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139B1 - 위치 기반 시스템들을 위한 계층적 정보 배포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시스템들을 위한 계층적 정보 배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139B1
KR101399139B1 KR1020127017718A KR20127017718A KR101399139B1 KR 101399139 B1 KR101399139 B1 KR 101399139B1 KR 1020127017718 A KR1020127017718 A KR 1020127017718A KR 20127017718 A KR20127017718 A KR 20127017718A KR 101399139 B1 KR101399139 B1 KR 10139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zone
hierarchical
mobile device
nod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693A (ko
Inventor
비나이 스리다라
베루즈 코라샤디
사우미트라 모한 다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0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정보 배포를 제어하기 위해 위치 기반 시스템들을 위해 및/또는 이들 내에서 정보 배포를 지원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기술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시스템들을 위한 계층적 정보 배포{HIERARCHICAL INFORMATION DISSEMINATION FOR LOCATION BASED SYSTEMS}
본 특허 출원은 2009년 12월 9일에 출원된 "Hierachical Information Dissemination" 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 61/267,995 호에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1. 분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는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컴퓨팅 및/또는 통신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2. 정보
위치 기반 시스템은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거나, 및/또는 지원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들은, 예컨대,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액세스될 수도 있는 다양한 정보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예컨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요청에 응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그 요청과 어떤 식으로든 관련이 있으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용자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부의 다른 프로세스들과 관련될 수도 있는 적용가능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완료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위치와, 사용자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콘텍스트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고려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통신 디바이스들, 기타 등등과, 다른 네트워크 리소스들, 예컨대, 다양한 포지셔닝 서비스들, 디바이스들 및/또는 관련 정보, 하나 이상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서비스들 및/또는 네트워크들, 하나 이상의 서비스 및/또는 콘텐츠 제공자 서비스들, 디바이스들 및/또는 관련 정보,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예컨대, 위치 서비스들, 검색 서비스들, 네비게이션 서비스들, 식별 서비스들, 기타 등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 프로세싱 및/또는 통신들을 제공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지원하도록 인에이블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수집되거나 및/또는 배포되는 정보의 양이 중요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중앙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유사한 저장소 (repository) 에 그러한 정보 흐름 (current) 을 보관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며 및/또는 상당한 비용이 드느 것으로 입증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라, 정보 배포를 제어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지원하기 위해, 위치 기반 시스템을 위하여 및/또는 그 내부에서의 정보 배포를 지원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기술들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계층적 구역 구조 (zonal structure) 를 가진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컨대, 계층적 구역 구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 (nodal transmitting devices) 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의하여, 특정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는 관심 있는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 선택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정보는 특정 위치와 연관된 공간 제한 파라미터 및/또는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시간 제한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추가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관심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응답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컨대, 응답은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수신된 요청을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제공 (예컨대, 포워딩, 브로드캐스팅, 등) 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계층적 구역 구조는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논리적으로 형성된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계층적 구역 구조는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애드-혹으로 형성된 (ad-hoc formed)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구역 포지션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될 수도 있다. 예컨대,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계층적 구역 구조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 포지션들로의 정보의 전파를 동작가능하게 제한하는 거리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추가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TTL (time to live) 값,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컨대, 방법은 TTL 값이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정보의 추가적인 전파를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TL 값이 정보의 추가 전파를 허용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컨대,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계층적 구역 구조의 제 1 구역 포지션과 연관될 수도 있으며, 다른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계층적 구역 구조의 제 2 구역 포지션과 연관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시간 제한 파라미터는 리프레시 비율 값 (refresh rate value) 과 연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임의의 경우에, 특정 위치를 포함하는 제 1 구역 포지션은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될 수 있고, (예컨대, 특정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구역 포지션은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상이할 수도 있는 제 2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될 수도 있다.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비-한정적이며 비-포괄적인 (non-exhaustive) 양태들을 설명하며, 달리 특정되지 않으면, 여러 도면들 전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한다.
도 1 은, 일 구현에 따라, 위치 기반 시스템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는, 일 구현에 따라, 예컨대, 도 1 에서와 같은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은, 예시적인 노드 송신 디바이스의 소정의 특징부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은, 일 구현에 따라, 도 1 에서와 같은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소정의 특징부들을 도시하는 기능적 흐름도이다.
도 4 는, 특정 구현들에 따라, 도 1 에서와 같은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원될 수 있는 예시적인 계층적 구역 구조들을 도시하는 블록도들이다.
도 5 는, 특정 구현들에 따라, 도 1 에서와 같은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원될 수 있는 예시적인 계층적 구역 구조들을 도시하는 블록도들이다.
도 6 은, 특정 구현들에 따라, 도 1 에서와 같은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원될 수 있는 예시적인 계층적 구역 구조들을 도시하는 블록도들이다.
