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233B1 -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 Google Patents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233B1
KR101396233B1 KR1020130056468A KR20130056468A KR101396233B1 KR 101396233 B1 KR101396233 B1 KR 101396233B1 KR 1020130056468 A KR1020130056468 A KR 1020130056468A KR 20130056468 A KR20130056468 A KR 20130056468A KR 101396233 B1 KR101396233 B1 KR 10139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water channel
water
shaf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지순
Original Assignee
선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지순 filed Critical 선지순
Priority to KR102013005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6Composting, fermenting or anaerobic digestion fuel components or materials from which fuels are prepar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8Control or regulation of the fuel preparation of upgrad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60Measuring or analys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or process condition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분뇨를 교반조내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발효 처리하는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에서 교반될때 축분이 된 상태가 되어 교반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 자동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교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교반축(31)과 교반날(32)로 이루어지고, 교반축(31)의 내부에 수로(33)가 형성되며, 교반날(32)의 내부에 수로공(32-1)이 형성되어 체크밸브(110)에 의해 수로(33)에서 수로공(32-1)으로 일방향으로 물이 공급되게 연통되고, 교반날(32)의 일측에 수로공(32-1)과 연통된 다수의 노즐(32-2)이 형성되며, 교반축(31)의 상부인 스프링설치부(31-1)는 교반조(20) 외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스프링설치부(31-1)의 하부 일측에 걸림턱(31-2)이 형성되는 교반날개(30); 원판부(61)의 중심에 원형관 형상의 수직이동부(62)가 형성되고, 수직이동부(62)의 중앙에 축홀부(63)가 형성되어 스프링설치부(31-1)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수직이동부(62)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가이드홈부(62-1)가 형성되고, 원판부(61)의 아래 일측에 걸림턱(64)이 형성되는 승강판(60); 중공의 이동관(71) 외경 둘레를 따라 톱니부(72)가 형성되고, 이동관(71)의 내경에 가이드돌기(71-1)가 다수개가 승강판(60)의 가이드홈부(6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원판부(61)의 상부에서 수직이동부(6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톱니부(72)는 체인(74)에 의하여 교반조(20) 상부 일측에 설치된 모터(73)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승강톱니(70); 교반축(31)의 스프링설치부(31-1)에 끼워져 일단은 승강판(60)의 걸림턱(64)에 지지되고, 타단은 교반축(31)의 걸림턱(3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80); 펌프(91)를 통해 교반축(31) 내부의 수로(33)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교반축(31) 상단과 밸브(92)에 의해 수로(33)와 연결되는 물탱크(90); 승강판(60)의 원판부(61)를 향하도록 센서고정대(101)에 설치되고, 원판부(61)의 상하이동의 측정값을 제어부(120)로 보내는 근접센서(100); 근접센서(100)와 공급펌프(91)에 연결되어 축분에 수분이 없어 교반날개에 작용하는 토크가 증가할 때 스프링(80)이 토크를 흡수하면서 스프링(80)이 높이가 낮아지면서 원판부(61)가 하향이동할 때 공급펌프(91)를 구동하여 교반조(2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어부(1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 A device of making fuel by a livestock excretions having better performance of agitation }
본 발명은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의 분뇨를 교반조내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발효 처리하는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에서 교반될때 축분이 된 상태가 되어 교반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 자동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로 이루어지는 현대사회는 대량 폐기에 의해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대표적인 환경오염문제로는 대량 폐기에 의한 토양 · 수질오염문제와 에너지의 대량소비에 의한 공기오염을 그 예 로 들 수 있다.
