프로드럭(prodrug)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안된 프로드럭에 의한 이점은 제시된 치료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작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분명치 않다.
특허출원 WO 2004/068928호는 심혈관 질병, 염증,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통증, 혈관신생을 비롯한 브라디키닌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B2 브라디키닌 수용체의 작용물질인 봄비나 막시마(Bombina maxima)의 피부로부터 방어성 분비로부터 분리된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다른 특허출원, US 2003/0152564호에서, 시험관내에서 인간의 류코시타리(leucocitary) 엘라스타제의 효소 활성 및/또는 인간 카텝신 G의 효소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인간 C-반응성 단백질의 서열의 62-71 위치에 상응하며, 류마티스성 관절염, 폐 공기증, 낭성 섬유증, 기관지염, 천식 및 호흡 장애와 같은 일부 급성 증상과 같은 만성 염증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일부 급성 펩티드가 제공된다.
특허출원 US 2007/0123455호는 인간 단백질 S100A8 및/또는 S100A9를 포함하며, 알레르기,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자가면역 질병, 감염증과 같은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말해지는 조성물 및 방법을 제안한다.
미국 특허 5,290,762호는 상처 주변에 소정량의 적어도 1개의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염증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개시한다. 이 문헌은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그룹으로서 백혈구성 프로테아제, C-반응성 단백질, 혈청 아밀로이드 단백질 A, 알파-2-마크로글로불린 또는 알파-2-항플라스민 분비의 억제제를 청구한다.
염증 치료를 위해 세린 프로테아제의 억제의 관여는 널리 조사되고 있다. 예컨대, 인간 트립타아제(trptase)는 비만세포에서 발견되고, 트립신과 유사한 세린 프로테아제이다. 트립타아제는 비염, 결막염 및 천식을 비롯한 알레르기성 및 염증성 질병의 매개자이다. 그와 같이, 이러한 세린 프로테아제의 억제제는 알레르기성 및 호흡 질병의 치료를 위해 성공적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세린 프로테아제의 억제제 중에서, 가장 잘 연구된 것은 바우만[Proc. Soc. Expd. Med. 1946 63: 547]에 의해 및 비르크 등[Bull. Res. Councol Israel, Sec A 1962 11:48; Biochem. Biophys. Acta 1963 67: 326](축약형 BBI의 기원인 Bowman Birk 억제제 - 기원)에 의해 기재된 펩티드이다. BBI는 쌍자엽 및 단자엽 식물에서 흔히 발견된다. 이들 중에서, SFTI-1 (해바라기 트립신 억제제-1)이 뚜렷하며, 이것은 14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비시클릭 펩티드로서 지금까지 가장 작고 또 가장 강력한 자연적인 바우만-비르크 유형 억제제이다. SFTI-1은 병원체 및 곤충에 대하여 트랜스제닉 식물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암, 뎅기열 및 기타 염증성 및 알레르기성 질병의 예방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펩티드가 식물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이외에, 동물에 의해 생성된 물질, 예컨대 독액은 조사 표적으로 되어 왔다. 동물 독소는 특별한 및 선택적인 표적에 도달하여 생리학적 반응을 억제 또는 자극할 수 있도록 자연에 의해 개발된 분자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브라질에서 발견된 어류 탈라쏘프리네 나테레리(Thalassorphryne nattereri)의 독액으로부터 분리된 나테린(natterines)으로 명명된 단백질을 언급할 가치가 있다. 이들 단백질은 약 38 kDa의 분자량을 갖는 독소 패밀리를 형성하며, 이들의 서열은 이들 중에서 고도의 상동성을 나타내고 또 부종 및 침해수용과 같은 수많은 생물학적 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
나테린을 출발 지점으로 사용하면, 바우만-비르크 펩티드와 구조적 유사성이 분명하지만, 천연 독액의 정제를 통하여는 원래 얻어지지 않는 아미노산 서열이 관찰될 수 있었다. 나테린으로부터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분리하려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는데, 이는 이것이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되는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며, 이로써 아주 소량의 불순 펩티드 단편만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펩티드에 정확하게 상응하지 않는다. 이것은 이들 펩티드의 공업적 생산에 방해가 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일차 구조로 13 L-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펩티드 사슬의 위치 4 및 13에서 특이적으로 시스테인 아미노산을 제공하며 또 펩티드 사슬의 위치 11에서 리신 아미노산을 제공하며, 4 및 13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기 사이에 형성된 디설피드 브릿지를 함유하고, 시클릭 펩티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펩티드 합성에 의해 얻은 시클릭 펩티드를 제공한다. 상기 합성, 시클릭 펩티드는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제공하며, 특히 급성 및/또는 만성 천식 치료에 강력한 이용성을 갖는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일차 구조에 13 L-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펩티드의 한쪽 또는 양 말단에 화학적 보호기를 제공하며, 상기 펩티드는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성 활성을 제공하는 시클릭, 합성 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펩티드 사슬의 4 및 13 위치에서 시스테인 아미노산을 보유하고 또 펩티드 사슬의 11 위치에서 리신 아미노산을 보유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기본 서열의 위치 1에서 아미노산 발린, 로이신 또는 이소로이신 또는 다른 소수성 및 중성 아미노산을 보유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펩티드는 이들의 기본 서열의 위치 3에서 아미노산 아르기닌, 글루타민 또는 다른 친수성 및 양전하를 보유할 수 있는 극성 아미노산을 보유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펩티드는 이들의 기본 서열의 위치 5에서 아미노산 아르기닌, 트레오닌, 세린, 아스파테이트 또는 다른 친수성 및 극성 아미노산을 보유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펩티드는 이들의 기본 서열의 위치 7에서 아미노산 메티오닌, 이소로이신, 로이신 또는 다른 친수성 및 중성 아미노산을 보유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펩티드는 이들의 기본 서열의 위치 9에서 아미노산 글리신 또는 아스파테이트를 보유한다.
