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828B1 - Pile anchoring apparatus using support pipe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Google Patents
Pile anchoring apparatus using support pipe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5828B1 KR101395828B1 KR1020130114567A KR20130114567A KR101395828B1 KR 101395828 B1 KR101395828 B1 KR 101395828B1 KR 1020130114567 A KR1020130114567 A KR 1020130114567A KR 20130114567 A KR20130114567 A KR 20130114567A KR 101395828 B1 KR101395828 B1 KR 1013958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plate
- anchor rod
- foundation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초 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파일을 기초에 정착시키기 위한 파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fixing device using a supporting tube and a basic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fixing apparatus for fixing a file installed on a foundation for basic reinforcement, and a bas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도 1a는 종래 마이크로파일(20)을 구조물의 콘크리트 기초(10)를 관통하도록 시공하고, 그 두부를 상기 콘크리트 기초(10)에 정착시키는 시공예를 도시한 것이다.1A shows a construction example in which a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콘크리트 기초(10)에 천공홀(11)을 형성시키고, 천공홀(11)을 통해 오거링 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기초(10) 하부에 파일홀(12)을 형성시킴과 더불어 공벽유지를 위한 케이싱(30)을 파일홀에 삽입시켜 놓게 된다.Specifically, first, a
이때 천공홀(11)의 하부는 오거링 장비가 통과할 정도의 공간으로 형성시키고 상부는 후술되는 정착판 장착을 위한 공간을 위해 확장된 공간(A)으로 형성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이에 콘크리트 기초(10) 상부에서 마이크로파일(20)을 연결 및 조립한 후 천공홀(11)과 파일홀(12)을 경유하도록 삽입시켜 놓게 된다.The
다음으로는 상기 파일홀(12) 내부에 그라우팅(무수축 몰탈등)을 하여 마감하고, 상기 마이크로파일(20) 두부에 정착너트들을 이용하여 정착판(30)을 장착하게 된다.Next, grouting (no shrinkage mortar or the like) is performed inside the
이에 정착판(30) 상부에 미 도시된 철근들(미도시)을 다시 조립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천공홀(11)과 확장된 공간(A)을 마감시키게 된다.Rebars (not shown) not shown in the upper part of the
따라서 종래 기초(10)를 보강하기 위해 시공되는 마이크로파일(20)의 시공은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된 기초(10)에 상광하협의 확장된 공간(A)과 천공홀(11)을 천공하고, 다시 철근을 배근하여 마감하는 작업이 시공되는 마이크로파일(20) 마다 반복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기초(10)의 손상이 커질 수밖에 없게 됨을 알 수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of the
이에 상기 천공홀(11)의 크기 등을 최소한으로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문제는 천공홀(11)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 콘크리트 기초(10)의 손상은 최소화시킬 수 있지만 마이크로파일(20)과 기초(10)와의 정착성능을 기대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정착판 설치가 어려움)이 있었다.The problem is that if the size of the
나아가 도 1b와 같이 기초(10)에 반력체에 의하여 가압 시공되는 파일(20)에 있어 최종 반력체의 앵커봉(40)을 파일(20) 두부 상면에서 절곡시켜 서로 용접함으로서 반력체의 앵커봉을 정착장치로서 사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1b, the
즉, 기초(20) 바닥 저면에 앵커봉(40) 하단에 ㄱ자 형태의 하부정착플레이트(30)가 용접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앵커봉(40)의 상단이 콘크리트(21)가 충전된 파일(20) 두부 상면에 절곡되도록 하고, 절곡된 앵커봉과 파일 두부 상면을 현장에서 용접시켜 일체화시켜 결국 파일을 기초에 일체화시키는 정착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하지만, 이러한 앵커봉에 의한 정착방법은 앵커봉의 절곡, 용접 등과 같이 현장 작업이 복잡하고 시공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신속한 정착작업이 사실상 어렵고 정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파일 두부 상면에 절곡된 앵커봉을 단순 용접)가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ixing method using such anchor rods is complicated in the field work such as bending and welding of the anchor rods, and is poor in the workabilit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rapid fixing operation and a structure capable of sufficiently securing the fixing performance Simple welding of the rod).
이에 본 발명은 기초 보강을 위하여 파일을 설치함에 있어 기초를 관통해야 하는 파일의 직경을 고려한 천공홀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형성시키되 상기 파일의 두부를 기초에 효과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어 기초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도 시공성도 증진되며 신속한 파일에 의한 기초 보강이 가능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a file for basic reinforcement, the size of the perforation hole considering the diameter of the pile through which the foundation is to be penetrated is minimized, and the head of the pile can be effectively fixed on the found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e fixing apparatus using a support tube capable of reinforcing the foundation by a quick file and a bas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파일정착장치를 보다 신속하게 장착하면서도 기초에 대한 파일 정착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e fixing apparatus using a support tub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providing file fixing performance to a foundation while mounting the file fixing apparatus more quickly, and a bas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이를 위해 본 발명은To this end,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파일정착장치는 파일의 두부를 기초에 정착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진 장치인데 이를 위해 파일의 두부에 상부정착판이 설치된다.A file fixing apparatus using a support tube is provided. The file fixing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fixing a head of a file to the base, and an upper fixing plate is installed on a head of the file.
