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947B1 - 금속 튜브가 형성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 - Google Patents

금속 튜브가 형성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947B1
KR101396947B1 KR1020120127802A KR20120127802A KR101396947B1 KR 101396947 B1 KR101396947 B1 KR 101396947B1 KR 1020120127802 A KR1020120127802 A KR 1020120127802A KR 20120127802 A KR20120127802 A KR 20120127802A KR 101396947 B1 KR101396947 B1 KR 10139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metal tube
optical
epoxy res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훈
김두근
기현철
김태언
임정운
김회종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2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optical elements other than gratings, e.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02B6/02171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 G02B6/021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due to temperature fluctuations
    • G02B6/02185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due to temperature fluctuations based on treating the fibre, e.g. post-manufacture treatment, thermal aging, annea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2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 G02B6/4265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of the Butterfly or dual inline package [DIP]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35Materials
    • G02B2006/12069Organic material
    • G02B2006/12073Epox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에 관한 것으로, 코어(21)와 클래드 층(22)을 갖는 광섬유(20)와, 상기 광섬유를 피복하며, 길이방향에 1개소 이상의 홈(12)을 갖는 원통 형상의 금속 튜브(10)와, 상기 금속 튜브의 상기 홈을 통해서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광섬유와 상기 금속 튜브를 결합하는 에폭시수지 결합부(30)를 갖는다.

