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676B1 -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676B1
KR101397676B1 KR1020130023017A KR20130023017A KR101397676B1 KR 101397676 B1 KR101397676 B1 KR 101397676B1 KR 1020130023017 A KR1020130023017 A KR 1020130023017A KR 20130023017 A KR20130023017 A KR 20130023017A KR 101397676 B1 KR101397676 B1 KR 10139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gent
elastic composition
molded product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2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2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 B29C67/243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8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 C04B2111/542Artificial natural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탄성 조성물과 천연석의 가루를 혼합하여 제작되므로 건축용 마감장식가 길게 형성되더라도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 이송 및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하는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각종 건축물의 내·외벽에 설치하여 건축물의 미적 효과를 제공하며, 천연대리석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천연대리석 또는 자연석을 잘게 파쇄한 파쇄물(10)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탄성 조성물(20)을 압출 성형기(2)에 투입하여 혼합되도록 반죽한 후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A)을 형성하고, 압출 성형과정에서 성형물(A)의 테두리 및 모서리에 잔존물(S)이 형성되며 이를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절단 공정이 이루어지고, 건조실(5)에서 성형물(A)을 50 ~ 300℃로 30분 ~ 1시간 건조 과정을 거쳐 양생하여 고탄성력을 가지는 건축용 마감장식재(1)를 완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Architecture decoration finish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고탄성력을 가지는 건축용 마감장식재를 제공하여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며, 이송 또는 보관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압출 성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탄성을 가지므로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시공되는 건축물의 내·외벽은 기둥과 보 및 콘크리트로 시공된 벽체를 이루고 있으며, 이 벽체를 외부에서 바라볼 시 밋밋하여 벽체를 감추고 건물의 미를 부각시키기 위해 도료용 페인트로 도색하거나 커튼 월 시공방법으로 건축용 외장패널 또는 유리, 건축용 마감장식재 등으로 결합 고정하여 건물의 외·내벽을 아름답게 장식한다.
상기 건축용 마감장식재는 안락하고 웅장하게 실내·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천연대리석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고가로 무게가 무거워 이동 및 시공하기 불편하고, 외부 충격이 약하므로 이동 및 시공 중에 파손되는 경우가 일상다반사로 파손된 천연대리석은 사용할 수 없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손상된 부위를 가공하여 다른 제품으로 사용하거나 폐기 처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천연대리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근자에는 천연대리석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각종 재료를 혼합하여 가공된 인조대리석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인조대리석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74321 및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67600와 같이 제작되어 시중에 보급되고 있으며, 각종 재료를 혼합하여 성형 제작되나 모서리부위 또는 가장자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없어 손상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이 또한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처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인조대리석의 길이를 길게 제작할 경우에는 양측에 충격을 가할 시 중앙에 힘이 전달되어 반으로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길이에 대한 제약을 두고 제작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1-0074324 A 2011.06.30. KR 10-2003-0067600 A 2003.08.14.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건축용 마감장식재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며, 건축용 마감장식재의 테두리와 모서리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탄성력을 가지도록 하고, 건축용 마감장식재의 표면은 천연대리석과 같은 효과를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는 건축용 마감장식재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천연대리석 또는 자연석을 잘게 파쇄한 파쇄물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탄성 조성물을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혼합 반죽한 후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물의 테두리에 형성된 잔존물을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건조실에서 성형물을 50 ~ 300℃로 30분 ~ 1시간 건조 과정을 