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328B1 -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328B1
KR101396328B1 KR1020070114960A KR20070114960A KR101396328B1 KR 101396328 B1 KR101396328 B1 KR 101396328B1 KR 1020070114960 A KR1020070114960 A KR 1020070114960A KR 20070114960 A KR20070114960 A KR 20070114960A KR 101396328 B1 KR101396328 B1 KR 101396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lens
light
focus
auxiliary ligh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878A (ko
Inventor
박정우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3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두운 장소 등의 저휘도 환경 하에서도 용이하게 오토 포커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것으로, 피사체로부터의 촬상된 광이 입사되어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촬상부와, 상기 피사체에 대하여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피크 휘도치를 갖는 보조광을 조사하는 보조광 조사부와, 상기 카메라 촬상부 및 상기 보조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포커싱 처리 시에, 상기 보조광에 의해 촬상된 촬상광의 적어도 두 개의 피크 콘트라스트 사이의 제1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Image pickup device and auto focusing method}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흑 조건에서 간단하게 오토 포커싱을 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 특히 디지털 카메라는 CCD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의 압축/복원 동작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출력 장치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촬상 장치는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으로 포커스를 조정하는 오토 포커스 조정을 수행하고 있다. 오토 포커스 수행을 위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이미지 센서를 광전 변환 소자로서 사용한다. 이러한 오토 포커스 방식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지만,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각 위치에서 광전 변환 소자로 화상을 촬상하고,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가장 높은 위치를 탐색하는 방식이 주류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종래부터 화상 정보를 얻는 수단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 전용의 거리 센서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촬상 화상을 이용한 오토 포커스를 행하는 경우, 어두운 장소 등의 저휘도 환경 하에서는 촬상 화상의 충분한 휘도를 얻을 수 없어 콘트라스트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 시에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등의 보조광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LED나 레이저광 등의 오토 포커스용 보조광을 통해 얻은 화상에서 콘트라스트가 가장 높은 위치를 탐색하는 방식을 그대로 채용하기 때문에 인접한 부분과 콘트라스트 비교가 그다지 크지 않을 경우에는 원활히 오토 포커스를 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어두운 장소 등의 저휘도 환경 하에서도 용이하게 오토 포커싱이 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것으로, 피사체로부터의 촬상된 광이 입사되어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촬상부와, 상기 피사체에 대하여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피크 휘도치를 갖는 보조광을 조사하는 보조광 조사부와, 상기 카메라 촬상부 및 상기 보조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포커싱 처리 시에, 상기 보조광에 의해 촬상된 촬상광의 적어도 두 개의 피크 콘트라스트 사이의 제1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광 조사부는, 상기 보조광을 차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 내에 포함되어 상기 보조광을 통과시키는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피크 콘트라스트 사이의 제1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제2거리값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거리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외부 광량을 측정하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로부터 측정된 외부광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보조광을 조사해 포커싱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포커싱 처리 시에,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이동시키면서 촬상된 촬상광의 피크 콘트라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포커싱 처리하고, 상기 포커싱 처리에 의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의 제어가 실패한 경우, 상기 보조광을 조사해 포커싱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사체에 대하여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피크 휘도치를 갖는 보조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광에 의해 촬상된 촬상광의 적어도 두 개의 피크 콘트라스트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거리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토 포커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제2거리값을 미리 저장하여 두고, 상기 측정된 제1거리에 대응되는 제2거리값을 산정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외부광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광의 조사는 상기 측정된 외부광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행해질 수 있다.
상기 보조광의 조사 단계 이전에,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이동시키면서 촬상된 촬상광의 피크 콘트라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제1포커싱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광의 조사는 상기 제1포커싱 처리 단계에 의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의 제어가 실패한 경우 행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 포커스 처리가 어려운 암흑 조건 및 저휘도 조건 하에서도 용이하게 오토 포커스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휘도 조건 하에서 오토 포커스 처리 시에 그 실패 확률을 줄여 포커싱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촬상부(1), 영상 처리부(21), 디스플레이부(22), 저장부(23), 제어부(3), 사용자 입력부(4), 수광부(5) 및 보조광 조사부(6)를 포함한다.
촬상부(1)는 렌즈부(11), 센서부(15), AD컨버터(16)를 포함한다.
렌즈부(11)는 줌 렌즈(12), 포커스 렌즈(13) 및 포커스 렌즈 구동부(14)를 포함한다.
