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410B1 - 펨토셀 장치들 - Google Patents

펨토셀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410B1
KR101397410B1 KR1020127002286A KR20127002286A KR101397410B1 KR 101397410 B1 KR101397410 B1 KR 101397410B1 KR 1020127002286 A KR1020127002286 A KR 1020127002286A KR 20127002286 A KR20127002286 A KR 20127002286A KR 101397410 B1 KR101397410 B1 KR 10139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der
femtocells
femtocell
femto
p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994A (ko
Inventor
그레이엄 브렌드
필립 사피아노
나이젤 브레들리
토니 풋먼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2003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펨토셀 장치는 예를 들면, 오피스와 같은 영역에 걸처 분포되는 커버리지를 갖는 복수의 펨토셀들(펨토 1 내지 펨토 13)을 포함한다. 복수의 보더 펨토셀(펨토 3 또는 펨토 10)은 영역 입구에서 커버리지를 가지며, 이웃하는 펨토셀들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큰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제공하기 위해 보다 높은 송신 파워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보더 펨토셀은 보더 펨토셀로서 그것의 지정을 보여주기 위해 특정한 기본적인 스크램블링 코드(PSC)를 할당받을 수 있다. 접근하는 이용자 장비(UE 1 또는 UE 2)는 보다 높은 송신 파워 보더 펨토셀들에 부착하려는 경향이 있다. 접속을 유지하는 펨토 게이트웨이는, 접근하는 UE가 보더 펨토셀에 부착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것은 특정한 PSC의 이용에 의해 확인된다. 그래서, 핸드오버는, 가장 적절한 펨토셀들이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들로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신속히 처리된다.

Description

펨토셀 장치들{FEMTOCELL ARRANGEMENTS}
본 발명은 펨토셀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펨토셀들(또한, 본 명세서에서 “펨토들(Femtos)"이라 함)은 수십 미터의 통상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주택지 또는 기업 환경들에서 예외적인 셀룰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낮은 파워, 저비용의, 일반적으로 이용자-배치된 기지국들(user-deployed base stations)이다. 그것들은 간단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배치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대규모 자동-구성(extensive auto-configuration) 및 자기-최적화 성능들(self-optimization capabilities)을 가지며, 기존의 매크로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그것들 자신들을 자동으로 통합하도록 디자인된다. 펨토셀들은 통상적으로, 백홀(backhaul)로서 고객 광대역 인터넷 접속(customer's broadband internet connection)(예를 들면,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DSL, 케이블 등)을 이용한다.
통상적인 펨토셀 아키텍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오른쪽 상에 도시된 ‘홈 셀(Home cell)'은 펨토셀이고, 홈 셀 또는 펨토셀, 제어기/게이트웨이에 접속된다. 도시된 특정한 아키텍처에서, 상기 도면의 왼쪽 상의 요소들은 범용 모바일(Universal Mobile)에 포함된다. 원격통신 시스템(UMTS) 매트로셀룰러 네트워크는, NodeB,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SGSN),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로서 알려진 기지국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공용 스위칭된 전화 네트워크(PSTN)에 대해 접속이 존재한다.
UMTS 펨토셀 장치들에서, 펨토에 할당될 수 있는 기본적인 스크램블링 코드들(PSC)의 수는 제한된다. 할당될 수 있는 수는 통상적으로 6 내지 16이다. 기본적인 스크램블링 코드의 선택은 통상적으로, 그것들 주변에서 이용되는 다른 기본적인 스크램블링 코드들의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펨토셀들 자체에 의해 자동 구성된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펨토셀 배치들에서, 이들 스크램블링 코드들은 심하게 재이용될 필요가 있다. 고레벨의 PSC 재이용으로, 매크로 셀 및 펨토셀에 의해 서브되고(served), 펨토셀을 측정하는 이용자 장비(UE)가 다수의 상이한 셀들로부터 동일한 PSC를 리포트(report)할 가능성이 크다.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표준들에서 현재 정의되는 바와 같이, UE는 그것의 UE 측정 리포트에서 셀 ID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타겟 네트워크가, 펨토 또는 펨토 대 펨토 핸드오버 과정들(Femto to Femto Handover procedures)을 실행할 때, 실제 타겟 셀을 자동으로 결정하기 위해 UE에 의해 공급되는 측정치들을 이용하기 어렵다.
