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170B1 -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 Google Patents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170B1
KR101396170B1 KR1020097020748A KR20097020748A KR101396170B1 KR 101396170 B1 KR101396170 B1 KR 101396170B1 KR 1020097020748 A KR1020097020748 A KR 1020097020748A KR 20097020748 A KR20097020748 A KR 20097020748A KR 101396170 B1 KR101396170 B1 KR 101396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circuit carrier
contact sheet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908A (ko
Inventor
하리 카이저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12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01L19/0069Electrical connection means from the sensor to its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01L19/0084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8Details about the circuit board integration, e.g.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surface or encaps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40)를 포함하는 압력 측정 셀(14)용 연결 유닛(10)이 제안되고, 상기 플러그(40)는 실질적으로 플러그(40)의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시트(56)를 가지고, 상기 접촉 시트를 통해 상기 압력 측정 셀(14)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신호가 탭될 수 있고, 상기 접촉 시트(56)는, 슬라이딩 가능한 대응부(80)의 접촉 수단(86)에 의한 적어도 한번의 축방향 공차 보상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40)의 내부 공간이 회로 캐리어(20)의 수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회로 캐리어 상에는 상기 압력 측정 셀(14)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회로(24)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품(26)이 배치된다.
플러그, 접촉 시트, 접촉 부품, 회로, 회로 캐리어, 압력 측정 셀

Description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CONNECTING UNIT FOR A PRESSURE MEASURING CELL}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4 033 846 A1에는 압력 센서가 통합된 밸브가 공지되어 있다. 압력 센서가 밸브 돔 내에 통합되므로, 추가의 장착- 및 지지 부재가 필요 없다. 밸브 돔의 폴 코어 내 보어에 의해, 유압액의 압력이 측정 셀의 박막에 전달된다. 인쇄 회로 기판 내에 다수의 관통 보어들이 형성되고, 상기 보어들을 통해 압력 센서의 전기 접점들 및/또는 밸브의 전기 부품들이 관통된다. 압력 센서의 접촉은 예컨대 본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절약형 및 견고한,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따른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은, 제안된 플러그가 특히 낮게 설계되므로 높이에 결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특히 플러그가 압력 측정 셀 또는 회로 캐리어 둘레에 형성되므로, 압력 센서의 높이가 장치 플러그에 온전히 이용될 수 있음으로써 달성된다. 회로 캐리어 상에는 압력 측정 셀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신호를 처리(필터링 또는 신호 증폭)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이 놓인다.
또한 접촉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 시트가 제공된다.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연결 유닛의 필요한 축방향 공차 범위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자기 밸브의 내부 구조, 설치 및 조정으로 인한 제조 공차도 간단히 보상될 수 있다. 접촉 시트에 의해, 대응부의 전기 접속이,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형성된다. 이로써, 결합시 접촉 상대들의 경우에 따라 있을 수 있는 오염 입자들이 옆으로 밀린다. 따라서, 예컨대, 접촉 플레이트에 대한 스프링 핀의 예컨대 점 접촉에 비해 전기 접촉이 개선된다. 접촉 시트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접촉의 경우 접촉의 마찰 부식이 최소화된다.