거쳐 양생하여 제작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조성물은 물 5 ~ 15 중량%, 분산제 0.1 ~ 2 중량%, 동결 안정제 0.1 ~ 1 중량%,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 ~ 5 중량%, 벤토 나이트계 증점제 0.1 ~ 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를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충전제(Filler) 15 ~ 25 중량%, 중탄(무연탄의 가공품) 5 ~ 10 중량%, 천연 진주(Natural Pearl) 0.5 ~ 2 중량%, 이산화 타이타늄(TiO2) 1 ~ 10 중량%을 투입하여 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고, 변성 아크릴 에멜젼(Acryl Emulsion) 10 ~ 30 중량%, 조막제 0.5 ~ 5 중량%, 안식산 나트륨 0.1 ~ 1 중량%, 방부제 0.1 ~ 1 중량%를 투입한 후 수용성 조색제로 나타내고자 하는 색상으로 조색하여 탄성 조성물의 점도가 30,000~200,000 CPS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축용 마감장식재는 외부충격에 강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 이송시 파손되거나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무게가 가벼워 설치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출 사출 성형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길이와 폭을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건축용 마감장식재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2는 건축용 마감장식재의 제조공정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건축용 마감장식재의 제조공정을 보인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건축용 마감장식재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건축용 마감장식재의 제조공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내·외벽에 설치하여 건축물의 미적 효과를 제공하며, 천연대리석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천연대리석 또는 자연석을 잘게 파쇄한 파쇄물(10)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탄성 조성물(20)을 압출 성형기(2)에 투입하여 혼합되도록 반죽한 후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A)을 형성하고, 압출 성형과정에서 성형물(A)의 테두리 및 모서리에 잔존물(S)이 형성되며 이를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절단 공정이 이루어지고, 건조실(5)에서 성형물(A)을 50 ~ 300℃로 30분~ 1시간 건조 과정을 거쳐 양생하여 고탄성력을 가지는 건축용 마감장식재(1)를 완성한다.
상기 건축용 마감장식재(1)를 제조할 시 굵은 입자로 파쇄된 파쇄물(10)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원활하게 혼합되고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탄성 조성물(20)의 구성성분은 아래와 같다.
상기 탄성 조성물(20)은 물 5 ~ 15 중량%, 분산제 0.1 ~ 2 중량%, 동결 안정제 0.1 ~ 1 중량%,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 ~ 5 중량%, 벤토 나이트계 증점제 0.1 ~ 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를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충전제(Filler) 15 ~ 25 중량%, 중탄(무연탄의 가공품) 5 ~ 10 중량%, 천연 진주(Natural Pearl) 0.5 ~ 2 중량%, 이산화 타이타늄(TiO2) 1 ~ 10 중량%을 투입하여 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고, 변성 아크릴 에멜젼(Acryl Emulsion) 10 ~ 30 중량%, 조막제 0.5 ~ 5 중량%, 안식산 나트륨 0.1 ~ 1 중량%, 방부제 0.1 ~ 1 중량%를 투입한 후 수용성 조색제로 나타내고자 하는 색상으로 조색하여 탄성 조성물(20)의 점도가 30,000~200,000 CPS 되도록 하면, 본 발명의 탄성 조성물(20)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 에멜젼은 n-BA / SM / n-BMA / AN / N-Methyl Acrylamide / AA = 90/1/5/2/1/1 비율의 반응물로 Tg(℃)10 ~ -5를 사용하고, 외부적인 힘에 의한 갈라짐(=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화제를 포함한 수중에서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 반응시켜 생성되는 고분자의 총칭인 아크릴 수지의 분산상으로 점성을 갖는 유백색의 액체이고, 수분 증발에 의해 아크릴 폴리머의 미분자가 결합하여 무색 투명한 필름을 형성하며, 내후성이 우수하여 도료의 원료로 사용되고, 건조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유기용매 용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화재나 위생상의 위험도가 적고, 또한 일단 건조되면 내수성과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 조성물(20)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아크릴 에멜젼의 함량은 10 ~ 30 중량%가 바람직하며, 상기 아크릴 에멀젼이 10 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일반적인 물성인 강도, 부착성, 내오염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이 부족하게 되어 나타내고자 하는 외관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안정된 분산계를 만들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각종 계면 활성제나 먹물을 만들 때에 탄소의 미립자를 물속에 분산하기 위하여 쓰이며, 폴리카르복실산(Poly carboxylic acid)형의 고분자 계면 활성제이다.
상기 동결 안정제는 탄소 원자 두 개와 수소 원자 네 개로 이루어진 불포화 탄화수소를 탄소 원자 두 개와 수소 원자 네 개로 이루어진 불포화 탄화수소인 에틸렌이나 자동차 부동액으로 널리 사용되는 화합물로서 가장 간단한 2가 알코올의 하나인 에틸렌글리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증점제는 고분자 용액 등에 가하여 점도를 증진시키며, 나트라졸(Natrasol)를 사용한다.