특히, 본 발명의 펩티드는 4 및 13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기 사이에 형성된 디설피드 브릿지를 함유하여 시클릭 펩티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펩티드 분자의 화학적 보호는 펩티드의 카르복시 말단에 또는 펩티드의 아미노 말단에, 또는 분자의 양 말단에 화학적 보호기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자의 보호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위치 13에서 아미노산 시스테인의 카르복시기의 아미드화에 의해, 또는 펩티드 사슬의 위치 1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아세틸화에 의해, 또는 카르복시 말단 및 아미노 말단 양쪽을 보호하는 것에 의해 생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체예에서, 펩티드는 약어 Seq01, Seq02, Seq03, Seq04, Seq05, Seq06, Seq07, Seq08 및 Seq09에 의해 상기 문헌에서 확인된 아미노산의 서열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의 유도체, 상동체, 유사체 및/또는 모방체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펩티드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펩티드중의 아미노산 서열의 치환, 결실 또는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들 변형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프롤린 잔기의 히드록시화된 프롤린(히드록시프롤린)에 의한 개별적, 교대적 또는 조합 치환; 메티오닌 잔기의 메티오닌의 산화 형태에 의한 개별적, 교대적 또는 조합 치환; 및 L-아미노산의 D-아미노산에 의한 개별적, 교대적 또는 조합 치환을 포함한다.
기본적 서열에 본 발명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더 큰 펩티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치 1, 2 및 3에서 아미노산 서열의 결실이 생겼지만 위치 4 내지 13에서 아미노산 사이에서 생기는 시클릭 구조는 변경하지 않은채 유지하는 펩티드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합물 형태인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시클릭 펩티드는 실험실에서 시험된 포유동물에서 백혈구의 접착 및 롤링(rolling)을 억제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백혈구의 접착 및 롤링의 억제 이외에, 본 발명의 대표적인 펩티드로 처리될 때, 염증제 LPS (지질다당류)가 주사된 실험실 포유동물의 복강에서 백혈구, 특히 호중구 및 대식세포의 이용의 감소 및 예방이 또한 관찰되었다.
쥐의 급성 천식을 유발하는 오브알부민(OVA)으로 면역처리된 면역화된 포유동물에서, 본 발명의 시클릭 펩티드는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합물로 근육내 투여, 경비 및 경구 투여될 때 허파꽈리 공간을 향한 백혈구의 총 개수의 이용 억제능을 나타내며, 이러한 감소는 기관지허파꽈리 세척에서 호산구 부재를 특히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클릭 펩티드는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합물로 허파꽈리 공간에 이용되는 백혈구의 총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동물에서 만성 천식 발병에 대한 통상적인 실험 모델에서 호산구의 감소를 초래한다.
전술한 특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시클릭 펩티드는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합물로서 관절염, 면역계의 파괴, 면역 반응 동안 림프구 기능장애, 종양, 세포 접착 및/또는 기생충 질병과 같은 관련 병리학적 병세 뿐만 아니라 포유동물에서 염증 반응, 예컨대 천식, 기관지염, 비염 및 피부염과 같이 호산구의 유입이 관찰되는 병리학적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천식에 대해 얻어진 이러한 결과를 덱사메타손을 사용한 천식에 대한 통상적인 처리군과 비교해보니, 본 발명의 펩티드가 동일하게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시클릭 펩티드는 트립신에 의한 분해에 견디므로,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펩티드 적용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투여 수단은 비제한적으로 경비, 근육내 및 정맥내 투여를 포함한다.