줌 렌즈(12) 및 포커스 렌즈(13)는 그 광축이 센서부(15) 수광면의 대략 중 심으로부터 연장된 연직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포커스 렌즈(13)는 광축상을 전후로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이동 위치에 따라서 센서부(15)의 수광면 상에 맺히는 화상의 초점 위치를 바꾼다. 포커스 렌즈(13)는 그 이동 위치가 포커스 렌즈 구동부(14)를 통해 제어부(3)에 의해 제어된다.
렌즈부(11)는 이들 이외에 예를 들면, 입사광의 적외선을 컷팅하는 적외 컷트 필터, 입사광량을 제한하는 조리개 블레이드, 입사광을 차광하는 셔터 블레이드 등의 광학계나, 줌 렌즈(12)를 구동하는 줌 렌즈 구동부, 조리개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부와, 셔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 등도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5)는 줌 렌즈(12) 및 포커스 렌즈(13)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줌 렌즈(12) 및 포커스 렌즈(13)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촬상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센서부(15)에 의해 이루어진다. 센서부(15)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컨버터(16)는 센서부(15)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해 영상 처리부(21)로 공급한다.
영상 처리부(21)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21)는 온도변화에 민감한 센서부(15)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21)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21)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21)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21)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2)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23)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21)의 모든 동작은 제어부(3)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한편, 상기 영상 처리부(21)는 별도의 검파 회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파 회로부는 영상 신호로부터 오토 포커스(AF), 오토 노출(AE), 오토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에 필요한 각종 검파 신호를 생성한다. 각종 검파 신호는 제어부(3)에 의해 일정 기간마다 판독된다. 제어부(3)는 판독한 각종 검파 신호에 기초하여, 적절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도록 렌즈부(11) 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검파 회로가 검출하는 검파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오토 포커스에 관한 검파 신호나 자동 노출 제어에 관한 검파 신호 등이 있다. 검파 회로는 오토 포커스에 관한 검파 신호로서, 촬상 화상 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정된 AF 검파 영역 내에서의 휘도 의 엣지 성분을 검출하고, 그 엣지 성분을 적산하여 얻어지는 콘트라스트값을 출력한다. 또한, 검파 회로는 자동 노출 제어에 관한 검파 신호로서, 촬상 화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정된 휘도의 검파 영역의 휘도를 검출하고 그 휘도 레벨을 출력한다.
셔터부(4)는 셔터 릴리즈 버튼(41) 및 셔터 판정부(42)를 포함한다.
셔터 릴리즈 버튼(41)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모멘터리형의 가압 스위치이다. 이 셔터 릴리즈 버튼(41)은 스위치를 완전히 누르지 않은 상태(오프)와, 스위치를 누른 상태(완전 누름)와, 스위치를 반 정도까지 누른 상태(반 누름)의 3가지 상태를 구별하여 스위칭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이 셔터 릴리즈 버튼(41)의 3개의 가압 상태(오프, 반 누름, 완전 누름)는 셔터 판정부(42)에 의해 판별되고, 그 판별 정보가 제어부(3)에 공급된다.
수광부(5)는 외부광의 상태를 측정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한다. 이 수광부(5)에서 측정된 외부광의 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제어부(3)는 포커스 조정 시 보조광을 조사할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보조광 조사부(6)는 보조광 발광 소자(61), 보조광 발광 회로(62) 및 윈도우(63)를 포함한다.
보조광 발광 소자(61)는 오토 포커스 조정 시에 피사체에 대하여 가시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로서,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레이저 발광 수단,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조광 발광 회로(62)는 제어부(3)에 의해 보조광 발광 소자(61)의 구동이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한다.
윈도우(63)는 보조광 발광 소자(61)의 전단에 위치한 것으로, 이를 통과해 조사되는 보조광에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피크 휘도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윈도우(63)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보조광이 통과되지 않거나, 저휘도로 통과되도록 하는 차폐부(64)와, 보조광이 통과되는, 또는 보조광이 고휘도로 통과되도록 하는 관통부(65)를 구비한다. 관통부(65)는 차폐부(64)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막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63)를 통과한 보조광은 관통부(65)에 대응되는 발광 패턴으로 피사체에 조사되어 피사체에 관통부(65)에 대응되는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3)는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셔터 릴리즈 버튼(41)의 가압 상태에 기초하여, 플레밍 처리 제어(오프), 오토 포커스 처리 제어(반 누름), 정지 화상 기록 제어(완전 누름)를 행한다.