매크로 셀로부터 들어오는 핸드오버 요청을 조절할 때, 홈 셀 게이트웨이는, UE가 핸드오버하는 팸토셀이 어떤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효과적인 결정 및 핸드오버 과정을 위한 타겟 셀의 후속 리포트는, UE 상의 진행중인 세션(on-going session)에 대한 임의의 중단(interruption)이 최소화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UE들로의 고품질의 서비스를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 요구사항이다. 하지만, 기존 3GPP 표준 메시지들은, UE가 소스 셀에 측정 리포트들에서 타겟 셀의 셀 ID를 리포트하지 않기 때문에, 타겟 셀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소스 셀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는다. UE는 타겟 셀의 PSC를 리포트할 수 있다. 하지만, PSC들이 재이용될 때, 게이트웨이는 그것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타겟 셀 PSC의 리포트된 값에 의존할 수 없다. 유사하게, 펨토 대 펨토 핸드오버들에 대해, 소스 펨토 셀은 또한, 핸드오버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완료하도록 타겟 펨토셀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하지만, 타겟 셀은, 고레벨의 PSC 재이용이 존재하는 경우에 고유하게 식별될 수 없다.
게이트웨이 또는 소스 펨토가 소스 셀에서 UE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로부터 타겟 펨토셀을 고유하게 결정할 수 없고, 그것은, 게이트웨이 또는 소스 펨토로 하여금, 핸드오버 요청이 포워드되어야 하는 펨토셀을 결정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것은, 많은 펨토셀들이 배치될 가능성이 큰 통상적인 기업/오피스 빌딩을 고려할 때 특히 중요하다.
한 가지 가능한 방식은, 펨토 게이트웨이로 하여금 핸드오버 요청의 부분으로서 제공되는 제한된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타겟 펨토셀에 대해 추측하게 하는 것이다. 이 솔루션은 예를 들면, 패킷 손실 또는 호 드롭(call drop)을 야기하는, 최종 이용자의 진행중인 호에 차례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핸드오버 과정의 기간동안에 증가를 야기하기 쉽다.
또 다른 가능한 방식은 동일한 PSC를 갖는 모든 펨토들 상에서 핸드오버를 준비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방식이 리소스들을 극히 낭비하고, 배치된 펨토 기지국들 및 이용자 장비의 수가 증가하므로 곧 관리불가능하게 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기업 이용자들은 표준 이용자들에 비교되는 보다 높은 서비스 품질의 제공 대신에 오퍼레이터(operator)에게 프리미엄(premium)을 지불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그 서비스에 대한 임의의 열화(degradation)는, 그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는 것으로부터 수신하는 값의 기업 이용자의 인식(perception)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잠재적으로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 펨토셀 장치는 영역에 걸처 배치되는 복수의 펨토셀들을 포함한다. 영역 입구에서, 보더 펨토셀(border femtocell)은 이웃하는 펨토셀들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큰 면적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이웃하는 펨토셀들보다 높은 송신 파워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빌딩에서 다른 펨토셀들보다 높은 송신 파워로 보더 펨토셀들을 동작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이것은 빌딩 쪽으로 그들이 로밍(roam)하기 때문에 UE들을 “끌어당기는(attract)" 경향이 있다. 이것은, UE들을 부착하여(attaching), 빌딩에 설치될 수 있는 다른 펨토셀들 중 어느 하나보다는, 보더 펨토셀들로의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돕는다. 펨토 게이트웨이가, 임의의 부착이 보더 펨토일 수 있음을 인식하기 때문에, 그것은 타겟 펨토셀의 식별을 도움으로써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한다. 복수의 펨토셀들이 배치되는 영역은 예를 들면, 오피스, 빌딩, 실외 지역, 또는 부분적으로는 실외들이고 부분적으로는 실내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더 펨토셀은 그것을 보더 펨토셀로서 식별하는 할당된 기본적인 스크램블링 코드(PSC)를 갖는다. 특별한 PSC는, 인구들(entrances)의 수 및 “보더” 펨토 셀들의 수가 그러한 환경에서 배치되는 다른 펨토셀들의 수에 비하여 작은 수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UE가 어느 펨토셀에 핸드오버하는지에 대해 시프트 식별(switch identification)을 행하도록 펨토 게이트웨이를 돕는다. 이것은 들어오는 핸드오버 요청을 다루고, 최종 이용자에게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을 감소시킬 때, 펨토 네트워크에서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갖는다. 특별한 PSC는, 그것이 배치되는 곳, 예를 들면, 빌딩 입구에 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펨토 관리 시스템에 의해 보더 펨토에 할당될 수 있다. 