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972B1 - Pt 서비스에서의 발언권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Pt 서비스에서의 발언권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972B1
KR101396972B1 KR1020070062429A KR20070062429A KR101396972B1 KR 101396972 B1 KR101396972 B1 KR 101396972B1 KR 1020070062429 A KR1020070062429 A KR 1020070062429A KR 20070062429 A KR20070062429 A KR 20070062429A KR 101396972 B1 KR101396972 B1 KR 101396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tate
terminal
tim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434A (ko
Inventor
허강석
손성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952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JP4808810B2/ja
Priority to AU2007311887A priority patent/AU2007311887B2/en
Priority to BRPI0719255-0A2A priority patent/BRPI0719255A2/pt
Priority to EP07768596.4A priority patent/EP2078353B1/en
Priority to PCT/KR2007/003248 priority patent/WO2008047995A1/en
Priority to RU2009115558/07A priority patent/RU2469501C2/ru
Priority to MX2009003959A priority patent/MX2009003959A/es
Priority to CN2007800370488A priority patent/CN101523764B/zh
Priority to CA2664174A priority patent/CA2664174C/en
Priority to US11/776,333 priority patent/US7756054B2/en
Priority to TW096127157A priority patent/TWI376921B/zh
Publication of KR2008003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434A/ko
Priority to US12/791,650 priority patent/US841670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04L65/4038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with flo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 (Push-To-Talk, Push-To-View, Push-To-Data)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PT 서비스의 발언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송권한(발언권)을 획득한 단말이, 발언권 전송 허락 시간 내에 미디어 데이터와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서버에게 보낸 경우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에 따른 전송 지연(transit delay)으로 인하여 PT 서버가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미디어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할지라도, 단말의 발언권 요청을 제약하지 않고, 단말이 PT 서버에게 발언권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T 서비스, 발언권, PTT, PoC

Description

PT 서비스에서의 발언권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FLOOR IN PUSH TO TALK SERVICE}
도 1은 PT 클라이언트와 PT 서버 간 미디어 버스트 동작에 대한 상태 천이도(State transition diagram 또는 state machine) 이다
도 2는 PT 서버와 단말 간에 발언권의 획득과 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언권 제어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언권 제어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PT (Push-To-Talk, Push-To-View, Push-To-Data)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PT 서비스의 발언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PT 서비스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PTT(Push to talk)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PTV(Push to view)와, 각종 데이터 전송을 위한 PTD(Push to data)와 같이 서버를 통해 세션을 설정한 클라이언트들 중에서 발언권 또는 전송권한이 할당된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세션에 참여한 나머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반이중통신(half duplex communication) 서비스를 총칭한다.
PT 서비스는 다이얼 작업, 전화 연결을 위한 대기, 전화 연결음 등의 절차없이 통신을 수행하므로 일반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에 비해 즉각적이고 빠르게 연결되는 것이 큰 장점이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이용자(일대일) 또는 그룹대화 세션 설정을 통해 다수의 이용자(일대다수)에게 전송할 수 있다.
PT 서비스 중 종래의 PTT 서비스는 특정 클라이언트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선택하여 PTT 세션에 초대하는 과정과, PTT 세션에 초대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초대되는 클라이언트 간에 세션이 연결되는 과정과, 상기 세션 설정된 클라이언트 간에 음성데이터가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PT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하여 음성, 영상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이전에 전송권한(또는 발언권, 이하 ‘발언권’이라 한다)을 PT 서버(예를 들어,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서버)에게 요구(request)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PT 서버로부터 발언권을 받은(grant) 후에야, 비로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발언권을 제어하는 것을 Talk Burst Control(또는 Media Burst Control)이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Talk Burst Control 에 있어서, 발언권을 획득한 특정 사용자가 통신 채널을 무한정 점유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제약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Talk Burst Revoke라고 한다.
도 1은 PT 클라이언트와 PT 서버 간 미디어 버스트 동작에 대한 상태 천이도(State transition diagram) 이다 (PoC Server state transition diagram for normal Media Burst operation to the PoC Client). 도 1은 PT 클라이언트(즉, 단말)에 대한 미디어 버스트(또는 토크 버스트) 동작들에 대하여 PT 서버의 각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각 상태들은 각 상태의 성격(characteristic of each state)에 따라 안정 상태(stable state)와 천이 상태(transition state)로 분류된다.
도 1 에 도시된 주요한 상태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Start-stop’상태 는 PT 서버와 PT 클라이언트 간에 SIP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In this state no SIP Session exists between the PoC Server and an associated PoC Client). 이하, 편의상 ‘Start-stop’상태를‘제 0 상태’라 한다.
(2)‘U: not permitted and MB-Idle’상태는 안정 상태이고, PT 서버가 PT 클라이언트(the associated PT Client)로부터 발언권 요청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이다. 다시 말해서, PT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버스트를 PT 서버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발언권 요청(이를 MB_Request라 한다)할 수 있는 상태이다(The 'U: not permitted and MB_Idle' state is a stable state and the PoC Server uses this state when the associated PoC Client is not permitted to send a Media Burst). 이하, 편의상 ‘U: not permitted and MB-Idle’상태를‘제 1 상태’라 한다.
(3) ‘U: permitted’상태는 안정 상태이고, PT 서버가 특정 PT 클라이언트(the associated PT Client)에게 발언권이 부여되어 그 특정 PT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버스트를 PT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이다(The 'U: permitted' state is a stable state and the PoC Server uses this state when the associated PoC Client has been given permission to send a Media Burst ). 이하, 편의상 ‘U: permitted’상태를‘제 2 상태’라 한다. 이 상태에서 PT 서버는 T1 타이머(End of RTP Media timer) 및 T2 타이머(Stop talking timer)를 작동시킨다.