압력 센서의 접촉면이 방사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구조 높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접촉이 이루어진다. 압력 센서에 대한 횡방향 힘도 최소화되는데, 그 이유는 연결 유닛 또는 밸브 코일의 수용 수단이 압력 센서에 대해 매우 작은 상대 운동만을 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러그가 슬리브형으로 디자인되고 접촉 시트는 플러그의 외부면,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의 실린더형 외부면에 배치된다. 이로써, 조립 공간의 높이가 더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내부 공간이 회로 캐리어의 수용을 위해이용될 수 있고, 플러그의 대응부가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위해 플러그를 둘러싸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러그는 외부면에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내에 접촉 시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플러그의 이러한 디자인은 경제적으로 사출 성형부에 의해 구현되고, 접촉 시트의 컴팩트화 및 확실한 고정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접촉 시트와 플러그는 열간 코킹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촉 시트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텅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텅은 바람직하게 단부에 엠보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텅에 의해 회로 캐리어의 접점 또는 도전 접착점이 특히 간단하게 그리고 -스프링 특성에 의해- 확실히 접촉되고, 특히 도전 접착제에 의해 차후의 영구 연결시에 확실히 접촉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플러그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스프링 텅이 플러그의 내부로 안내된다. 이러한 배치의 특징은 장치의 컴팩트화이다. 또한, 플러그 상에 접촉 시트의 기계적으로 고정도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구 또는 보어가 접촉 스프링의 상부에서 플러그의 상부 면에 제공된다. 도전 접착제에 의한 접촉 스프링과 회로 캐리어의 연결시 고온 성형 다이가 상기 보어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연결이 초 단위로 빨리 경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러그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챔퍼(chamfer)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제공된다. 챔퍼는 매니폴드(manifold) 블록 상에 예컨대 장착 제어 장치의 조립시 결합 보조부로서 사용된다. 채널에 의해, 플러그의 제조가 최적화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플러그가 채널에 의해 예컨대 진동부 내 규정된 조립 위치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러그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제공되고, 상기 관통구는 회로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록킹 노우즈와 상호 작용한다. 이로써, 전체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고 연결이 고정 기계식으로 그리고 위치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는 다른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의 실시예 설명에 제시된다.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고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밸브 상에 배치된, 플러그 및 대응부로 이루어진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플러그에 의해 덮힌 센서 전자 부품이고,
도 4는 플러그의 부품들이고,
도 5는 플러그의 캐리어의 다른 도면이고,
도 6은 압력 측정 셀과 상호 작용하는 플러그의 제 1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를 90°회전시킨 단면도이고,
도 8은 플러그를 수용하는 대응부의 사시도이다.
차량 내, 예컨대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밸브 블록(도시되지 않음)은 다수의 밸브들(16)을 포함한다. 각각의 밸브(16)에 의해 제어되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밸브들(16) 상에 각각 하나의 압력 측정 셀(24)이 배치된 다. 이를 위해 대응부(80) 및 상기 대응부 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플러그(40)로 이루어진 연결 유닛(10)이 제공된다. 대응부(80)에 의해 플러그(40)와 압력 측정 셀(14)의 전기 접촉이 형성된다. 대응부(80)는 바람직하게 코일 커버 상에 또는 다른 코일의 실시예에서는 밸브(16)의 코일 베이스 상에 배치된다. 대안으로, 밸브(16)의 와인딩 캐리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대응부(80)는 접촉 트랙(82)을 통해, 후처리 전자 부품에 대한 접촉을 위해 리드 프레임(84)과 연결된다. 대안으로, 후처리 전자 부품에 대한 연결이 유연한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는 플러그(40)가 더 자세히 도시된다. 플러그(40)는 바람직하게 실린더형 또는 캡형으로 구현된다. 원주 방향으로 플러그(40)는 상부로 개방되나 내부면을 향해서는 폐쇄된,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인 4 개의 리세스들(55)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들은 리세스(55)의 기하학에 맞춰진 접촉 시트들(56)의 수용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접촉 시트들(56)은 차후에 플러그(40) 상으로 슬라이딩되고 열간 코킹부(58)에 의해 고정된다.
플러그(40)는 회로 캐리어(20) 위에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구현되는 회로 캐리어(20)에는 예컨대 집적 회로(24) 및 전자 부품들(26)이 장착된다. 집적 회로(24) 및 전자 부품들(26)은 전기 접속부들(27)을 통해 압력 측정 셀(14)의 측정 브릿지(19)의 연결점들(18)과 전기 접촉된다. 각각의 연결점들(18)과 전기 접속부들(27)의 접촉은 바람직하게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집적 회로(24) 및 전자 부품들(26)의 출력 신호들은 전기 접속부들(27)을 통해 4 개 의 도전 접착점들(30)에 안내된다. 도전 접착점들(30)은 회로 캐리어(2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각각 축방향으로 배치된 웨브들(5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회로 캐리어(20)는 예컨대 사출 성형부로서, 소위 MID(Moulded Interconnect Device) 기술로 구현된다. 회로 캐리어(20)의 2 개의 측면들에는 대향 배치되는 록킹 노우즈들(42)이 놓인다. 회로 캐리어(20)와 플러그(40) 간의 위치 규정된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록킹 노우즈들(52)은 플러그(40)의 2 개의 관통구들(68)과 상호 작용한다. 록킹 노우즈들(52)이 관통구들(68) 내로 맞물릴 때까지 플러그(40)가 회로 캐리어(20) 상으로 슬라이딩된다.