도 7 은, 특정 구현들에 따라, 도 1 에서와 같은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원될 수 있는 예시적인 계층적 구역 구조들을 도시하는 블록도들이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들에 따라, 위치 기반 시스템을 위하여 및/또는 그 내부에서의 정보 배포를 지원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기술들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수집되거나 및/또는 배포되는 정보의 양이 중요할 수 있으며, 예컨대, 중앙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유사한 저장소에 그러한 정보 흐름을 보관하는 것은 (이 정보를 계속 업데이트하기 위해 필요한 업로드 대역폭과, 정보를 요청하여 셀룰러 네트워크들과 같이 잠재적으로 혼잡한 글로벌 네트워크들로부터 그 정보를 다운로드해야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들 면에서) 시간 소모적이며 및/또는 상당한 비용이 드는 것으로 입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예시적인 구현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계층적 구역 구조에 관련된 방식으로 위치 기반 시스템들에서의 정보 배포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오버헤드 및/또는 시스템 로딩을 감소시키면서도, 효과적인 정보 검색과 다른 위치 기반 서비스들을 여전히 지원하는 경향이 있는 기술들이 제공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정보 배포는 본질적으로 로컬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정보가, 예컨대, 물리적인 장소 (locality) 등에서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와 보안상의 장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 은,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 따라,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 (100) 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 (100) 은, 예컨대,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의 하나 이상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 (130) 과 통신하여 약간의 커버리지 영역을 가진 위치 기반 서비스 (LBS) (132) 의 일부로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도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10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적어도 하나의 LBS 와 연관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대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프로세싱 유닛 (104), 메모리 (106), 다양한 커넥션들 (108), 사용자 인터페이스 (110), 무선 트랜시버 (112), 위성 위치측위 시스템 (SPS) 수신기 (11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10) 를 통해 관심 아이템을 지시함으로써 LBS 로의 액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107) 의 명령들은 프로세싱 유닛 (104) 에 의해 실행되어, 무선 신호 (136) 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커넥션 (108) 들과 무선 송수신기 (112) 를 경유하여, LBS 로 액세스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관심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이 무선 신호 (136) 에 의해 노드 송신 디바이스 (130) 로 송신될 수도 있다.
요청은, 예컨대, 적어도 관심 아이템을 어떤 방식으로든 식별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을 명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을 공지의 포지셔닝 기술들을 사용하는 SPS (140) 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기반하여 SPS 수신기 (114) 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을 다른 공지의 포지셔닝 기술들을 사용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120)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 (150) 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기반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추정 포지션을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들, 통신 네트워크 (150) 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결정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 있으며,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로컬 네트워크 (134) 및/또는 네트워크 (160) 를 통해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에 대한 요청을 처리함에 있어서,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은 도 1 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통해, 또한 무선 신호 (136) 에 의해 응답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노드 송신 디바이스 (130) 는 정보에 대한 요청을 처리함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을 고려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컨대, 이후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대하여 또는 그로부터 이용가능할 수도 있는 정보는 위치 기반 시스템 (120) 과 연관된 계층적 구조 내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포지션 (예컨대, 상대적인 노드 포지션) 에 기반하여 어떠한 방식으로든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응답에서 정보의 세부 레벨 (예컨대, 양, 정확성, 적시성 등) 은 관심 아이템의 노드 포지션으로부터 노드 송신 디바이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노드 포지션, 및/또는 관심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초기에 발생시키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획득하는 다른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의존하여 변할 수도 있다.
도 1 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이 무선 신호들 (138) 및/또는 로컬 네트워크 (134) 를 통해 함께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계층적 구조는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에 의해 물리적으로 (예컨대, 애드-혹 등으로)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논리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은 특정 지역과 연관될 수도 있다. 예컨대,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은 특정 캠퍼스, 구내 (compound), 빌딩(들), 기타 등등과 연관될 수도 있다. 특정 예들에서,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은 자립형 시스템 (stand-alone system)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하다면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가 특정 지역으로 접근하거나 진입할 때),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이 위치 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어떤 다른 예들에서,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은,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 (150) 및/또는 네트워크 (160) 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다른 LBS(들) (133) 을 더 지원 및/또는 강화하도록 동작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는 초기에 다른 위치 기반 서비스(들) 에 액세스할 수도 있고, 그 후에,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가 특정 지역으로 접근하거나 진입할 때)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은 추가의 로컬화된 위치 기반 서비스(들) 을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위치 기반 시스템 (120) 내의 정보 중 전부 또는 일부는 국부적으로 발생될 수 있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예컨대, 선택적 전파를 통하여) 그 내부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서비스들에 선택적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위치 기반 시스템 (120) 내의 정보 중 전부 또는 일부는, 예컨대, 네트워크 (160)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 (150) 내의 다른 원격 디바이스들 및/또는 서비스들로/로부터 어떠한 방식으로든 가져오기 (import) / 내보내기 (export) 될 수도 있다.
