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110B1 - Powder fee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owder fee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110B1
KR101398110B1 KR1020120082385A KR20120082385A KR101398110B1 KR 101398110 B1 KR101398110 B1 KR 101398110B1 KR 1020120082385 A KR1020120082385 A KR 1020120082385A KR 20120082385 A KR20120082385 A KR 20120082385A KR 101398110 B1 KR101398110 B1 KR 10139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ai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or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3812A (en
Inventor
이창우
송준엽
하태호
이재학
김형준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110B1/en
Publication of KR2014001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8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을 정량씩 포집하고 분사하는 자동화된 분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된 제어부의 외측에서 회전부가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다공질필터가 결합되고 회전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말흡착구를 통해 일측에서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분말의 사용량을 간편하게 정량씩 포집하고, 타측에서는 압축공기의 배출력을 이용하여 포집된 분말을 간편하게 배출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분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powder feeder for collecting and injecting powder in a fixed amou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powder feeder for rotating a rotating part outside a fixed control part, wherein a porous filter is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The amount of powder used can be easily quantitatively collected by a vacuum suction force from one side through a plurality of powder adsorption opening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powder discharged from compressed air can be discharged continuously on the other side Lt; / RTI >

Description

분말공급장치 {Powder feeding apparatus}Powder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말을 정량씩 포집하고 분사하는 자동화된 분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에서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분말의 사용량을 간편하게 정량씩 포집하고, 타측에서는 압축공기의 배출력을 이용하여 포집된 분말을 간편하게 배출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분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powder feeder for collecting and spraying powders in a fixed amou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llecting a used amount of powders by vacuum suction force from one side, And a process of easily discharging the collected powder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소자는 반도체의 p-n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만들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소정의 빛을 발산하는 소자를 지칭한다. 상기 발광소자는 적색 발광소자, 녹색 발광소자, 및 청색 발광소자 등이 있다. 그리고 백색 발광소자는 형광체를 발광소자 칩에 배치시켜, 발광소자 칩의 1차 발광의 일부와 형광체에 의해 파장되어 변환된 2차 발광이 혼색되어 백색을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즉,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칩에 자외선에 의하여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형광체를 일정량 도포하여 백색광을 얻거나, 청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소자칩에 황록색 또는 황색을 발광하는 형광체를 일정량 분포시켜 발광소자칩의 청색 발광과 형광체의 황록색 또는 황색 발광에 의해 백색을 얻을 수 있다.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LED (light emitting diode) refers to a device that emits a predetermined light by recombining the minority carriers (electrons or holes) injected using the p-n junction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and recombining them.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red light emitting device, a green light emitting device, and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The white light emitting device has a method of disposing a phosphor on a light emitting device chip so that a part of the primary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hip is mixed with the secondary light emitted by the wavelength conversion by the phosphor to emit white light. That is, a certain amount of a fluorescent material that emits visible light by ultraviolet light is applied to a light emitting device chip that emits ultraviolet light to obtain a white light, or a fluorescent material that emits yellowish green or yellow light is distributed to a light emitting device chip that emits blue light, White light can be obtained by the blue light emission of the phosphor and the yellow-green or yellow light emission of the phosphor.

이때, 일반적으로 일정량의 형광체를 발광소자칩에 배치시켜 백색광을 구현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청색 발광소자칩과 황록색 또는 황색 형광체를 이용하여 백색을 구현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백색광을 구현하는 발광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 발광소자칩에 형광체 분말을 도포하거나 형광체 분말을 액상의 수지에 혼합한다.In this case, a method of realizing white light by disposing a certain amount of phosphors on a light emitting device chip is generally used. In particular, a method of realizing white light by using a blue light emitting device chip and a yellow-green or yellow phosphor is most widely used. Conventionally, a phosphor powder is applied to a light emitting element chip or a phosphor powder is mixed with a liquid resin in order to manufacture a light emitting element that implements white light.

