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776B1 -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 - Google Patents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776B1
KR102054776B1 KR1020140167779A KR20140167779A KR102054776B1 KR 102054776 B1 KR102054776 B1 KR 102054776B1 KR 1020140167779 A KR1020140167779 A KR 1020140167779A KR 20140167779 A KR20140167779 A KR 20140167779A KR 102054776 B1 KR102054776 B1 KR 10205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interest
mo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901A (ko
Inventor
김지훈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7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와 동작 인식 기술을 접목하여, 기 설정된 동작의 인식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되, 네트워크 또는 지리 상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동작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입력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을 추출하는 위치 관리 서버와, 다수의 관심 지점 및 상기 다수의 관심 지점에 대응하여 동작 정보가 저장된 동작 DB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서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동작 DB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동작 매핑 서버와, 다수의 동작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에서 추출한 동작 DB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동작 관리 서버와,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 위치-동작 매핑 서버, 및 동작 관리 서버를 통해 추출된 관심 지점 및 그의 동작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고, 단말은 상기 관심 지점별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인식을 수행하고, 동작 인식 결과를 반영하여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motion recognition and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동작의 인식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되, 네트워크 또는 지리 상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개방형 OS를 탑재함으로써, 휴대전화에 PC의 고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폰(Smart Phone)이 대중화되면서, 고기능, 고성능의 스마트폰의 활용 방향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초소형 제작 기술의 발달과 함께 첨단 센서들이 더욱 소형화되고 저렴해지면서 스마트폰에 더 많은 센서들이 탑재될 수 있으며, 이에 증강현실이나 3D 게임 등과 같이 이러한 센서들을 활용한 지능형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센서들이 단순히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장치에서 사용자의 신체 변화, 감정상태까지 고려하는 지능형 센서로서 진화하여 인간과 감성을 교감할 수 있는 핵심 매개체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서, 센서들을 활용한 지능형 애플리케이션들은 더 많이 증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센서로서, 카메라(이미지) 센서, 음향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중력 센서, GPS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카메라(이미지) 센서는, 빛을 감지해 그 세기의 정도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해 주는 센서로, 얼굴 인식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음향센서는, 물리적인 소리를 공기 압력의 변화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로서, 음성인식 기반의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으며, 근접센서는, 기계적인 접촉에 의한 검출방식이 아니라 검출체가 가까이 근접했을 때 검출 대상물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무첩촉 방식의 검출 센서로서, 보통 통화를 위해 스마트폰을 얼굴에 가까이 가져가거나 주머니 등에 넣는 경우 화면이 자동으로 꺼지게끔 하는 기능 등에 활용된다.
그리고, 조도센서는,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통상 모바일 단말의 전력소모량을 줄이고 눈의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밝은 곳에서는 화면 조도를 높이고 어두운 곳에서는 낮추도록 설정하는데 이용되고, 중력센서는, 중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 지를 탐지해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방향(가로, 세로)을 판단해 스크린의 방향을 자동으로 보정해 주는 역할 등에 사용된다.
또한, GPS센서는 위성위치 확인 시스템을 통해 물체의 시간 및 위치 정보 수집이 가능한 센서로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 활용되고, 가속도 센서는, 단위시간당 물체 속도의 변화, 충격 등 동적 힘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최근에는 MEMS 기술을 적용한 3축 가속도 센서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기울기 변화, 흔들림 등 물체 움직임까지도 감지가 가능해졌으며, 지자기 센서는, 지구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각을 탐지하는 센서이고, 자이로 센서는, 물체의 관성력을 전기신호로 검출하며, 주로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높이와 회전, 기울기 등을 직접 감지할 수 있어 3축 가속도 센서와 연계할 경우, 보다 정교한 동작 인식이 가능하다.