SPS (140) 는, 예컨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GLONASS, Galileo 등과 같은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GNSS) 및/또는 다른 유사한 포지셔닝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네트워크 (150) 는,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 (102) 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원격통신들 및/또는 다른 유사한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네트워크 (150) 및/또는 네트워크 (160), 및/또는 특정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 확장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강화하는 리피터 (repeaters) 들로서 작동할 수도 있는 송신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유사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리피터들은 "펨토-셀 (femto-cell)", "피코-셀 (pico-cell)" 등의 동작가능한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160) 는, 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102), 위치 기반 시스템 (120),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 (150) 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들)/리소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는,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 따라, 예시적 노드 송신 디바이스 (130) 의 특정 특징부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노드 송신 디바이스 (130) 는, 예컨대, 다른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 모바일 디바이스들, 기타 등등과 통신하기 위한 송신기 (240) 와 수신기 (250) (또는 트랜시버) 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들에 커플링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 (20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200)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4) 를 동작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저장될 수도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 (216) 들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예컨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 (216) 은 LBS (132) 를 제공 또는 지원하기 위해 노드 송신 디바이스 (130)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 (202) 으로 명령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200) 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 (202), 메모리 (204), 다양한 커넥션들 (206), 및 통신 인터페이스 (2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204) 는, 예컨대, 1차 메모리 (210) 와 2차 메모리 (21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직 예로서, 1치 메모리 (210)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과 같은 고체 상태 메모리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고, 2차 메모리 (212) 또한 고체 상태 메모리 회로, 및/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유닛(들) (202) 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유닛(들) (202) 은 데이터 컴퓨팅 절차 (precedure) 또는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대표할 수도 있다. 제한되지 않는 예로서,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주문형 집적회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디바이스들,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들 등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204) 는 특정 시간에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 (220) 를 나타내는 데이터, 공간 제한 파라미터 (222), 거리 값 (224), TTL 값 (226), 시간 제한 파라미터 (228), 리프레시 비율 값 (230),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 (232),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 (234),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응답 (236), 및/또는 LBS (132) 와 연관된 다른 유사한 데이터 및/또는 명령 (216) 들을 그 내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208) 는, 예컨대, 송신기 (240) 와 수신기 (250) 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송신기 (240) 와 수신기 (250) 로의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208) (및/또는 도 1 의 무선 트랜시버 (112) 는, 예컨대, 무선 광역 네트워크 (WW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WLAN),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WPAN)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과의 이용을 위해 인에이블될 수도 있다. 용어 "네트워크" 및 "시스템" 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 가능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WWAN 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네트워크,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네트워크,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네트워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네트워크,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네트워크, 롱텀 에볼루션 (LTE) 네트워크, WiMAX (IEEE 802.16) 네트워크 등일 수도 있다. CDMA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cdma2000, 광대역-CDMA (W-CDMA), 시간 분할 동기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TD-SCDMA) 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 (RATs) 을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cdma2000 은 IS-95, IS-2000 및 IS-856 표준들에 따라 구현된 기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TDMA 네트워크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AMPS (Digital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또는 일부 다른 RAT 를 구현할 수도 있다. GSM 및 W-CDMA 는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GPP) 라는 명칭의 컨소시엄의 문서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는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PP2) 라는 명칭의 컨소시엄의 문서에 기술되어 있다. 3GPP 및 3GPP2 문서들은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예를 들면, WLAN 은 IEEE 802.11x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고, WPAN 은 블루투스 네트워크, IEEE 802.15x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은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 따라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프로세스 (300) 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블록 (302) 에서, 특정 위치에서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가 획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구역 내의 관심 아이템에 대한 위치 및/또는 다른 콘텍스트 정보는 그 구역과 동작가능하게 연관된 하나 이상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집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도 있다. 블록 (304) 에서, 그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는 특정 위치와 연관된 공간 제한 파라미터 및/또는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의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시간 제한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에 선택적으로 전파될 (예컨대, 송신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공될) 수도 있다.
블록 (306)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은 수신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도 있고, 이 요청은 관심 아이템과 관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과 관련될 수도 있다. 블록 (308)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 및/또는 대응하는 구역 포지션이 식별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도 있다. 블록 (310) 에서, 응답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예컨대, 송신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예컨대, 응답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과 연관된 구역 포지션을 서비스하는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 전파되는 (예컨대, 브로드캐스팅되는) 것과 같은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예컨대, 몇몇 방식으로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블록 (310) 에서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 포지션들로 정보의 (예컨대, 전파를 통한) 배포를 동작가능하게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TTL (time-to-live) 값을 규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와 관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블록 (304) 에서,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고, TTL 값이 위치 기반 시스템 (120) 내에서 정보의 (예컨대, 전파를 통한) 추가 배포를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정보를 적어도 제 3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예컨대,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계층적 구역 구조의 제 2 구역 포지션과 동작가능하게 연관될 수도 있고, 제 3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계층적 구역 구조의 제 3 구역 포지션과 동작가능하게 연관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시간 제한 파라미터는 리프레시 비율 값을 규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와 관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블록 (304)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정 위치를 포함하는 제 1 구역 포지션은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될 수도 있지만, 특정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의 또는 다른 구역 포지션(들) 은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상이하거나 및/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는 제 2 의 또는 다른 리프레시 비율 값(들) 과 연관될 수도 있다.
다음의 도 4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예컨대, 위치 기반 시스템 (120; 도 1) 및/또는 프로세스 (300; 도 3) 와 연관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는 일부 계층적 구역 구조들의 특정 양태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계층적 구역 구조는 동작가능하게 및/또는 물리적으로 그들 사이에 일부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 2 이상의 구역들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게 (예컨대, 논리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는 임의의 위치 기반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구역들에서 브로드캐스팅될 정보는 몇몇 방식에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4 에서, 제한되지 않는 예로서, 계층적 구역 구조 (400) 는 계층적인 (예컨대, 내포된 (nested)) 방식으로 배열된 (여기서 정사각형 블록들로 표시된) 구역들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면, 계층적 구역 구조 (400) 는 각각 4 개의 더 작은 구역들 (404) 을 포함하는 4 개의 대형 구역들 (402) 을 포함하며, 4 개의 더 작은 구역들 (404) 은 더 작은 구역들 (406) 을 포함하고, 더 작은 구역들 (406) 은 심지어 더 작은 구역들 (408) 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양한 구역들의 형태들, 개수들, 사이즈들, 비율들 등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청구되는 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 것을 유의해야한다.
이로 인해, 도 4 에서, 관심 아이템 (410) 은 구역 (408) 내의 특정 위치에 도시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구역 (402) 내에서 노드 송신 디바이스 (130-2) 와 통신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노드 송신 디바이스 (130-2) 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구역 포지션과 동작가능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가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 에서, 다른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 (130-1 및 130-3) 이 도시되며, 이들 디바이스들 (130-1 및 130-3) 은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 (102) 에 대응하는 구역 포지션과 동작가능하게 연관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모바일 디바이스 (102) 가 이동중인 것을 가정하였거나 가정할 수도 있다.