이것은, PSC들이 자동구성되지만, 특별히 특정한 펨토 또는 특정한 펨토들에 할당되지 않는, 앞에서 설명된 방식과 대조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더 펨토셀은 넌-보더 펨토셀들(non-border femtocells)에 대해 상이한 액세스 제어 요구사항들(different access control requirements)을 갖는다. 그러한 방식은, 도체에 배치된 펨토셀들 및 그것의 입구에서 보더 펨토를 갖는 통상적인 회사 사무실을 고려할 때 유용할 수 있다. 회사의 방문자들은, 내부 이용자들만을 위해 보유되지만, 보다 넓은 액세스 허용들을 갖는 보더 펨토셀을 통해 접속을 제공받는 빌딩에서 대부분의 펨토셀들에 접속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3GPP R99 순응 UE들(compliant UEs)과 호환가능한 정보 및 과정들을 이용하여 펨토셀의 배치에 적용될 수 있고, 현재 제안된 표준의 변경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예로써만,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통상적인 펨토셀 기지국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설명 목적을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에 관련되는 메시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르지 않고,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예시적인 장치인 도 2를 참조하면, 오피스 빌딩은 그것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펨토셀들(펨토 1 내지 펨토 13)을 갖는다. 그래서, UE가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피스의 입구에 접근할 때, 그것은, 그것의 핸드오버 기준을 만족시키는 임의의 펨토셀에 부착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 2는, 그것이 오피스의 입구에 접근함에 따라, 펨토(1, 2, 또는 3)에 부착하도록 동일하게 시도할 수 있다. 그 배치에서 재이용된 PSC들의 수에 의존하여, 펨토 게이트웨이는 UE로부터 그것이 수신하는 정보로부터 핸드오버 타겟 셀의 고유한 식별을 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핸드오버는 지연되고, UE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서, 복수의 펨토들(1 내지 13)은 오피스 또는 예를 들면, 대학교 캠퍼스와 같은 다른 공간에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경계들에서 보여지는, 공간으로의 두 개의 입구들이 존재한다. 상부 입구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갖는 펨토 3은, 그것의 커버리지가 보다 넓게 확장하도록, 인접 펨토들(1, 2, 및 4)보다 높은 송신 파워로 동작되도록 배치된다. 펨토 3은 보더 펨토를 구성하고, 본 실시예에서, 그것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PSC #3인 특정한 PSC를 할당받는다. 보다 낮은 입구에서, 펨토 10은 유사하게, 그것에 인접한 다른 것들보다 넓은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갖도록 배치되고, 또한, 그것이 보더 펨토임을 나타내기 위해 펨토 3과 동일한 PSC #3을 할당받는다. PSC #3은 오피스 내 이외의 곳에서 재이용되지 않는다.
도 3에서, UE 1은 하부 입구에서 오피스에 막 들어가려고 하고, UE 2에서 상부 입구에 막 들어가려고 한다. UE들(1, 2)이 빌딩에 접근함에 따라, 그것들은, 보더 펨토셀들(10, 3)이 그것들의 이웃들보다 넓은 커버리지를 갖기 때문에, 다른 배치된 셀들보다 우선적으로 각각 보더 펨토셀들(10, 3)에 접근하려고 시도한다. 예를 들면, UE 1은 펨토셀(8) 또는 펨토셀(7)보다 우선적으로 펨토(10)에 접근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UE가 그것이 오피스 또는 다른 공간으로의 입구들에 배치되는 보더 펨토 셀들 중 하나일 가능성이 가장 크기 때문에, 그것이 들어오는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할 때,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펨토셀을 식별하는데 있어 펨토 게이트웨이를 돕는다. 이어서, 특별한 PSC의 이용은, 게이트웨이가 핸드오버 타겟으로서 고려하는 펨토셀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예를 들면, 그것의 측정 리포트에서 UE 1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타겟 펨토셀의 PSC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이것은 펨토셀(10)이다. 보더 펨토 셀들(10, 3)만이 동일한 PSC를 가지므로, 게이트웨이는 후보 핸드오버 타겟 셀들의 수를 이들 두 개로 빠르게 감소시킨다. 이어서, 그것은 이들 셀들에 핸드오버 요청을 포워드하고, 후속하여, UE는 하나에만 부착한다. 대안으로, 게이트웨이는 가장 가능성이 큰 보더 셀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부가적인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처음에 그 후보에 핸드오버 요청을 포워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보더 셀들(펨토들 3 및 10)에 요청을 포워드하는 시퀀스의 예이다.
UE 1이 빌딩 쪽으로 로밍함에 따라, 그것은, 새로운 셀(이 경우에 펨토 10)이 기존 매크로 셀보다 훨씬 양호한 품질 신호를 제공함을 나타내는, 매크로 셀 RNC(Macro Cell RNC)에 측정 리포트를 전달한다(단계(a)). UE 1은, 그것이 보다 높은 파워로 송신하기 때문에, 다른 배치된 펨토 셀들보다 우선적으로 펨토셀(10)에 “부착된다”.