아울러, 스마트폰과 같은 최근의 사용자 단말에는, GPS와 같이 실내 및/또는 실외에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위 기능도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어, 이러한 측위 기능을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위치 기반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은 휴대가 가능한 것으로서, 정지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이동 중이거나 다른 활동을 수행하는 중에도 사용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실행되는 것보다는 사용자의 의도나 상황을 완전히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서비스의 경우, 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연동 서비스 제공이 어려움이 발생하며, 이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이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음성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안되었으나, 간단한 단어의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 별로 차별화된 적절한 키워드 지정이 어려울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 음성 인식 성능이 떨어지므로, 모든 관심 지점에 대해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실내외 구분없는 인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동작 인식 기술을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동작 인식 기술을 위치 기반 서비스와 접목 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별로 각각의 관심 지점에서 제공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 맞추어 인식 대상이 될 다양한 동작 정보를 설정함은 물론이고, 관심 지점의 변경에 맞추어 각각 매핑되는 동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99115호, 2005년 10월 13일 (명칭: 음성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위치 기반 서비스와 동작 인식 기술을 접목하여, 기 설정된 동작의 인식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되, 네트워크 또는 지리 상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동작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입력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을 추출하는 위치 관리 서버; 다수의 관심 지점 및 상기 다수의 관심 지점에 대응하여 동작 정보가 저장된 동작 DB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서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동작 DB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동작 매핑 서버; 다수의 동작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에서 추출한 동작 DB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동작 관리 서버;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 위치-동작 매핑 서버, 및 동작 관리 서버를 통해 추출된 관심 지점 및 그의 동작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는,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한 관심 지점 식별 정보와, 상기 추출된 동작 DB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식별 정보를 매핑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리스트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에서 생성된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동작 관리 서버로부터 추출된 동작 정보를 관심 지점 식별 정보별로 취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동작 정보는 하나 이상의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동작 인식 조건을 정의하는 상세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다수의 관심 지점별로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더 추출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의 서비스 정보를 관심 지점 식별 정보별로 취합하여 상기 단말로 더 전송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단말의 움직임에 의해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물리적인 변화를 센싱 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측위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동작 인식을 수행하되, 상기 측위부에서 측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한 동작정보를 수신하고, 특정 관심 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특정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동작 인식을 수행하고,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한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정보는, 하나 이상의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동작 인식 조건을 정의하는 상세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관리 서버(140)에 접근하여, 상기 동작 인식 조건을 정의하는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혹은 지리적 위치 정보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다수의 관심 지점별로 각각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할 동작을 설정하고, 동작 인식을 통해 상기 설정된 동작이 인식되면, 연동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별로 각각의 관심 지점에서 제공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 맞추어 인식 대상이 될 다양한 동작 정보를 설정함은 물론이고, 관심 지점의 변경에 맞추어 각각 매핑되는 동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관심 지점을 관리하는 위치 관리 서버와, 동작 정보를 관리하는 동작 관리 서버와, 관심 지점과 동작 정보를 매핑시키는 위치-동작 매핑 서버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관심 지점 및 동작 정보의 관리 및 이들의 매핑을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동작 매핑 서버에서 관리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동작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액세스망(200)을 통해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300)과 통신하여, 상기 단말(300)의 네트워크 혹은 지리적 위치 정보에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관심 지점 및 상기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되는 동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단말(30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주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와 통신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될 관심 지점 및 그 관심 지점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될 동작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한 관심 지점 및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한 관심 지점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해당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 및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적용될 동작 정보를 출력하고, 동작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이 인식되면, 그 인식 결과에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망(200)은 상기 단말(300)이 접속한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말(300)과 연결되어 단말(300)에 무선 통신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된 무선 통신 자원을 통해서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역으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망(200)은 인터넷, 이동통신 코어망 등의 다른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세스망(200)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서 상기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Wi-Fi AP(Access Point), Node B/eNode B와 같은 기지국 장치, 펨토셀(Femto Cell)과 같은 무선 통신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i-Fi AP는 유무선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IEEE802.11 기반 무선랜 기술에 따라서 단말(300)과 통신하여, 상기 단말(300)과 상기 유무선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을 연결한다.
상기 Node B/eNode B와 같은 기지국 장치는 W-CDMA, LTE, LTE-A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과 단말(300)을 연결하는 무선 통신 설비로서, 대략 수 Km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300)을 인식하여 등록하고, 상기 단말(300)과 이동통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펨토셀은 초소형 이동통신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인터넷 등과 같은 IP 망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어, 대략 10m이내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단말(300)을 인식하고, 상기 단말(300)을 상기 이동통신시스템과 연결한다.