그리고 사용량을 정량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형광체 분말이 담겨진 용기로부터 스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저울에 올려진 용기에 형광체 분말을 투입하여 측정하는 측정량과 형광체 분말의 사용량을 비교하여 정량을 조절한다. 그러나 형광체 분말을 스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일일이 투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스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대략적으로 정량을 조절해야만 하기 때문에 정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형광체 분말의 사용량을 측정하는데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As a metho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amount of usage, a user inserts a phosphor powder into a container placed on a balance using a tool such as a spoon from a container containing the phosphor powder, and then uses the measured amount of the phosphor powder to compare .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the phosphor powder because the amount of the phosphor powder must be adjusted by using a tool such as a spoon or the like. In addition, it takes much time to measure the amount of phosphor powder used.

이와 같이 분말의 사용량을 측정하는데 과다하게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정량의 분말을 수용하는 기준 틀을 형성하고 상기 기준틀에 정량의 분말이 채워지면 상기 기준틀의 일측이 개방되어 분말을 배출시키는 단속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형광체 분말의 사용량은 0.3mg 정도의 미량일 수 있다. 분말이 미량일 경우 기준틀은 매우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분말을 가압하지 않으면 분말이 기준틀에 잘 유입되지 않고, 기준틀에서 잘 배출되지도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연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분말을 가압하여 기준틀에 유입시키거나 기준틀로부터 배출시키게 되면 분말과 기준틀의 상대운동에 의해 기준틀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 method for reducing the excessive time require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der to be used, a reference frame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der is forme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der is filled in the reference frame, one side of the reference frame is opened, There is an intermittent method. However, the amount of the phosphor powder used may be as small as about 0.3 mg. When the powder is in a minute amount, the reference frame is formed to be very small. Therefore, if the powder is not pressurized, the powder does not flow well into the reference frame and is not discharged well from the reference frame. In addition, when the powder is pressurized and introduced into the reference frame or discharged from the reference frame, the reference frame wears due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owder and the reference frame.

또한, 둘레면 일측으로 분말이 유입되고 둘레면 타측으로 분말이 배출되는 원통형 형상의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를 분말의 사용량만큼 수용할 수 있는 여러개의 구간으로 나누며 회전가능한 스크류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분말이 정량 배출되는 연속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분말의 사용량이 미량일 경우 오차가 크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으며, 상기 스크류가 회전되면서 미세한 입자의 분말이 스크류와 용기 내주면 사이에 끼이게 되어 분말과 스크류 및 용기의 상대운동에 의해 스크류 및 용기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rotatable screw, which is divided into a cylindrical shaped container into which the powder flows into one side of the peripheral surface and a powder discharg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peripher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sections which can accommodat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y the used amount of powder, There is a continuous method in which the powder is discharged in a fixed amount. However, when the amount of powder used is too small, it is not suitable because of a large error. When the screw is rotated, fine powder particles are trapped between the screw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screw and the container are worn out.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KR 10-2007-0088639)인 복합필터로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A related art related to this 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88639, which discloses a composite filter r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 10-2007-0088639 A (2007.08.29.)KR 10-2007-0088639 A (2007.08.2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의 사용량을 간편하게 정량씩 포집하고, 포집된 분말을 간편하게 배출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서 분말과 부품의 상대운동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분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llecting a used amount of powder easily,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wear caused by the powd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말공급장치는,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라인(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배출라인(122)과 각각 연결되도록 외주면에 삽입홈(127)이 형성되는 제어부(120); 상기 제어부(120)의 삽입홈(127)들에 각각 삽입되어 삽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측이 개방되고 측면에 상기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배출라인(122)과 각각 연결되도록 연통공(181)이 형성되는 커넥터(180); 상기 제어부(120)의 외측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180)의 바깥쪽면이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기흡배출홀(140)이 형성되는 회전부(130); 상기 회전부(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분말흡착구(151)가 형성되는 분말흡착판(150); 및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상기 분말흡착구(151)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공기흡배출홀(140)을 통해 흡배출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다공질필터(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der supply device including: a first air suction line (121)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er (110) and sucks air therein; A control unit 1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127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 intake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grooves 127 of the control unit 1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insertion direction, A connector 180 in which a communication hole 181 is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80; A plurality of air intake / exhaust holes 14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18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ler 180 (130); A powder adsorption plate (150),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unit (130) and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and has a plurality of powder adsorption holes (151) 150); A porous filter 160 interposed between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and the powder adsorption orifice 151 to pass air sucked /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120)의 제1공기흡입라인(121)과 연결되는 삽입홈(127)은 원주방향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180)는 상기 삽입홈(12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ertion slot 127 connected to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of the controller 120 is formed in a fan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nnector 18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lot 127 Is formed.

