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452B1 - 광학식 지문센서 - Google Patents

광학식 지문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452B1
KR101396452B1 KR1020130139980A KR20130139980A KR101396452B1 KR 101396452 B1 KR101396452 B1 KR 101396452B1 KR 1020130139980 A KR1020130139980 A KR 1020130139980A KR 20130139980 A KR20130139980 A KR 20130139980A KR 101396452 B1 KR101396452 B1 KR 10139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sensor
optical fingerprint
layer
concavo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형
허지호
박종범
Original Assignee
실리콘 디스플레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콘 디스플레이 (주) filed Critical 실리콘 디스플레이 (주)
Priority to KR102013013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52B1/ko
Priority to PCT/KR2014/011088 priority patent/WO20150728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식 지문센서에 관한 것으로,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빛이 조사되는 요철 표면층;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요철 표면층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요철 표면층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지문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식 지문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학식 지문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지문센서에는 정전용량방식과 광학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전용량방식의 지문센서는 전압 및 전류에 민감한 반도체소자를 이용하여 인체의 지문에 의한 정전기를 감지하여 지문을 인식한다.
이에 반해, 광학식 지문센서는 내구성이 좋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광원과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광학센서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광학식 지문센서는 광원(110)과 광학센서(120)가 일정한 거리와 각도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광원(120)으로부터의 빛(111)이 사용자의 지문(130)에 반사되면 광학센서(120)가 상기 지문(130)에 반사되는 빛(111)을 감지하여 지문(130)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는 태양광 등의 외부광이 유입되어 광학센서(120)가 선명한 지문(130)의 이미지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광 등의 외부광이 요철 표면층 상의 요철 패턴에 난반사되어 광학식 지문센서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는,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빛이 조사되는 요철 표면층;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요철 표면층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요철 표면층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지문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표면층은 필름, 유리 및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표면층은 5 내지 200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표면층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패턴은 0.1 내지 10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표면층은 상기 포토 센서부 상에 점착 물질층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 물질층은 투과율이 90 내지 1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300nm 내지 900 nm의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학식 지문센서의 하면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문의 접촉을 감지하는 상기 포토 센서부의 신호를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해주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코플라나, 스태거드, 인버티드 코플라나 및 인버티드 스태거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 활성층; 상기 반도체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층간 절연막에 형성되는 비아홀에 형성되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을 포함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토 센서부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에 형성되는 비아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 전극과 연결되는 바이어스 전극;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층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전극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활성층은 저온 다결정 실리콘 반도체,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및 산화물 반도체 중에서 어느 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표면층은 다수의 반구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등의 외부광이 요철 표면층 상의 요철 패턴에 난반사되어 광학식 지문센서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광학식 지문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는, 백라이트 유닛(210), 포토 센서부(240), 요철 표면층(250)를 포함하고, 박막 트랜지스터(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10)은 빛을 상부로 조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은 광학식 지문센서의 하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300nm 내지 900 nm의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30)는 포토 센서부(240)에서 생성된 신호를 스위칭하며, 기판(220), 버퍼층(231), 반도체 활성층(232), 게이트 절연막(233), 게이트 전극(234), 층간 절연막(235), 소스 전극(236) 및 드레인 