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451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451B1
KR101398451B1 KR1020120109912A KR20120109912A KR101398451B1 KR 101398451 B1 KR101398451 B1 KR 101398451B1 KR 1020120109912 A KR1020120109912 A KR 1020120109912A KR 20120109912 A KR20120109912 A KR 20120109912A KR 101398451 B1 KR101398451 B1 KR 10139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ield
imag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026A (ko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텍
Priority to KR102012010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구동부는 수평동기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의 라인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여 영상의 라인별로 라인 신호를 출력하는 라인제어부와 라인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스캔 타임과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영상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영상의 라인별로 삽입과 보상을 차등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hutter-3D 디스플레이에서는 Scan time과 shutter glasses의 ON/OFF 시간과의 차이에 의해서 좌우영상이 겹쳐 보이는 crosstalk이 발생하며, Field Sequential Color 디스플레이에서는 Scan time과 광원 ON/OFF시간과의 차이에 의해서 색상이 섞이는 color-mixing이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crosstalk을 줄이기 위해 스캔 타임을 줄이는 더블 스캔 방법과 블랙필드를 삽입하는 방법, LED 백라이트를 스캔하는 방법 등을 사용해 왔다.
더블 데이터 방식과 LED 백라이트를 스캔 방식은 시중에 판매되는 3D TV에 적용되고 있을 정도로 크로스토크 제거 효과와 나쁘지 않은 적절한 휘도를 보였다.
하지만 240Hz~480Hz까지 필요한 높은 주파수와 백라이트 (LED) 스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Field Sequential Color (FSC)구동방식은 칼라 필터나 형광체가 없는 싱글 패널에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동 방법으로써 구분된 칼라 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람 눈이 이를 합쳐진 칼라 영상으로 인식하도록 빠르게 구동하였다. 여기서 RGB 광원은 칼라영상과 동기되어 ON/OFF되도록 하여 칼라를 구현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화면에서 영상 신호를 업데이트하는 시간(스캔 시간)과 광원 ON/OFF 시간과의 차이 때문에 색상 섞임 (color-mixing)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속해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임간에 라인별로 삽입과 보상을 차등 수행함으로써, 스캔 타임과 셔터 타임과의 불일치에서 유발되는 화면 불균일을 해소하여 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구동부는 수평동기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의 라인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여 영상의 라인별로 라인 신호를 출력하는 라인제어부와 라인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스캔 타임과 shutter glasses의 셔터가 ON/OFF하는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영상제어부를 포함하고, 영상제어부는 라인 신호에 따라 영상신호에 대한 스캔 타임과 셔터가 ON/OFF하는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다음 순서의 프레임 데이터와 함께 영상의 라인별로 삽입하도록 계산하여 삽입신호를 출력하는 삽입부, 라인 신호에 따라 라인별로 만들어진 삽입신호와 원 라인 데이터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도록 계산하여 보상신호를 출력하는 보상부, 삽입신호와 보상신호를 제공받아 mux하여 mux신호를 출력하는 MUX부 및 MUX부에서 mux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의 라인별로 저장하는 라인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삽입부는 스캔 타임과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다음 순서의 프레임 데이터와 함께 영상의 라인별로 삽입하도록 계산할 수 있는 뺄셈기, 곱셈기 및 덧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상부는 라인별로 만들어진 삽입신호와 원 라인 데이터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삽입하도록 계산할 수 있는 뺄셈기와 곱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제어부는 L = 1,2,3,…,N (N= 화면에 대한 수직라인의 개수)라고 할 때, Line weight : WT = L/N, 1-WT = 1-L/N, Intensity gap : △In = In+1 - In(여기서, △In은 n 프레임과 (n+1) 프레임의 화소 밝기차이다.) Interpolation : Q(n) = Q(In, In+1, L) = In + In+1 * WT(여기서, Q(n)은 n 프레임과 (n+1) 프레임의 화소 보간값이다.) Compensaion : P(n) = P((In, Q(n-1), Q(n), L), = 2 * In - Q(n-1) * WT - Q(n) * (1-WT)(여기서, P(n)은 화소 보간의 보상값이다.) 상기와 같은 수식을 이용하여 라인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스캔 타임과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제어부는 프레임과 이웃하는 프레임간에 블랙필드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FSC 구동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은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를 포함하고, 블랙필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 중 블루필드 뒤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FSC 구동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은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를 포함하고, 블랙필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에서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 각각의 뒤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hutter-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프레임은 좌영상필드, 우영상필드를 포함하고, 블랙필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좌영상필드, 우영상필드 각각의 뒤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속해서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임간에 라인별로 삽입과 보상을 차등 수행함으로써, 스캔 타임과 셔터 타임과의 불일치를 효율적으로 해소하여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e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Shutter-3D, Field Sequential Color(FSC) 등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동한다. 이러한 구동부(130)는 라인제어부(131)와 영상제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제어부(131)는 수평동기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의 라인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여 영상의 라인별로 라인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라인제어부(131)는 라인카운터부(133)와 곱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카운터부(133)는 영상의 라인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카운터할 수 있다.