또한, 상기 커넥터(180)의 하측에는 탄성수단(19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n elastic means 190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or 18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180.

또한, 상기 삽입홈(127)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수단(190)의 일측이 삽입되는 안치홈(1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n insertion groove 128 into which one side of the elastic means 190 is inserted is formed below the insertion groove 127.

또한, 상기 분말수집장치(100)는, 상기 분말흡착판(150)의 외주면 일측에 접하여 상기 분말흡착판(150)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는 블레이드(171)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말제거블록(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der collect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owder removing block 170 that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and in which a blade 171 for removing powder attached to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is replaceably coupled ). ≪ / RTI >

또한, 상기 공기흡배출홀(140)은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중공나사(141)가 결합되고, 상기 중공나사(141)는 상기 다공질필터(160)를 분말흡착판(150)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suction / discharge hole 140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ring-shaped hollow screw 141 having a mal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hollow screw 141 connects the porous filter 160 to the powder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sorption plate (150).

또한, 상기 중공나사(141)는 상기 분말흡착구(151)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ollow screw 141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본 발명의 분말공급장치는,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분말의 사용량을 간편하게 정량씩 분말흡착구에 포집하고, 공기배출라인의 압축공기 배출력을 이용하여 분말흡착구에 포집된 분말을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량오차에 기인하는 품질저하를 방지하고, 분말의 정량 계량에 소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llect the amount of powder used by the vacuum suction force in the powder adsorbing port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can easily discharge the powder collected in the powder adsorption port by using the compressed air discharge output of the air discharge li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the quantitative error can be prevented and the time spent i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powder can be reduced.

또한, 복수개가 형성된 분말흡착구가 회전되면서 제1공기흡입라인 및 공기배출라인을 교차하기 때문에 분말을 포집하고 분사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of collecting and spraying the powder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because the plurality of powder adsorption ports cross the first air suction line and the air discharge line while being rotated.

또한, 제어부의 외주면과 회전부의 내주면이 접촉되지 않고 접촉 면적이 적은 밀착부가 회전부의 내면에 접촉되므로, 마찰이 적고 분말의 협착으로 인한 회전부의 회전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ortion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ntact portion having a small contact are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friction is small and rotation failure of the rotating portion due to stagnation of the powder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분말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면 및 우측면을 자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및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의 공기흡배출홀 및 중공나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제거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front and right sides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unit and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engagement of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and the hollow screw of the rotar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der remov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분말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wder suppl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분말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이다.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wd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말공급장치(100)는, 상기 지지대(110)의 일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라인(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배출라인(122)과 각각 연결되도록 외주면에 삽입홈(127)이 형성되는 제어부(120); 상기 제어부(120)의 삽입홈(127)들에 각각 삽입되어 삽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측이 개방되고 측면에 상기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배출라인(122)과 각각 연결되도록 연통공(181)이 형성되는 커넥터(180); 상기 제어부(120)의 외측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180)의 바깥쪽면이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기흡배출홀(140)이 형성되는 회전부(130); 상기 회전부(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분말흡착구(151)가 형성되는 분말흡착판(150); 및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상기 분말흡착구(151)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공기흡배출홀(140)을 통해 흡배출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다공질필터(1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wder suppl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ir suction line 121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110 and sucks air therein, and an air discharge line 122 A control unit 1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127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grooves 127 of the control unit 1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insertion direction, A connector 180 in which a communication hole 181 is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80; A plurality of air intake / exhaust holes 14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18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ler 180 (130); A powder adsorption plate (150),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unit (130) and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and has a plurality of powder adsorption holes (151) 150); A porous filter 160 interposed between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and the powder adsorption orifice 151 to pass air sucked /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