전극(23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의 상부에 구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30)는 코플라나, 스태거드, 인버티드 코플라나 및 인버티드 스태거드 박막 트랜지스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30)의 기판(22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 상에 구성되고, 버퍼층(231)은 상기 기판(220) 상에 구성되며, 상기 버퍼층(231) 상에는 반도체 활성층(232)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판(220)은 절연 기판, 유리 기판 및 금속 기판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 활성층(232)은 저온 다결성 실리콘 반도체,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및 산화물 반도체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활성층(232)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233)이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233) 상에는 게이트 전극(234)이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234) 상에는 층간 절연막(235)이 구성되며, 이때 상기 게이트 절연막(233)과 층간 절연막(235)에는 비아홀이 구성되어 상기 비아홀에 소스 전극(236) 및 드레인 전극(237)이 구성된다.
포토 센서부(240)는 상기 요철 표면층(2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포토 센서부(24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과 상기 요철 표면층(250)의 사이에 배치되며, 포토 센서부(24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요철 표면층(250)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지문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한다.
상기 포토 센서부(240)는 포토 센서(242), 투명 전극(243), 보호층(244), 바이어스 전극(245), 제2 보호층(2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포토 센서(242)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30)의 드레인 전극(237)으로부터 연장된 전극(241) 상에 구성되고, 투명 전극(243)은 상기 포토 센서(242) 상에 구성되며, 보호층(244)은 상기 투명 전극(243) 상에 구성되고, 바이어스 전극(245)은 상기 보호층(244)에 형성되는 비아홀에 구성되어 상기 투명 전극(243)과 연결되며, 제2 보호층(246)은 상기 보호층(244)과 바이어스 전극(245)의 상부에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토 센서(242)는 비정질 실리콘 포토 다이오드, 유기물 광센서 및 퀀텀닷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요철 표면층(250)은 제2 보호층(246) 상에 구성되며, 기재층(251) 및 상기 기재층(251)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25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 표면층(250)은 필름, 유리 및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 표면층(250)은 5 내지 200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철 패턴(252)은 0.1 내지 10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 표면층(250)을 상기 포토 센서부(240)의 제2 보호층(246) 상에 부착시에는 점착 물질층(미도시)를 이용해 부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점착 물질층은 투광율이 90 내지 100%인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광학식 지문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등의 외부광(400)은 상기 외부광이 요철 표면층(250) 상의 요철 패턴(252)에 난반사되어 광학식 지문센서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즉, 상기 요철 표면층(250)의 표면이 상기 요철 표면층(250)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지문(300)에 의해 평면을 이루므로, 백라이트 유닛(210)으로부터 출사된 빛(211)은 사용자의 지문(300)에 반사되어 포토 센서부(240)로 유입되나, 외부광(400)은 광학식 지문센서의 포토 센서부(240)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포토 센서부(240)의 포토 센서(242)가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지문센서는, 백라이트 유닛(210), 포토 센서부(240), 요철 표면층(250)를 포함하고, 박막 트랜지스터(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10)은 빛을 상부로 조사한다.
박막 트랜지스터(230)는 포토 센서부(240)에서 생성된 신호를 스위칭하며, 기판(220), 버퍼층(231), 반도체 활성층(232), 게이트 절연막(233), 게이트 전극(234), 층간 절연막(235), 소스 전극(236) 및 드레인 전극(23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의 상부에 구성된다.
포토 센서부(240)는 상기 요철 표면층(250)의 하부에 배치된다.
포토 센서부(24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과 상기 요철 표면층(25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210)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요철 표면층(250)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지문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한다.
상기 포토 센서부(240)는 포토 센서(242), 투명 전극(243), 보호층(244), 바이어스 전극(245), 제2 보호층(2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요철 표면층(250)은 제2 보호층(246) 상에 구성되며, 기재층(251) 및 상기 기재층(251)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25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철 표면층(250)의 요철 패턴(252)이 다수의 반구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 표면층(250)의 요철 패턴(252)을 다수의 반구 패턴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외부광(400)을 보다 효과적으로 난반사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철 표면층(250)은 필름, 유리 및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백라이트 유닛
220: 기판
230: 박막 트랜지스터
231: 버퍼층
232: 반도체 활성층
233: 게이트 절연막
234: 게이트 전극
235: 층간 절연막
236: 소스 전극
237: 드레인 전극
240: 포토 센서부
241: 전극
242: 포토 센서
243: 투명 전극
244: 보호층
245: 바이어스 전극
246: 제2 보호층
250: 요철 표면층
300: 사용자 지문