상기 단말(300)은 상술한 Wi-Fi AP(Access Point), Node B/eNode B와 같은 기지국 장치, 펨토셀(Femto Cell)과 같은 무선 통신 장비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게이트웨이 서버(110)와, 위치 관리 서버(120)와,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와, 동작 관리 서버(14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게이트웨이 서버(110)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대한 트래픽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단말(300)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종류에 따라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와,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와, 동작 관리 서버(140)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고, 아울러,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와,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와, 동작 관리 서버(14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포맷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단말(300)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단말(300)의 위치 정보로서, 이동통신망의 셀 ID, 위도, 경도, 고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b) 및 (c)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단말(300)로 전송되는 데이터로서, 관심 지점 및 상기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2의 (b)는 관심 지점과 매핑된 동작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해당 데이터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Type 0)와, 관심 지점 식별 정보(POI ID) 및 해당 관심 지점에 매핑된 동작 정보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식별 정보(DB ID Arrylis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 2의 (c)는 관심 지점의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서, 해당 데이터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Type 1)와, 관심 지점 식별 정보(POI ID) 및 대응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로 접근하기 위한 경로 정보(URL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100)는 단말(100)로부터 도 2의 (a)와 같은 위치 정보가 실린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위치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와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와 동작 관리 서버(14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도 2의 (b) 및 (c)와 같은 데이터 포맷으로 관심 지점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3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될 관심 지점(POI) 리스트 및 각 관심 지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는, 해당 관심 지점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정보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관리 서버(120)에서 관리되는 관심 지점 및 서비스 정보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등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지점 식별 정보(POI ID) 별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영역 정보는, 해당 관심 지점의 서비스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좌표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영역은, 실제 관심 지점의 위치 정보가 아닌,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관심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 이내의 좌표 정보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지점 식별 정보(POI ID)에 대응하는 위치 관련 서비스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상기 위치 관련 서비스 정보는, 상기 관심 지점에 대한 장소 명, 관심 지점의 좌표 정보로서, 위도/경도/고도 정보, 및 상기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로 접근하기 위한 경로 정보(URL)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는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상기 도 3의 (a)와 같이 등록된 관심 지점별 서비스 영역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위치 정보가 속하는 서비스 영역, 즉, 단말(300)이 접근하는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한 관심 지점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이렇게 추출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식별 정보를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는 도 3의 (b)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도 3의 (c)와 같은 형식으로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110)이를 단말(300)로 전달한다. 이에, 단말(300)은 자신의 위치와 관련된 관심 지점 및 해당 관심 지점의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는, 관심 지점과 각 관심 지점의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될 동작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지점 식별 정보(POI ID) 별로,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정보(DB ID, DB 서버 ID)를 등록하여 관리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추출하여 동작 관리 서버(140)로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는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식별 정보와 추출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매핑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핑 리스트를 게이트웨이(110)의 요청에 따라서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동작 관리 서버(140)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될 다양한 동작 정보들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서버로서, 각 동작별 인식 기준이 되는 하나 이상의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동작 정의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동작 정의 정보는, 예를 들어, 각 동작의 회전 각도, 동작 시간, 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동작 관리 서버(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동작 정보를 하나 이상의 DB 서버를 통해 관리하되, 각 동작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식별 정보를 구분하여 관리한다. 즉, 각 동작 별로 데이터베이스 식별정보(DB ID)를 지정하고, 이에 해당 동작 정보가 저장된 경로 정보(서버 디렉터리 경로)를 매핑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상기 동작 관리 서버(130)는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에서 추출된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데이베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 즉, 서버 디렉터리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취합한 후,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11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상세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100)은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측정된 위치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110)로 전송한다(S105).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통상의 위치 측정 기술,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나, 실내 측위 기술(In-door Positioning) 등과 같은 다양한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는 도 2의 (a)와 같은 데이터 포맷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110)는 단말(300)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우선 위치 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S110).
이에 위치 관리 서버(120)는, 도 3의 (a)와 같은 서비스 영역 정보를 관리하는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300)의 위치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관심 지점(POI) 리스트를 생성한다(S115). 이때, 상기 위치 관리 서버(120)는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도 3의 (b)와 같은 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는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관심 지점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동작 정보가 저장된 동작 DB(예를 들어, DB ID)를 확인하고(S125), 확인된 동작 DB 정보를 동작 관리 서버(140)로 전송한다(S130). 아울러,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는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동작 DB 정보를 매핑한 리스트를 생성한다(S135).