(4) 'U: not permitted but sends media' 상태는 천이 상태이고, PT 서버가 PT 클라이언트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또는 RTP media packets)를 수신하였을 때, PT 서버가 PT 클라이언트에게 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허락하지 않는 상태이다(The 'U: not permitted but sends Media' state is a transition state and the PoC Server uses this state when it receives RTP Media packets from the associated PoC Client and the associated PoC Client is not permitted to send a Media Burst). 이하, 편의상 'U: not permitted but sends media' 상태를 '제 3 상태'라 한다. 이 상태에서 PT 서버는 T8 타이머(Media Burst Revoke timer)를 작동시킨다.
(5) 'U: pending MB_Revoke' 상태는 천이 상태이고, PT 서버가 MBCP(Media Burst Control Protocol) Media Burst Revoke 메시지를 보낸 후, 유예기간(grace period)에 머무르는 상태이다(The 'U: pending MB_Revoke' state is a transition state and the PoC Server uses this state during the grace period after sending the MBCP Media Burst Revoke message). 이하, 편의상 'U: pending MB_Revoke' 상태를 '제 4 상태'라 한다. 이 상태에서, PT 서버는 T3 타이머(Start talking grace timer)를 작동시키고, 그 T3 타이머가 작동하는 시간이 상기 유예기간에 해당한다.
(6) 'U: waiting MB-Revoke' 상태는 안정 상태이고, T9 타이머가 동작하는 일정 시간 동안 PT 서버가 PT 클라이언트에게 발언권 요청을 허락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 상태는 발언권을 획득한 시간(즉, T2 타이머가 동작하는 시간)을 초과하여 PT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PT 서버가 PT 클라이언트에게 부과하는 벌칙(penalty)에 해당한다. 이 상태에서 PT 서버는 T9 타이머(retry-after timer)를 작동시킨다.
(7) 'U: not permitted MB_Taken ' 상태는 안정 상태이고, PT 서버가 발언권을 획득한 PT 클라이언트(associated PT Client) 이외에 다른 PT 클라이언트(not associated PT Client)가 발언권 요청을 하는 경우에 이미 미디어 버스트를 보낼 수 있는 발언권이 점유되어 있음을 알리는 상태이다.
도 1의 설명에서 소개된 타이머들(즉, T1, T2, T3, T8, T9 등) 은 PT 서버와 PT 클라이언트가 미디어 버스트(MB: Media Burst)의 전송을 제약하거나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타이머들이다. 이하, 상기 소개된 타이머들의 동작을 설명한다.
PT 클라이언트가 PT 서버에게 보내는 미디어 데이터는 RTP 패킷의 형태로 전송된다.
- T1 타이머(End of RTP Media timer)
T1 타이머는 PT 서버에서 RTP 패킷이 수신되고 그 다음 RTP 패킷이 유효 시 간 내에 수신되는지를 카운팅하는 타이머이다. T1 타이머는 보통 4초 설정된다(default). 단말이 미디어 데이터인 RTP 패킷들을 PT 서버에게 보내면, PT 서버가 첫번째 RTP 패킷을 수신할 때, T1 타이머를 작동시키며(start T1 timer), 계속하여 다음 RTP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재작동시킨다. 그리고 마지막 RTP 패킷이 수신되면, T1 타이머는 종료된다(expire).
- T2 타이머(Stop talking timer)
발언권을 가진 단말이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효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이다. PT 서버가 단말이 첫번째 RTP 패킷을 보낼 때, T2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T2 타이머는 보통 30초로 설정된다.
- T3 타이머(Stop talking grace timer)
T3 타이머는 PT 서버에서 T2 타이머가 종료한 후, T3 타이머의 설정 값 만큼 미디어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는 유효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이다. 즉, 미디어 데이터 전송권한을 가진 단말이 미디어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시간을 초과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였을지라도, PT 서버는 T3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값 내에 단말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데이터를 허용한다.
- T9 타이머(Retry-after timer)
T9 타이머는 단말이 허락된 시간을 초과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단말이 일정시간 동안 발언권을 획득할 수 없도록 단말에게 벌칙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이다. 단말이 T2 타이머에 설정된 값(즉, 단말이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효시간)을 초과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발송하는 경우, PT 서버가 단말에게 발언권 취소 메시지(MBCP Revoke message 또는 TBCP Revoke message)를 보낸다. 이때, PT 서버가 T3 타이머 작동시키는데, T3 타이머 내에 상기 단말로부터 발언권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PT 서버가 T9 타이머를 작동시켜서, T9 타이머에 설정된 값에 해당하는 일정 시간 동안 단말이 발언권을 획득할 수 없게 한다.
- T8 타이머(Talk Burst Revoke timer)
T8 타이머는 PT 서버가 MB_Revoke 메시지를 보내면서 작동시키는 타이머이다. PT 서버는 T8 타이머에 설정된 값(즉, 그 값은 시간이다) 이내에 단말이 MB_Release 메시지를 보내지 않으면, 다시 T8 타이머를 계속 작동시켜 단말이 전송하는 MB_Release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
도 2는 PT 서버와 단말 간에 발언권의 획득과 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PT 서버는 도 1에서 제 0 상태에서 SIP 세션이 개시되고, 각 단말들에게 MB_Idle 메시지를 보내어 제1 상태에 있다고 전제한다. 즉, 각 단말들은 PT 서버에게 발언권(전송권한)(floor, permission to send Media Burst)을 요청할 수 있는 상태이다.
단말 A, 단말 B 및 단말 C 각각은 발언권을 요청하는 메시지(MB_Request)를 PT 서버에게 보낸다(S1). PT 서버가 단말 A에게 발언권을 주기로 결정하였다면, 단말 A의 발언권 요청에 대한 승낙 메시지(MB_Granted)를 단말 A에게 보내고, 반면 단말 B와 단말 C에게는 발언권이 단말 A에게 부여되었음 알리는 메시지(MB_Taken 메시지)를 보낸다(S2). 상기 단계(S1 ~ S2)를 통하여,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동 작 상태는 도 1의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 즉 'U: permitted' 상태로 천이한다. 따라서, T2 타이머에 설정된 유효 시간 내에 단말 A는 미디어 데이터(또는 RTP 미디어 패킷)를 PT 서버에게 보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1 ~ S2)를 통하여, 단말 B와 단말 C는 MB_Taken 메시지를 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단말 B 및 단말 C에 대한 PT 서버의 동작 상태는 도 1에서 'U: not permitted and MB_Taken' 상태에 해당한다.