우선, 본 발명의 분말공급장치(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면과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110)가 구비되며,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owder fee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110 fixedly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paper surface,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여기에 상기 지지대(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제어부(120)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의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라인(121)과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라인(12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의 외주면에 삽입홈(127)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27)은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배출라인(122)과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127)은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base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air suction line 121 for sucking air and an air discharge line 122 for discharging air are formed in the control unit 1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nsertion groove 127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unit 120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127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insertion groove 127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nd a circular shape.

상기 커넥터(18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삽입홈(127)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삽입홈(127)에 삽입되어 삽입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80)는 삽입홈(127)에 미세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이동은 가능하면서 진공 또는 가압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80)는 상측이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제1공기흡입라인(121) 또는 공기배출라인(122)과 연결되는 측면에 연통공(181)이 형성되어 커넥터(18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The connector 18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27 as shown in FIGS. 2 to 4,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7 to be smoothly mov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nnector 18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127 with a minute gap, so that vacuum or pressurized air is not leaked while being movable. A connector 18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18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180 is open and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180 is opened. The communication hole 181 is formed on a side of the connector 180,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180).

그리고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지지대(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130)는 제어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130)의 회전축(131)은 연장 형성되어 제어부(120)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축(131)에 복수개의 베어링(132)이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132)은 내륜이 상기 회전축(13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132)의 외륜이 상기 제어부(12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rotation unit 1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ase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 unit 130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rol unit 120 and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rotation axis 131 of the rotation unit 130 is extended and inserted into the control unit 120. A plurality of bearings 132 ar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31. The bearings 132 ar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131 and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s 132 is coupled to the control unit 120, As shown in Fig.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도 2는 도 3의 AA'방향 및 BB'방향 단면을 나타내며, 상기 회전부(130)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다수개의 공기흡배출홀(14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배출홀(140)은 상기 회전부(130)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BB' of FIG. 3, and the rotation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air intake and exhaust holes 140 communicat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air intake and exhaust holes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130.

그리하여 상기 커넥터(180)의 바깥쪽면(외주면)이 상기 회전부(13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커넥터(180)가 연통된다. 그러므로 상기 커넥터(180)는 마찰이 적고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과 흑연의 복합 재질인 오일리스 부쉬 등을 가공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Thus, the outer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18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130, so that the air intake / exhaust hole 140 and the connector 18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or 180 is formed of a material which is low in friction and can maintain a sufficient strength, and may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an oilless bush or the like, which is a composite material of metal and graphite.

그리고 상기 회전부(130)는 둘레면에 분말흡착판(150)이 결합되어, 상기 분말흡착판(150)은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분말흡착판(150)은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통하는 다수개의 분말흡착구(151)가 형성되며, 상기 분말흡착구(151)는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연통되도록 상기 분말흡착판(150)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분말흡착구(151)는 용도에 따라 미량의 분말을 흡배출하기 위해 Φ0.5, 깊이 1mm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unit 130 so that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air intake and exhaust hole 140. A plurality of powder adsorption holes 151 are formed in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The powder adsorption holes 151 communicate with the air suction / 15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owder adsorption tool 151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0.5 mm and a depth of 1 mm to suck and discharge a small amount of powder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상기 분말흡착구(151) 사이에는 다공질 필터(160)가 개재된다. 상기 다공질 필터(160)는 상기 분말흡착판(150)에 흡착되는 분말의 크기보다 작은 입경을 갖는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흡배출홀(140)을 통해 흡배출되는 공기를 통과시킨다.A porous filter 160 is interposed between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and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The porous filter 160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having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powder adsorbed on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and allows the air suck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air suction and discharge holes 140 to pass therethrough.