(b) 매크로 셀 RNC는 코어 네트워크(CN)에 릴로케이션 요청된 메시지(Relocation Required message)를 전달한다.
(c) 코어 네트워크는, 타겟 셀(PSC 3)의 PSC를 포함하는, 펨토 게이트웨이에 대응하는 릴로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d) 게이트웨이는, UE 1이 보더 펨토 셀들 중 하나로의 핸드오버를 시도함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 측정 정보를 이용한다.
(e) 게이트웨이는 펨토(10) 및 펨토(3)에 릴로케이션 요청을 포워드한다.
(f) 펨토 셀(10) 및 펨토(3) 양쪽 모두는 매트로 셀 RNC에 릴로케이션 명령 및 인식(acknowledgement)에 선행하여 응답한다.
(g) 후속으로, UE 1은 펨토셀(10)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펨토(3)에서 준비된 리소스들은 삭제된다(h).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치에서, 대부분의 펨토셀들만이, 그 오피스에 기반을 둔 회사와 연관되는 UE들에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방문자가 오피스에 방문할 때마다. 그들의 UE가 거기에 배치된 펨토셀들을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것은, 그것이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지 않은 펨토들로 핸드오버를 시도할 수 있으므로, “방문하는” UE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서비스 및 잠재적인 호 드롭들의 열화를 야기한다. 회사는 다른 배치된 펨토셀들로부터 상이한 액세스 제어 요구사항으로 빌딩 입구들에서 보더 펨토셀들(펨토 3 및 10)을 지정할 수 있다. 그래서, “방문하는” UE들은 방문자들에 의해 가장 주기적으로 이용되는 빌딩 내의 지역들을 커버하는 보더 셀들로의 액세스를 허락받을 수 있다. 이것은 그들에게 서비스의 연속성을 허용하지만, 또한, 호스팅 회사(hosting company)로 하여금 그들 오피스 내의 다른 펨토셀 제공 커버리지로 제한된 액세스를 유지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은 그것의 사상 및 필수적인 특성들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단지 예시적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의 설명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진다. 청구범위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은 그것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 내지 13: 펨토들

Claims (7)

  1. 영역(region)에 걸쳐 배치되는 복수의 펨토셀들(femtocells)을 포함하는 펨토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제 1 입구에 배치되는 제 1 보더 펨토셀로서, 상기 복수의 펨토셀들의 비(non)-보더 펨토셀들보다 더 높은 송신 파워 레벨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1 보더 펨토셀을 포함하고,
    상기 더 높은 송신 파워 레벨은 비-보더 펨토셀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에어리어(coverage area)보다 상기 제 1 보더 펨토셀에 대해 더 큰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보더 펨토셀에는, 비-보더 펨토셀들에 할당되지 않은 기본적인 스크램블링 코드(primary scrambling code; PSC)가 할당되는, 펨토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보더 펨토셀들을 비-보더 펨토셀들과 구별하도록, 상기 제 1 보더 펨토셀에 할당되는 상기 PSC는 상기 영역의 입구에 배치되는 보더 펨토셀들에 할당되는, 펨토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더 펨토셀은 비-보더 펨토셀들에 대한 것과는 상이한 액세스 제어 요구사항들을 갖는, 펨토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복수의 입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펨토셀들은 상기 복수의 입구들과 대응하게 연관되는 복수의 보더 펨토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입구는 대응하는 보더 펨토셀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내에 있고, 각각의 보더 펨토셀은 비-보더 펨토셀들 보다 더 높은 송신 파워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펨토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더 펨토셀들 각각은 동일한 PSC를 갖는, 펨토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오피스 빌딩인, 펨토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매크로 셀로부터 상기 복수의 펨토셀들 중 상기 제 1 보더 펨토셀로의 이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핸드오버 동안, 펨토 게이트웨이로부터의 핸드오버 요청이 비-보더 펨토셀들에 의해 수신되는 것보다 우선적으로 상기 제 1 보더 펨토셀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은 상기 제 1 보더 펨토셀에 할당되는 상기 PSC를 포함하는, 펨토셀 장치.