토양·수질오염문제와 관련하여 농업분야에서도 자유로운 입장만은 아니다. 생산의 효율성이 우선시되면서 집약적 농업이 추진된 결과 농약·화학비료의 과다투하 및 가축분뇨의 부적절한 관리로 인하여 토양·수질오염문제가 야기되었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화학비료와 가축분뇨로 인한 토양면적의 질소 밸런스(투입잉여)는 238㎏/ha로 OECD 국가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양분수지 초과율은 질소 90.6%, 인산 125.1%, 가리 85.7%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축분뇨의 부적절한 관리로 인한 토양 및 수질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농림부와 환경부는 합동으로 가축분뇨에 의한 환경문제를 해소하고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04년 11월 「가축분뇨관리·이용대책」을 발표하고 2013년까지의 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가축분뇨관리·이용대책」을 법률적으로 뒷받침하는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안)」을 2005년 6월 23일 입법예고한 바 있다. 동법률(안)에서는 「72런던협약96의정서」가 향후 1~2년 안에 발효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가축분뇨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는 것을 감안하여 가축 분뇨를 퇴비 · 액비로 전량 자원화하고, 퇴비·액비의 이용을 촉진하는 것을 법제화하고 있다.
한편 음식물류 폐기물의 경우 2005년 1월부터 직매립이 금지된 이후, 퇴비 또는 사료로 가공하여 자원화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음식물류 폐기물은 환경부에서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처리사업"의 일환으로, 가축분뇨는 환경부의 "축산폐수처리사업"과 농림부의 "가축분뇨처리시설 지원사업"으로 정화처리 및 자원화 처리하고 있으며, 환경부와 농림부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사업과 가축분뇨 처리사업에 많은 예산이 소요되고 있다.
그러나 양분총량제가 실시되지 아니한 상황 하에서 화학비료를 줄이지 못한 채 가축분뇨와 음식물류 폐기물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퇴비화하여 투입하다보니 과잉투입을 낳아 토양·수질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가축경영의 급속한 대규모화, 축산업자의 경영악화, 고령화 등으로 가축분뇨를 자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한계에 부딪히자 가축분뇨의 대부분이 버려지거나 무단 투기되어지고 있어 지하수 오염이나 토양, 해양오염의 심각한 원인으로 급부상하는 만큼 축산부산물의 재활용정책의 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축분 자원을 연료화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축분자원의 연료화 장치에서 축분을 교환하는 교반조에서 균일하게 발효시키기 위해 교반날개로 축분을 교반하지만, 축분에서 수분이 없어져 축분이 되게 되면 교반이 제대로 되지 않아 모터에 하중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축분에 미생물이 포함된 수분이 부족하여 제대로 발효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교반조 내부에서 교반되는 축분에 수분이 부족하여 되게 되면 자동으로 수분을 보충 시킬 수 있게 하는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반날개의 교반날로 축분이 침투하여 수분이 공급되는 교반축의 수로를 막지 않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교반날개에 작용하는 토크를 스프링이 흡수하여 교반날개의 파손을 방지하게 할 뿐만 아니라 흡수된 힘에 의해 변형된 스프링에 의하여 승강판을 거동하게 하여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의해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반조 일측에 축분을 공급하는 축분공급장치가 설치되고, 교반조의 하부에 일측에 압출성형장치가 설치되는 축분 자원의 연료화 장치에 있어서, 교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교반축(31)과 교반날(32)로 이루어지고, 교반축(31)의 내부에 수로(33)가 형성되며, 교반날(32)의 내부에 수로공(32-1)이 형성되어 체크밸브(110)에 의해 수로(33)에서 수로공(32-1)으로 일방향으로 물이 공급되게 연통되고, 교반날(32)의 일측에 수로공(32-1)과 연통된 다수의 노즐(32-2)이 형성되며, 교반축(31)의 상부인 스프링설치부(31-1)는 교반조(20) 외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스프링설치부(31-1)의 하부 일측에 걸림턱(31-2)이 형성되는 교반날개(30); 원판부(61)의 중심에 원형관 형상의 수직이동부(62)가 형성되고, 수직이동부(62)의 중앙에 축홀부(63)가 형성되어 스프링설치부(31-1)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수직이동부(62)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가이드홈부(62-1)가 형성되고, 원판부(61)의 아래 일측에 걸림턱(64)이 형성되는 