트립신 효소의 작용을 견디는 이외에, 본 발명의 펩티드는 또한 트립신의 단백질분해 작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20 내지 63.6 nM 범위의 Ki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이러한 특성은 이러한 펩티드가 세린 프로테아제의 억제제로 분류될 수 있고, 트립신은 세린 프로테아제의 대표적인 효소임을 제시한다. 트립신과 유사하게, 인간의 트립타아제는 비만세포에서 발견되는 세린 프로테아제이고, 또 그의 억제는 호흡기 및 알레르기성 질병의 치료에 성공적이었음을 안다면, 본 발명의 펩티드에 대해 확인된 활성은 세린 프로테아제의 억제와 관련됨도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대식세포에 대하여 어떠한 세포 독성 효과를 보유하지 않으며, 또 근섬유 또는 실험실 동물의 고환올림근(cremaster muscle)에서 미세순환에 대하여 어떠한 손상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물로서 특정 항체의 합성을 유도하지 않는 점에서 면역원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치명적이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시클릭 펩티드 Seq01, Seq02, Seq03, Seq04, Seq05, Seq06, Seq07, Seq08 및 Seq09는 용액 또는 고상의 전통적인 화학 합성법; 효소적 합성법; 또는 재조합 DNA를 사용한 수법에 의해 펩티드의 합성에 공지된 수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클릭 펩티드의 화학적 합성은 고상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존재하는 알파-아미노 기를 보호하기 위한 FMOC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전략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합성 펩티드의 정제는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된 크로마토그래피 수법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이용되면, 펩티드의 순도 및 동일성은 질량 분광기에 의해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펩티드를 정제한 후, 디설피드 브릿지를 각 펩티드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디설피드 브릿지는 공기 환원법에 의해, 예컨대 펩티드를 0.01 내지 0.5 M 중탄산 암모늄 용액에 0.05 내지 15 mg/mL의 비율로 교반하면서 디설피드 브릿지가 완전히 형성될 때까지 용해시키는 것에 동일 펩티드 사슬 중의 위치 4 및 13에 있는 시스테인 잔기 사이에 형성된다. 펩티드는 동결건조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또 보존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희석제, 부형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비히클 중에 펩티드 Seq01, Seq02, Seq03, Seq04, Seq05, Seq06, Seq07, Seq08 또는 Seq09,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일 수 있는 이들의 유도체, 상동체, 유사체 및/또는 모방체를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합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포유동물에 시클릭 펩티드 Seq01, Seq02, Seq03, Seq04, Seq05, Seq06, Seq07, Seq08 및 Seq09 단독 또는 적어도 2개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합물을 비제한적으로 기관지 천식, 비염,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면역 계의 파괴, 면역 반응 동안 림프구 기능장애, 종양, 세포 접착 및/또는 기생충 질병과 같은 염증 및/또는 알레르기 질병, 급성 또는 만성 질병을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의약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이다. 이 요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합성, 시클릭 펩티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물로 이용되어 염증 및/또는 알레르기 질병이 포유동물에서 발병하는 것을 억제하는 프로드럭 또는 약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클릭 펩티드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비제한적으로 근육내, 경비, 정맥내 및 경구 투여에 의해 실시될 수 있고, 경구 투여가 바람직한 방법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예를 자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트립신의 촉매적 활성에 의한 기질 Abz-FRSSRQ-EDDnp의 가수분해로 얻은 미카엘리스-멘텐(Michaelis-Menten) 역학을 도시한다.
도 2는 LPS(지질다당류)에 의한 미세순환에서 유도된 백혈구 롤링(rolling)에 대한 상이한 유형의 Seqs의 효과를 도시한다. LPS 군과 비교하여 * p < 0.05.
도 3은 LPS(지질다당류)에 의한 미세순환에서 유도된 백혈구 롤링(rolling)에 대한 Seq07 및 ModLys / Ala 의 서열 중 필수 아미노산에서 변화의 효과를 도시한다. LPS 군과 비교하여 * p < 0.05.
도 4는 Seq07에 의한 LPS(지질다당류) 유도된 복막염의 방지를 도시한다. LPS (10 ㎍/mL)로 주사된 마우스를 30분 전에 복강내에 Seq07 (4 또는 40 nM)으로 처리하였다. 이 도면은 24 시간 후 복강 세척한 세포 전체 수(A), 호중구 수(B) 및 대식세포 수(C)를 나타낸다. 결과는 메디안 ±SEM으로 표시한다. LPS 군과 비교하여 * p < 0.05.