플러그(40)의 내부 윤곽은 회로들(24) 또는 전자 부품들(26)이 배치된 회로 캐리어(20)의 외부 윤곽에 맞추어진다. 플러그(40) 내의 오목부들(74)이 회로 캐리어(20)의 웨브들(54)의 수용을 위해 제공된다. 또한 캐리어(50)의 내부에 각각 하나의 내부 홈(76)이 회로 캐리어(20)의 측면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홈(76)은 회로 캐리어(20) 상에 배치된 부품들(26) 또는 집적 회로(24)을 위한 추가 공간을 형성한다.
리세스(55)에 맞춰진 접촉 시트(56)는 상부 중간 섹션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휜 접촉면에 대해 90°휜 스프링 텅(60)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텅은 단부에 엠보싱부(62)를 포함한다. 엠부싱부(62)를 포함하는 스프링 텅(60)의 기하학은, 엠보싱부(62)가 조립 상태에서 해당 도전 접착점(30) 상에 놓이도록 설계된다. 회로 캐리어(20)의 웨브들(54)은 도전 접착제 처리시 단락을 방지한다. 접촉 시트들(56)의 엠보싱부들(62)을 포함하는 스프링텅들(60)은 회로 캐리어(20)를 탄성 가 압한다. 회로 캐리어(20)와 플러그(40) 사이의 접촉 시트(56)는 도전 접착제에 의해 추가로 접착되고, 캐리어(50)의 상부면에 있는 플러그(40)의 보어들(65)을 통한 고온 성형 다이를 이용해 신속히 경화될 수 있다. 플러그(40)의 상부 관통구들(70)을 통해 스프링 텅들(60)은 플러그(40)의 내부에 도달한다. 또한, 플러그(40)는 상부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2 개의 채널들(66)을 포함한다. 플러그(40)의 상부 외부 에지에 형성된 챔퍼(64)는 밸브(16)가 그 구성 부재인 매니폴드 블록 상에 장착 제어 장치를 조립할 때 결합 보조부로서 사용된다. 조립시, 제일 먼저 장착 제어 장치 내의 비교적 날카로운 에지를 가진 자기 코일이 압력 센서 위로 슬라이딩 된다.
도 6에는 플러그(40)와 회로 캐리어(20) 간의 상호 작용이 더 자세히 도시된다. 스프링 텅들(60)은 플러그(40) 내 상부 관통구(70)를 통해 접촉 도전 접착점(30)에 도달한다. 접촉 시트(56)와 도전 접착점(30) 사이의 전기 접촉은 도전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도전 접착점(30) 위에 보어(65)가 배치된다. 리세스(76)는 전자 부품들(26) 또는 집적 회로(24)를 위해 충분히 자리를 형성한다. 회로 캐리어(20)는 압력 측정 셀(14)과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측정 브릿지(19)의 전기 신호들이 전기 접속부(27)를 통해 각각의 전자 부품들(26) 또는 집적 회로들(24)에 전달되고 이들의 출력 신호들이 도전 접착점들(30)에 전달된다. 도전 접착점들(30)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들은 접촉 시트들(56)을 통해 탭될 수 있다.
도 7에는 회로 캐리어(20)의 록킹 노우즈들(52)이 관통구들(68)과 어떻게 상 호 작용하는 지가 도시된다.