도 1에서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state machine)는 제 2 상태(U: permitt 상태)에 해당하기 때문에, 단말 A는 미디어 데이터(RTP 미디어 패킷)를 PT 서버에게 보낼 수 있다(S3). 이때, PT 서버는 첫번째 RTP 미디어 패킷을 단말 A로부터 수신하면, PT 서버는 T1 타이머와 T2 타이머를 작동시킨다(On receiving the RTP media packet send by Terminal A, PT server may make T1 timer and T2 timer operate simultaneously).
단말 A가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효시간 내에(T2 타이머에 설정된 값) 발언권 해제 메시지(MB_Release)를 보내면,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state)는 도 1의 제2 상태에서 도 1의_제1 상태로 천이하게 되고, 또한 PT 서버는 작동 중인 T2 타이머를 중단시킨다(PT server may make the running-T2 timer stopped). 그러나, 만약 단말 A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전송 가능한 유효시간(즉, T2 타이머에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PT 서버는 단말에게 발언권 취소 메시지(MB_Revoke)메시지를 보낸다.
단말은 자신이 전송한 메시지들의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도 1의 상태도에서 제3 상태(U: waiting MB_Revoke 상태)에 머무르는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있다. 단말은 자신의 잘못도 없이, PT 서버에게 발언권 요청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즉, 단말(PT 클라이언트)이 발언권을 획득하여 PT 서버에게 미디어 데이터(즉, 일련의 RTP 미디어 패킷)를 보낼 때(즉, 도 1에서 제2 상태), 각 RTP 미디어 패킷은 물론 발언권 해제 메시지(MB_Release 메시지)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를 통하여 단말에서 PT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발언권 전송이 허락된 시간 (즉, T2 타이머의 설정 값에 해당하는 시간) 내에 RTP 미디어 패킷들을 전송하고(즉, 도 1에서 PT 서버가 제2 상태), MB_Release 메시지를 PT 서버에게 전송하였을 때를 가정하자(즉, 도 1에서 PT 서버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천이됨). 이때, 상기 RTP 미디어 패킷들은 일련번호가 있는 것이든 없는 것이든 상관없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이 보낸 메시지들(예를 들어, 특정 일부 또는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과 MB_Release 메시지)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를 통하여 PT 서버에 도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메시지들은, 서로 다른 라우팅 경로 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메시지들의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순차적으로 보낸 메시지가 PT 서버에 수신되는 순서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에 따라서, PT 서버는 MB_Release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RTP 미디어 패킷들 중 일부, 예를 들어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last RTP media packet of the RTP media packets sent by the termianl)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PT 서버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이기에, 도 1의 상태도에서 단말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state)는 제2 상태(U: permitted 상태)에서 제1 상태(U: not permitted and MB_Idle 상태)로 천이한 경우가 된다. 이어서, PT 서버가 상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을 수신하였을지라도, PT 서버는 그 수신한 그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이 상기 먼저 수신된 발언권 해제 메시지보다 일찍 전송된 것인지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PT 서버는 발언권이 없는 단말이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 것으로 간주하여, PT 서버는 그 수신된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을 폐기하고 발언권 취소 메시지(MB_Revoke 메시지)를 단말에게 보낸다(즉, 도 1에서 '상황 1'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1의 상태도에서, 단말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제1 상태(U: not permitted and MB_Idle 상태)에서 제3 상태(U: not permitted but sends media 상태)로 천이한다. 도 1의 제3 상태에서, PT 서버는 MB_Revoke 메시지를 단말에게 보냄과 동시에 T8 타이머를 작동시킨다(즉, 도 1에서 '상황 2'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황 2(Situation 2)은 PT 서버가 단말로부터 발언권 해제 메시지(MB_Release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계속 반복되고, 단말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제3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이와 같이 상황 2가 계속 반복되면, 단말의 입장에서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단말은 발언권을 PT 서버에게 요청할 수 없는 불이익을 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단말이 전송한 메시지들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기술적 해결이 필요하다.
또한, 단말은 자신이 전송한 메시지들의 라우팅 경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도 1의 상태도에서 의도하지 않은 제5 상태(U: waiting MB_Revoke 상태)에 머무르는 경우가 있다. 이는 라우팅 경로에 따라, 네트워크에 전송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단말(PT 클라이언트)이 발언권을 획득하고, 그 발언권 전송이 허락된 시간(즉, T2 타이머의 설정 값에 해당하는 시간) 내에 PT 서버에게 미디어 데이터(즉, 일련의 RTP 미디어 패킷)를 보내야 한다. 이때, 단말이 보내는 일련의 RTP 미디어 패킷들은 일련번호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sequence number)에 대한 정보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
단말이 T2 타이머의 설정된 값(예를 들어, '30 초' 라고 전제한다) 내에 일련의 RTP 미디어 패킷들(즉, 미디어 데이터)과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PT 서버에게 보냈는데, 상기 메시지들(즉, RTP 미디어 패킷들 및 발언권 해제 메시지) 각각의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메시지들이 전송된 순서와 다르게 PT 서버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T 서버가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고, 그 후 상기 RTP 미디어 패킷들 중 일부, 예를 들어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last RTP media packet of the RTP media packets sent by the termianl)을 수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PT 서버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에 포함된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 정보를 확인하고, PT 서버는 T2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상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이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즉, 단말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도 1에서 제 2 상태(U: permitted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그러 나, PT 서버가 상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을 기다리는 중에 T2 타이머가 만료되면, PT 서버는 단말에게 발언권 취소 메시지(MB¬_Revoke 메시지)를 보낸다(도 1에서, 상황 3에 해당함). 이때, 단말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도 1의 제1 상태에서 도 1의 제 4 상태(U: pending MB_Revoke 상태)로 천이한다. 이어서, 상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이 수신되면, PT 서버는 발언권 전송 유효 시간을 초과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 것으로 간주하고, 단말에게 벌칙을 가한다. 따라서, 단말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제4 상태에서 제 5 상태(U: waiting MB_Revoke), 즉 단말이 벌칙을 받는 상태(state machine)로 천이한다. 즉, 제 5 상태에서 단말은 일정 시간(즉, T9 타이머에 설정된 값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PT 서버에게 발언권을 요청할 수 없는 벌칙을 받는다.