도 5는 급성 천식에서 기관지허파꽈리 세척에서 백혈구 및 호산구의 이용에 대한 Seq07 (4 또는 40 nmol)의 효과를 도시한다. 마우스의 기관지허파꽈리 세척은 전체 세포 수(A) 및 호산구 수(B)를 세기 위해 실시하였다. 결과는 6마리 동물/군 의 메디안 ±SEM으로 표시한다. LPS 군과 비교하여 * p < 0.001.
도 6은 만성 천식에서 기관지허파꽈리 세척에서 백혈구 및 호산구의 이용에 대한 Seq07의 효과를 도시한다. 마우스의 기관지허파꽈리 세척은 전체 세포 수(A) 및 호산구 수(B)를 세기 위해 실시하였다. 결과는 6마리 동물/군의 메디안 ±SEM으로 표시한다. LPS 군과 비교하여 * p < 0.001.
실시예 1A: 트립신의 억제
펩티드 Seq01을 사용한 트립신의 억제에 대한 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X축에 대하여 단순 구분함) 간단한 경쟁적 억제를 예시하며 또 10μM - 0.1 nM 범위의 Ki 값을 얻었다.
사용된 기질은 브라디키닌의 형광 유사체인 Abz-Phe-Arg-Ser-Ser-Arg-Gln-EDDnp 으로서, 95% 이상의 순도(단일 피이크)를 얻을 때까지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실시예 1B: 시험:
a) Km 및 kcat 를 측정하기 위한 효소 반응
기질 용액의 농도는 트립신을 완전히 가수분해한 후 형성된 생성물 Abz의 형광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가수분해 반응은 히타치 F-2000 형광분광계를 이용하고 여기 및 방출 슬릿을 10 및 20 nm로 하고 또 여기 및 방출 파장을 320 및 420 nm로 설정하여 실시하였 다. 반응 큐벳의 온도는 항온으로 조절되는 구획에서 37℃에서 유지되었다.
트립신의 효소 활성(0.5 - 5 nM)은 37℃에서 20 mM NaCl을 함유하는 50 mM 트리스-HCl 완충액, pH 8.0에서 약 0.1 - 6.0 μM의 형광 기질을 부가하면서 측정하였다. 형광의 증가는 형광분광계에서 5분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었다. 필요한 경우, 형광 판독의 보정은 Araujo et al.에 의해 Biochemistry 25; 8519, 2000에 기재된 실험 방정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역학 데이터는 초기 가수분해(기질의 소비 10% 미만)로부터 결정하였고 또 역학 변수를 비롯한 계산(Km, Vmax 및 kcat)은 윈도우 3.0 프로그램용으로 GRAFIT에 의해 제공된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b) 억제 상수(Ki)의 측정
본 발명의 펩티드를 사용한 트립신의 억제 역학을 결정하기 위하여, 3개의 기질 농도를 이용하였다: a) Km 값의 1/2에 상응하는 농도(0.8 μM); b) Km 값의 전체 값에 상응하는 농도(1.6 μM); c) Km 값의 2배 보다 약간 높은 농도(3.5 μM). 이 효소는 3.0 nM 농도로 사용되었고 또 억제제(Seq01 내지 Seq09)는 각 기질 농도에 대한 대조군 이외에 3개 농도(10 nM, 100 nM 및 1 μM)로 사용되었고, 기질 소비는 초기 농도의 10% 미만이었다. 배양은 37℃에서 20 mM NaCl을 함유하는 트리스-HCl 완충액, pH 8.0을 37℃에서 실시하였다. 효소 억제를 특징화하기 위하여, 라인위버-버크(Lineweaver-Burk) 플럿을 이용하였고(1/V 대 1/S), Ki 값은 겉보기 억 제 상수 (Ki ( app )) 및 기질에 대한 Km 값 사이의 관계로부터 결정하였다:
Figure 112009005924418-pct00001
Figure 112009005924418-pct00002
식 중에서, [I]는 억제제 농도이고; (V0/Vi) 는 억제제 부재하 및 존재하에서 가수분해 속도의 비율이다. Km/[S]는 기질의 Km 과 기질 농도 사이의 비율이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요약한다.