그리고, 상기 동작 관리 서버(140)는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에서 확인된 동작 DB에 매핑된 동작 정보(서버 디렉터리 경로 정보)를 추출하여, 동작 정보 파일을 생성하고(S140), 이를 게이트웨이 서버(110)로 전송한다(S145).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110)는, 상기 위치 동작 매핑 서버(130)에 요청하여, 추출된 관심 지점 식별 정보들과 매핑된 동작 DB 정보의 리스트를 수신하고(S150, S155), 이렇게 수신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상기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별 서비스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별로 적용되는 동작 정보를 구성하여 단말(300)로 전송한다(S160). 이때, 단말(3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도 2의 (b) 및 (c)와 같은 데이터 포맷을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110)는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매핑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동작 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동작 정보에 매핑된 관심 지점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관심 지점 식별 정보와 상기 동작 정보를 매핑하여 도 2의 (b)와 같은 형태로 단말(300)에 전송하고, 더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식별 정보별 서비스 정보를 위치 관리 서버(120)로부터 획득하여, 도 2의 (c)와 같은 형태로 관심 지점별 서비스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300)은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별 서비스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저장하고(S165), 이를 측정된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중 특정 관심 지점에 근접하면, 상기 관심 지점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고, 아울러, 상기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인식을 수행하여,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연동 서비스를 수행한다(S170). 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300)은, 상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된 서버 디렉토리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동작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해당 동작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동작 정보를 기준 정보로 하여 동작 인식을 수행한다. 그리고, 동작 인식 결과, 상기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이 인식되면, 연동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도 6에 기재된 과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하나 이상의 서버에 의해서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300)은, 센서부(310)와, 통신부(320)와, 측위부(330)와, 출력부(340)와, 저장부(35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310)는 단말(300)의 움직임에 의해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물리적인 변화를 센싱 값으로 출력하는 수단이다. 상기 센서부(310)는 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관성센서뿐만 아니라,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움직임과 관련된 물리적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는 더 다양한 종류의 센서도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320)는 상기 액세스망(200)에 접속하여, 상기 액세스망(200)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통신부(320)는 액세스망(200)의 통신 방식에 맞추어 동작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부(320)는 상기 액세스망(200)을 통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목적지 혹은 출발지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측위부(330)는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GPS, 실내 측위 기술 등을 통해서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단말(3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동작 인식 결과 혹은 위치 기반 서비스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단말(300)의 동작 실행에 필요하거나 동작 실행 결과로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350)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별 서비스 정보(351) 및 동작 정보(352)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정보(351)는 관심 지점 식별 정보에 매핑된 서비스 경로 정보(URL)일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정보(352)는 관심 지점 식별 정보에 매핑된 동작 DB 정보(DB I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60)는 상기 단말(3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저장부(3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로딩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소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60)는 동작 인식 모듈(3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인식 모듈(361)은 센서부(310)를 통해 감지된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연산하여 단말(300)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동작 정보(352)와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 정보가 동작 정보(352)에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면, 상기 동작 정보(352)에 정의된 동작이 인식된 것으로 판단한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360)는 이러한 동작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측위부(330)를 통해 측정된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110)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110)로부터 현재 위치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한 서비스 정보(351) 및 동작 정보(352)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측위부(330)를 통해 측정된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 중 특정 관심 지점에 근접하며, 상기 특정 관심 지점에 매핑된 동작 정보를 기준으로 동작 인식을 수행한다. 즉, 상기 특정 관심 지점에 매핑된 동작 정보(352)와 센서부(310)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기반으로 산출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동작 정보(352)에 대응하는 동작인식이 수행되면, 이를 기반으로 상기 관심 지점에 대응하여 설정된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동작 정보(352)로서 하나 이상 동작 DB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게이트웨이 서버(110)에 접근하여, 상기 하나 이상 동작 DB에 저장된 상세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혹은 지리적 위치 정보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다수의 관심 지점별로 각각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할 동작을 설정하고, 동작 인식을 통해 상기 설정된 동작이 인식되면, 연동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별로 각각의 관심 지점에서 제공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 맞추어 인식 대상이 될 다양한 동작 정보를 설정함은 물론이고, 관심 지점의 변경에 맞추어 각각 매핑되는 동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관심 지점을 관리하는 위치 관리 서버와, 동작 정보를 관리하는 동작 관리 서버와, 관심 지점과 동작 정보를 매핑시키는 위치-동작 매핑 서버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관심 지점 및 동작 정보의 관리 및 이들의 매핑을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게이트웨이 서버
120: 위치 관리 서버
130: 위치-동작 매핑 서버