도 4 는 또한 전술된 것과 같이, 특정 캠퍼스, 구내, 빌딩(들), 기타 등등을 대표할 수도 있는 지역 (420) 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청구되는 주제는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경우에, 다양한 구역들 중 하나 이상은 이러한 지역들의 어떤 식별할만한 특징들과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4 개의 대형 구역들 (402) 중 하나의 구역은 캠퍼스의 특정 빌딩 (예컨대, 도서관, 창고 등) 또는 쇼핑몰 내의 특정 상점을 나타낼 수도 있고, 더 작은 구역들 (404) 중 하나는 그 빌딩의 특정 층 또는 그 상점의 매장을 나타낼 수도 있고, 더 작은 구역들 (406) 중 하나는 통로를 나타낼 수도 있고, 더 작은 구역들 (408) 중 하나는 관심 아이템 (410) 이 놓여있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임의의 방식으로 사용가능하거나 존재하는 선반 (또는 통) 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2) 가 움직임에 따라, 위치 (예컨대, 추정 포지션 및/또는 구역 포지션) 에 따라 서로 다른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 (130) 이 제공될 수도 있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정보는 위치 및/또는 서비스하는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 의 블록 (310) 참조). 예를 들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정보는 공간 및/또는 시간 제한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정보의 선택적인 전파에 의해 변화할 수도 있다 (도 3 의 블록 (304) 참조).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구역들 및/또는 구역 포지션들 전부 또는 일부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관심 아이템 (410) 과 연관된 정보의 콘텍스트 (예컨대, 사람, 장소, 사물, 사건, 등등) 는 관심 아이템 (410) 을 몇몇 방식으로 특징지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정보는 공간적 콘텍스트, 사회적 콘텍스트, 정보 콘텍스트, 기타 등등과 관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관심 아이템이 구매되거나 빌려질 수도 있는 책이라고 가정하면: 공간적 콘텍스트는 책의 특정 위치, 책에 도달하기 위해 따라갈 수 있는 네비게이션 루트, 등과 관련될 수도 있고; 사회적 콘텍스트는 책의 사용가능성 또는 현재 상태와 관련될 수도 있고, 정보 콘텍스트는 책의 가격, 이미지, 작가, 출판사 등등과 관련될 수도 있다.
도 5 에서, 계층적 구역 구조 (400) 의 구역들 중 몇몇은 정보의 선택적인 전파를 제공하는데 채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공간 제한 방식을 나타내도록 표시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더 작은 구역들 (408) 중 하나는 관심 아이템의 정보 및/또는 특정 위치의 기점을 나타내도록 "A" 로 표시되고, 나머지 동일한 사이즈의 구역들은 제 1 레벨의 정보 전파를 나타내도록 "B" 로 표시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레벨의 정보 전파는 "C" 로 표시된 다른 구역들 (406 사이즈) 에 의해 나타낸다. 따라서, 특정 계층적 구조에 의존하여, 특정 구역들이 구별될 수도 있고, 그에 전파되는 정보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공간 및 시간 제한 파라미터들은 도 6 및/또는 도 7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 6 에서, 예를 들면, 계층적 구역 구조 (400') 는 예컨대,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의 송신 제한들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리지 영역 원들로 도시됨) 로 인해, 본질적으로는 논리적으로 보다는 "애드-혹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를 들어, 도 6 에는 제 1 전파 홉 (602) 과 함께 제 2 전파 홉들 (604) 및 제 3 전파 홉들 (606) 이 도시된다. 따라서, 계층적 구역 구조는 논리적으로, 애드-혹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또는 다른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양태들에 따라, 위치 기반 시스템 (120) 은 모든 정보 또는 너무 많은 정보를 덜 제한된 방식으로 전파하는 것보다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및 장치들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전파 기술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공간 및 시간 제한 파라미터들 양자에 기초할 수도 있다.
추가의 예로서,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보에 포함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 정보와 몇몇 방식으로 연관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브로드캐스팅된 정보에 대하여 제어된 "전파 거리" 를 나타내는 TTL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예컨대,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정보의 범위는 정보가 발생되고 관심 아이템이 위치되는 하나의 구역 및/또는 (예컨대, 계층적으로) 인근의 구역들에 제한될 수도 있다.