플레밍 처리란, 화면 내의 피사체의 위치나 화면의 구도를 사용자가 촬영 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부(15)에 촬상되어 있는 화상을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하는 처리이다. 이 플레밍 처리 시에는 일정한 화상 갱신 주기(예를 들면 1/30초마다)마다 센서부(15)가 1 화면분의 촬상 처리를 행하고,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신호가 출력된다. 그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는 화상도 일정 시간마다(예를 들면 1/30초마다) 갱신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어 있는 촬상 화상을 동화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플레밍 처리는 촬상장치 자체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19)이 오프 상태일 때, 즉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19)을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행해진다.
오토 포커스 처리란, 정지 화상의 촬상 대상이 되는 피사체 화상의 포커스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처리이다. 즉, 오토 포커스 처리는 자동으로 포커스 렌즈(13)의 이동 위치를 조정하여, 촬상 화상의 핀트 조정을 행하는 처리이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플레밍 처리를 행하면서, 셔터 릴리즈 버튼(41)을 반 누른 상태로 하면,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오토 포커스 처리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오토 포커스 처리 시에는 제어부(3)는 포커스 렌즈(13)를 이동시키면서 각 위치에서의 이 콘트라스트값을 영상 처리부(21)의 검파 회로로부터 취득하고, 포커스 렌즈(13)의 각 이동 위치에 대한 콘트라스트값의 증감을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는 그 콘트라스트값의 증감으로부터, 포커스 렌즈(13)의 이동 위치에 대한 화상의 포커스의 합초 정도를 판단하여, 그 합초 정도가 가장 높은 위치로 포커스 렌즈(13)를 이동한다.
이러한 오토 포커싱 처리는 수광부(5)에 의해 측정된 외부광이 기준치 이상으로 충분하여 보조광을 조사하지 않고도 충분히 포커싱을 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러한 1차 오토 포커싱 처리에서 포커싱이 실패한 경우, 또는 수광부(5)에 의해 측정된 외부광이 기준치 이하인 저휘도 환경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보조광에 의한 오토 포커싱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의 보조광에 의한 오토 포커싱 처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광에 의한 오토 포커싱 처리는,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피크 휘도치를 갖는 보조광을 피사체에 조사한 후 촬상된 촬상광의 콘트라스트값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보조광 발광 소자(61)에 의해 조사된 보조광(63)이 포커스 렌즈(13)로부터 제2거리(d2)만큼 떨어져 있는 피사체(7)에 조사되면, 피사체(7)에는 도 2의 윈도우(63) 패턴에 대응되는 보조광 패턴이 비춰진다(S1). 따라서, 이로부터 센서부(15)를 통해 취득된 촬상광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막대(25) 모양이 될 것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24)을 도시한 것으로, 화면(24)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은 도 3의 윈도우(63) 패턴에 대응되게 서로 이격된 두개의 막대(25) 모양이 된다.
이러한 촬상광을 통해 영상 처리부(21)로부터 콘트라스트를 검출한 후(S2), 이를 제어부(3)로 보낸다.
제어부(3)로 보내지는 콘트라스트 데이터는 도 5와 같이 서로 제1거리(d1)만큼 이격된 두개의 피크 콘트라스트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는 콘트라스트 데이터로부터 서로 제1거리(d1)만큼 이격된 두개의 피크 콘트라스트값을 검출한다(S3). 이 피크 콘트라스트값 사이의 제1거리(d1)에 대한 정보에 의해 상기 제2거리(d2)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저장부(2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거리(d1) : 제2거리(d2)의 관계 정보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즉, 저장부(23)에는 보조광 발광 소자(61)와 렌즈부(11) 사이의 거리, 윈도우(63)의 관통부(65) 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제1거리(d1)에 대응되는 제2거리(d2)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 두고, 제어부(3)에서는 검출된 제1거리(d1)에 대한 실제 데이터를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는 제1거리(d1)에 대한 저장 데이터와 비 교하여, 해당되는 제2거리(d2)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제2거리(d2)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제어부(3)는 포커스 렌즈(13)의 합초 위치를 판정하고(S4), 포커스 렌즈 구동부(14)를 구동하여 이 합초 위치에 대응되게 포커스 렌즈(13)를 이동시켜(S5), 오토 포커스 처리를 마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보조광에 의하여 촬상된 촬상광의 콘트라스트의 피크치 사이 거리에 의해 피사체와의 거리를 파악하는 것이므로, 포커싱 렌즈의 스캐닝 동작 없이 한 화면의 촬상에 의해서 오토 포커싱이 종료될 수 있어, 오토 포커싱 처리시간을 현격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촬상광의 콘트라스트의 피크치가 작은 경우에도 피크치 사이의 거리만을 측정하면 오토 포커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저휘도 환경하에서 오토 포커싱의 실패 확률을 더욱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오토 포커싱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것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오토 포커싱 처리를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캠코더, 휴대전화 등 각종 촬상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 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윈도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조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해 촬상된 촬상광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의해 촬상된 촬상광의 콘트라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조정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Claims (9)

  1.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것으로, 피사체로부터의 촬상된 광이 입사되어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촬상부;
    상기 피사체에 대하여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개의 피크 휘도치를 갖는 보조광을 조사하는 보조광 조사부; 및