Figure 112009005924418-pct00003
실시예 2: 생체내에서 백혈구의 접착 및 롤링의 억제:
a) 본 발명의 펩티드에 대한 백혈구의 롤링:
백혈구의 접착 및 롤링의 억제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은 나트륨 펜토바르비탈 (Hypnol®, 50 mg/Kg)으로 마취시키고 온도 제어되는 플레이트(37℃) 하에서 유지되는 마우스(n = 3/그룹)에서 실시하였다. 음낭의 외과적 조작을 실시하여 고환올림근을 노출시킨 다음 플레이트의 투명 영역 근처에 고정시켰다. 이것을 광학 현미경 전차 위에 위치시켜 국소적 미세순환의 생체내 가시화를 허용하였다. 이것은 0.15 M PBS (포스페이트 완충액)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 습윤 및 가온 유지되었다. 1 ㎍/mL 농도이며 20 μL로 희석된 염증제 LPS (지질다당류)를 고환올림근에 국소 투여하였다. 후-모세관 세정맥의 특징은 LPS(지질다당류)의 적용 전후에 기록하였다. LPS를 적용한지 15분 후에 펩티드 Seq01 내지 Seq09(1 μM)을 국소 투여하였다. 30분 동안 전-모세관 및 후-모세관 세정맥, 세동맥 및 근육 섬유 이벤트를 관찰하였다. 20-40 ㎛ 직경의 후-모세관 세정맥에서 백혈구의 롤링, 단단한 접착 및 누출을 기록하고 10분간에 걸쳐 1분 간격으로 정량하였다. 100 ㎛에 이르는 단편에 걸쳐 혈관외 조직에서 밸혈구의 수로서 이행(transmigration)을 정의하였다. 고환올림근의 미세순환은 Sperandio et. al. (J. Exp. Med., 19; 197(10): 1355-1363, 2003)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인트라-바이탈 형광 현미경(Axio Imager Al, Carl Zeiss, Germany)을 사용하여 에피-조명(epi-illumination) 수법으로 분석하였다.
도 2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된 펩티드는 마우스의 고환올림근의 후-모세관 세정맥에서 백혈구 롤링을 50 내지 90% 정도의 감소를 유도하였다.
b) 변형된 펩티드를 사용한 백혈구의 롤링: 위치 1, 2 및 3에서 아미노산의 결실.
위치 1, 2 및 3에 있는 아미노산을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거하여 만든 변형 펩티드(Mod-3)를 사용하여 상기 시험을 반복하였다:
Figure 112009005924418-pct00004
이 변형은 본 발명의 펩티드의 항염증 활성에 대하여 위치 4 및 13에 있는 시스테인 잔기에 존재하는 티올 기 사이의 디설피드 브릿지로부터 기인한 시클릭 구조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아미노산이 제거된 펩티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기재된 펩티드와 비교하여 백혈구의 롤링에 대하여 억제 활성을 유지하였다.
c) 본 발명의 펩티드의 활성에 대한 위치 11에 있는 Lys 의 치환의 효과
본 발명의 펩티드의 하나인 위치 11에 있는 리신이 알라닌(리신에 대한 반대 특성을 갖는 아미노산)에 의해 치환된 변형된 펩티드(ModLys / Ala)에 대하여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백혈구 롤링에 대한 시험을 반복하여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펩티드의 활성에 대한 Lys11 잔기의 필수성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9005924418-pct00005
변형된 펩티드, (ModLys / Al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펩티드 Seq07과 비교할 때 백혈구 롤링의 억제에 효과적이지 않았고, 이는 약리학적 활성을 유지하는데 Lys11 존재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3: LPS 에 의해 유도된 복막염의 예방
500 μL의 멸균 염수 용액에 희석된 LPS (O55: BR 20 μg/mL, 시그마)를 복강 주사하기 30분 전에 500 μL의 멸균 염수 용액에 용해된 Seq07로 표시된 펩티드 4 nmol 또는 40 nmol을 마우스에 복강 주사하였다. 멸균 염수만으로 주사된 동물은 대조군으로 간주하였다. LPS를 주사한 지 24시간 후, 동물을 고 투여량의 클로랄 수화물을 투여하여 희생시키고 세포(A), 호중구(B) 및 대식세포(C)의 수를 세기 위하여 복강 세척물을 얻었다. 복강으로부터 제거된 물질을 1500 rpm 및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키고, 그 상청액을 분리하고 또 다음 분석에 이용하기 위하여 -20℃에 냉동시키며, 세포를 함유하는 나머지 물질은 PBS 0.1% BSA에 재현탁시켰다. 전체 카운트는 노이바우어 챔버(Neubauer chamber)에서 실시하였다. 분별 개수를 위해, 세포 현탁액 등분물을 슬라이드에 놓고 원심분리(Citospin)한 다음 Hema 3으로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 하에서 조사하여 총 300개 세포를 계수하였다. 각 세포 군락의 절대치는 상기 %를 샘플 부피에서 발견된 세포의 전체 수와 곱하여 얻었다.