도 8과 관련해서 대응부(80)가 더 자세히 도시된다. 대응부(80)는 슬리브형태로 구현되고, 내부 윤곽은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으로 구현된다. 대응부(80)의 외부 윤곽은 8각형 구조를 가진다. 대응부(80)의 8각형 외부면의 매 두번째 외부면은 리세스(87)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측면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배치되는 2 개의 안내 슬릿들(88)을 가진다. 리세스들(87) 및 해당 안내 슬릿들(88)은 각각 하나의 접촉 트랙(82)의 수용에 사용된다. 접촉 트랙(82)의 상부 영역은 안내 슬릿(88)에 의해 수용된다. 상기 상부 영역에서, 내부 측을 향해 놓이는 접촉 스프링들(84)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 스프링들은 플러그(40)의 접촉 시트들(56)과 상호 작용한다. 접촉 트랙(82)의 폭은 상부 영역의 단부 방향으로 감소하고, 90 °만큼 휘며 방사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한다. 접촉 트랙(82)의 외부로 돌출한 방사 방향 영역의 단부는 단부 측면에서 상부로 90°만큼 꺽인다. 측면이 상부로 꺽인 접촉 트랙들(82)의 영역들은, 소정 연결점들에서도 90°만큼 상부로 꺽인 코일 리드 프레임(84)용 연결 점들로서 사용된다. 대응부(80)가 하부로는 접촉면(83)에 의해 폐쇄된다. 접촉면(83) 내에, 수용 수단(80)를 밸브(60) 상에 고정하기 위한 개구들이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측정 셀(14)은 밸브(16)의 폴 코어 상에 배치된다. 밸브(16)는 매니 폴드 블록의 구성부일 수 있고, 상기 매니폴드(manifold) 블록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안티 록 브레이킹 시스템 또는 전자 안정성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측정 셀(14)은 측정 브릿지(19)를 포함 하고, 상기 측정 브릿지는 박막의 팽창에 의해 밸브(16) 내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 검출한다. 측정 브릿지(19) 또는 압력 측정 셀(14)은 예컨대 4 개의 전기 연결점들(18)을 포함한다. 연결점들(18)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들은 특히 컴팩트한 형태로 탭되고 처리되어 후속 처리 제어 장치로 전달된다. 높은 소형화 정도와 더불어, 연결 유닛(10)은 (일차적으로 밸브(16)의 길이 및 기울기에 대한) 높은 공차 요구에도 부합해야 한다. 또한, 전기 접촉의 마찰 부식도 최소화되어야 한다. 밸브(16) 상에 압력 측정 셀(14)의 통합에 의해 펌프 하우징으로부터 추가 제어 장치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공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응부(80)가 밸브 코일, 바람직하게는 코일 커버부 상에, 또는 다른 코일 실시예에서는 코일 베이스 상에 배치된다. 대안으로, 대응부(80)는 와인딩 캐리어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대응부(80)는 캡으로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캡은 상부 폐쇄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후속 처리 전자 장치(예컨대 제어 장치)에 대한 접촉 트랙들(82)의 접촉은 코일 리드 프레임(84)을 통해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필요한 공차 보상은 코일 리드 프레임(84) 내 곡선부(85)에 의해 추가로 주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가요성 케이블에 의한 연결도 가능하다.