승강판(60); 중공의 이동관(71) 외경 둘레를 따라 톱니부(72)가 형성되고, 이동관(71)의 내경에 가이드돌기(71-1)가 다수개가 승강판(60)의 가이드홈부(6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원판부(61)의 상부에서 수직이동부(6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톱니부(72)는 체인(74)에 의하여 교반조(20) 상부 일측에 설치된 모터(73)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승강톱니(70); 교반축(31)의 스프링설치부(31-1)에 끼워져 일단은 승강판(60)의 걸림턱(64)에 지지되고, 타단은 교반축(31)의 걸림턱(3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80); 펌프(91)를 통해 교반축(31) 내부의 수로(33)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교반축(31) 상단과 밸브(92)에 의해 수로(33)와 연결되는 물탱크(90); 승강판(60)의 원판부(61)를 향하도록 센서고정대(101)에 설치되고, 원판부(61)의 상하이동의 측정값을 제어부(120)로 보내는 근접센서(100); 근접센서(100)와 공급펌프(91)에 연결되어 축분에 수분이 없어 교반날개에 작용하는 토크가 증가할 때 스프링(80)이 토크를 흡수하면서 스프링(80)이 높이가 낮아지면서 원판부(61)가 하향이동할 때 공급펌프(91)를 구동하여 교반조(2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어부(1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체크밸브(110)는 원통형 고무몸체(111)의 일단에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고무몸체(111)의 타단에 절개부(113)가 형성되며, 유입구(112)는 시점이 넓고 종점은 절개부(113)와 이어지록 좁게 형성되며, 수로(33)와 수로공(32-1) 사이에 설치되어 물이 수로공(32-1)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수로공(32-1)으로 부터 축분이 수로(33)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반축과 교반날을 통해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축분에 수분이 부족하여 되게 되면 스프링의 늘어남에 의한 회전판의 승강 정도로 축분의 수분 부족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교반조 내부에서 교반되는 축분에 수분이 부족하여 되게 되면 자동으로 수분을 보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체크밸브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만 물이 진행하므로 교반날개의 교반날로 축분이 침투하여 수분이 공급되는 교반축의 수로를 막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교반날개에 작용하는 토크를 스프링이 흡수하여 교반날개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의 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의 교반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의 체크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축분 연료화장치(10)에서 교반조(20)는 통체(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교반날개(30)가 설치되고, 통체(21)의 상부 일측에 축분을 공급하는 축분공급장치(40)가 연결 설치된다.
축분공급장치(40)는 원통체(41)의 내부에 나선날개축(4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나선형 날개가 회전하면서 축분을 위로 이송시킨다. 나선날개축(42)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원통체(41)의 하부 일측에는 호퍼(43)가 형성되어 내부로 축분을 공급하게 되고, 원통체(41)의 상단은 교반조(20)의 투입구(23)와 연결되어 내부로 축분을 공급하게 된다.
교반조(20)의 하부 일측에는 압출성형장치(50)가 설치되는데, 교반되어 발효된 축분이 교잔조(20)의 출구(22)를 통해 공급된다.
압출성형장치(50)는 원통체(51)의 내부에 압축날개축(53)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원통체(51)의 일단은 교반조(20)의 출구(22)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원통체(51)의 타단에 제품출구(52)가 형성되는데 원통체(51)의 관경보다 좁게 관경이 형성되어 압축날개축(53)에 의해 이송된 축분이 압축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교반날개(30)는 교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교반축(31)과 교반날(32)로 이루어지고, 교반축(31)의 내부에 수로(33)가 형성된다. 수로(33)는 교반축(31)을 따라 상단부터 형성되어 각각의 교반날(32)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교반날(32)의 내부에는 수로공(32-1)이 형성되어 수로(33)를 통해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수로(33)와 수로공(32-1) 사이에는 체크밸브(110)가 설치되고, 이 체크밸브(110)에 의해 수로(33)에서 수로공(32-1)으로만 물이 공급되게 연통된다.