시험된 펩티드의 양쪽 농도(4 nmol 및 40 nmol)은 LPS로 주사된 마우스의 복강에서 백혈구 이용을 50% 가까이 예방하였다(대조군에 비하여). 이것은 도 4로부터 확인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펩티드는 호중구 및 대식세포의 이용을 예방하였다.
실시예 4: 급성 및 만성 폐 알레르기 반응 및 염증 반응의 억제
급성 폐 천식의 유도는 0일 및 7일에 1.6 mg의 알부민 히드록사이드 상에 흡착된 1% 오브알부민(OVA 등급 V, 10 μg, 시그마)을 사용하여 면역화된 7주된 웅성 BALB/c 마우스에서 관찰하였다. 14일 후에, 동물을 1주당 3회 1% OVA 에어로졸에 처리시켰다. 면역화된 동물 및 PBS(포스페이트 완충 염수)만으로 처리된 동물을 대조군으로 간주하였다. 만성 천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동물은 3주 연속 동안 1주에 3회 유발검사하였다.
에어로졸 유발검사의 경우, 초음파 네불라이저(US-800, ICEL)를 구비한 밀폐 플라스틱 박스에 동물을 넣고 염수 중의 오브알부민 1% 용액(등급 V, Sigma) 2 ml를 20분간 흡입시켰다. 마지막 에어로졸 유발검사한지 24시간 후, 고 투여량의 클로랄 수화물을 사용하여 동물을 치사시키고 복강 혈액, 기관지-허파꽈리 세척(BAL) 및 폐 조직을 얻어 백혈구 및 호산구의 전체 개수를 세었다.
Seq07로 확인된 4 nmol 또는 40 nmol의 펩티드를 각 유발검사하기 30분 전에는 경비 및 복강 투여하고 유발검사하기 1시간 전에는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동물군을 처리하였다. 만성 천식에 걸린 동물군은 Seq07로 확인된 4 nmol 또는 40 nmol의 펩티드 만을 사용하여 각 유발검사 하기 30분 전에 복강 투여함으로써 처리하였다.
BAL을 얻기 위하여, 각 그룹(OVA 처리군 또는 대조군)의 동물을 10% 클로랄 수화물로 치사시키고, 혈액을 제거하며 또 기관(trachea)에 캐눌라를 넣었다. 공기 공간은 HBSS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 EDTA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의 1 mL 등분물로 세척하였다. 수집 후, BAL을 800 rpm에서 10분간 즉각적으로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은 버리고, 세포 버튼은 세포 개수를 위해 1 mL의 HBSS + 0.1% BSA (소혈청 알부민)에 재현탁시켰다. BAL로부터 전체 세포 계수는 노이바우어 챔버에서 계수하였다. 5 x 105 세포를 함유하는 등분물은 동결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유리 슬라이드 상에서 6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이한 세포 집단의 %를 결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를 Hema 3으로 염색하고 임의 선택된 필드에서 300개 세포를 계수하였다. BAL 중의 각 세포 집단의 절대치는 상기 %를 샘플 부피에서 발견되는 전체 세포수로 곱하여서 얻었다.
급성 천식을 나타내는 동물을 시험할 펩티드 4 nmol 또는 40 nmol에 의해 모든 경로에 의해 처리하여 허파꽈리 공간에 이용되는 백혈구의 전체 수 감소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감소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호산구의 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폐에 대한 세포의 이용에 대한 시험 펩티드의 효과는 0.3 mg/kg 투여량의 덱사메타손에 의해 경구적으로 유도한 효과와 유사하였다.
만성 천식을 나타내는 동물을 시험할 펩티드 4 nmol 또는 40 nmol에 의해 복강 처리하면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허파꽈리 공간에 이용되는 백혈구의 전체 수 감소, 호산구 감소를 유발하였다. 폐에 대한 세포 이용에 대한 시험 펩티드의 효과는 0.3 mg/Kg 투여량의 덱사메타손을 경구적으로 유도한 효과와 유사하였다.