대응부(80)의 내경은, 압력 측정 셀(14) 또는 측정 브릿지(19) 및 그 위에 배치된 회로 캐리어(20)를 둘러싸도록 설정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인, 대응부(80)의 내경은 플러그(40)의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회로 캐리어(20)의 2 개의 록킹 노우즈들(52)이 플러그(40)의 관통구들(68) 내로 록킹될 때까지, 접촉 시 트들(56)이 조립된 장치 플러그(40)가 내부 채널(66)에 의해 회로 캐리어(20)의 측면들과 맞물린다. 오목부들(74) 내에, 회로 캐리어(20)의 웨브들(54)이 놓이고, 이로써 상기 웨브들은 도전 접착제, 예컨대 은 도전 접착제에 의한 각각의 도전 접착점들(30)과 전기 접속부들(27)의 접촉시 도전 접착점들(30) 간의 단락을 방지한다. 접촉 시트(56)의 엠보싱부들(62)을 포함한 스프링 텅들(60)은 회로 캐리어(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회로 캐리어(20)와 플러그(40) 사이의 접촉면들(56)은 도전 접착제에 의해 추가 접착되고 플러그(40)의 보어(65)를 통한 고온 성형 다이를 이용해서 경화된다. 조립을 위해 플러그(40)를 방향 설정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상부면 상에 2 개의 채널들(66)이 제공된다. 이로써, 플러그(40)가 진동기 내에서 소정의 규정된 위치(조립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40)가 수용 수단(80)의 내부에 도달함으로써, 플러그(40)와 대응부(80)는 서로 연결된다. 결합시 접촉 트랙(84)이 접촉 시트(56)의 바닥면 상에 마찰하고 이로써 접촉이 향상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경우에 따라 상기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입자들이 쓸려나가 클램핑되지 않기 때문이다. 조립 상태에서 압력 측정 셀(14)은, 전기 접속부(27)를 통해 경우에 따라 전자 부품들(26) 또는 집적 회로(24)와, 도전 접촉점들(30), 스프링 텅들(60)의 엠보싱부들(62), 접촉 시트들(56), 연결 트랙들(82)의 접촉 스프링들(84)-코일 리드 프레임(84)포함-를 통해 경우에 따라 후속 처리하는 제어 장치와 접촉된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40)를 포함하는 압력 측정 셀(14)용 연결 유닛(10)으로서,
    상기 플러그(40)는 실질적으로 상기 플러그(40)의 축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시트(56)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시트에 의해 상기 압력 측정 셀(14)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신호가 탭될 수 있고, 상기 접촉 시트(56)는,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대응부(80)의 접촉 수단(86)에 의해 적어도 한번의 축방향 공차 보상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40)의 내부 공간은 회로 캐리어(20)의 수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회로 캐리어 상에 상기 압력 측정 셀(14)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회로(24)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26)이 배치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가 슬리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시트(56)가 상기 플러그(40)의 외부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40)의 실린더형 외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는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55)를 포함하고, 상기 리 세스 내에 상기 접촉 시트(5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시트(56)가 상기 플러그(40)와 열간 코킹부(58)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시트(56)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텅(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가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70)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스프링 텅(60)이 상기 플러그(40)의 내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의 상부면에는 챔퍼(6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6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채널(66)이 상기 회로 캐리어(20)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68)가 제공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회로 캐리어(20)의 적어도 하나의 록킹 노우즈(52)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74)가 상기 회로 캐리어(20)의 적어도 하나의 웨브(54)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76)이 상기 플러그(40)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홈은, 상기 회로 캐리어(2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24) 및/또는 전자 부품(26)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또는 관통구(70)가 상기 플러그(40)의 외부면에, 상기 접촉 시트(56)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 또는 보어(65)가 접촉 스프링 상부에서 상기 플러그(4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응부(80)에 적어도 하나의 접촉 수단(86)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 수단(86)은 상기 플러그(40)의 상기 접촉 시트(56)와 도전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80)의 접촉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 스프링(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80)의 접촉 수단은 접촉 트랙(82)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접촉 트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80)가 실질적으로 슬리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응부(80)가 적어두 부분적으로 상기 플러그(40)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KR1020097020748A 2007-04-05 2008-02-25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KR101396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6474.4 2007-04-05
DE102007016474A DE102007016474A1 (de) 2007-04-05 2007-04-05 Anschlusseinheit für eine Druckmesszelle