시간적 제한은 예컨대, 제어된 전파 거리를 나타내는 상기 브로드캐스팅 정보와 연관된 리프레시 비율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컨대 이러한 정보가 그 소스로부터 (예컨대, 계층적으로) 더 멀리 전파할수록, 리프레시 비율은 덜 자주 요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장 상세하고 및/또는 최신일 수도 있는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정보는 소스 및/또는 관심 아이템과 밀접하게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팅된 정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 전파될 수도 있는 정보의 양은 제어될 수도 있고, 가능하면 감소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공간적 콘텍스트에서 정보를 제한하기 위해, TTL 값 등은 홉 (hop) 또는 추가의 위치를 가로지를 때 정보의 TTL 값을 그 값이 정보 전파가 종료될 수도 있는 지점인 임계치 (예컨대, 제로) 에 도달할 때까지 변화시키는 (예컨대,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채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기술들은 구역 포지션/거리와 관련하여 정보 배포를 효율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계층적 구역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TTL 값 = 2 은, 도 5 에서, "A", "B", "C" 로 표시된 논리적으로 형성된 구역들로의 정보의 전파를 제한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TTL 값 = 2 은, 도 6 에서, 도면부호 (602, 604 및 606) 으로 표시된 애드-혹 구역들로의 정보의 전파를 제한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정보 전파를 시간적 방식으로 제한하기 위해, 리프레시 비율 값은, 예컨대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도 있는 빈도 및 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시간적 제한은 (구역) 거리들에 기초하여 역의 리프레시/업데이트 비율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 을 고려하면, 리프레시 레이트 값들이 구역들 내에 정수들 1-5 로서 열거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5" 의 리프레시 비율 값을 갖는 외부 구역들은 "4", "3", "2", 및 "1" 의 리프레시 비율 값들을 갖는 다른 구역들보다 덜 빈번하게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예에서, "4" 리프레시 비율 값을 갖는 구역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3", "2", "1" 등의 리프레시 비율 값들을 갖는 다른 구역들보다 덜 빈번하게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예에서, "1" 의 리프레시 비율 값을 갖는 구역은 정보 브로드캐스트들이 가장 빈번하게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추가의 제한되지 않는 예로서, 상기 리프레시 비율 값들은 업데이트된 브로드캐스트들 사이에 복수의 시간 주기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5 초의 시간 주기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구역 "1" 정보는 매 5 초마다 브로드캐스트에서 업데이트되고, 구역 "2" 정보는 매 10 초마다 브로드캐스트에서 업데이트되고, 구역 "3" 정보는 매 15 초마다 브로드캐스트에서 업데이트되고, 구역 "5" 정보는 매 25 초마다 브로드캐스트에서 업데이트된다. 청구되는 주제는 상기 예들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예컨대, 기능적인, 비-선형의, 동적인 및/또는 다른 유사한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다른 리프레시 비율 값들 및/또는 방식들이 구현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공간 및 시간 제한 파라미터들 양자를 고려하는, 선택적으로 결합된 전파 기술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TTL 값들 및 리프레시 비율 값들을 이용하는 도 7 의 상기 예에서 계속하여, 하기의 예시적인 방식이 제공될 수도 있다: 시간 0 초에서 - 정보를 모든 구역들로 전파하기 위해 TTL 값 = 4 를 갖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시간 5 초에서 - 정보를 오직 구역 "1" 으로 전파하기 위해 TTL 값 = 0 을 갖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시간 10 초에서 - 정보를 구역들 "2" 로 전파하기 위해 TTL 값 = 1 을 갖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시간 15 초에서 - 정보를 오직 구역 "1" 으로 전파하기 위해 TTL 값 = 0 을 갖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그리고 시간 20 초에서 - 정보를 구역들 "3" 로 전파하기 위해 TTL 값 = 2 을 갖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예로서 제공된 이러한 및/또는 다른 기술들에 따라, 정보 배포는, 엔티티들이 정보 업데이트들 등으로 위치 기반 시스템 및/또는 LBS 에 너무 부담을 주지 않고 (예컨대, 넘치거나 압도하지 않고) 로컬 콘텍스트 정보를 공개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들은 예컨대, 데이터 송신, 프로세싱 및/또는 저장 요건들을 감소시킴으로써 더 유효하고 및/또는 비용 효율적인 위치 기반 시스템을 허용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정보는 가장 필요하거나 요구될 수 있는 곳에서 가장 신규하거나 최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에서 큐에 관한 정보는 (오직) 프린터 인근에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디바이스들로부터 더 "실시간의" 정보가 이용가능한 것을 허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예컨대 글로벌 스토리지 프로세싱을 요청하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추가의 (가능하면 불필요한) 네트워킹 오버헤드를 발생하는 것보다 국부적으로 소비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을 특정 경우에 이용될 수도 있거나,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심 아이템에 대한 요청이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하여 실행된다면, 오직 그 근처의 노드 송신기들만이 그러한 요청을 실제로 수신하고, 가능하면 그에 응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예시적인 상황에서, 응답들은 그러한 로컬 응답들로 제한될 것이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요청은 또한 TTL 값을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가 요구하는 탐색의 범위에 기초하여 다시 브로드캐스팅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요청은 네트워크 기반 서버 등에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요청은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을 취득하고, 응답할 수 있는 노드 송신기들을 식별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반 서버는 요청(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 포지션 근처 또는 인근에 위치될 수 있거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요청의 TTL 값 등을 만족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노드 송신기들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일 실시예", "실시예", "특정 실시예들", 또는 "예시적인 구현들" 에 대한 언급은 그 특징 및/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의 특징, 구조, 특성이 청구되는 주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 및/또는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의 다양한 부분에서 어구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 "특정 실시예들에서", 또는 "특정 구현들에서" 또는 다른 유사한 어구들의 출현은 반드시 동일한 특징부 및/또는 실시예를 모두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특정의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또는 특징부들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컨대, 셀룰러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셀 폰), 개인 통신 시스템 (PCS) 디바이스, 개인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PND), 개인 정보 관리기 (PIM),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랩톱, 태블릿, 넷북, 스마트북, 또는 무선 통신 및/또는 네비게이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와 같은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또한, 용어 "모바일 디바이스" 는, 위성 신호 수신, 보조 데이터 수신, 및/또는 포지션 관련 프로세싱이 그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지 또는 개인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PND) 에서 발생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를테면 근거리 무선 접속, 적외선 접속, 유선 접속, 또는 다른 접속에 의해 PND 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는 위성 신호 수신, 보조 데이터 수신, 및/또는 포지션 관련 프로세싱이 그 디바이스에서, 서버에서, 또는 네트워크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를테면 인터넷, Wi-Fi,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컴퓨터들, 랩톱들 등을 포함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전술된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동작가능한 조합이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은, 그 적용에 따라 다양한 수단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구현을 위해,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용 집적 회로 (ASIC) 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들,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 (DSPD) 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PLD) 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구현을 위해, 상기 방법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 (예를 들어, 절차, 기능 등) 을 통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을 유형으로 (tangibly) 구현하는 임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부에서 또는 프로세싱 유닛의 외부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메모리" 는 임의의 타입의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를 지칭하고, 메모리의 임의의 특정 타입 또는 메모리들의 수, 또는 메모리가 저장된 매체의 타입에 제한되지 않는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구현을 위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그 실시예들은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물리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가 될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의 방법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크 (disk) 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고, 디스크 (disc) 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를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전술된 매체들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상의 저장에 부가하여, 통신 장치 내에 포함된 전송 매체 상의 신호들로서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가지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들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프로세싱 유닛들이 청구항들에서 강조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통신 장치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가진 전송 매체를 포함한다. 