<110> CRISTALIA PRODUTOS QUIMICOS FARMACEUTICOS LTDA FUNDACAO DE AMPARO A PESQUISA DO ESTADO DE SAO PAULO-FAPESP FERREIRA, MONICA VALDYRCE DOS ANJOS LOPES <120>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YCLIC PEPTIDES <130> PI0602885-3 <140> PCT/BR2007/ <141> 2007-07-19 <150> PI0602885-3 <151> 2006-07-21 <150> 20070090499 <151> 2007-07-04 <160> 9 <170> PatentIn version 3.3 <210> Sequence ID No.1: (Seq01)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rtificial sequenc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eptides. <400> 1 Ile Pro Arg Cys Arg Lys Met Pro Gly Val Lys Met Cys 1 5 10 <210> Sequence ID No.2: (Seq02)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rtificial sequenc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eptides. <400> 2 Val Glu Gln Cys Thr Ile Ile Gly Asp Glu Lys Asp Cys 1 5 10 <210> Sequence ID No.3: (Seq0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rtificial sequenc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eptides. <400> 3 Val Glu Gln Cys Thr Ile Ile Gly Asp Ala Lys Asp Cys 1 5 10 <210> Sequence ID No.4: (Seq04)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rtificial sequenc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eptides. <400> 4 Val Gln Gln Cys Ser Glu Ile Ala Gly Ala Lys Pro Cys 1 5 10 <210> Sequence ID No.5: (Seq05)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rtificial sequenc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eptides. <400> 5 Leu His Arg Cys Asp Lys Ile Ala Asp Ala Lys Pro Cys 1 5 10 <210> Sequence ID No.6: (Seq06)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rtificial sequenc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eptides. <400> 6 Ile Pro Arg Cys Arg Ala Met Pro Gly Val Lys Met Cys 1 5 10 <210> Sequence ID No.7: (Seq07)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rtificial sequenc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eptides. NH2 is a carboxy terminal amide protecting group. <400> 7 Ile Pro Arg Cys Arg Lys Met Pro Gly Val Lys Met Cys NH2 1 5 10 <210> Sequence ID No.8: (Seq08)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rtificial sequenc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eptides. Ac is an acetyl, amino terminal protecting group. <400> 8 Ac Ile Pro Arg Cys Arg Lys Met Pro Gly Val Lys Met Cys 1 5 10 <210> Sequence ID No.9: (Seq09)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Artificial sequenc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eptides. Ac is an acetyl, amino terminal protecting group. NH2 is a carboxy terminal amide protecting group. <400> 9 Ac Ile Pro Arg Cys Arg Lys Met Pro Gly Val Lys Met Cys NH2 1 5 10

Claims (14)

13 L-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사슬의 위치 4와 13에 시스테인 아미노산을 그리고 위치 11에 리신 아미노산을 보유하며, 펩티드 사슬의 위치 4에서 13까지 시클릭 구조를 이루는 디설피드 브릿지를 보유하는 합성 시클릭 펩티드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항염증성 또는 항알레르기성이고;
위치 1의 아미노산이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또는 다른 소수성 및 중성 아미노산이며;
위치 3의 아미노산이 아르기닌, 글루타민 또는 다른 친수성 및 극성 아미노산이고;
위치 5의 아미노산이 아르기닌, 트레오닌, 세린, 아스파테이트 또는 다른 친수성 및 극성 아미노산이며;
위치 7의 아미노산이 메티오닌, 이소로이신, 로이신 또는 다른 친수성 및 중성 아미노산이고;
위치 9의 아미노산이 글리신 또는 아스파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제1항에 있어서,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Figure 712012003557496-pct00014
삭제
제2항에 있어서, 프롤린 잔기가 히드록시프롤린 잔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제2항에 있어서, 메티오닌 잔기가 산화된 메티오닌 잔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제2항에 있어서, L-아미노산이 D-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삭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천식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트립신의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2개가 조합된 제1항 또는 제2항의 펩티드,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1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하며, 상기 펩티드는 급성이나 만성 염증성 또는 알레르기성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유효 투여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제10항에 있어서, 경구적으로, 경비적으로, 근육내 또는 정맥내로 투여되도록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급성이나 만성 염증성 또는 알레르기성 질병이 천식, 비염,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면역계 장애 및 면역 반응 동안 림프구성 기능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삭제
삭제
KR1020097001966A 2006-07-21 2007-07-19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성 시클릭 펩티드 KR101399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0602885-3 2006-07-21
BRPI0602885 2006-07-21
BRPI0790499 2007-07-04
BR20070090499 2007-07-04
PCT/BR2007/000186 WO2008009085A1 (en) 2006-07-21 2007-07-19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yclic pept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900A KR20090037900A (ko) 2009-04-16
KR101399175B1 true KR101399175B1 (ko) 2014-06-19

Family