    상기 카메라 촬상부 및 상기 보조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포커싱 처리 시에, 상기 보조광에 의해 촬상된 촬상광의 적어도 두개의 피크 콘트라스트 사이의 제1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광 조사부는, 상기 보조광을 차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 내에 포함되어 상기 보조광을 통과시키는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개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피크 콘트라스트 사이의 제1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제2거리값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거리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 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외부광량을 측정하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로부터 측정된 외부광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상기 보조광을 조사해 포커싱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포커싱 처리 시에,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이동시키면서 촬상된 촬상광의 피크 콘트라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포커싱 처리하고, 상기 포커싱 처리에 의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의 제어가 실패한 경우, 상기 보조광을 조사해 포커싱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피사체에 대하여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개의 피크 휘도치를 갖는 보조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보조광에 의해 촬상된 촬상광의 적어도 두개의 피크 콘트라스트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거리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토 포커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합초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거리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제2거리값을 미리 저장하여 두고, 상기 측정된 제1거리에 대응되는 제2거리값을 산정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포커싱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외부광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광의 조사는 상기 측정된 외부광량이 기준치 이하일 경우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포커싱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광의 조사 단계 이전에,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이동시키면서 촬상된 촬상광의 피크 콘트라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제1포커싱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광의 조사는 상기 제1포커싱 처리 단계에 의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위치의 제어가 실패한 경우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포커싱 방법.
KR1020070114960A 2007-11-12 2007-11-12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 KR101396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60A KR101396328B1 (ko) 2007-11-12 2007-11-12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60A KR101396328B1 (ko) 2007-11-12 2007-11-12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78A KR20090048878A (ko) 2009-05-15
KR101396328B1 true KR101396328B1 (ko) 2014-05-16

Family

ID=4085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960A KR101396328B1 (ko) 2007-11-12 2007-11-12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3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0934B2 (ja) 1989-12-08 1997-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焦点検出用の投光系
JP2650277B2 (ja) 1987-11-12 1997-09-03 ミノルタ株式会社 カメラ
KR20030029116A (ko) * 2001-05-31 2003-04-1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 발광 소자를 갖는 카메라 및 촬상
JP2004004118A (ja) 1998-05-25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0277B2 (ja) 1987-11-12 1997-09-03 ミノルタ株式会社 カメラ
JP2600934B2 (ja) 1989-12-08 1997-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焦点検出用の投光系
JP2004004118A (ja) 1998-05-25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
KR20030029116A (ko) * 2001-05-31 2003-04-1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 발광 소자를 갖는 카메라 및 촬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78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2783B2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の制御方法
EP2352278B1 (en) Imaging apparatus, a focusing method and a program for executing such a method
JP5468178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00485B1 (ko)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 카메라용 이미지 센싱 수단 및 이를채용한 디지털 카메라
KR101643321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5609270B2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088917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20140071318A1 (en) Imaging apparatus
JP2007263926A (ja) 測距装置及び方法
KR100930766B1 (ko) 화상 촬상 장치 및 화상 촬상 장치의 합초 방법
US7864239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US20070206938A1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0112635A (ja)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55155B2 (ja) 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影方法
US201000268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using modulation transfer functions
JP2014235417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64493B2 (ja) 撮像装置
JP2009042555A (ja) 電子カメラ
JP4925168B2 (ja) 撮像方法および装置
KR101396328B1 (ko) 촬상 장치 및 오토 포커싱 방법
JP5418553B2 (ja) 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影方法
JP200828347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634990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9081528A (ja) 撮像装置
JP201307436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