상기 벤토나이트계 증점제는 높은 밝기 및 착색제 및 전색제의 정착 방지하고, 소성 변형을 할 때, 물체가 외부에서 가하여지는 힘에 저항하여 그 원형을 지키려는 힘을 잃고 변형이 생기려는 현상인 항복 값을 가지는 SCP 사의 OPTIGEL CMO의 제품을 사용한다.
상기 PH 조절제는 수소 이온 농도의 지수를 조절하며, 에멀젼에서 안정적으로 수소 이온 농도의 지수를 조절할 수 있는 AMP-95를 사용한다.
상기 소포제는 유해한 기포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실리콘계 또는 변성 실리콘계 중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충전제는 초경량 충전제 미소중공구체(Micro-Hollow Sphere) 입도 5~300㎛로 사용하며, 화산폭발로 생성된 특수 화성암을 정밀한 입자로 가공 선별하여 열처리 방식으로 고온 발포시킨 제품이며, 고도의 경량화로 완제품의 무게 비중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충전제가 15 중량% 미만이면, 고형분이 작아져 도포한 후 건조 도막의 살 오름이 없으며, 25 중량% 이상이면, 충전제의 흡유량으로 인해 생성 도료의 점도가 높아 도장작업이 용이하지 못함으로 충전제의 함량은 탄성 조성물 총중량에서 15 ~ 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탄은 주로 업소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무연탄과 코크스, 목탄의 가루에 점결제를 섞어서 굳혀 만든 것으로서, 입도 5 ~ 100㎛로 사용한다.
상기 천연 진주는 입도 2 ~ 700㎛로 사용한다.
상기 이산화 타이타늄은 이산화 티타늄 또는 이산화 티탄이라고 하며, 전이금속인 티타늄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2개가 결합된 분자이다.
상기 조막제는 아크릴 에멜젼에서 분산된 미세한 입자가 물이 증발한 후 서로 붙어 연속 막이 형성되도록 도와주는 보조제이며, TEXANO(가소제)를 사용한다.
상기 안식산(벤조-산) 나트륨은 흰색의 결정성 가루로서 냄새가 없으며 단맛과 떫은맛을 내며, 물 및 에탄올에 잘 녹고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방부제는 섬유소 유도체가 손쉽게 섞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수용성 조색제는 각종 색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여 건축용 마감장식재(1)의 외관을 표현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천연대리석 또는 자연석 등을 가루로 파쇄된 파쇄물(10)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혼합되어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탄성 조성물(20)의 구성성분은 아래와 같다.
상기 탄성 조성물(20)은 물 5 ~ 10 중량%, 분산제 0.1 ~ 2 중량%, 동결 안정제 0.1 ~ 1 중량%,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 ~ 5 중량%, 벤토 나이트계 증점제 0.1 ~ 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을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규사 45 ~ 65 중량%, 중탄 5 ~ 15 중량%, 운모 칩 1 ~ 5 중량%를 투입하여 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고, 아크릴 에멜젼 10 ~ 30 중량%, 조막제 0.5 ~ 5 중량%, 방부제 0.1 ~ 1 중량%, 방식제 0.1 ~ 1 중량%, 안식산 나트륨 0.1 ~ 1 중량%을 투입하여 탄성 조성물(20)의 점도가 30,000~200,000 CPS 되도록 하면, 다른 실시예의 탄성 조성물(20)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규사는 50 ~ 140㎛의 각형 또는 구형인 것을 사용하며, 무기질 충진재로 표면 질감을 향상시키는 역할과 난연성을 부여하며, -50 ~ 140㎛로 조정된 입도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천연대리석의 질감을 살리는데 유리하고, 또한 45 ~ 65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사를 4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대리석 질감 및 난연성이 저하되며, 65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운모 침의 함량이 감소되어 천연대리석과 같은 외부의 질감을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천연대리석과 같은 무늬와 색상으로 표현하기 위해 컬러(Color) 규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컬러 규사의 크기 및 색상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컬러 규사는 300 ~ 400℃ 온도에서 20 ~ 30분간 열처리한 것이 바람직하고, 300℃이하와 20분 미만일 경우 컬러 규사의 색상이 녹아나오며, 400℃ 및 30분 이상일 경우 외부로 표출되는 컬러의 효과가 밋밋하여 비경제적이다.