그리고 교반날(32)의 일측에 수로공(32-1)과 연통되어 외부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32-2)이 형성된다.
교반축(31)의 상부에 스프링설치부(31-1)가 형성되고, 스프링설치부(31-1)에는 후술할 스프링(8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스프링설치부(31-1)는 교반조(20) 외부에 위치하도록 교반조(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프링설치부(31-1)의 하부 일측에 걸림턱(31-2)이 형성된다.
승강판(60)은 스프링(8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스프링설치부(31-1)에 상 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스프링(80)의 거동에 의해 상 하 이동하게 된다.
승강판(60)은 원판부(61)의 중심에 원형관 형상의 수직이동부(62)가 형성되고, 수직이동부(62)의 내부에 축홀부(63)가 형성된다. 수직이동부(62)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가이드홈부(62-1)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홈부(62-1)와 맞물리는 가이드돌기(71-1)가 내경에 형성된 승강톱니(70)가 승강판(60)의 수직이동부(62)와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판(60)의 원판부(61) 아래 일측에 걸림턱(64)이 형성되어 스프링(80)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게 된다.
승강톱니(70)는 승강판(6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승강판(60)의 상하 이동에 관계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승강판(60)의 수직이동부(62)를 따라 같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승강톱니(70)는 중공의 이동관(71) 외경 둘레를 따라 톱니부(72)가 형성되ㅇ어 체인(74)과 결합되고, 이동관(71)의 내경에 가이드돌기(71-1)가 다수개가 승강판(60)의 가이드홈부(6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승강판(60)의 수직이동부(62)에 설치된다. 이때 승강톱니(70)는 원판부(61)의 상부에서 수직이동부(6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톱니부(72)는 체인(74)에 의하여 교반조(20) 상부 일측에 설치된 모터(73)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스프링(80)은 교반축(31)의 스프링설치부(31-1)에 끼워져 일단은 승강판(60)의 걸림턱(64)에 지지되고, 타단은 교반축(31)의 걸림턱(3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근접센서(100)가 승강판(60)의 원판부(61)를 향하도록 센서고정대(101)에 설치되고, 원판부(61)가 상하이동 하는 것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제어부(120)로 보낸다.
따라서 축분에 수분이 부족하여 된 상태에서 교반날개(30)가 받게 되는 토크에 의해 스프링(80)은 늘어나면서 그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스프링(80)의 거동에 의해 원판부(61) 또한 아래로 이동하면서 근접센서(100)가 그 이동량을 측정하게 된다.
측정값이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 범위 이상에 해당하면 제어부(120)가 공급펌프(91)를 작동시켜 물탱크(90)의 물을 교반축(31) 내의 수로(33)로 보내고, 수로(33)로 보내진 물은 교반날(32)의 수로공(32-1)으로 체크밸브(110)를 통해 들어가게 된다. 수로공(32-1)의 물은 노즐(32-2)을 통해 축분으로 공급된다.
물탱크(90)는 공급펌프(91)를 통해 교반축(31) 내부의 수로(33)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교반축(31) 상단과 밸브(92)에 의해 수로(33)와 연결된다. 이러한 물탱크(90)의 물은 공급펌프(91)를 통해 고압으로 교반축(31)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어부(120)에 의해 구동되는데, 제어부(120)는 근접센서(100)와 공급펌프(91)에 연결된다.