곱셈기(135)는 영상의 라인에 대한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영상제어부(151)는 라인제어부(131)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스캔 타임과 shutter glasses의 셔터가 ON/OFF하는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제어부(151)는 삽입부(153), 보상부(161), MUX부(169) 및 라인저장부(171)를 포함한다.
삽입부(153)는 라인 신호에 따라 영상신호에 대한 스캔 타임과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삽입하도록 차등 계산하여 삽입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삽입부(153)는 라인별로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다음 순서의 프레임 데이터와 함께 계산하여 색상 섞임이나 좌우영상 섞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삽입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53)는 스캔 타임과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삽입하도록 계산할 수 있는 뺄셈기(155), 곱셈기(157) 및 덧셈기(159)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161)는 라인 신호에 따라 영상신호에 대한 스캔 타임과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도록 계산하여 보상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보상부(161)는 라인별로 만들어진 삽입신호와 원 라인 데이터간의 불일치를 보정할 수 있는 보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보상부(161)는 라인별로 만들어진 삽입신호와 원 라인 데이터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보상하도록 계산할 수 있는 뺄셈기(167)와 곱셈기(163,16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곱셈기(163,16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삽입부(153)와 보상부(16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oubling Scan에서 두 번째 데이터는 라인별로 가중치가 적용된 삽입신호를 사용하고, 이러한 삽입 신호와 앞선 스캔에서 이월된 신호들을 보상하는 첫 번째 스캔 데이터를 만들도록 동작할 수 있다.
MUX부(169)는 삽입신호와 보상신호를 제공받아 mux하여 mux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MUX부(169)는 계산된 불일치되는 데이터에 따라 삽입신호와 보상신호를 동시에 mux하거나 삽입신호 또는 보상신호를 mux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라인저장부(171)는 MUX부(169)에서 mux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의 라인별로 저장한다. 이러한 라인저장부(171)는 mux신호에 의해 색상 섞임과 좌우영상 섞임을 최소화시키거나 색이 보정된 영상을 라인별로 저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영상제어부(151)는 다음과 같은 수식을 통해 라인제어부(131)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스캔 타임과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
L = 1,2,3,…,N (N= 화면에 대한 수직라인의 개수)라고 할 때,
Line weight : WT = L/N, 1-WT = 1-L/N
Intensity gap : △In = In+1 - In(여기서, △In은 n 프레임과 (n+1) 프레임의 화소 밝기차이다.)
Interpolation : Q(n) = Q(In, In+1, L) = In + In+1 * WT(여기서, Q(n)은 n 프레임과 (n+1) 프레임의 화소 보간값이다.)
Compensaion : P(n) = P((In, Q(n-1), Q(n), L), = 2 * In - Q(n-1) * WT - Q(n) * (1-WT)(여기서, P(n)은 화소 보간의 보상값이다.)
삭제
삭제
수식에 의해 영상의 라인별로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도 4에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에 의해 영상의 라인별로 다른 값을 가지는 삽입신호와 보상신호가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식을 통해 도시된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를 살펴보면, In = 50, In+1 = 150, In+2 = 50, 1라인일 경우
△In-1 = -100, △In = 100, △In+1 = -100, WT = 1/1080 = 0.001이고,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001) = 149.9이고,
Q(n) = In + △In * WT에 대입하면,
= 50 + (100)*(0.001) = 50.1
P(n) = 2 * In - Q(n-1) * WT - Q(n) * (1 - WT)에 대입하면,
= 100 - 0 - 50.1 = 49.9
Q(n) = 50.1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001) = 150.1이고,
P(n+1) = 2 * In+1 - Q(n) * WT - Q(n+1) * (1 - WT)에 대입하면,
= 300 - 0 - 150.1 = 149.9가 된다.