상기 운모 칩은 직경 1 ~ 10㎜의 운모를 300 ~ 400℃의 온도에서 20 ~ 30분간 열처리한 운모 칩을 사용하며, 부서짐 및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직경 5㎜ 이상의 운모 칩을 도료에 손상 없이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천연대리석과 같은 외관을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상기 운모 칩을 300℃이하와 20분 미만으로 처리할 경우 칩의 경도가 떨어지고, 400℃이상과 30분을 초과하여 처리할 경우 천연대리석과 같은 미려하게 외관을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방식제는 금속으로 부식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 건축용 마감장식재(1)의 내식성 피막을 형성하여 방식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공정도를 살펴보면;
① 혼합 단계
자연석에 가까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천연대리석 또는 자연석 등을 잘게 파쇄한 파쇄물(10)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탄성 조성물(20)을 압출 성형기(2)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파쇄물(10)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탄성 조성물(20)의 비율은 5:5, 6:4, 7:3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압출 성형기(2)에 투입한다.
상기 파쇄물(10)은 마감장식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천연대리석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 천연대리석 또는 버려지는 폐 천연대리석을 사용하여 자원 재활용에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 조성물(20)은 물 5 ~ 15 중량%, 분산제 0.1 ~ 2 중량%, 동결 안정제 0.1 ~ 1 중량%,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 ~ 5 중량%, 벤토 나이트계 증점제 0.1 ~ 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를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충전제(Filler) 15 ~ 25 중량%, 중탄(무연탄의 가공품) 5 ~ 10 중량%, 천연 진주(Natural Pearl) 0.5 ~ 2 중량%, 이산화 타이타늄(TiO2) 1 ~ 10 중량%을 투입하여 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고, 변성 아크릴 에멜젼(Acryl Emulsion) 10 ~ 30 중량%, 조막제 0.5 ~ 5 중량%, 안식산 나트륨 0.1 ~ 1 중량%, 방부제 0.1 ~ 1 중량%를 투입한 후 수용성 조색제로 나타내고자 하는 색상으로 조색하여 탄성 조성물(20)의 점도가 30,000~200,000 CPS 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탄성 조성물(20)은 물 5 ~ 10 중량%, 분산제 0.1 ~ 2 중량%, 동결 안정제 0.1 ~ 1 중량%,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 ~ 5 중량%, 벤토 나이트계 증점제 0.1 ~ 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을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규사 45 ~ 65 중량%, 중탄 5 ~ 15 중량%, 운모 칩 1 ~ 5 중량%를 투입하여 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고, 아크릴 에멜젼 10 ~ 30 중량%, 조막제 0.5 ~ 5 중량%, 방부제 0.1 ~ 1 중량%, 방식제 0.1 ~ 1 중량%, 안식산 나트륨 0.1 ~ 1 중량%을 투입하여 탄성 조성물(20)의 점도가 30,000~200,000 CPS 되도록 한다.
상기 압출 성형기(2)는 성형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와 호퍼에서 공급된 성형재료를 스크루를 이용하여 믹싱하는 과정에서 히터로 예열하여 성형재료를 녹여 일정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연속체를 성형되도록 전방에 금형을 구성된 공지된 압출 성형기(2)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간략하게 도시한다.
② 표면처리 단계
압출 성형기(2)의 전방에 롤러(3)를 구성하여 압출 성형된 성형물(A)의 표면을 가압하여 평탄하고 고르게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로;
상기 롤러(3)는 압출 성형기(2)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며, 압출 성형기(2)에서 인출되는 성형물(A)의 표면을 정리하는 동시에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도 3과 같이 상부 롤러(3)의 표면에 무늬(3a)를 형성하여 일정한 형태로 성형물(A)의 표면에 인쇄되도록 구성한다.