처음으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전송 매체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 1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두 번째로, 통신 장치에 포함된 전송 매체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행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청구물의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청구물은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방법들 및 장치들은 청구물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선행의 상세한 설명의 일부 부분들은 특정 장치 또는 특정 용도의 컴퓨팅 디바이스나 플랫폼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이진 디지털 전자 신호들에서의 연산들의 알고리즘들 또는 심볼 표현들 면에서 제시되었다. 이러한 특정 명세서의 문맥에서, 용어 특정 장치 등은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른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때 범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알고리즘 설명들 또는 심볼 표현들은 신호 프로세싱 또는 관련 업계의 당업자가 그들 업무의 요지를 다른 당업자에게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기술들의 예들이다. 알고리즘은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들 또는 유사 신호 프로세싱의 일관성 있는 시퀀스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산들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적인 수량들의 물리적인 조종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수량들은 정보를 표현하는 전자 신호들로서 저장되거나, 전송되거나, 결합되거나, 비교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종될 수 있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들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때때로 원칙적으로 통상의 사용을 이유로 그러한 신호들을 비트들, 데이터, 값들, 엘리먼트들, 심볼들, 캐릭터들, 용어들, 숫자들, 수사들, 정보, 등등으로 지칭하는 것은 편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또는 유사한 용어들 모두는 적절한 물리적인 수량들과 연관될 것이며, 단지 편리한 라벨일 뿐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는다면,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본 명세서 전체에서 "프로세싱하는", "컴퓨팅하는", "계산하는", "결정하는", "확립하는", "획득하는", "생성하는", 및/또는 기타 등등과 같은 용어들을 사용한 논의들은 특수 용도의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용도의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특정 장치의 액션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지칭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특수 용도의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용도의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는 특수 용도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용도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들,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정보 저장 디바이스들, 송신 디바이스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내에 물리적인 전기 또는 자기 수량들로서 통상적으로 표현되는 신호들을 조종하거나 변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의 특허 출원의 문맥에서, 용어 "특정 장치" 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들에 다른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때 범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현재 예시적인 특징들인 것으로 고려되고 있는 것이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다양한 다른 변형들이 실행될 수도 있고, 청구물에서 벗어나지 않고 등가물들이 대체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추가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청구물의 교시들에 특정 상황을 적응시키도록 실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되는 주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청구물은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 등가물들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44)

  1. 계층적 구역 구조에서 제 1 구역 포지션에 위치된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 및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에서 제 2 구역 포지션에 위치된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를 가지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은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과 상이하고,
    상기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은,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특정 위치에 위치된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과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은 구별되고, 상기 정보와 상기 정보의 일부의 전파는 상기 특정 위치와 연관된 공간 제한 파라미터 및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시간 제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 포지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응답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답은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요청을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는,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논리적으로 형성된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는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애드-혹으로 형성된 (ad-hoc formed)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구역 포지션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 포지션들로 상기 정보의 전파를 동작가능하게 제한하기 위한 거리 값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TTL (time-to-live)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TTL 값이 상기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정보 및 상기 정보의 일부의 추가 전파를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TTL 값이 상기 정보가 아닌 상기 정보의 일부의 추가 전파를 허용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한 파라미터는 리프레시 비율 값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과 연관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은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고, 상기 특정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은 상기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상이한 제 2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는, 위치 기반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방법.
  12. 계층적 구역 구조에서 제 1 구역 포지션에 위치된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 및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에서 제 2 구역 포지션에 위치된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를 가지는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은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과 상이하고,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특정 위치에 위치된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일부를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과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은 구별되고, 상기 정보와 상기 정보의 일부의 전파는 상기 특정 위치와 연관된 공간 제한 파라미터 및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시간 제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요청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며;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 포지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응답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응답은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요청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며; 그리고
    상기 요청을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는 적어도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논리적으로 형성된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는 적어도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애드-혹으로 형성된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구역 포지션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 포지션들로의 상기 정보의 전파를 동작가능하게 제한하기 위한 거리 값을 포함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TTL (time-to-live)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TTL 값이 상기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정보 및 상기 정보의 일부의 추가 전파를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TTL 값이 상기 정보가 아닌 상기 정보의 일부의 추가 전파를 허용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 상기 정보의 일부의 송신을 개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한 파라미터는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은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고, 상기 특정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은 상기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상이한 제 2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는,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장치.