따라서, 단말이 허락된 전송권한 시간(즉, T2 타이머에 설정 값의 시간), 30초 이내에 RTP 미디어 패킷들(미디어 데이터)과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보낸 경우를 전제한다. 이때,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의 전송 지연으로 인하여 PT 서버가 상기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고 일부 RTP 미디어 패킷(예를 들어,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허락된 전송권한 시간이 경과하면, 단말은 T9 타이머의 설정 시간(즉, 30초) 동안 PT 서버에게 발언권을 요청할 수 없는 불이익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T 서버가 단말로부터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단말이 발언권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T 서버가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 발언권 전송 허락 시간이 만료되더라도, 단말에게 일정시간 동안 발언권을 요청을 제약하지 않고, 반대로 단말이 발언권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T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특정 시간 내에 제1 메시지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 후, 상기 서버가 제1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제2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도,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제2 메시지를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T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특정 시간 내에 제1 메시지(mb release)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정보에 따라서, 상기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서버가 제1 상태(permitted)로 남는 단계와; 상기 특정 시간 이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not permitted and MB_idle)로 천이하고, 제2 메시지(MB_Idle)를 상기 단말에게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가 제1 상태에 남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특정 정보를 확인하고, 그 정보에 해당하는 제3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특정 시간이 만료되기 전까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제3 상태(U:pending mb revoke)로 천이하고 제4 메시지(MB_Revoke)를 상기 단말에게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not permitted and MB_idle)로 천이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PT 서비스를 제공하는 PT 통신 시스템 및 관련 장치들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관련 장치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첫째, 전송권한(발언권)을 획득한 단말이 발언권 전 송 허락 시간 내에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일련 번호가 없는 RTP 미디어 패킷)와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서버에게 보낸 경우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에 따른 전송 지연(transit delay)으로 인하여 PT 서버가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미디어 데이터의 일부(예를 들어,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 마지막이 아닌 특정 RTP 미디어 패킷)를 수신할지라도, 단말의 발언권 요청을 제약하는 것이 아니라 발언권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또 다른 일 예로서 전송권한(발언권)을 획득한 단말이 발언권 전송 허락 시간(period of permission to send media burst) 내에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일련 번호가 있는 RTP 미디어 패킷)와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PT 서버에게 보낸 경우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에 따른 전송 지연으로 인하여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고 그 후 발언권 전송 허락 시간이 만료되기 전까지 미디어 데이터의 일부(예를 들어,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 또는 마지막 패킷이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RTP 미디어 패킷)를 수신할지라도, 단말의 발언권 요청을 제약하는 것이 아니라 발언권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를 본 발명에 따른 일 예로서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RTP 미디어 패킷들(미디어 데이터)이 일련번호가 있거나 또는 없는 모든 경우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RTP 미디어 패킷들(미디어 데이터)이 일련번호를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서버가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를 조회함으로써 하나 또는 다수의 RTP 미디어 패킷을 부가적으 로 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는, 각 패킷들을 구분하는 식별자 역할을 하고(act as identifier), 또한 각 패킷들의 순서를 알리는 일종의 지시자이다(act as indicator). 각 MB_Release 메시지는 마지막 RPT 미디어 패킷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이‘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 일련번호’이다. 한편, 각 RTP 미디어 패킷은 일련번호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언권 제어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PT 서버는 도 1에서 제 0 상태에서 SIP 세션이 개시되고, 각 단말들에게 MB_Idle 메시지를 보내어 제1 상태에 있는 것으로 전제한다. 즉, 각 단말들은 PT 서버에게 발언권(전송권한)(floor, permission to send Media Burst)을 요청할 수 있는 상태이다. 다만, 단말 A가 PT 서버로부터 발언권을 획득한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단말 A, 단말 B 및 단말 C (PT 클라이언트들) 각각은 발언권을 요청하는 메시지(MB_Request)를 PT 서버에게 보낸다(S10). PT 서버가 단말 A에게 발언권을 주기로 결정하였다면, 단말 A의 발언권 요청에 대한 승낙 메시지(MB_Granted)를 단말 A에게 보내고, 반면 단말 B와 단말 C에게는 발언권이 단말 A에게 부여되었음 알리는 메시지(MB_Taken 메시지)를 보낸다(S20). 상기 단계(S10 ~ S20)를 통하여,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동작 상태(state)는 도 1의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 즉 'U: permitted' 상태로 천이한다. 따라서, T2 타이머에 설정된 유효 시간 내에, 단말 A 는 미디어 데이터(또는 RTP 미디어 패킷들)를 PT 서버에게 보낼 수 있다. 반면, 상기 단계(S10 ~ S20)를 통하여, 단말 B와 단말 C는 MB_Taken 메시지를 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단말 B 및 단말 C에 대한 PT 서버의 동작 상태는 도 1에서 제6 상태(U: not permitted and MB_Taken)에 해당한다.