Description

금속 튜브가 형성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OPTICAL FIBER WITH METAL TUBE AND OPTICAL MODULE}
본 발명은 일단에 금속 튜브를 형성한 광섬유 및 이 광섬유를 이용한 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통신용이나 용접, 절단 등에 이용되는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레이저와 같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광섬유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광섬유는 통상 굴절률이 높은 석영 코어와 코어보다 굴절률이 낮은 유리 클래드로 이루어지는 심선과, 심선을 보호하기 위한 외피인 보호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층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광신호는 광섬유의 심선을 통해서 전송된다.
광섬유와 광섬유 간의 상호 접속을 위해서는 광 축의 일치가 매우 중요하며, 접속 개소를 간편하게 접속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광 커넥터가 사용된다. 광 커넥터에는 페룰이라고 불리는 부품이 내장되어 있고, 페룰은 통상 ZrO2 등의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광섬유의 심선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갖는다.
페룰의 상기 삽입구멍에 광섬유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광섬유의 선단을 필요한 길이만큼 보호층을 박리하여 심선을 노출시켜서 나선으로 하고, 이 나선부분을 페룰의 삽입구멍에 삽입하여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에 절단 표면을 연마한다. 그 후, 페룰에 삽입된 광섬유의 단면을 특수한 에폭시수지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함으로써 광신호 전송로가 형성된다.
광섬유의 심선과 페룰 간에는 고도의 기밀성이 요구되거나 또는 접속부가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페룰과 광섬유의 심선을 납땜 등에 의해 접착하며, 이 경우에는 페룰과 광섬유 심선 간의 접착력의 향상을 위해서 광섬유 심선의 표면에 금속을 피복한 금속 피복 층을 형성하고, 이 금속 피복 층과 페룰을 납땜 등에 의해 접착한다.
또, 광신호의 송수신에 사용되거나 또는 광 에너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광 모듈에서는 발광소자 또는 수광소자 등의 광소자와 광섬유 간의 접속이 필요하고, 이 경우에도 상기 광섬유 상호 간의 접속과 마찬가지로 광소자와 광섬유 간의 광 축의 일치는 필수적이며, 광 축의 고정을 위해서는 광소자가 수납된 프레임 내에 형성된 예를 들어 V홈이나 클립 등에 납땜이나 에폭시 본딩 등에 의해 광섬유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또, 광소자를 수납하는 광 모듈의 프레임은 결로 등에 의해 광소자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계와의 차단이 필요하며, 광 모듈의 밀봉을 위해서는 광소자가 수납된 프레임에 광섬유를 도입하여 프레임의 광섬유 관통구멍을 기밀로 밀봉하기 위해 광섬유의 심선의 표면을 금속으로 피복하여 이 피복부분을 프레임의 벽 등에 납땜을 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밀봉한다.
광섬유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증착법에 의하는 방법(특허문헌 1), 무전해 도금에 의하는 방법(특허문헌 2), 무전해 도금과 전해 도금을 이용하는 방법(특허문헌 3)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 USP 6,798,96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개평 5-249353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개평 10-300997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의하는 방법은 진공증착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고, 또, 특허문헌 2, 3의 방법도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한 동시에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광섬유의 일단에 금속 튜브를 형성한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는, 코어와 클래드 층을 갖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피복하며, 길이방향에 1개소 이상의 홈을 갖는 원통 형상의 금속 튜브와, 상기 금속 튜브의 상기 홈을 통해서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광섬유와 상기 금속 튜브를 결합하는 에폭시수지 결합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은 상기 금속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2 내지 3개소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은 상기 금속 튜브의 둘레방향으로 2 내지 3개소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섬유는 상기 클래드 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더 가지며, 상기 금속 튜브는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광 모듈은, 버터플라이 케이스와, 상기 버터플라이 케이스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광소자와, 상기 광소자와 광 결합하는 상기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는 에폭시수지 또는 광섬유 고정용 클립에 의해 상기 버터플라이 케이스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는 금속 튜브에 형성된 홈을 통해 주입된 에폭시수지에 의해 광섬유와 금속 튜브가 결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물리 증착이나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 등을 위한 별도의 설비 없이도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얻을 수 있어서,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의 제조공정이 간단한 동시에, 제조 원가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금속 튜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금속 튜브를 이용하여 제조된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이용한 광 모듈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이용한 광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이용한 광 모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금속 튜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금속 튜브를 이용하여 제조된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금속 튜브(10)는 금속재의 원통형 튜브이며, 금속 튜브 본체(11)와 본체(11) 길이방향의 적어도 1개소 이상에 후술하는 광섬유 심선과 금속 튜브(10)를 에폭시수지에 의해 결합하기 위한 홈(12)을 갖는다. 도 1에서는 금속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3개소에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홈(12)은 금속 튜브(10)의 둘레방향으로도 적어도 1개소 이상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홈(12)은 금속 튜브(10)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2개소 내지 4개소 이상 형성되는 것이 후술하는 광섬유와 금속 튜브(10)의 결합강도의 확보라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1개소당 형성되는 홈(12)의 개수는 1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개소당 2 내지 3개의 홈(12)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도 1에서는 1개소당 금속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3개의 홈(12)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튜브(10)의 둘레방향으로 1개 이상 나란히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홈(12)의 형상은 도 1에서는 금속 튜브(10)의 둘레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홈(12)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금속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홈(12)이라도 좋고, 그 외의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홈(12)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광섬유 심선과 금속 튜브(10)를 에폭시수지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을 정도이면 좋다.