상기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배출라인(122)은 진공펌프와 콤프레셔가 연결된다. 상기 진공펌프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관으로 제1공기흡입라인(121)과 연결되고, 콤프레셔는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관으로 공기배출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진공펌프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진공펌프의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며, 콤프레셔는 공기를 가압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압축공기탱크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are connected to a vacuum pump and a compressor. The vacuum pump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through an air suction pipe for sucking air by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compressor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line through an ai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air. The vacuum pump is now generally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vacuum pump is omitted, and the compres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tank so as to pressurize and discharge the air.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배출라인(122)의 일단은 회전되는 다수개의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교대로 연통되고 타단은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관과 연결되는 어댑터(124)가 결합된다. 상기 공기배출라인(122)은 공기흡배출홀(140)과 수직으로 형성되다가 길이방향으로 꺾여 타단이 상기 제어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서 상기 어댑터(12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어 "ㄱ"자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라인(122)은 중력의 영향으로 공기 배출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12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and 3, one end of the air discharge line 122 is connected to an adapter 124, which is alternately communicated with the plurality of air intake / discharge holes 140 to be rotat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air discharge pipe of the vacuum pump, . The air discharge line 122 is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air suction and discharge hole 140 and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line 122 extends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ler 120 It can be shaped as "a" shap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discharge line 122 is formed below the controller 120 so that the air discharge direction is not changed due to gravity.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배출홀(140)은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공기흡배출홀(140)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중공나사(14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나사(141)는 상기 다공질필터(160)를 상기 분말흡착판(150)에 밀착시킨다. 이는 상기 다공질필터(160)와 분말흡착판(150)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으로 인해 상기 분말흡착구(151)에 포집된 분말이 다공질필터(160)와 분말흡착판(150)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배출라인(122)에 의하여 흡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중공나사(141)를 통과하여 상기 분말흡착구(151)에 공기 흡배출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중공나사(141)는 상기 분말흡착구(151)보다 내경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air intake / exhaust hole 14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coupled with a ring-shaped hollow screw 141 having a male threa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the hollow screw 141 closely adheres the porous filter 160 to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This is because the powder collected in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is prevented from flowing between the porous filter 160 and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due to the space generated between the porous filter 160 and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to be. At this time, air sucked / discharged by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passes through the hollow screw 141 and generates an air suction / discharge output to the powder suction port 151, The hollow screw 141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또한, 상기 중공나사(141)는 상기 회전부(13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쪽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중공나사가 상기 회전부(130)의 내주면에 돌출되면 상기 제어부(120)의 외주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회전부(130)의 회전을 방해하기 때문에 상기 중공나사(141)의 높이는 상기 공기흡배출홀(140)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low screw 141 is fit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130. When the hollow screw is protru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130, the hollow screw 141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130 whil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part 120, (140).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말수집장치(100)는 분말제거블록(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말제거블록(170)은 교체가 가능한 블레이드(171)가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171)는 분말흡착판(150)의 외주면 일측에 접하여 상기 분말흡착판(150)의 외주면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powder collec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der removing block 170. The powder removing block 170 is coupled with a replaceable blade 171. The blade 171 contacts the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to remove the powder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It plays a rol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분말공급장치(100)를 이용하여 분말을 흡착 또는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dsorbing or discharging powder using the powder supply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우선 제어부(120)의 제1공기흡입라인(121)과 공기배출라인(122)에 연결되는 진공펌프 및 콤프레셔(compressor)를 작동시키고 상기 회전부(130)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분말흡착구(151)에 분말을 공급시킨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라인(122)이 형성된 부분과 이격시켜 분말을 공급한다.A vacuum pump and a compressor connected to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of the control unit 120 are operated and the rotary unit 130 is rotated at a constant speed, 151). At this time, the powder is suppli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air discharge line 122 is formed.