이에 따라, 50/50/150/150/50/50 -> (150) 50 50 (50) 150 150 (150) 50 50 (50) 150 150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b를 살펴보면, In = 50, In+1 = 150, In+2 = 50, 205라인일 경우
△In-1 = -100, △In = 100, △In+1 = -100, WT = 205/1080 = 0.2이고,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2) = 130이고,
Q(n) = In + △In * WT에 대입하면,
= 50 + (100)*(0.2) = 70
P(n) = 2 * In - Q(n-1) * WT - Q(n) * (1 - WT)에 대입하면,
= 100 - 26 - 56 = 18
Q(n) = 70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2) = 130이고,
P(n+1) = 2 * In+1 - Q(n) * WT - Q(n+1) * (1 - WT)에 대입하면,
= 300 - 14 - 104 = 182가 된다.
이에 따라, 50/50/150/150/50/50 -> (130) 18 70 (70) 182 130 (130) 18 70 (70) 182 130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c를 살펴보면, In = 50, In+1 = 150, In+2 = 50, 410라인일 경우
△In-1 = -100, △In = 100, △In+1 = -100, WT = 410/1080 = 0.4이고,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4) = 110이고,
Q(n) = In + △In * WT에 대입하면,
= 50 + (100)*(0.4) = 90
P(n) = 2 * In - Q(n-1) * WT - Q(n) * (1 - WT)에 대입하면,
= 100 - 44 - 54 = 2
Q(n) = 90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4) = 110이고,
P(n+1) = 2 * In+1 - Q(n) * WT - Q(n+1) * (1 - WT)에 대입하면,
= 300 - 36 - 66 = 198이 된다.
이에 따라, 50/50/150/150/50/50 -> (110) 2 90 (0) 198 110 (110) 2 90 (90) 198 110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d를 살펴보면, In = 50, In+1 = 150, In+2 = 50, 615라인일 경우
△In-1 = -100, △In = 100, △In+1 = -100, WT = 615/1080 = 0.6이고,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6) = 90이고,
Q(n) = In + △In * WT에 대입하면,
= 50 + (100)*(0.6) = 110
P(n) = 2 * In - Q(n-1) * WT - Q(n) * (1 - WT)에 대입하면,
= 100 - 54 - 44 = 2
Q(n) = 110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6) = 90이고,
P(n+1) = 2 * In+1 - Q(n) * WT - Q(n+1) * (1 - WT)에 대입하면,
= 300 - 66 - 36 = 198이 된다.
이에 따라, 50/50/150/150/50/50 -> (90) 2 110 (110) 198 90 (90) 2 110 (110) 198 90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e를 살펴보면, In = 50, In+1 = 150, In+2 = 50, 820라인일 경우
△In-1 = -100, △In = 100, △In+1 = -100, WT = 820/1080 = 0.8이고,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8) = 70이고,
Q(n) = In + △In * WT에 대입하면,
= 50 + (100)*(0.8) = 130
P(n) = 2 * In - Q(n-1) * WT - Q(n) * (1 - WT)에 대입하면,
= 100 - 56 - 26 = 18
Q(n) = 130
Q(n+1) = In+1 + △In+1 * WT에 대입하면,
= 150 + (100)*(0.8) = 70이고,
P(n+1) = 2 * In+1 - Q(n) * WT - Q(n+1) * (1 - WT)에 대입하면,
= 300 - 104 - 14 = 182가 된다.
이에 따라, 50/50/150/150/50/50 -> (70) 35 130 (130) 182 70 (70) 35 130 (130) 182 70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어부는 프레임과 이웃하는 프레임간에 블랙필드를 삽입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FSC(Field Sequential Color) 구동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FSC(Field Sequential Color) 구동 방식은 칼라 필터나 형광체가 없는 싱글 패널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FSC(Field Sequential Color) 구동 방식은 구분된 칼라 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람의 눈이 합쳐진 칼라 영상으로 인식하도록 빠르게 구동할 수 있다. RGB 광원은 칼라 영상과 동기되어 ON/OFF되도록 하여 칼라를 구현할 수 있다.