③ 성형물(A)의 절단 단계
상기 롤러(3)로 이용하여 이송된 성형물(A)의 테두리와 모서리에 형성된 잔존물(S)을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성형물(A)의 절단 단계로;
압출 성형기(2)에서 인출된 성형물(A)의 테두리와 모서리에는 잔존물(S)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잔존물(S)에 의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건축용 마감장식재(1)를 이송 및 설치시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절단기(4)를 설치하여 잔존물(S)을 제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크기로 절단기(4)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다.
절단된 잔존물(S) 또는 버려지는 테두리는 압출 성형기(2)의 재차 투입하여 재사용한다.
④ 건조 단계
잔존물(S)을 제거 또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성형물(A)을 양생할 수 있도록 건조하는 단계로;
절단된 성형물(A)을 히터가 설치된 건조실(5)로 이송하여 50 ~ 300℃의 온도로 30분~ 1시간 성형물(A)을 가열하여 건조하면 건축용 마감장식재(1)가 완성된다.
도 4는 건축용 마감장식재(1)의 제조공정을 보인 다른 실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제조 공정도를 살펴보면;
① 혼합 단계
자연석에 가까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천연대리석 또는 자연석 등을 잘게 파쇄한 파쇄물(10)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탄성 조성물(20)을 압출 성형기(2)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파쇄물(10) 또는 흙과 탄성 조성물(20)의 비율은 5:5, 6:4, 7:3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압출 성형기(2)에 투입한다.
상기 탄성 조성물(20)은 물 5 ~ 15 중량%, 분산제 0.1 ~ 2 중량%, 동결 안정제 0.1 ~ 1 중량%,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 ~ 5 중량%, 벤토 나이트계 증점제 0.1 ~ 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를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충전제(Filler) 15 ~ 25 중량%, 중탄(무연탄의 가공품) 5 ~ 10 중량%, 천연 진주(Natural Pearl) 0.5 ~ 2 중량%, 이산화 타이타늄(TiO2) 1 ~ 10 중량%을 투입하여 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고, 변성 아크릴 에멜젼(Acryl Emulsion) 10 ~ 30 중량%, 조막제 0.5 ~ 5 중량%, 안식산 나트륨 0.1 ~ 1 중량%, 방부제 0.1 ~ 1 중량%를 투입한 후 수용성 조색제로 나타내고자 하는 색상으로 조색하여 탄성 조성물(20)의 점도가 30,000~200,000 CPS 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탄성 조성물(20)은 물 5 ~ 10 중량%, 분산제 0.1 ~ 2 중량%, 동결 안정제 0.1 ~ 1 중량%,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 ~ 5 중량%, 벤토 나이트계 증점제 0.1 ~ 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을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규사 45 ~ 65 중량%, 중탄 5 ~ 15 중량%, 운모 칩 1 ~ 5 중량%를 투입하여 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고, 아크릴 에멜젼 10 ~ 30 중량%, 조막제 0.5 ~ 5 중량%, 방부제 0.1 ~ 1 중량%, 방식제 0.1 ~ 1 중량%, 안식산 나트륨 0.1 ~ 1 중량%을 투입하여 탄성 조성물(20)의 점도가 30,000~200,000 CPS 되도록 한다.
상기 압출 성형기(2)는 성형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와 호퍼에서 공급된 성형재료를 스크루를 이용하여 믹싱하는 과정에서 히터로 예열하고, 성형재료를 녹여 일정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연속체를 성형되도록 전방에 금형이 구성된 일반적인 압출 성형기(2)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간략하게 도시한다.