Claims (16)

  1.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빛이 조사되는 요철 표면층;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요철 표면층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요철 표면층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지문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 센서부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
    상기 반도체층과 상기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에 형성되는 비아홀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 전극과 연결되는 바이어스 전극;
    을 포함하는 광학식 지문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 표면층은,
    필름, 유리 및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광학식 지문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 표면층은,
    5 내지 200 ㎛의 두께로 형성되는 광학식 지문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 표면층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
    을 포함하는 광학식 지문센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은,
    0.1 내지 10 ㎛의 두께로 형성되는 광학식 지문센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요철 표면층은,
    상기 포토 센서부 상에 점착 물질층에 의해 부착되는 광학식 지문센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착 물질층은,
    투과율이 90 내지 100%의 투과율인 광학식 지문센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300nm 내지 900 nm의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광학식 지문센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학식 지문센서의 하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는 광학식 지문센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문의 접촉을 감지하는 상기 포토 센서부의 신호를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해주는 박막 트랜지스터;
    를 더 포함하는 광학식 지문센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코플라나, 스태거드, 인버티드 코플라나 및 인버티드 스태거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광학식 지문센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 활성층;
    상기 반도체 활성층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층간 절연막에 형성되는 비아홀에 형성되는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는 광학식 지문센서.
  13. 삭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전극 상에 형성되는 광학식 지문센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활성층은,
    저온 다결정 실리콘 반도체,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및 산화물 반도체 중에서 어느 하로 형성되는 광학식 지문센서.
  1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요철 표면층은,
    다수의 반구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식 지문센서.
KR1020130139980A 2013-11-18 2013-11-18 광학식 지문센서 KR101396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980A KR101396452B1 (ko) 2013-11-18 2013-11-18 광학식 지문센서
PCT/KR2014/011088 WO2015072821A1 (ko) 2013-11-18 2014-11-18 광학식 지문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980A KR101396452B1 (ko) 2013-11-18 2013-11-18 광학식 지문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452B1 true KR101396452B1 (ko) 2014-05-20

Family

ID=5089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980A KR101396452B1 (ko) 2013-11-18 2013-11-18 광학식 지문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6452B1 (ko)
WO (1) WO2015072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9920B2 (en) 2016-03-03 2018-04-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Keyset fingerprint sensor with backlight
CN109753844B (zh) * 2017-11-02 2024-03-08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光学指纹传感器结构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293B1 (ko) * 1997-08-05 2001-11-30 가시오 가즈오 판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171B1 (ko) * 2003-06-24 2006-08-02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0605032B1 (ko) * 2003-08-22 2006-07-26 (주)실리콘이미지웍스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2316B1 (ko) * 2004-06-30 2010-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293B1 (ko) * 1997-08-05 2001-11-30 가시오 가즈오 판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2821A1 (ko)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936B1 (ko) 광학식 박막 트랜지스터형 지문센서
KR101376227B1 (ko) 광학식 지문센서
KR101349924B1 (ko) 광학식 지문센서
CN110299380B (zh) 电子装置
WO2018024099A1 (zh) 指纹识别显示装置
CN106971173B (zh) 触控基板及显示面板
WO2018010303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I252436B (en) Image input apparatus
WO2017036072A1 (zh) 指纹识别装置及指纹识别系统
US10990790B2 (en) Display device
US20020054394A1 (en) Reading apparatus for reading fingerprint
WO20180937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capturing fingerprint or other images on display screen
WO2018201800A1 (zh) 光学指纹识别装置及显示面板
WO2020164316A1 (zh)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JP2007117397A (ja) 生体センサー
KR102001635B1 (ko) 광학식 지문인식 센서
CN108664854A (zh) 指纹成像模组和电子设备
KR101396452B1 (ko) 광학식 지문센서
KR101418760B1 (ko) 투명 지문인식 센서 어레이
CN106155393A (zh) 识别装置
CN108701230A (zh) 生物识别传感器、显示设备、制造生物识别传感器的方法
FR2872318B1 (fr) Dispositif optique de capture biometrique par contact et installation mettant en oeuvre un tel dispositif
KR20160036249A (ko) 평판형 이미지 센서
JP4794220B2 (ja) フォトセンサ
WO2018027582A1 (en) Fingerprint system and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