그러면 커넥터(180)에 의해 연결된 상기 분말흡착구(151)에 공기 흡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분말수집장치(100)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분말흡착구(151), 다공질필터(160), 공기흡배출홀(140) 및 제1공기흡입라인(121)을 통과한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분말흡착판(150) 외주면 일측에 공급되는 분말이 상기 분말흡착구(151)에 흡착된다. 이때, 상기 분말흡착구(151)와 공기흡배출홀(140) 사이에 배치된 다공질필터(160)에 의해 공기만 흡입되고 분말은 상기 분말흡착구(151)에 흡착된다. 그리하여 상기 분말흡착구(151)가 형성된 크기에 따라 분말이 적정량 포집된다. 그리고 미세 입자의 분말은 용도에 따라 사용량이 0.3mg 정도의 미량일 수 있으며, 미량의 분말을 포집하는 상기 분말흡착구(151)는 Φ0.5, 깊이 1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매우 작게 형성된 상기 분말흡착구(151)에 포집된 분말은 흡입력(진공)을 제거해도 잘 떨어지지 않는 성질이 있다.An air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connected by the connector 180 and sucks the air outside the powder collecting apparatus 100. The air sucked is sucked through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The air suction / discharge hole 140, and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powder suppli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is adsorbed by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by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At this time, only the air is sucked by the porous filter 160 disposed between the powder adsorption ports 151 and the air suction / discharge holes 140, and the powder is adsorbed to the powder adsorption ports 151. Thus, an appropriate amount of powder is collect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wder adsorption holes 151 formed. The powder of fine particles may be used in an amount of about 0.3 mg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the powder adsorbing orifice 151 for trapping a minute amount of powder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about 0.5 mm and a depth of about 1 mm. At this time, the powder collected in the powder adsorbing opening 151 formed in a very small size has a property that it does not fall off even if the suction force (vacuum) is removed.

그 후 상기 회전부(130)가 회전되어 분말이 흡착된 분말흡착구(151)가 상기 공기배출라인(122)의 외측에 위치되면 상기 공기배출라인(122)에서 배출된 공기의 압력으로 분말을 배출시킨다. 이때, 공기배출라인(122)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매우 작은 분말흡착구(151)를 전부 통과하지 못하며, 남은 공기는 압력에 의해 커넥터(180)가 눌리면서 회전부(130)의 내주면에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제어부(120)의 내주면과 회전부(13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is rotated and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is positioned outside the air discharge line 122, the powder is discharg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line 122 .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line 122 does not pass through the very small powder adsorption ports 151, and the remaining air is pushed by the pressure to be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13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part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130. [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130)가 회전되면서 상기 다수개의 분말흡착구(151)가 제1공기흡입라인(121)과 공기배출라인(122)을 순차적으로 지나가면서 분말을 정량 흡입하고 배출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As the rotation unit 130 is rotated, the plurality of powder adsorption holes 151 sequentially pass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

여기에서 상기 회전부(130)와 커넥터(180)는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부(130)가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커넥터(180)와 회전부(130) 내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적어 마찰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회전부(13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nector 18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unit 130 is minimized 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rotary unit 130 is minimized, 130 can be smoothly rotated.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분말흡착구(151)가 제1공기흡입라인(121)과 공기배출라인(122)을 지나 다시 제1공기흡입라인(121)으로 가는 사이에 상기 분말제거블록(170)의 블레이드(171)가 상기 분말흡착판(15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분말이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되면서 상기 분말흡착판(15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분말의 정량 포집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말제거블록(170)이 상기 분말흡착판(150)에 남아있는 분말을 제거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6, the powder adsorption unit 151 is connected to the powder removal block 170 (FIG. 6) between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This is because the powder may be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while being discharg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so that the powder removal block 170 prevents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To remove the powder remaining in the heat exchanger (1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분말공급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owder supply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어부(120)의 제1공기흡입라인(121)과 연결되는 삽입홈(127)은 원주방향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180)는 상기 삽입홈(12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127)과 커넥터(180)가 부채꼴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공기흡배출홀(140)과 연통되어, 다수개의 분말흡착구(151)에서 분말을 흡착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127 connected to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of the controller 120 is formed in a fan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nnector 18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27 . That is, the insertion groove 127 and the connector 180 are formed in a fan sha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air intake / exhaust holes 140, so that powder can be adsorbed o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powder adsorption holes 151 Lt; / RTI >