  23.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서, 계층적 구역 구조를 동작가능하게 형성하는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 및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특정 위치에 위치된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코드로서,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에서 제 1 구역 포지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에서 제 2 구역 포지션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은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과 상이한,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1 노드 송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일부를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과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은 구별되고, 상기 정보와 상기 정보의 일부의 전파는 상기 특정 위치와 연관된 공간 제한 파라미터 및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시간 제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코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 포지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응답의 송신을 선택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답은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코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요청을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는 적어도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논리적으로 형성된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는 적어도 복수의 노드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애드-혹으로 형성된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구역 포지션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 포지션들로 상기 정보의 전파를 동작가능하게 제한하기 위한 거리 값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TTL (time-to-live) 값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상기 TTL 값이 상기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정보 및 상기 정보의 일부의 추가 전파를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TTL 값이 상기 정보가 아닌 상기 정보의 일부의 추가 전파를 허용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의 일부의 상기 제 2 노드 송신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개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한 파라미터는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은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고, 상기 특정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은 상기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상이한 제 2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4. 장치로서,
    특정 위치에서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일부를 송신하는 수단;
    무선 신호들을 통신하는 수단; 및
    계층적 구역 구조를 동작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 내에 제 1 구역 포지션 및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과 상이한 제 2 구역 포지션을 가지는 무선 신호들을 통신하는 복수의 수단들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특정 위치에 위치된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과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은 구별되고, 상기 정보와 상기 정보의 일부의 전파는 상기 특정 위치와 연관된 공간 제한 파라미터 및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시간 제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심 아이템과 연관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는 수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 포지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응답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응답은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 부분을 포함하는,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심 아이템과 관련된 상기 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는 수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요청을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에서 무선 신호들을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들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는 상기 무선 신호들을 통신하는 복수의 수단들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논리적으로 형성된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하는, 장치.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는 상기 무선 신호들을 통신하는 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애드-혹으로 형성된 계층적 구역 구조를 포함하는, 장치.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추정 포지션을 식별하는 수단은,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구역 포지션을 식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와 연관되는,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계층적 구역 구조의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 포지션들로 상기 정보의 전파를 동작가능하게 제한하기 위한 거리 값을 포함하는,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한 파라미터는 TTL (time-to-live) 값을 포함하고,
    상기 TTL 값이 상기 위치 기반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정보 및 상기 정보의 일부의 추가 전파를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TTL 값이 상기 정보가 아닌 상기 정보의 일부의 추가 전파를 허용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신호들을 통신하는 복수의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단으로 상기 정보의 일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송신을 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43.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한 파라미터는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는,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구역 포지션은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고, 상기 특정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제 2 구역 포지션은 상기 제 1 리프레시 비율 값과 상이한 제 2 리프레시 비율 값과 연관되는, 장치.
KR1020127017718A 2009-12-09 2010-12-08 위치 기반 시스템들을 위한 계층적 정보 배포 KR101399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799509P 2009-12-09 2009-12-09
US61/267,995 2009-12-09
US12/851,426 2010-08-05
US12/851,426 US8437773B2 (en) 2009-12-09 2010-08-05 Hierarchical information dissemination for location based systems
PCT/US2010/059568 WO2011072074A1 (en) 2009-12-09 2010-12-08 Hierarchical information dissemination for location based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693A KR20120103693A (ko) 2012-09-19
KR101399139B1 true KR101399139B1 (ko) 2014-05-27

Family

ID=4408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718A KR101399139B1 (ko) 2009-12-09 2010-12-08 위치 기반 시스템들을 위한 계층적 정보 배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37773B2 (ko)
EP (1) EP2510673A1 (ko)
JP (1) JP5636437B2 (ko)
KR (1) KR101399139B1 (ko)
CN (1) CN102656865B (ko)
TW (1) TW201141295A (ko)
WO (1) WO20110720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2146B2 (en) 2010-10-04 2014-10-14 Blackberry Limite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nhancing location information
WO2013043162A1 (en) * 2011-09-20 2013-03-2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Peer-to-peer data migration
KR101469593B1 (ko) * 2013-02-20 2014-12-05 서용창 기준 포즈 데이터와 유사한 포즈를 가지는 동기단말을 검출하는 방법,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5493093A (zh) * 2013-09-27 2016-04-13 英特尔公司 用于促进对资源的动态的基于上下文访问控制的机制
US9247379B2 (en) 2014-01-27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map tiling
KR102054776B1 (ko) * 2014-11-27 2019-12-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
KR101648641B1 (ko) * 2014-12-09 2016-08-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프라이버시 보호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GB2536914A (en) * 2015-03-31 2016-10-05 Nomad Spectrum Ltd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9602617B1 (en) * 2015-12-16 2017-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and scalable telematics message dispatching
EP3249517A1 (en) * 2016-05-25 2017-11-29 OCE Holding B.V. Document processing system
CA3123175A1 (en) * 2018-12-13 2020-06-18 10757969 Canada Corporation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ircraft systems