도 1에서 단말 A와 PT 서버 간의 상태에 있어서, 단말 A는 제 2 상태(U: permitted 상태)에 해당하기 때문에, 단말 A는 미디어 데이터(RTP 미디어 패킷)를 PT 서버에게 보낸다(S30). 이때, PT 서버는 첫번째 RTP 미디어 패킷이 수신되면, T1 타이머와 T2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즉, 단말 A는 T2 타이머 시간 값(예를 들어, 30초) 내에 일련의 RTP 미디어 패킷들을 PT 서버에게 보낼 수 있다(S31 ~ S33). 이때, PT 서버는 각 RTP 미디어 패킷들이 도착할 때마다, T1 타이머를 재동작(restart)시킨다. 그리고 T1 타이머는 하나의 RTP 미디어 패킷이 도착하고 그 다음 RTP 미디어 패킷이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한다. 만약 T1 타이머가 만료되면, PT 서버는 단말 A가 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마친 것으로 간주하고, 도 1의 제2 상태에서 도 1의 제1 상태, 즉 단말 A가 발언권을 요청할 수 있는 상태로 천이한다.
이하, 도 3에서 일련의 단계들 S30을 설명한다.
단말 A가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효시간 내에(T2 타이머에 설정된 값) 일련의 RTP 미디어 패킷들을 보내고(S31 ~ S33), 그 다음 발언권 해제 메시지(MB_Release)를 순차적으로 PT 서버에게 보냈다(S34). 그런데, 단말 A가 보낸 메시지들(즉, RTP 미디어 패킷들과 발언권 해제 메시지)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라우 팅 경로(또는 전송 경로) 통하여 PT 서버로 전송된다. 이로 인하여 네트워크 라우팅 경로 상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단말 A가 보낸 발언권 해제 메시지가 PT 서버에 먼저 수신되고,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 또는 하나 이상의 RTP 미디어 패킷(이는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이 아님)이 그 다음으로 수신될 수 있다(S33 ~ S34).
상기 단계(S34)에서 T2 타이머가 계속 동작하는 동안에 PT 서버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TBCP(또는 MBCP) 동작 상태는 현재의 제2 상태(도 1에서 U: permitted 상태)에서 제1 상태(도 1에서 U: not permitted and MB_Idle 상태)로 천이된다. 따라서, PT 서버는 단말 A가 발언권을 요청하는 메시지(MB_Request)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제 1 상태에서 PT 서버는 상기 단계(S33)의 RTP 미디어 패킷(예를들어,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 또는 하나 이상의 RTP 미디어 패킷)을 수신하였을때, PT 서버는 MB_Release 메시지(이는 PT 서버가 제2 상태(U: permitted)에서 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이다)를 이미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도 3의 상기 단계(S34)와 같이 PT 서버가 MB_Release 메시지를 제2 상태에서 이미 수신하였다면,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가 제1 상태에서 제3 상태(도 1에서, U: not permitted but sends media)로 가지 않으며, 또한 그 수신한 RTP 미디어 패킷(예를들어,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 또는 하나 이상의 RTP 미디어 패킷)을 다른 단말들(도 3에서 단말 B 및 단말 C)에게 전송하지 않고 폐기한다. 이때,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제1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말 A는 원한다면 발언권을 PT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제1 상태에 있는 PT 서버는 MB_Release 메시지(이는 제2상태에서 PT 서버가 단말 A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이다)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수신한 RTP 미디어 패킷을 폐기하고, 또한 도 1의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제3 상태로 천이하지 않는다(S35). 다시 말해서, PT 서버는 상기 단계(S33)의 RTP 미디어 패킷을 상기 발언권 해제 메시지(즉, S34의 MB_Release)를 수신한 다음에 수신하였을지라도, 발언권이 없는 단말 A가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였다고 판단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PT 서버는 MB_Release 메시지를 수신하고(S34), 그 후 수신한상기 단계(S33)의 RTP 미디어 패킷(즉,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 또는 하나 이상의 특정 RTP 미디어 패킷)을 폐기하고(discard), 단말 A가 발언권을 계속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TBCP(또는 MBCP) 동작 상태는 제1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단말 A는 T2 타이머에 설정된 값, 즉 전송권한 시간 내에 미디어 데이터(일련의 RTP 미디어 패킷들)를 보낸 후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경로의 전송 지연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단말 A의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다. 즉, PT 서버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후, 그 다음으로 RTP 미디어 패킷을 단말 A로부터 수신하였을지라도, 단말 A를 발언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3 상태로 천이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A는 PT 서버에게 발언권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언권 제어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이때, PT 서버는 도 1에서 제 0 상태에서 SIP 세션이 개시되고, 각 단말들에게 MB_Idle 메시지를 보내어 제1 상태에 있는 것으로 전제한다. 즉, 각 단말들은 PT 서버에게 발언권(전송권한)(floor, permission to send Media Burst)을 요청할 수 있는 상태이다. 다만, 단말 A가 PT 서버로부터 발언권을 획득한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제2 실시 예에서, 단계(S10 및 S20)들은 도 3의 제1 실시 예에서의 상기 단계들(S10 및 S20)과 그 동작 및 기능이 동일하다. 도 3의 제1 실시 예와 대비하여 볼 때, 도 4의 제2 실시 예에서, RTP 미디어 패킷들(또는 미디어 데이터)은 각각 일련번호(sequence number)를 가지고 있고, 또한 발언권 해제 메시지는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4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발언권 해제 메시지가 먼저 전송한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RTP 미디어 패킷(이는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이 아님)보다도 PT 서버에 먼저 수신되더라도,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도 1의 제2 상태에서 도 2의 제1 상태로 천이되지 않고, 현재의 제2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이는 PT 서버가 T2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또는 그 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미디어 패킷)의 수신을 기다리는 것이다. 도 4에서, 각 RTP 미디어 패킷은 일련번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PT 서버는 수신한 MB_Release 메시지에 포함된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를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마지막 패킷이 도달하기를 기다릴 수 있다.
도 4의 제2 실시 예는, T2 타이머 만료 이전에 일련의 RTP 미디어 패킷들(이 패킷들은 일련 번호를 가지고 있다)과 발언권 해제 메시지가 단말 A에서 PT 서 버로 전송되었지만, 네트워크 경로의 전송 지연으로 인하여 발언권 해제 메시지가 먼저 수신되고, 이어서 일부 RPT 미디어 패킷(예를 들면,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미디어 패킷)이 PT 서버에 수신되지 못하고, T2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이다.