ID=4042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966A KR101399175B1 (ko) 2006-07-21 2007-07-19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성 시클릭 펩티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04382B2 (ko)
KR (1) KR101399175B1 (ko)
CA (1) CA265733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6686A2 (en) * 2010-06-11 2011-12-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Method for synthesizing a cyclic multivalent peptide using a thiol-mediated reaction
ES2633343T3 (es) * 2011-06-13 2017-09-2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onis Composiciones de péptidos y métodos para tratar lesión pulmonar, asma, anafilaxis, angioedema, síndromes de permeabilidad vascular sistémica y congestión nasal
RU2736637C9 (ru) 2014-07-17 2021-02-08 Протагонист Терепьютикс, Инк. Пептидные ингибиторы рецептора интерлейкина-23 для перорального прием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лечения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кишечника
CN118005737A (zh) 2020-01-15 2024-05-10 詹森生物科技公司 介白素-23受体的肽抑制剂及其治疗炎性疾病的用途
CA3202226A1 (en) 2020-11-20 2022-05-27 Janssen Pharmaceutica Nv Compositions of peptide inhibitors of interleukin-23 recep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0762A (en) * 1986-12-24 1994-03-01 John Lezdey Treatment of inflammation
AU639409B2 (en) * 1987-12-10 1993-07-29 La Jolla Cancer Research Foundation Conformationally stabilized cell adhesion peptides
IL121191A0 (en) * 1997-06-29 1997-11-20 Yeda Res & Dev Synthetic peptid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US20030166003A1 (en) * 1999-06-14 2003-09-04 Cochran Andrea G. Structured peptide scaffold for displaying turn libraries on phage
GB0020717D0 (en) * 2000-08-22 2000-10-11 Smithkline Beecham Biolog Novel compounds and process
BR0212035A (pt) * 2001-09-04 2004-08-03 Merck Patent Gmbh Fator ix modificado
WO2003070194A2 (en) 2002-02-20 2003-08-28 Sepracor Inc. Amino acid and peptide-modified forms of glucocorticoids
ES2398460T3 (es) 2003-02-06 2013-03-19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Péptido antagonista del receptor B2 de bradiquinina proveniente de la piel de un anfibio
WO2004089292A2 (en) * 2003-04-04 2004-10-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mmunomodulatory agents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imie. 2005 Aug;87(8):687-99. Epub 2005 Apr 15. *
Biochimie. 2005 Aug;87(8):687-99. Epub 2005 Apr 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900A (ko) 2009-04-16
CA2657338A1 (en) 2008-01-24
CA2657338C (en) 2013-10-22
US8304382B2 (en) 2012-11-06
US20100144607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jchrzak-Gorecka et al. Secretory leukocyte protease inhibitor (SLPI), a multifunctional protein in the host defense response
US7094760B2 (en) Peptides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shock
Moqbel et al. Effects of nedocromil sodium (Tilade®) on the activation of human eosinophils and neutrophils and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mast cells
KR101487719B1 (ko) 개선된 항미생물성 펩타이드
US20120189673A1 (en)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KR101399175B1 (ko) 항염증성 및 항알레르기성 시클릭 펩티드
JP2009526046A (ja) 新規分子
US6057297A (en) Inhibitor compounds of zinc-dependent metalloproteinases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conditions, and therapeutic use thereof
CN111704653A (zh) 靶向于纤连蛋白衍生肽的抑制剂多肽化合物及其用途
WO2022001075A1 (zh) 眼镜蛇科蛇突触后神经毒素、心脏毒素、细胞毒素、磷脂酶a2及粗毒在抗病毒感染上的应用
EP2563806A1 (en) Human leukolectins and uses thereof
US11779630B2 (en) Peptid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5635771B2 (ja) 抗炎症性及び抗アレルギー性環状ペプチド
CA2072012A1 (en) Neutrophil chemoattractants
US20080311103A1 (en)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00116098A (ko) 항응고제 단백질 및 호중구의 활성화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
US7037502B2 (en) Peptide with the amino acid sequence of KVLDGQDP having anti-inflammatory properties
JP2009511610A (ja) 過敏症治療
WO2008009085A1 (en)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yclic peptides
BRPI0703175B1 (pt) Peptídeos cíclicos antiinflamatórios e antialérgicos
WO2004039397A1 (en) Use of alpha 1-antichymotrypsin polypeptides, or nucleic acids encoding them, in combination with alpha 1-antitrypsin polypeptides, or nucleic acids encoding them, for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diabetes-associated and/or arterial poorly healing wounds
WO2023212661A1 (en) Serpin peptid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Héry-Huynh et al. Induction and regulation of murine emphysema by elastin peptides 2
CN106397575A (zh) 一种具有胞外组蛋白毒性抑制作用的多肽制备方法及用途
GB2500184A (en) Polypeptide derived from helix A of heparin cofactor 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29

Effective date: 2014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