PCT/EP2008/052233 WO2008122465A1 (de) 2007-04-05 2008-02-25 Anschlusseinheit für eine druckmessz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908A KR20090127908A (ko) 2009-12-14
KR101396170B1 true KR101396170B1 (ko) 2014-05-19

Family

ID=3963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748A KR101396170B1 (ko) 2007-04-05 2008-02-25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37506A1 (ko)
KR (1) KR101396170B1 (ko)
CN (1) CN101652646B (ko)
DE (1) DE102007016474A1 (ko)
WO (1) WO20081224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414A (ko) * 2016-08-11 2018-02-2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압력 측정 셀 및 측정 구조물의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1980A1 (de) 2007-07-10 2009-01-15 Robert Bosch Gmbh Anschlusseinheit für eine Druckmesszelle
DE102011085471B4 (de) * 2011-10-28 2021-09-16 Robert Bosch Gmbh Anordnung zur Direktkontaktierung von Kontaktmitteln und zugehörige Anschlusseinheit für eine Druckmesszelle
DE102012204911A1 (de) * 2012-03-27 2013-10-02 Robert Bosch Gmbh Stützeinheit für eine Leiterplatte in einer Sensoreinheit und korrespondierende Sensoreinheit
KR102273713B1 (ko) * 2014-11-05 2021-07-06 주식회사 만도 압력센서
DE102016210550B4 (de) * 2016-06-14 2020-08-13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ensor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166A (ko) * 1996-09-16 2000-06-26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자동차 공학용 압력 센서 유닛
KR20020086683A (ko) * 2000-03-25 2002-11-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센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1934A (en) * 1990-01-02 1991-03-26 Walbro Corporation Solid state pressure sensor
US5087912A (en) * 1990-01-31 1992-02-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Universal pressure measurement interface
DE19703206C2 (de) * 1997-01-29 2002-01-24 Infineon Technologies Ag Drucksensor-Bauteil mit Schlauchanschluß
DE19917941A1 (de) * 1999-04-21 2000-10-26 Bosch Gmbh Robert Bremsgerät für Fahrzeugbremssysteme
DE102004033846A1 (de) 2004-07-13 2006-02-09 Robert Bosch Gmbh Ventil mit integriertem Druck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166A (ko) * 1996-09-16 2000-06-26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자동차 공학용 압력 센서 유닛
KR20020086683A (ko) * 2000-03-25 2002-11-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센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414A (ko) * 2016-08-11 2018-02-2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압력 측정 셀 및 측정 구조물의 제공 방법
KR102438287B1 (ko) 2016-08-11 2022-08-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압력 측정 셀 및 측정 구조물의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2465A1 (de) 2008-10-16
CN101652646A (zh) 2010-02-17
DE102007016474A1 (de) 2008-10-09
CN101652646B (zh) 2012-05-02
KR20090127908A (ko) 2009-12-14
EP2137506A1 (de)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357B2 (en) Connection unit for a pressure measuring cell
KR101396170B1 (ko)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US20080099705A1 (en) Retaining element for a mechanical component
KR100533221B1 (ko) 유압 브레이크 제어장치
US6180880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a contact pi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ontrol unit
JP2007523336A (ja) センサーホルダ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940848B2 (en) Electric component assembly, and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100029100A (ko) 위치센서를 구비한 제어장치
US11167740B2 (en) Coil assembly and brake control device
KR20080048984A (ko) 배기 가스 재순환 전기 밸브
US6935706B2 (en) Electro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KR20010110742A (ko) 전자기 밸브 지지기
KR100744957B1 (ko) 밸브 기구의 제어 유닛
US7441562B2 (en) Electromagnetic valve and fluid control apparatus
KR102000294B1 (ko) 압력센서
CN105083244A (zh) 制动流体压力控制致动器
CN111771429B (zh) 压入配合连接结构
CN108778867B (zh) 电子控制装置
KR20090127340A (ko) 압력 측정 셀용 연결 유닛
KR102503879B1 (ko) 센서 유닛용 회로 캐리어, 센서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의 조립 방법
US11056810B2 (en) Circuit board with a plug connection
KR102376123B1 (ko) 센서 구성 요소, 센서 구성 요소를 위한 사전 조립 장치, 및 센서 구성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CN113745883A (zh) 树脂成型体
US20200064218A1 (en) Pressure detecting device
KR20120039040A (ko) 자동차의 메카트로닉 어셈블리의 플러그 연결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