KR1020127002286A 2009-06-30 2010-06-24 펨토셀 장치들 KR101397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290516.5A EP2273829B1 (en) 2009-06-30 2009-06-30 Femtocell arrangements
EP09290516.5 2009-06-30
PCT/EP2010/003790 WO2011000495A1 (en) 2009-06-30 2010-06-24 Femtocell arrang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994A KR20120036994A (ko) 2012-04-18
KR101397410B1 true KR101397410B1 (ko) 2014-05-20

Family

ID=4140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286A KR101397410B1 (ko) 2009-06-30 2010-06-24 펨토셀 장치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23842B2 (ko)
EP (1) EP2273829B1 (ko)
JP (1) JP5571785B2 (ko)
KR (1) KR101397410B1 (ko)
CN (1) CN102474825B (ko)
WO (1) WO2011000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09394A1 (en) * 2010-09-16 2012-12-0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in to a femto node
EP2557842B1 (en) * 2011-08-10 2018-05-23 Alcatel Lucent Autonomous cell reselection by a user equipment
US9924443B2 (en) * 2012-02-24 2018-03-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femtocell access modes and operational parameters based on the presence of nearby macrocells
WO2013181848A1 (zh) * 2012-06-08 2013-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目标小区的方法、源节点、用户设备及系统
US20140120932A1 (en) * 2012-10-26 2014-05-0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a Femtocell Self Organizing Network
EP2787776B1 (en) * 2013-04-05 2016-06-22 Alcatel Lucent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predicting whether a small cell base station in a group of small cell base stations has a likelihood of being accessed first among the group by user terminals
US10757623B2 (en) * 2018-11-27 2020-08-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analysis of temporal obstruc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5003A (ja) 2004-03-31 2005-10-20 Toshiba Corp 無線通信端末
US20070097939A1 (en) * 2005-10-04 2007-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matic configuration of pico radio base station
WO2008057658A2 (en) * 2006-10-27 2008-05-15 Motorola, Inc.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057A (ja) * 1995-04-07 1996-10-22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基地局装置
US20070213067A1 (en) * 2006-03-09 2007-09-13 Patrick Li Wireless communication handoffs within a macrocell
US7835740B2 (en) * 2006-12-18 2010-11-16 Alcatel-Lucent Usa Inc. Establishing cell codes for picocells within a macrocell
US8711767B2 (en) * 2007-10-09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mobile access point acquisition
US8811334B2 (en) 2007-10-12 2014-08-19 Alcatel Lucent Methods for idle registration and idle handoff in a femto environment
EP2229796A2 (en) * 2007-11-26 2010-09-22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medium for indicating the availability of a local service at a location
GB2459434A (en) * 2008-03-31 2009-10-28 Vodafone Plc Configuration of access point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886201B2 (en) * 2008-12-29 2014-11-11 Zte (Usa) Inc. Virtual groups for femto-cell hand-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5003A (ja) 2004-03-31 2005-10-20 Toshiba Corp 無線通信端末
US20070097939A1 (en) * 2005-10-04 2007-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matic configuration of pico radio base station
WO2008057658A2 (en) * 2006-10-27 2008-05-15 Motorola, Inc.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4825A (zh) 2012-05-23
CN102474825B (zh) 2015-03-11
JP2012531860A (ja) 2012-12-10
EP2273829B1 (en) 2014-08-06
US8923842B2 (en) 2014-12-30
EP2273829A1 (en) 2011-01-12
JP5571785B2 (ja) 2014-08-13
US20120165005A1 (en) 2012-06-28
WO2011000495A1 (en) 2011-01-06
KR20120036994A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410B1 (ko) 펨토셀 장치들
US9398497B2 (en) 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maintained cell history data
EP2266337B1 (en) Configuration of access point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2716129B1 (en) Carrier aggregation support for home base stations
WO2010125151A1 (en) Serving network element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neighbour cell link
US9167487B2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gateway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693612B2 (ja) マクロセルからフェムトセルへの移動局のハンドオーバー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30079020A1 (en) Femto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triggering transfer of a radio connection with a user terminal from a macrocell base station to a femtocell base station
KR20140097560A (ko) 통신 시스템
JP5495280B2 (ja) モバイル装置をリダイレクト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254378A1 (en) A method of paging a user terminal in idle mode, and a femtocell-controlling gateway
KR101653078B1 (ko) 통신 시스템
EP2552154B1 (en) A femto-gateway,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method of identifying a handover target femtocell base station
CN101617508A (zh) Femtocell向宏网络中的集成
EP2268079B1 (en) Identifying a base station from a set of handover candidate base stations that use the same primary scrambling code
EP2249603B1 (en) Obtaining information of a neighbouring base station
JP6037147B2 (ja) デュアルモード・フェムトapにおけるフロー制御
KR101403812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가입자 관리 방법 및 옥내용 기지국
Chandrasekhar et al. 4 Access mechanisms
EP2391155A1 (en) A femtocell base station and method of determining a macrocell location area within which a femtocell base station res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