FSC(Field Sequential Color) 구동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B 데이터가 동시에 입력됨으로 R과 G, G와 B의 계산을 쉽게 수행할 수 있지만 B와 R은 서로 프레임이 다르기 때문에 계산이 용이하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영상제어부는 프레임과 이웃하는 프레임 간에 블랙필드를 삽입할 수 있다. 즉, 프레임이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를 포함하면, 블랙필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 중 블루필드 뒤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제어부가 블랙필드를 삽입할 경우 프레임 레이트가 조금 낮아질 수 있으나 색상 섞임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므로 프레임 간의 삽입신호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필드가 삽입될 경우에는 블랙필드의 다음 첫 칼라 필터는 블랙이 혼합됨으로 상대적으로 어두워질 수 있지만 색순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때, 다른 색상보다 밝고 C/R에 영향을 많이 주는 그린필드를 처음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랙필드 앞에 있는 색상필드는 블랙과 혼합되기 때문에 다소 낮은 값으로 셋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광원 중에서 밝기가 가장 높게 나오는 색상필드가 블랙필드 앞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광원 중에서 밝기가 가장 높게 나오는 색상필드 중 하나는 블루필드일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FSC 구동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hutter-3D 디스플레이 방식일 경우에는 프레임이 좌영상필드, 우영상필드를 포함한다.
이때, 블랙필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좌영상필드, 우영상필드 각각의 뒤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랙필드를 삽입함으로써, 전체 프레임 레이트가 저하되나, 시스템이 간편해지고 명암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버퍼를 제거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데이터가 RGB(n), RGB(n+1), RGB(n+2) 순으로 입력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Gn과 Rn을 삽입부를 통해 삽입하여 G_Q(n)을 구비하고 블랙과 G_Q(n)를 보상부를 통해 보상하여 G_P(n)을 정하고, Rn과 Bn을 삽입부를 통해 삽입하여 R_Q(n)을 구비하고 G_Q(n)과 R_Q(n)를 보상부를 통해 보상하여 R_P(n)을 정하고, Bn과 블랙을 삽입부를 통해 삽입하여 B_Q(n)을 구비하고 R_Q(n)과 B_Q(n)를 보상부를 통해 보상하여 B_P(n)을 정한다. 이때, 블랙과 Gn+1은 삽입하지 않는다.
또한, 영상제어부는 패스트 스캔 모드를 적용하여 블랙필드를 삽입하여 저하된 프레임 레이트를 개선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어부는 프레임과 이웃하는 프레임간에 블랙필드를 삽입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FSC(Field Sequential Color) 구동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일실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제어부는 프레임이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를 포함할 경우 블랙필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에서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 각각의 뒤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제어부는 블랙필드를 각 색상필드마다 삽입하기 때문에 패스트 블랙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제어부가 블랙을 패스트 블랙 스캔함으로써, 영상의 라인이 아래 라인으로 진행할수록 Selection(ON)time이 감소할 수 있다.
즉, P(n) = I(n)/(N/(N-n-1)) = I(n) * (N-0.5*(n-1))/N - (Q(n) * WT(n))
P(1) = 50/1 = 50
P(2) = 50/0.9 = 55.56
P(3) = 50/0.8 = 62.5
P(4) = 50/0.7 = 71.4
P(5) = 50/0.6 = 83.3
P(6) = 50/0.5 = 100
이와 같이 적용됨으로써, 블랙필드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프레임 레이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명암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되는 부품이 간소화되므로 부품과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디스플레이부 130: 구동부
131: 라인제어부 133: 라인카운터부
135: 곱셈기 151: 영상제어부
153: 삽입부 155: 뺄셈기
157: 곱셈기 157: 덧셈기
161: 보상부 163: 뺄셈기
165: 곱셈기 167: 곱셈기
169: MUX부 171: 라인저장부

Claims (9)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수평동기신호를 제공받아 영상의 라인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영상의 라인별로 라인 신호를 출력하는 라인제어부;와
    상기 라인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라인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스캔 타임과 shutter glasses의 셔터가 ON/OFF하는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상기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영상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제어부는
    상기 라인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상기 스캔 타임과 상기 셔터 타임 간의 상기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다음 순서의 프레임 데이터와 함께 상기 영상의 라인별로 차등 계산하여 삽입신호를 출력하는 삽입부;
    상기 라인 신호에 따라 라인별로 만들어진 상기 삽입신호와 원 라인 데이터간의 상기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상기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도록 계산하여 보상신호를 출력하는 보상부;
    상기 삽입신호와 보상신호를 제공받아 mux하여 mux신호를 출력하는 MUX부; 및
    상기 MUX부에서 상기 mux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영상의 라인별로 저장하는 라인저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스캔 타임과 상기 셔터 타임 간의 상기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다음 순서의 상기 프레임 데이터와 함께 상기 영상의 라인별로 삽입하도록 계산할 수 있는 뺄셈기, 곱셈기 및 덧셈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영상의 라인별로 만들어진 상기 삽입신호와 원 라인 데이터간의 상기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상기 영상의 라인별로 삽입하도록 계산할 수 있는 뺄셈기와 곱셈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부는
    L = 1,2,3,…,N (N= 화면에 대한 수직라인의 개수)라고 할 때
    Line weight : WT = L/N, 1-WT = 1-L/N
    Intensity gap : △In = In+1 - In(여기서, △In은 n 프레임과 (n+1) 프레임의 화소 밝기차이다.)