축분에 수분이 없어 교반날개에 작용하는 토크가 증가할 때 스프링(80)이 토크를 흡수하면서 스프링(80)이 높이가 낮아지고, 동시에 원판부(61)가 하향이동할 때 그 측정값을 근접센서(100)에 의해 제공받아 공급펌프(91)를 구동하여 교반조(2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전술한 체크밸브(110)는 원통형 고무몸체(111)의 일단에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고무몸체(111)의 타단에 절개부(1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유입구(112)는 시점이 넓고 종점은 절개부(113)와 이어지록 좁게 형성된다. 절개부(113)는 십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체크밸브(110)는 수로(33)와 수로공(32-1) 사이에 설치되어 물이 수로(33)를 통해 공급되면 절개부(113)가 벌어지면서 수로공(32-1)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절개부(113)가 벌어질 수 없어 공급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수로공(32-1)으로 부터 축분이 수로(33)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 : 축분연료화장치 20 : 교반조
21 : 통체 22 : 출구
23 : 투입구 30 : 교반날개
31 : 교반축 31-1 : 스프링설치부
31-2 : 걸림턱 32 : 교반날
32-1 : 수로공 32-2 : 노즐
33 : 수로 40 : 축분공급장치
41 : 원통체 42 : 나선날개축
43 : 호퍼 50 : 압출성형장치
51 : 원통체 52 : 제품출구
53 : 압축날개축 60 : 승강판
61 : 원판부 62 : 수직이동부
62-1 : 가이드홈부 63 : 축홀부
64 : 걸림턱 70 : 승강톱니
71 : 이동관 71-1 : 가이드돌기
72 : 톱니부 73 : 모터
74 : 체인 80 : 스프링
90 : 물탱크 91 : 펌프(공급펌프)
92 : 밸브 100 : 근접센서
101 : 센서고정대 110 : 체크밸브
111 : 고무몸체 112 : 유입구
113 : 절개부 120 : 제어부

Claims (2)

  1. 교반조 일측에 축분을 공급하는 축분공급장치가 설치되고, 교반조의 하부에 일측에 압출성형장치가 설치되는 축분 자원의 연료화 장치에 있어서,
    교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교반축(31)과 교반날(32)로 이루어지고, 교반축(31)의 내부에 수로(33)가 형성되며, 교반날(32)의 내부에 수로공(32-1)이 형성되어 체크밸브(110)에 의해 수로(33)에서 수로공(32-1)으로 일방향으로 물이 공급되게 연통되고, 교반날(32)의 일측에 수로공(32-1)과 연통된 다수의 노즐(32-2)이 형성되며, 교반축(31)의 상부인 스프링설치부(31-1)는 교반조(20) 외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고, 스프링설치부(31-1)의 하부 일측에 걸림턱(31-2)이 형성되는 교반날개(30);
    원판부(61)의 중심에 원형관 형상의 수직이동부(62)가 형성되고, 수직이동부(62)의 중앙에 축홀부(63)가 형성되어 스프링설치부(31-1)에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수직이동부(62)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가이드홈부(62-1)가 형성되고, 원판부(61)의 아래 일측에 걸림턱(64)이 형성되는 승강판(60);
    중공의 이동관(71) 외경 둘레를 따라 톱니부(72)가 형성되고, 이동관(71)의 내경에 가이드돌기(71-1)가 다수개가 승강판(60)의 가이드홈부(6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원판부(61)의 상부에서 수직이동부(6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고, 톱니부(72)는 체인(74)에 의하여 교반조(20) 상부 일측에 설치된 모터(73)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승강톱니(70);
    교반축(31)의 스프링설치부(31-1)에 끼워져 일단은 승강판(60)의 걸림턱(64)에 지지되고, 타단은 교반축(31)의 걸림턱(3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80);
    공급펌프(91)를 통해 교반축(31) 내부의 수로(33)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교반축(31) 상단과 밸브(92)에 의해 수로(33)와 연결되는 물탱크(90);
    승강판(60)의 원판부(61)를 향하도록 센서고정대(101)에 설치되고, 원판부(61)의 상하이동의 측정값을 제어부(120)로 보내는 근접센서(100);