US20230073270A1 (en) * 2018-12-13 2023-03-09 10757969 Canada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utonomous systems
US11989965B2 (en) 2020-06-24 2024-05-21 AR & NS Investment, LLC Cross-correlation system and method for spatial detection using a network of RF repeaters
US11177872B1 (en) * 2020-06-24 2021-11-16 AR & NS Investment, LLC Managing a network of radio frequency (RF) repeater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0313A1 (en) 2001-08-21 2003-02-27 Hogan William Damia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area updating in cellular communications
US20070126573A1 (en) 2005-12-07 2007-06-07 Brian Valania First responder localiz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8598A (en) * 1996-12-17 2000-07-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reetings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6549625B1 (en) 1999-06-24 2003-04-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 database
US7487112B2 (en) * 2000-06-29 2009-02-03 Barnes Jr Melvin L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US6836667B1 (en) 2000-09-19 2004-12-2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location-based messages
JP2002162246A (ja) * 2000-11-24 2002-06-07 Japan Steel Works Ltd:The 経路案内システム
US6847823B2 (en) * 2000-12-20 2005-01-25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local services with a mobile terminal
US6944679B2 (en) 2000-12-22 2005-09-13 Microsoft Corp. Context-aware systems and methods, location-aware systems and methods, context-aware vehicl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and location-aware vehicl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437295B2 (en) 2001-04-27 2008-10-14 Accenture L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r a location-based services system
US20030040272A1 (en) * 2001-08-24 2003-02-27 Charles Lelievre Location-based selection of radio content sources
US20030120826A1 (en) * 2001-12-20 2003-06-26 Amir Shay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 communication platform for the telematics domain using a distribution of network objects
US7551930B2 (en) * 2002-05-06 2009-06-23 Nokia Corporation Location-based services for mobile stations using short range wireless technology
US8611919B2 (en) * 2002-05-23 2013-12-17 Wounder Gmbh.,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DE10228103A1 (de) 2002-06-24 2004-01-15 Bayer Cropscience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US6961310B2 (en) * 2002-08-08 2005-11-01 Joseph Bibb Cain Multiple path reactive routing in a mobile ad hoc network
WO2004019632A1 (en) 2002-08-08 2004-03-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40224702A1 (en) * 2003-05-09 2004-11-11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in the delivery of location information
EP1517564A1 (fr) 2003-09-17 2005-03-23 Nagracard S.A. Système et méthode de provision de services localisés vers un terminal sans fil
US7194273B2 (en) * 2004-02-12 2007-03-20 Lucent Technologies Inc. Location based service restrictions for mobile applications
RU2346996C2 (ru) 2004-06-29 2009-02-20 ЮРОПИЭН НИКЕЛЬ ПиЭлСи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выщелачивание основных металлов
DE102004038588A1 (de) * 2004-08-06 2006-03-16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Diensten verschiedener Diensteanbieter und zentrale, rechnerbasierte Plattform zur Durchfü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US7271702B2 (en) * 2004-09-23 2007-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correlation of sensed environmental attributes with entities
US7668146B2 (en) * 2004-12-20 2010-02-23 Connectivities Llc Internet-oriented ad-hoc network
US20060142027A1 (en) * 2004-12-29 2006-06-29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enhanced location-based services for mobile users
US7627123B2 (en) * 2005-02-07 2009-12-01 Juniper Networks, Inc. Wireless network having multiple security interfaces
WO2006130845A2 (en) 2005-06-02 2006-12-07 Synematics, Inc. Method and application for conducting real-time location-based distributed search
EP1736793A1 (en) 2005-06-17 2006-12-27 Fondazione Torino Wireless A local positioning system and a method of estimating a position of a mobile wireless unit in a localized area
US20070124395A1 (en) 2005-09-22 2007-05-31 Stephen Edge Geography-based filtering of broadcasts
WO2007070505A2 (en) * 2005-12-13 2007-06-21 Squareloop,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location managed message processing
US7787887B2 (en) 2005-12-26 2010-08-31 Infosys Technolologies Ltd.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via wireless networks
US7672678B2 (en) 2006-03-29 2010-03-02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based communication system
TW200801513A (en) 2006-06-29 2008-01-01 Fermiscan Australia Pty Ltd Improved process
WO2008091545A2 (en) 2007-01-22 2008-07-31 Tel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rvice providers to create real-time reverse auction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US7826498B2 (en) * 2007-01-24 2010-11-0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8165087B2 (en) * 2007-06-30 2012-04-24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 context service handoff
CN101447910B (zh) * 2007-11-26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布式网络存储控制方法、装置和分发系统
CN101222283B (zh) 2007-11-29 2010-10-13 北京航空航天大学 基于用户位置实时播报交通信息的网络电台系统
KR100945658B1 (ko) 2007-12-06 2010-03-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기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14647B1 (ko) * 2008-01-24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0313A1 (en) 2001-08-21 2003-02-27 Hogan William Damia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area updating in cellular communications
US20070126573A1 (en) 2005-12-07 2007-06-07 Brian Valania First responder localiz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4007A (ja) 2013-04-22
CN102656865B (zh) 2015-08-19
WO2011072074A1 (en) 2011-06-16
TW201141295A (en) 2011-11-16
JP5636437B2 (ja) 2014-12-03
US20110136503A1 (en) 2011-06-09
CN102656865A (zh) 2012-09-05
KR20120103693A (ko) 2012-09-19
EP2510673A1 (en) 2012-10-17
US8437773B2 (en)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139B1 (ko) 위치 기반 시스템들을 위한 계층적 정보 배포
US20190053303A1 (en) Cloud phone notifications
US9654960B2 (en) Server-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KR101553493B1 (ko) 예상되는 루트에 기초한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무선 송신기 알마낙 정보 제공
KR101496060B1 (ko) 이동국들에 포지션 어시스턴스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N105191261B (zh) 对等系统中的内容管理
KR101523862B1 (ko) 대략적인 로케이션에 기초한 실내 로케이션 콘텍스트 식별자의 발견을 위한 방법
US20160007184A1 (en) Identifying computer devices in proximity to a given origin
US8164515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locate a wireless device
US20160381510A1 (en) Method of locating a mobile device and a cloud computer system employing same
KR20120132697A (ko) 기지국 위성력을 이동국에 제공하기
US20150045070A1 (en) Provid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to mobile stations
JP6182060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US8891444B2 (en) Distributed geospatial communications system
JP6164282B2 (ja) データ共有システム
KR1022353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JP2008059350A (ja) 通信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