140: 동작 관리 서버
200: 액세스망
300: 단말

Claims (7)

  1. 입력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을 추출하는 위치 관리 서버;
    다수의 관심 지점, 상기 다수의 관심 지점에서의 단말의 동작 및 상기 단말의 동작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정의하는 동작 정보가 저장된 동작 DB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서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동작 DB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동작 매핑 서버;
    다수의 동작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에서 추출한 동작 DB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동작 관리 서버;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 위치-동작 매핑 서버, 및 동작 관리 서버를 통해 추출된 관심 지점 및 그의 동작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버를 포함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는,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한 관심 지점 식별 정보와, 상기 추출된 동작 DB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식별 정보를 매핑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리스트를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위치-동작 매핑 서버에서 생성된 리스트를 기반으로, 상기 동작 관리 서버로부터 추출된 동작 정보를 관심 지점 식별 정보별로 취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하나 이상의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동작 인식 조건을 정의하는 상세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다수의 관심 지점별로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더 추출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의 서비스 정보를 관심 지점 식별 정보별로 취합하여 상기 단말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단말의 움직임에 의해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물리적인 변화를 센싱 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부;
    다수의 관심 지점, 상기 다수의 관심 지점에서의 단말의 동작 및 상기 단말의 동작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정의하는 동작 정보가 저장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측위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동작 인식을 수행하되, 상기 측위부에서 측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한 상기 동작정보를 수신하고, 특정 관심 지점에 접근하면, 상기 특정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동작 인식을 수행하고, 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서 상기 관심 지점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관심 지점에 대한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하나 이상의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동작 인식 조건을 정의하는 상세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근하여, 상기 동작 인식 조건을 정의하는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167779A 2014-11-27 2014-11-27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 KR10205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779A KR102054776B1 (ko) 2014-11-27 2014-11-27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779A KR102054776B1 (ko) 2014-11-27 2014-11-27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454A Division KR20190137758A (ko) 2019-12-05 2019-12-05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901A KR20160063901A (ko) 2016-06-07
KR102054776B1 true KR102054776B1 (ko) 2019-12-11

Family

ID=5619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779A KR102054776B1 (ko) 2014-11-27 2014-11-27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7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373B1 (ko) 2005-07-14 2012-07-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개인별 poi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8816B2 (en) * 2007-12-21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ed advertising on wireless devices based on device location and current user interests
KR101017479B1 (ko) * 2008-12-01 2011-02-25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관심지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8078152B2 (en) * 2009-08-13 2011-12-1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Venue inference using data sensed by mobile devices
US8437773B2 (en) * 2009-12-09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information dissemination for location based systems
KR101449264B1 (ko) * 2013-04-08 2014-10-13 한국과학기술원 관심 지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373B1 (ko) 2005-07-14 2012-07-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개인별 poi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901A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1773B (zh) 用于提供地图服务的电子设备和方法
CN110463165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EP2974268B1 (en) Always-on camera sampling strategies
CN104798419B (zh) 地理位置信号指纹识别
US9476717B2 (en)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by using Earth's magnetic fields
US10057725B2 (en) Sensor-based geolocation of a user device
US20130033418A1 (en) Gesture detection using proximity or light sensors
KR102109585B1 (ko) 건물 내 위치 기반 서비스 구현 방법, 저장 매체, 서버 및 전자 장치
KR20130124530A (ko) 네비게이션을 위한 카메라 인에이블 헤드셋
KR10259490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
CN105737804B (zh) 识别电子装置位置的方法、电子装置、和服务器操作方法
WO2013028359A1 (en) Logo detection for indoor positioning
CN110263611A (zh) 上下文感知定位、映射和跟踪
US11212639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20170372223A1 (en) Smart crowd-sourced automatic indoor discovery and mapping
JP6245254B2 (ja) 位置推定装置、位置推定方法、対象端末、通信方法、通信端末、記録媒体および位置推定システム
CN103354582A (zh) 一种通过传感器智能关联应用的方法及系统
CN108917766B (zh) 一种导航方法和移动终端
KR102230583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전자 장치, 서버 및 저장 매체
KR101995799B1 (ko) 상황 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소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447463B1 (ko) Rf 핑거프린트 기반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1802883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nsory environment replication
KR102054776B1 (ko)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단말
JP201509059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90137758A (ko) 동작 인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방법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