이하, S40 단계를 설명한다. S40 단계는 PT 서버가 MB_Release 메시지 및 특정 RTP 미디어 패킷의 수신과 관련된 동작들에 관한 것이다.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 A는 발언권 전송 유효 시간(즉, T2 타이머의 설정 값에 해당한다) 내에 일련의 RTP 미디어 패킷들을 순차적으로 PT 서버에게 보낸다(S41 ~ S44). 이때, 상기 RTP 미디어 패킷들은 각각 일련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단말 A는 발언권 전송 유효 시간(즉, T2 타이머의 값) 내에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PT 서버에게 보낸다(S44). 그런데, 상기 RTP 미디어 패킷들과 발언권 해제 메시지가 순차적으로 단말 A에서 PT 서버로 전송되었을지라도, 그 전송되는 라우팅 경로가 서로 각각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전송되는 라우팅 경로에 따라, 네트워크의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단계 S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PT 서버는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1)과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2)을 수신한다(S41 ~ S42)(다만, 도 4에서 설명의 편의상 RTP 미디어 패킷이 3개(즉, 일련번호 1~2 및 n)인 것으로 도시됨). 그 다음으로 네트워크 지연으로 인하여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마지막 패킷, 즉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n)보다 먼저 수신할 수가 있다(S43 ~ S44). 이때, PT 서버는 상기 수신한 발언권 해제 메시지의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 정보(예를 들어, 일 련번호 n)을 분석하여, 그 수신된 RTP 미디어 패킷이 마지막 RTP 패킷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PT 서버는 MB_Release 메시지의 ‘마지막 패킷 일련번호 정보(또는 파라미터)’를 조사함으로써, 마지막 패킷이 아직 수신되지 않았음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PT 서버는 상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특정 메모리(PT 서버에 장착된 메모리 또는 별도의 외장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PT 서버는 MB_Release 메시지 내의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계(S43)의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n)이 수신할 수 있도록 기다린다. 다시 말해서,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도 1의 제2 상태에서 도 1의 제1 상태로 천이하는 것이 아니라, 도 1의 제2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45). 따라서, T2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PT 서버는 단말 A가 전송한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n))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단계(S43)의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n)이 PT 서버에 도달하기 전에 T2 타이머가 만료되다면(즉, T2 타이머가 만료된 후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이 수신된 경우), PT 서버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MB_Release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6). PT 서버가 제2 상태에 있는 동안에 T2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PT 서버는 제4 상태로 천이하지 않고 제2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이때 PT 서버는 MB_Release 메시지를 이미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6). 만약 PT 서버가 MB_Release 메시지를 이미 수신하였다면, PT 서버는 현재의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천이하고 MB_Idle 메시지를 단말 A에게 보내며 또한 이후 수신 되는 모든 RTP 미디어 패킷을 폐기한다. 즉, 도 4의 실시 예에서, PT 서버는 상기 단계(S44)에서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이미 수신하였기 때문에, PT 서버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이미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S46). 따라서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천이되고, 그 다음 PT 서버는 제1 상태를 유지하면서 MB_Idle 메시지를 단말 A에게 보낸다(S47 및 S48).
그러나, 만약 T2 타이머가 만료된 시점에서 PT 서버가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PT 서버는 발언권 취소 메시지를 단말 A에게 보내고(S49), 단말 A에 대한 PT 서버 상태는 현재의 제2 상태에서 제4 상태(U: pending MB_Revoke 상태)로 천이한다(S50).
이상과 같이, 상기 단계(S46)의 판단 결과, PT 서버는 T2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S44의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이미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천이하고, 단말 A가 PT 서버에게 발언권을 요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PT 서버는 T2 타이머가 만료되면, T3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만약 T3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n)이 PT 서버에 수신되면, PT 서버는 그 수신된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n)을 단말 B 및/또는 단말 C에게 전송한다(도 1에서 상황 4에 해당함). 그러나, T3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또는 PT 서버가 제4상태에 있는 중에 상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n)을 수신하는 경우에, PT 서버는 단말 A가 발언권 없이 미디어 데이터(즉, 상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일련번호 n))를 전송한 것으로 취급한다. 따라 서,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제 4 상태(도 1에서 U: pending MB_Revoke 상태)에서 제 5 상태(도 1에서 U: waiting MB_Revoke)로 천이한다. 이러한 제5 상태에서 PT 서버는 단말 A에게 일정 시간 동안(즉 T9 타이머의 설정 값) 발언권 요청할 수 없는 벌칙을 가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PT 서버는 T2 타이머의 유효시간 내에 단말 A로부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보다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먼저 수신하였다면, 그 메시지에 포함된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확인(분석)한다. 그리하여 단말 A에 대한 PT 서버의 상태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천이하지 않고, 그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이 도착하기를 기다린다. T2 타이머가 종료하는 시점까지 상기 마지막 RTP 미디어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지라도, PT 서버는 단말 A에게 발언권 취소 메시지를 곧바로 보내지 않는다. 반면, PT 서버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이미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기초하여 현재 제2 상태에서 제4 상태로 단말 A에 대한 PT 서버 상태를 천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PT 서버는 T2 타이머가 만료 시, 자동적으로 제2상태에서 제4 상태로 천이한다. 이때, T3 타이머와 T9 타이머가 작동되고, T9 타이머가 작동되는 시간 동안 단말 A는 PT 서버에게 발언권을 요청할 수 없다. 