또한, 상기 커넥터(180)의 하측에는 탄성수단(190)이 개재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180)가 탄성수단(190)에 의해 회전부(13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진공 또는 가압되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탄성수단(190)은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means 19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180. This is because the connector 18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part 130 by the elastic means 190 so that the air to be vacuumed or pressurized is not leaked and the elastic means 190 is a coil spring, .

이때, 상기 삽입홈(127)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수단(190)의 일측이 삽입되는 안치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탄성수단(190)의 위치를 고정하여 커넥터(180)를 중앙에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여, 측압에 의해 커넥터(180)가 삽입홈(127)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an insertion groove 128 into which one side of the elastic means 190 is inserted may be formed below the insertion groove 127. This is to fix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eans 190 so that the connector 180 can be pushed up from the center so as to prevent the connector 180 from being moved up and down in the insertion groove 127 by the side pressur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본 발명의) 분말공급장치
110 : 지지대
120 : 제어부 121 : 제1공기흡입라인
122 : 공기배출라인 124 : 어댑터
127 : 삽입홈 128 : 안치홈
130 : 회전부 131 : 회전축
132 : 베어링
140 : 공기흡배출홀 141 : 중공나사
150 : 분말흡착판 151 : 분말흡착구
160 : 다공질필터
170 : 분말제거블록 171 : 블레이드
180 : 커넥터 181 : 연통공
190 : 탄성수단
100: powder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Support
120: control unit 121: first air suction line
122: Air discharge line 124: Adapter
127: insertion groove 128:
130: rotation part 131:
132: Bearings
140: air intake / exhaust hole 141: hollow screw
150: Powder adsorption plate 151: Powder adsorption port
160: Porous filter
170: powder removal block 171: blade
180: connector 181:
190: elastic means

Claims (7)

지지대(110)의 일측에 고정되며,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라인(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배출라인(122)과 각각 연결되도록 외주면에 삽입홈(127)이 형성되는 제어부(120);
상기 제어부(120)의 삽입홈(127)들에 각각 삽입되어 삽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상측이 개방되고 측면에 상기 제1공기흡입라인(121) 및 공기배출라인(122)과 각각 연결되도록 연통공(181)이 형성되는 커넥터(180);
상기 제어부(120)의 외측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180)의 바깥쪽면이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기흡배출홀(140)이 형성되는 회전부(130);
상기 회전부(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분말흡착구(151)가 형성되는 분말흡착판(150); 및
상기 공기흡배출홀(140)과 상기 분말흡착구(151)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공기흡배출홀(140)을 통해 흡배출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다공질필터(160);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180)의 하측에는 탄성수단(19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공급장치.
A first air suction line 121 for suctioning air and an air discharge line 122 for discharging air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base 110 and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A control unit 120 having an insertion groove 127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ine 122;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and the air discharge line 122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grooves 127 of the control unit 1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insertion direction, A connector 180 in which a communication hole 181 is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80;
A plurality of air intake / exhaust holes 14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18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ler 180 (130);
A powder adsorption plate (150),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unit (130) and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and has a plurality of powder adsorption holes (151) 150); And
A porous filter (160) interposed between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and the powder adsorption aperture (151) and passing air sucked /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take / discharge hole (140); / RTI >
And an elastic means (190) is disposed below the connector (18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의 제1공기흡입라인(121)과 연결되는 삽입홈(127)은 원주방향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180)는 상기 삽입홈(12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groove 127 connected to the first air suction line 121 of the controller 120 is formed in a fan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nnector 18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27 And the powder is supplied to the powder supply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27)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수단(190)의 일측이 삽입되는 안치홈(1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sertion groove (128) in which one side of the elastic means (19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공급장치(100)는,
상기 분말흡착판(150)의 외주면 일측에 접하여 상기 분말흡착판(150)에 부착된 분말을 제거하는 블레이드(171)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말제거블록(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der supply device (100)
Further comprising a powder removing block (170) for interchangeably coupling a blade (171) for removing powder attached to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배출홀(140)은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중공나사(141)가 결합되고, 상기 중공나사(141)는 상기 다공질필터(160)를 분말흡착판(150)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ction / discharge hole 140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coupled with a ring-shaped hollow screw 141 having a male screw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hollow screw 141 connects the porous filter 160 to the powder adsorption plate 150). ≪ / RTI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나사(141)는 상기 분말흡착구(151)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ollow screw (141)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owder adsorption port (151).
KR1020120082385A 2012-07-27 2012-07-27 Powder feeding apparatus KR1013981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385A KR101398110B1 (en) 2012-07-27 2012-07-27 Powder fee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385A KR101398110B1 (en) 2012-07-27 2012-07-27 Powder fee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12A KR20140013812A (en) 2014-02-05
KR101398110B1 true KR101398110B1 (en) 2014-05-27