② 표면처리 단계
압출 성형기(2)의 전방에 롤러(3)를 구성하여 압출 성형된 성형물(A)의 표면을 가압하여 평탄하고 고르게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로;
상기 롤러(3)는 압출 성형기(2)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며, 압출 성형기(2)에서 인출되는 성형물(A)의 표면을 정리하는 동시에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상부 롤러(3)의 표면에 무늬(3a)와 모양을 형성하여 일정한 형태로 성형물(A)의 표면에 인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롤러(3)의 하부에 보강재(6)를 공급하여 압출 성형기(2)에서 인출되는 성형물(A)이 이송되는 동시에 성형물(A)의 하부에 보강재(6)를 일체로 부착하여 고탄력성이 가지는 성형물(A)이 휘어지는 현상과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6)는 격자형상의 그물망 또는 유리 섬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③ 성형물의 절단 단계
상기 롤러(3)로 이용하여 이송된 성형물(A)의 테두리와 모서리에 형성된 잔존물(S)을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성형물(A)의 절단 단계로;
압출 성형기(2)에서 인출된 성형물(A)의 테두리와 모서리에는 잔존물(S)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잔존물(S)에 의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건축용 마감장식재(1)를 이송 및 설치시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절단기(4)를 설치하여 잔존물(S)을 제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크기로 절단기(4)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다.
절단된 잔존물(S) 또는 버려지는 테두리는 압출 성형기(2)의 재차 투입하여 재사용한다.
④ 건조 단계
잔존물(S)을 제거 또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성형물(A)을 양생할 수 있도록 건조하는 단계로;
절단된 성형물(A)을 히터가 설치된 건조실(5)로 이송하여 50 ~ 300℃의 온도로 30분~ 1시간 가열하여 성형물(A)을 건조하면 건축용 마감장식재(1)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공정과 구성으로 제작된 건축용 마감장식재(1)는 커튼 월 시공방법으로 내·외벽에 설치하여 건축물의 표면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건물의 외관을 미련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천연대리석과 같은 효과를 외부로 표출할 수 있으므로 가격이 비싼 천연대리석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마감장식재(1)는 고탄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외형이 변화가 없으며,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파손되거나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송 및 보관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 설치가 용이함을 제공한다.
그리고 기존에 생산되고 있는 인조대리석은 길이가 길게 형성될 시 탄성이 없으므로 양측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반으로 절단되거나 양단부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나 본 발명의 건축용 마감장식재(1)는 탄성 조성물(20)을 혼합하여 제작되므로 길이를 길게 제작하더라도 파손되거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1: 건축용 마감장식재 2: 압출 성형기
3: 롤러 3a: 무늬
4: 절단기 5: 건조실
6: 보강재
10: 파쇄물 20: 탄성 조성물
A: 성형물 S: 잔존물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자연석을 잘게 파쇄한 파쇄물(10)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탄성 조성물(20)을 압출 성형기(2)에 투입하여 혼합 반죽한 후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A)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물(A)의 테두리에 형성된 잔존물(S)을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기(4)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건조실(5)에서 성형물(A)을 50 ~ 300℃로 건조 과정을 거쳐 양생하여 제작하는 건축용 마감장식재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성물(20)은 물 5 ~ 15 중량%, 분산제 0.1 ~ 2 중량%, 동결 안정제 0.1 ~ 1 중량%,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 ~ 5 중량%, 벤토 나이트계 증점제 0.1 ~ 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를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충전제(Filler) 15 ~ 25 중량%, 중탄(무연탄의 가공품) 5 ~ 10 중량%, 천연 진주(Natural Pearl) 0.5 ~ 2 중량%, 이산화 타이타늄(TiO2) 1 ~ 10 중량%을 투입하여 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고, 변성 아크릴 에멜젼(Acryl Emulsion) 10 ~ 30 중량%, 조막제 0.5 ~ 5 중량%, 안식산 나트륨 0.1 ~ 1 중량%, 방부제 0.1 ~ 1 중량%를 투입한 후 수용성 조색제로 나타내고자 하는 색상으로 조색하여 혼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장식재.