이것은 단말 A의 입장에서 의도되지 않은 심각한 문제로서, 단말 A를 위한 PT 서비스가 마비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이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하여 네트워크의 서로 다른 전송 경로 상의 전송 지연으로 야기되는 이러한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즉, 단말 A는 네트워크 전송 지연으로 인하여 PT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받지 못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P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모듈의 PT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모든 장치를 통칭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P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UE), 휴대폰, 셀룰라폰, DMB폰, DVB-H폰, PDA 폰, 그리고 PT폰 등등)와, 디지털 TV와, GPS 네비게이션와, 휴대용게임기와, MP3와 그외 가전 제품 등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제어부와, 메모리와, 그 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기본적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기술적 특징이 있는 구성요소, 제어부와 메모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패킷 및 미디어 버스트 해제 메시지를 PT 서버에게 전송하고, 그 미디어 버스트 해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PT 서버로부터 미디어 버스트 아이들(MB_Idle: media burst idle)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미디어 버스트 아이들 메시지를 수신한 때, 미디어 버스트 요청(발언권)을 PT 서버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미디어 버스트 아이들 메시지는 T2 타이머가 만료 시 PT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패킷은 일련번호 정보(해당 미디어 패킷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미디어 버스트 해제(MB_Release: media burst release) 메시지는 마지막 미디어 패킷의 일련번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버스트 아이들 메시지를 수신한 때, PT 서버로부터의 미디어 버스트 취소(MB_Revoke: media burst revoke) 메시지 수신을 하지 못하는데, 이는 PT 서버가 미디어 버스트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제어부와, 메모리와, 그 이외의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기능 및 동작은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 해당 부분들에 그대로 적용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PT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장치)의 필수적 기본 구성요소(예를 들어, 송수신부와, 입력부와, 출력부 등등)들은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실인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단말기의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토크 버스트는 음성 데이터이고, 미디어 버스트는 예를 들어 문자, 동영상, 사진 등의 데이터를 의미하며, 데이터의 형태와 상관없이 토크 버스트 및 미디어 버스트가 모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지연 현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PT 서버가 단말에게 발언권 요청을 제약하는 것과 같은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단말과 PT 서버는 PT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PT(Push-To) 서버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PT 서버가 T2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미디어 버스트 릴리즈 메시지(media burst release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T2 타이머의 만료시, 상기 PT 서버가 상기 미디어 버스트 릴리즈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PT 서버가 상기 미디어 버스트 릴리즈 메시지가 수신되었었다고 판단하면, 미디어 버스트 아이들 상태(media burst idle state)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서버의 상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버스트 아이들 상태는
    "U: not permmited and MB_Idle"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서버의 상태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버스트 릴리즈 메시지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서버의 상태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2 타이머는
    발언권을 가진 단말이 미디어 버스트를 상기 PT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는 유효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서버의 상태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2 타이머는
    상기 서버가, 발언권을 가진 단말에게 하여금 미디어 버스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허여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서버의 상태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2 타이머는
    발언권을 가진 단말로부터 첫 번째 미디어 버스트가 수신될 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서버의 상태 제어 방법.
  7. PT (Push-To) 클라이언트 단말로서,
    T2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패킷과 미디어 버스트 릴리즈 메시지(media burst release message)를 PT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PT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버스트 릴리즈 메시지에 응답하여, 미디어 버스트 아이들 메시지(media burst idle message)를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버스트 아이들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PT 서버로 미디어 버스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버스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PT 서버가 상기 미디어 버스트 릴리즈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전송되고,
    상기 미디어 버스트 릴리즈 메시지는 이전 상태에서 상기 PT 서버에 의해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클라이언트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T 클라이언트 단말은 미디어 버스트 릴리즈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PT 서버에 의해서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클라이언트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PT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PT 서버로 미디어 버스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PT 서버가 상기 PT 클라이언트 단말로 하여금 미디어 버스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허여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클라이언트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상태는
    'U:permitted'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클라이언트 단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2 타이머는
    상기 PT 클라이언트 단말이 발언권을 가진 경우, 미디어 버스트를 상기 PT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는 유효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클라이언트 단말.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2 타이머는
    상기 PT 서버가, 발언권을 가진 PT 클라이언트 단말로 하여금 미디어 버스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허여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클라이언트 단말.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T2 타이머는
    발언권을 가진 PT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첫 번째 미디어 버스트가 수신될 때, 상기 PT 서버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클라이언트 단말.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70062429A 2006-10-18 2007-06-25 Pt 서비스에서의 발언권 제어 방법 KR10139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X2009003959A MX2009003959A (es) 2006-10-18 2007-07-04 Metodo y dispositivo para controlar limite inferior en servicio de transmision automatica.
BRPI0719255-0A2A BRPI0719255A2 (pt) 2006-10-18 2007-07-04 Método e dispositivo para controlar direito de falar em serviço pressione para usar.