Family

ID=5026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385A KR101398110B1 (en) 2012-07-27 2012-07-27 Powder fee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1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765B1 (en) * 2014-10-21 2016-06-27 한국원자력연구원 Powder feeding device for 3d laser printer
KR102122778B1 (en) 2018-10-10 2020-06-15 (주)성현 테크놀로지 The Method of Making Micro Hole Using Laser and Dri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1434A (en) 2001-03-01 2002-09-13 Ricoh Elemex Corp Fixed-quantity viscous fluid applicator
JP3584092B2 (en) 1995-09-07 2004-11-04 三井化学株式会社 Powder metering device
KR20120046433A (en) * 2010-11-02 2012-05-10 한국기계연구원 Powder paticipl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4092B2 (en) 1995-09-07 2004-11-04 三井化学株式会社 Powder metering device
JP2002261434A (en) 2001-03-01 2002-09-13 Ricoh Elemex Corp Fixed-quantity viscous fluid applicator
KR20120046433A (en) * 2010-11-02 2012-05-10 한국기계연구원 Powder paticipl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12A (en)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110B1 (en) Powder feeding apparatus
CN104108140B (en) Topping machanism
JP2013143824A (en) Electric actuator
JP2015066522A5 (en)
KR101524080B1 (en) Supplying system a fixed quantity of powder
KR101261588B1 (en) Powder paticiple control device
CN210745993U (en) Self-cleaning seeding head
CN108000229B (en) Separating tank
KR101839769B1 (en) Metal cutting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ssure conveying cutting oil
JP2010177509A (en) Mounting head and suction nozzle of electronic parts,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and air filter insertion jig
CN106888636B (en) Precise seed sowing device
KR101190639B1 (en) Suppling apparatus of a mold in a contact lens
US6093228A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by-products individually
CN105057167A (en) Round three-needle dispensing head and dispenser
CN202888138U (en) Panel of wafer sucker for glass diode
WO2021104258A1 (en) Tissue treatment device
JP2009290162A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equipment
JP4826818B2 (en) Positioning device maintenance method, positioning device and IC handler.
CN210285948U (en) Vacuum feeding device
CN215755181U (en) Gear material suction head for intelligent production of electromechanical valve of gas meter and gear material suction module thereof
CN101380213B (en) Suction head
CN211619312U (en) Vacuum delay feeding device
CN213036921U (en) Vacuum suction nozzle and conveying equipment
CN220238936U (en) Magnetic powder watering can structure
CN216759445U (en) Gem chip, substrate piece lapping liquid fil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