홈(12)의 내경은 후술하는 광섬유 심선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이면 좋으며, 광섬유 심선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정도이면 된다.
광섬유 심선을 피복하는 금속 튜브(10)를 형성하는 재료로는 도전성 물질을 이용할 수 있고, 금속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Ni, Ti, Ta, W, Cr, Pt, Au, Al, Ag, Zr, Fe, Zn, Cu, Sn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금속 중 Ni, Ti, Sn, Au, Pt 등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튜브(10)를 형성하는 금속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층한 구조로 해도 좋다.
피복의 길이는 이용하는 광 커넥터 또는 광 모듈의 종류, 크기, 페룰의 접합 길이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의 금속 튜브(10)를 이용하여 제조된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금속 튜브(10)는 광섬유의 보호층이 제거된 상태, 즉, 코어와 클래드 층을 갖는 심선(23)에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금속 튜브(10)는 광섬유의 보호층 상에 피복을 해도 좋다.
도 2에서는 광섬유(20)의 보호층을 제거하여, 코어(21)와 클래드 층(22)만을 갖는 심선에 금속 튜브(10)를 금속 튜브(10)를 삽입한 후, 금속 튜브(10)의 홈(12)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고 경화하여 제작된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를 나타내고 있다.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는 광섬유(20)와, 상기 광섬유(20)의 일부에 피복된 금속 튜브(10)와, 상기 금속 튜브(10)의 홈(12)에 예를 들어 주사기 등의 에폭시수지 주입수단을 이용하여 주입된 후, 주입되는 에폭시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예를 들어 열경화성 에폭시수지인 경우에는 열 경화에 의해, 또, 광 경화성 에폭시수지인 경우에는 광 경화에 의해 경화된 에폭시수지 결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에폭시수지 결합부(3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 튜브(10)의 둘레방향의 일부, 즉 홈(12)을 포함하여 홈(12)의 주위에만 형성할 수도 있고, 금속 튜브(10)의 둘레방향의 전체, 즉 홈(12)을 포함하여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할 수도 있다.
금속 튜브(10)는 광섬유(20)의 끝단에서 소정 길이(S) 떨어진 지점에서부터 피복되어 있으며, 이 길이(S)는 본 발명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광 커넥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섬유와 광섬유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되는 부분이며, 광 모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광소자와 접속을 위한 접속부가 되는 부분이다.
도 2에서는 금속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3개소에 홈(12)이 형성된 금속 튜브(10)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에폭시수지 결합부(30)도 3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폭시수지 결합부(30)의 수는 금속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홈(12) 형성 개소의 수와 같다.
도 2에서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상기 홈(12) 형성 개소는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금속 튜브(10)의 둘레방향으로 2 내지 3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에폭시수지는 금속 튜브(1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개소에 형성된 홈(12) 전체에 걸쳐서 링 형상으로 주입되므로, 결과적으로, 에폭시수지 결합부(30)의 수는 금속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12) 형성 개소의 수와 같다.
에폭시수지 결합부(30)에 사용되는 에폭시수지로는 예를 들어 광 경화성 에폭시수지 또는 열 경화성 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는 금속 튜브(10)에 형성된 홈(12)을 통해 주입된 에폭시수지에 의해 광섬유(20)와 결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물리 증착이나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 등을 위한 별도의 설비 없이도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얻을 수 있으므로,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의 제조공정이 간단한 동시에, 제조 원가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를 이용한 광 모듈(400)에 대해서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이용한 광 모듈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이용한 광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이용한 광 모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5의 광 모듈(400)은 버터플라이 케이스(41) 내에 배치된 예를 들어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광소자(42)와, 이 광소자(42)와 광 결합하는 광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도 3 내지 5의 광 모듈(400)은 광소자(42)와 광 결합하는 광섬유로 본 발명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광 모듈과 동일하다.
버터플라이 케이스(41) 내의 소정의 위치에는 광소자(42)가 통상의 방법에 의해 기판(43)에 고정되어 있고,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는 상기 광소자(42)와 광 축이 정렬된 상태에서 광섬유 고정용 기판(44)에 에폭시 수지나 기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광섬유는 본 발명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100)이며, 도 3에서는 에폭시수지(45)에 의해 광섬유가 기판(44)에 고정되어 있고, 도 4에서는 광섬유는 광섬유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광섬유 정렬용 V형 홈(46, V groove)에 배치되어 에폭시수지(4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도 5에서는 광섬유는 광섬유 고정용 클립(47)에 의해 기판(44)에 고정되어 있고, 클립(47)은 기판(44)에 레이저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 광소자(42)와 광섬유(100) 사이는 렌즈 등의 광 모듈을 구성하는 통상의 광학부품을 거쳐서 접속되어도 좋다.
그 외의, 도 3 내지 5의 광 모듈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0 금속 튜브
12 홈
20 광섬유
30 에폭시수지 결합부
100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
400 광 모듈