    Interpolation : Q(n) = Q(In, In+1, L) = In + In+1 * WT(여기서, Q(n)은 n 프레임과 (n+1) 프레임의 화소 보간값이다.)
    Compensaion : P(n) = P((In, Q(n-1), Q(n), L), = 2 * In - Q(n-1) * WT - Q(n) * (1-WT)(여기서, P(n)은 화소 보간의 보상값이다.)
    상기와 같은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라인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라인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대한 상기 스캔 타임과 상기 셔터 타임 간의 불일치되는 데이터를 상기 영상의 라인별로 보상하거나 삽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부는 프레임과 이웃하는 프레임간에 블랙필드를 삽입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필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상기 레드필드, 상기 그린필드, 상기 블루필드 중 상기 블루필드 뒤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레드필드, 그린필드, 블루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필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상기 레드필드, 상기 그린필드, 상기 블루필드에서 상기 레드필드, 상기 그린필드, 상기 블루필드 각각의 뒤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좌영상필드, 우영상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필드는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상기 좌영상필드, 상기 우영상필드 각각의 뒤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09912A 2012-10-04 2012-10-04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9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912A KR101398451B1 (ko) 2012-10-04 2012-10-04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912A KR101398451B1 (ko) 2012-10-04 2012-10-0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026A KR20140044026A (ko) 2014-04-14
KR101398451B1 true KR101398451B1 (ko) 2014-06-27

Family

ID=5065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912A KR101398451B1 (ko) 2012-10-04 2012-10-0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654B1 (ko) * 2017-05-10 2019-09-25 주식회사 라온텍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디지털 화소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295B1 (ko) 2002-12-31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에스티엔 액정 표시 장치의 멀티라인 구동 방법
WO2011092732A1 (ja) * 2010-01-26 2011-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10109405A (ko) * 2010-03-31 2011-10-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171183B1 (ko) * 2005-09-29 2012-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295B1 (ko) 2002-12-31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에스티엔 액정 표시 장치의 멀티라인 구동 방법
KR101171183B1 (ko) * 2005-09-29 2012-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1092732A1 (ja) * 2010-01-26 2011-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10109405A (ko) * 2010-03-31 2011-10-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026A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182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8988453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3533213B (zh) 图像信号处理装置和方法
US848260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method and program
WO2014203366A1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
US20130241947A1 (en)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4157749A1 (ko)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KR101966335B1 (ko) 표시 시스템의 3차원 영상표시방법 및 3차원 영상 표시 시스템
JP2011244079A (ja) 立体映像制御装置及び立体映像制御方法
JP2001054142A (ja) 時分割方式による立体画像表示におけるクロストーク低減方法および装置
US20090109135A1 (en) Display apparatus
JP2011139336A (ja) 画質調整装置および画質調整方法
JP5693246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KR101382058B1 (ko) 크로스토크 보정량 평가 장치 및 크로스토크 보정량 평가 방법
KR101398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867106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1054143A (ja) 時分割方式による立体画像表示におけるクロストーク低減方法および装置
Kim et al. 18.1: Distinguished Paper: Novel TFT‐LCD Technology for Motion Blur Reduction Using 120Hz Driving with McFi
EP14608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ensating ghost images in time sequential stereoscopic images
JP4138451B2 (ja) 表示装置及び方法
JP201209503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868902B (zh) 立体图像显示装置及其方法
EP2521358B1 (en) Image Cross-talk Cancellation in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s
JP5561081B2 (ja) 画像表示装置
KR20150099643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