    근접센서(100)와 공급펌프(91)에 연결되어 축분에 수분이 없어 교반날개에 작용하는 토크가 증가할 때 스프링(80)이 토크를 흡수하면서 스프링(80)이 높이가 낮아지면서 원판부(61)가 하향이동할 때 공급펌프(91)를 구동하여 교반조(2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어부(1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체크밸브(110)는 원통형 고무몸체(111)의 일단에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고무몸체(111)의 타단에 절개부(113)가 형성되며, 유입구(112)는 시점이 넓고 종점은 절개부(113)와 이어지록 좁게 형성되며, 수로(33)와 수로공(32-1) 사이에 설치되어 물이 수로공(32-1)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수로공(32-1)으로 부터 축분이 수로(33)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KR1020130056468A 2013-05-20 2013-05-20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KR101396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68A KR101396233B1 (ko) 2013-05-20 2013-05-20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68A KR101396233B1 (ko) 2013-05-20 2013-05-20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233B1 true KR101396233B1 (ko) 2014-05-16

Family

ID=5089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468A KR101396233B1 (ko) 2013-05-20 2013-05-20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319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의 수분 저감 건조공정의 교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585A (ja) 2000-10-16 2002-05-09 Kankyo Project Kk 有機性廃棄物の連続堆肥化装置
KR20040076105A (ko) * 2003-02-24 2004-08-31 유용숙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각종 유기성 쓰레기와 오폐수의정화처리방법
KR20090129638A (ko) * 2008-06-13 2009-12-17 (주)신일산업개발 축산분뇨용 저장탱크
KR101177032B1 (ko) 2012-01-06 2012-08-27 주식회사 현진기업 고착된 축산분뇨의 분해 장치와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585A (ja) 2000-10-16 2002-05-09 Kankyo Project Kk 有機性廃棄物の連続堆肥化装置
KR20040076105A (ko) * 2003-02-24 2004-08-31 유용숙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각종 유기성 쓰레기와 오폐수의정화처리방법
KR20090129638A (ko) * 2008-06-13 2009-12-17 (주)신일산업개발 축산분뇨용 저장탱크
KR101177032B1 (ko) 2012-01-06 2012-08-27 주식회사 현진기업 고착된 축산분뇨의 분해 장치와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319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의 수분 저감 건조공정의 교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00010U (zh) 曝气搅拌生化反应器
CN104841304A (zh) 肥料混合机
KR101396233B1 (ko) 교반 성능이 향상된 축분 자원의 연료화장치
CN209060950U (zh) 一种微生物菌肥生产用搅拌装置
CN203236612U (zh) 粉状、粒状物料混料导料装置
CN219168373U (zh) 一种百草枯废水连续处理投料装置
CN205073952U (zh) 一种水溶肥料搅拌机
CN207284821U (zh) 一种水产养殖用增氧喂食装置
CN208038338U (zh) 一种提升式堆肥装置
CN215208667U (zh) 一种碳源投加设备
CN206435104U (zh) 一种水利施工物料混合输送装置
CN205874408U (zh) 高固循环厌氧反应器
CN209956636U (zh) 生态有机肥的料仓式给料装置
CN204672162U (zh) 肥料混合机
CN210915510U (zh) 一种厌氧氨氧化装置
CN201350397Y (zh) 锅轮搅拌机
CN205435573U (zh) 一种畜牧业饲料自动搅拌装置
CN201938202U (zh) 一种长距离自动投饵装置
CN206008573U (zh) 立体液态饲喂搅拌器
CN207221784U (zh) 一种新型高效配液罐
CN212246717U (zh) 一种提高农业固体有机废物厌氧消化性能的组合装置
CN201817475U (zh) 一种沼气用布气器
CN218999217U (zh) 一种家畜投喂装置
CN205965598U (zh) 一种涂料混合装置
CN204907477U (zh) 一种牲口喂养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