EP07768596.4A EP2078353B1 (en) 2006-10-18 2007-07-04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loor in push to service
PCT/KR2007/003248 WO2008047995A1 (en) 2006-10-18 2007-07-04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loor in push to service
RU2009115558/07A RU2469501C2 (ru) 2006-10-18 2007-07-04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зрешением на передачу в службе "push-to"
CA2664174A CA2664174C (en) 2006-10-18 2007-07-04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loor in push to service
JP2009527288A JP4808810B2 (ja) 2006-10-18 2007-07-04 Ptサービスにおける発言権制御方法及び装置
AU2007311887A AU2007311887B2 (en) 2006-10-18 2007-07-04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loor in Push To service
CN2007800370488A CN101523764B (zh) 2006-10-18 2007-07-04 用于在一键通服务中控制发言权的方法和设备
US11/776,333 US7756054B2 (en) 2006-10-18 2007-07-11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loor in push to service
TW096127157A TWI376921B (en) 2006-10-18 2007-07-2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loor in push to service
US12/791,650 US8416708B2 (en) 2006-10-18 2010-06-01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loor in push to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241206P 2006-10-18 2006-10-18
US60/852,412 2006-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434A KR20080035434A (ko) 2008-04-23
KR101396972B1 true KR101396972B1 (ko) 2014-05-20

Family

ID=3957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429A KR101396972B1 (ko) 2006-10-18 2007-06-25 Pt 서비스에서의 발언권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756054B2 (ko)
EP (1) EP2078353B1 (ko)
JP (1) JP4808810B2 (ko)
KR (1) KR101396972B1 (ko)
CN (1) CN101523764B (ko)
AU (1) AU2007311887B2 (ko)
BR (1) BRPI0719255A2 (ko)
CA (1) CA2664174C (ko)
MX (1) MX2009003959A (ko)
RU (1) RU2469501C2 (ko)
TW (1) TWI376921B (ko)
WO (1) WO20080479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995B1 (ko) 2017-01-16 2018-11-21 (주)사이버텔브릿지 모바일 단말이 단말 간 직접통신을 통해 ptt 발언권을 획득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1461B2 (en) * 2007-03-20 2014-07-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of distributing application related information in cellular system
US8270583B2 (en) * 2008-12-20 2012-09-1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group communication
CN102118523A (zh) * 2009-12-30 2011-07-06 北京大唐高鸿数据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集中式电话会议的混音控制方法
JP2012080257A (ja) * 2010-09-30 2012-04-19 Canon Inc 提供装置、配信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763846B1 (en) * 2011-10-03 2017-01-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voice bearer in reverse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US9900172B2 (en) 2013-04-25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resource sharing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using a network-based group management and floor control mechanism
WO2016106593A1 (zh) * 2014-12-30 2016-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话权控制方法及装置
RU2666128C1 (ru) * 2014-12-30 2018-09-06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равом слова
TWI599248B (zh) * 2016-03-15 2017-09-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在一無線通訊系統中提供即按即說通訊的方法
WO2018010175A1 (zh) * 2016-07-15 2018-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媒体发送权申请方法、媒体发送权撤销方法及装置
RU2755529C1 (ru) * 2021-02-01 2021-09-17 Даурен Муратович Айдарханов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сеанса групповой пакетной голосовой связи по сетям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2401B2 (en) 2001-05-15 2005-06-28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an efficient dormant mode for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WO2006014090A1 (en) 2004-08-05 2006-02-09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duration of talk burst control timer
US20060040685A1 (en) 2004-08-11 2006-02-23 Lg Electronics Inc. Optimizing talk burst control process in a PTT communication network
WO2006032939A1 (en) 2004-09-21 2006-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rapid talk burst control for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6000B2 (en) * 2001-04-17 2008-06-10 Nokia Corporation Packet mode speech communication
US7231225B2 (en) * 2003-12-03 2007-06-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Push-to-talk handling in a dual processor environment
US20080285532A1 (en) * 2003-12-11 2008-1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 N.V. Floor Control for Multimedia Push-To-Talk Applications
CN1299520C (zh) * 2004-04-28 2007-0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键通业务系统及其业务实现方法
TW200621052A (en) 2004-06-21 2006-06-16 Qualcomm Inc Asynchronous signaling and data deli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41233B1 (ko) * 2004-07-28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티 서비스의 발언권 처리방법
KR100652650B1 (ko) * 2004-07-28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음영지역에서 동기화를 위한 피티티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CA2584180A1 (en) * 2004-10-22 2006-08-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erver having controlling function
KR100664190B1 (ko) 2004-12-30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ptt 서비스 개선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2401B2 (en) 2001-05-15 2005-06-28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an efficient dormant mode for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WO2006014090A1 (en) 2004-08-05 2006-02-09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duration of talk burst control timer
US20060040685A1 (en) 2004-08-11 2006-02-23 Lg Electronics Inc. Optimizing talk burst control process in a PTT communication network
WO2006032939A1 (en) 2004-09-21 2006-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rapid talk burst control for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 commun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995B1 (ko) 2017-01-16 2018-11-21 (주)사이버텔브릿지 모바일 단말이 단말 간 직접통신을 통해 ptt 발언권을 획득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03309A (ja) 2010-01-28
BRPI0719255A2 (pt) 2014-04-29
US7756054B2 (en) 2010-07-13
US8416708B2 (en) 2013-04-09
MX2009003959A (es) 2009-04-27
RU2469501C2 (ru) 2012-12-10
RU2009115558A (ru) 2010-11-27
CA2664174C (en) 2015-02-03
EP2078353A1 (en) 2009-07-15
AU2007311887A1 (en) 2008-04-24
TWI376921B (en) 2012-11-11
CA2664174A1 (en) 2008-04-24
EP2078353A4 (en) 2009-11-04
US20100240408A1 (en) 2010-09-23
JP4808810B2 (ja) 2011-11-02
AU2007311887B2 (en) 2010-12-09
EP2078353B1 (en) 2016-06-01
TW200824387A (en) 2008-06-01
US20080098063A1 (en) 2008-04-24
CN101523764A (zh) 2009-09-02
KR20080035434A (ko) 2008-04-23
WO2008047995A1 (en) 2008-04-24
CN101523764B (zh)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972B1 (ko) Pt 서비스에서의 발언권 제어 방법
CN100593348C (zh) 在支持一键通业务的组通信系统中提供语音突发权限的方法和设备
EP19111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granting transmit capability in a push to communicate system
US8284773B1 (en) Advanced joining into multicast group to facilitate later communication among group members
KR20080028647A (ko) PoC 사용자 미디어 전송 권리 요청과 부여를 위한 방법및 시스템
KR20070105239A (ko) 미디어 전송 권한 요청 방법 및 pt서비스 제어 방법
US200802487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lazy-lock control in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s
JP4742151B2 (ja) PoCシステムにおけるメディア転送時間情報提供のための端末装置及び方法とメディア転送時間情報提供のためのPoCシステム
KR1014417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고-우선순위 통신 세션들
RU242092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луги "нажми и говори"
US20210176606A1 (en) Terminal participating in group call established based on mcptt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KR101330840B1 (ko) 피티티 호 자동 홀딩 방법 및 단말기
KR102407817B1 (ko) 오프 네트워크에서 mcptt 그룹 통화에 참여하는 단말 및 mcptt 그룹의 동작 방법
KR100811045B1 (ko) PTx서비스 방법
KR20070062241A (ko) PoC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발언 시간 관리 시스템 및방법
WO2007081111A1 (en) Performing a session-based service
KR20070108308A (ko) 세션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711820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lazy-lock control procedure in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s
KR20070074450A (ko) 세션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74514A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64068A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