  5. 자연석을 잘게 파쇄한 파쇄물(10) 또는 흙 중 선택된 하나와 탄성 조성물(20)을 압출 성형기(2)에 투입하여 혼합 반죽한 후 압출 성형하여 성형물(A)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물(A)의 테두리에 형성된 잔존물(S)을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기(4)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건조실(5)에서 성형물(A)을 50 ~ 300℃로 건조 과정을 거쳐 양생하여 제작하는 건축용 마감장식재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성물(20)은 물 5 ~ 10 중량%, 분산제 0.1 ~ 2 중량%, 동결 안정제 0.1 ~ 1 중량%,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 ~ 5 중량%, 벤토 나이트계 증점제 0.1 ~ 5 중량%, PH 조절제 0.1 ~ 1 중량%, 소포제 0.1 ~ 1 중량%을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규사 45 ~ 65 중량%, 중탄 5 ~ 15 중량%, 운모 칩 1 ~ 5 중량%를 투입하여 60분간 균일하게 교반하고, 아크릴 에멜젼 10 ~ 30 중량%, 조막제 0.5 ~ 5 중량%, 방부제 0.1 ~ 1 중량%, 방식제 0.1 ~ 1 중량%, 안식산 나트륨 0.1 ~ 1 중량%을 투입하여 혼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건축용 마감장식재.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결 안정제는 에틸렌 또는 에틸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장식재.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규사는 컬러 규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장식재.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 조성물(20)의 점도는 30,000~200,000 CPS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마감장식재.
KR1020130023017A 2013-03-04 2013-03-04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017A KR101397676B1 (ko) 2013-03-04 2013-03-04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017A KR101397676B1 (ko) 2013-03-04 2013-03-04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676B1 true KR101397676B1 (ko) 2014-05-23

Family

ID=5089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017A KR101397676B1 (ko) 2013-03-04 2013-03-04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6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77B1 (ko) * 2000-12-22 2003-02-07 이일희 폐건축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0723312B1 (ko) * 2004-07-16 2007-05-30 이재걸 대리석 폐석재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26835A (ko) * 2006-09-21 2008-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물의 내외장용 유연성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4790A (ko) * 2010-01-18 2011-07-26 이종수 건축용 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77B1 (ko) * 2000-12-22 2003-02-07 이일희 폐건축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0723312B1 (ko) * 2004-07-16 2007-05-30 이재걸 대리석 폐석재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26835A (ko) * 2006-09-21 2008-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물의 내외장용 유연성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4790A (ko) * 2010-01-18 2011-07-26 이종수 건축용 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19959B (zh) 轻质仿石颗粒物及由此制备的水性仿石材涂料
CN103073227B (zh) 一种阻燃型柔性建筑保温饰面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045831B (zh) 普通泥土的改性及其复合弹性体产品的生产方法
CN101905962A (zh) 改性无机粉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846264B1 (ko) 원두커피 분말 및 커피부산물을 이용한 커피향이 나는 환경 친화적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501863B1 (ko) 피복재, 피복재층, 및 적층 구조체
CN111574147B (zh) 一种雪花白无机人造石原料配方及制作方法
CN107118645A (zh) 一种防水仿花岗岩斑纹多彩涂料及其制备方法
KR20080004184A (ko) 항균성 및 샌딩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KR101613536B1 (ko) 칼라칩, 상기 칼라칩의 제조방법 및 상기 칼라칩을 이용한 화강석 문양 도료 조성물
CN105778332A (zh) 一种高强高韧阻燃抑烟pvc木塑发泡复合建筑模板及其制备方法
CN102336977B (zh) 一种全塑仿木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02551B1 (ko) 석재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착색된 칼라 샌드의 제조방법
KR101397676B1 (ko) 건축용 마감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3537512A (ja) 板状廃ガラスチップを含む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446504A (zh) 一种饰面层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059373B (zh) 一种用于制作工艺品的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349605A (zh) 一种荧光木塑装饰板及其制备方法
KR20050036838A (ko) 충전 아크릴 고체 표면 재료에 3차원 옹이를 형성하는연속 방법
CN106116293A (zh) 免烧制的抗菌仿古砖及其制备方法
DE102011102454A1 (de) Anorganisches Bindemittel und Verfahren zur schnellen Verfestigung von Baustoffmaterialien aller Art mittels Begasung mit Kohlendioxid
Bera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synthetic marble processing
WO2004014815A1 (de) Lösemittelfreies verfahren zur hydrophoben farbbeschichtung von glasgranulat, das produkt hieraus und seine verwendung
JP2000129134A (ja) 高硬度軟質複合材
KR101465875B1 (ko) 착색된 경량성 비금속광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