Claims (6)

  1. 코어와 클래드 층을 갖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끝단에서 소정 길이 떨어진 지점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상기 클래드 층을 피복하며, 길이방향에 1개소 이상의 홈을 갖는 원통 형상의 금속 튜브와,
    상기 금속 튜브의 상기 홈을 통해서 에폭시수지가 주입되어 상기 광섬유와 상기 금속 튜브를 결합하는 에폭시수지 결합부를 갖는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금속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2 내지 3개소에 형성되는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금속 튜브의 둘레방향으로 2 내지 3개소에 형성되는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상기 클래드 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더 가지며,
    상기 금속 튜브는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되는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
  5. 버터플라이 케이스와,
    상기 버터플라이 케이스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광소자와,
    상기 광소자와 광 결합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 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금속 튜브 피복형 광섬유는 에폭시수지 또는 광섬유 고정용 클립에 의해 상기 버터플라이 케이스에 고정되는 광 모듈
KR1020120127802A 2012-11-13 2012-11-13 금속 튜브가 형성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 KR10139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802A KR101396947B1 (ko) 2012-11-13 2012-11-13 금속 튜브가 형성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802A KR101396947B1 (ko) 2012-11-13 2012-11-13 금속 튜브가 형성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947B1 true KR101396947B1 (ko) 2014-05-19

Family

ID=5089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802A KR101396947B1 (ko) 2012-11-13 2012-11-13 금속 튜브가 형성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9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142A (ja) * 1991-04-30 1993-02-05 Fujitsu Ltd 光フアイバモジユール
JP2006055451A (ja) * 2004-08-20 2006-03-02 Tokyo Medical & Dental Univ 支台築造用ポスト、根管に充填された光硬化型レジンへの光照射装置及び方法、根管に充填された光硬化型レジンの硬化装置及び方法
JP2010197686A (ja) * 2009-02-25 2010-09-09 Fujikura Ltd 光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87804A (ko) * 2010-01-27 2011-08-03 에프엔엔(주) 플라스틱 페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142A (ja) * 1991-04-30 1993-02-05 Fujitsu Ltd 光フアイバモジユール
JP2006055451A (ja) * 2004-08-20 2006-03-02 Tokyo Medical & Dental Univ 支台築造用ポスト、根管に充填された光硬化型レジンへの光照射装置及び方法、根管に充填された光硬化型レジンの硬化装置及び方法
JP2010197686A (ja) * 2009-02-25 2010-09-09 Fujikura Ltd 光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87804A (ko) * 2010-01-27 2011-08-03 에프엔엔(주) 플라스틱 페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809B1 (ko)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된 광섬유 결합형 광디바이스
JP3143051B2 (ja) 集積マウントおよび集積マウントと光ファイバー保持用コネクタとの結合構造
JP3955065B2 (ja) 光結合器
US9348089B2 (en) Optical module
US9798089B2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ies having windowed optical fibers and methods thereof
KR20140146647A (ko) 통합형 광학 요소를 갖는 밀폐식 광섬유 정렬 조립체
US20150010273A1 (en) Lens component and optical module provided with the same
WO2013097449A1 (zh) 一种光电子器件的光导纤维的安装固定结构
JPH03500826A (ja) 光学部品の製造方法
TW200928471A (en) Optical module
US923501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ab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EP2778730B1 (en) Optical sub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010352A1 (en) Opto-electrical semiconductor device
JP3680413B2 (ja) 多心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396947B1 (ko) 금속 튜브가 형성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 모듈
US11698504B2 (en) Optical connector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connector cable
CN101251630A (zh) 一种光纤头的光纤套管
IL154300A (en) Methalization of a device after its assembly
WO1999005553A1 (en) Optical fiber retention and strain relief collar
JP2015169664A (ja) 光結合部品、光コネクタおよび光結合方法
JP2007333912A (ja) 光モジュール
JP5375535B2 (ja) 光電気変換モジュール
JP2016035484A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040247250A1 (en) Integrated sleeve pluggable package
US20140086541A1 (en) Optical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