이러한 상부정착판은 기초에 형성된 천공홀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부 정착판에 앵커봉을 직접 연결 설치하고 앵커봉의 하단부에는 하부정착플레이트를 간단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초 저면 또는 천공홀의 지지홈에 지지되도록 하게 된다.The upper fusing plate is located inside the perforation hole formed in the base. The anchor ro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fusing plate and the lower fusing plate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
이때 하부정착플레이트 내측에는 특히 지지용관을 삽입 설치하여 두부가 기초에 정착된 파일에 하중작용 시 지지용관이 하부정착플레이트의 이동 등을 구속하여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가 기초 저면 또는 천공홀의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in particular, a supporting tube is inserted into the lower fixation plate, and the support tube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lower fixation plate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file where the head is fixed to the base, so that the lower fixation plate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groove of the base bottom or perforation hole So that it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exposed.
이에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는 파일 두부에 설치되는 상부정착판, 상기 상부정착판에 상단이 직접 고정 설치되어 기초에 형성된 천공홀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앵커봉, 상기 앵커봉 하단부에 간단하게 조립 설치된 하부정착플레이트, 하부정착플레이트 내측에서 지지하며 천공홀 내부에 삽입 설치된 지지용관에 의하여 설치도 간단하면서도, 정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기초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를 제공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iling a file using a support tube, comprising: an upper fixation plate installed on a pile head; an anchor rod directly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upper fixation plate and extending downwardly along a perforation hole formed in a foundation; And a supporting tube which is supported by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ixing plate and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pporting tube which can sufficiently secure the fixing performance, And a file fix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초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두부를 기초 내부에 정착시켜 형성시키는 기초 보강에 있어 천공홀의 크기(직경)는 기초 손상 및 작업 공기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는 상기 천공홀의 크기를 최소화시켜 형성시키면서도 기초에 파일 두부를 효과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이고 신속한 파일에 의한 기초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hole is greatly influenced on the foundation damage and the working air in the basic reinforcement which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foundation and formed by fixing the head to the inside of the foundation. Accordingly, the pile fixing device using the supporting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fix the pile head to the foundation while minimizing the size of the piercing hol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more economical and quick basic pile reinforcement.
또한 기초에 파일두부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해체 및 시공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를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Also, since the pile fixing device using the supporting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to fix the pile head to the founda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assemble, disassemble, and install,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pile fixing device The cost and time can be remarkably shortened.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초와 파일의 시공단면도 및 정착 시공사시도,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3,4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의 구성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의 시공순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2,4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의 시공순서도이다.FIGS. 1A and 1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foundation and a file,
FIGS. 2A, 2B, 2C, and 2D are perspective views of a pile fixing apparatus using support tubes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third,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pile fixing apparatus using a supporting tube according to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flowchart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ile fixing apparatus using support tubes according to anoth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 ][File fixing device (100) using the supporting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3,4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의 구성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FIGS. 2A to 2D are perspective views of a pile fixing device using a support tube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 1,2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는 얕은 기초 및 깊은 기초에 따라 본 발명의 하부정착플레이트의 형성위치 및 형상에 따른 구분 및 파일로서 마이크로 파일이 사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고,The
실시예 3,4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는 얕은 기초 및 깊은 기초에 따라 본 발명의 하부정착플레이트의 형성위치 및 형상에 따른 구분 및 파일로서 충전 파일이 사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고,The
이하 실시예 1 내지 4를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Examples 1 to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실시예 1: 얕은 기초의 경우 ][Example 1: In the case of a shallow foundation]
먼저 도 2a와 같이 기초(200)의 두께가 두껍지 않은 얕은 기초(예컨대 두께 1M 이내)의 경우 천공홀(210)을 형성시키는 데 큰 노력과 시간 및 비용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2A, a large effort, time, and cost are not required to form the
이에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구성하는 앵커봉(110)의 하단부를 기초(200) 바닥 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이에 먼저 상기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a와 같이, 앵커봉(110), 상부정착판(120), 하부정착플레이트(130), 고정너트(140) 및 지지용관(150)을 포함한다.2A, the structure of the
먼저 앵커봉(110)은 예컨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너트(1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강봉 부재를 이용하게 되며, 상단부는 상부정착판(120)이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되며, 하단부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다음으로 상부정착판(120)은 예컨대 강재로 제작된 원형, 사각판 등의 플레이트를 이용하게 되며 중앙홀(121)에는 파일(300)이 관통되도록 하고, 중앙홀(121) 주위에는 앵커홀(122)이 형성되어 앵커봉(110)이 직접 관통되도록 하게 된다.The
이에 파일(300)의 두부(상단)는 록너트(310)에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되고, 앵커봉(110)의 두부는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The top of the
이로서 본 발명은 도 1b와 같이 별도로 앵커봉을 절곡하거나 용접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파일정착장치의 설치가 매우 간단해짐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B, since the anchor rod is not bent or welded separately, the installation of the pile fixing device is greatly simplified.
이러한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된 파일(300)과 앵커봉(110)은 기초(200)의 천공홀(2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The
다음으로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앵커봉(11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수직판 형태의 플레이트인데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기초(200) 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Next, the
이러한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앵커봉(110)의 하단부에 통상은 도 1b와 같이 단순 용접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시켜 하부정착플레이트(130)의 정착성능을 확보하게 되지만 이러한 용접은 하자발생 요인도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히 커플러를 이용하게 된다.Such a
즉, 2개의 수직판 형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에 커플러(133)를 내삽 시켜 미리 하부정착플레이트(130)와 커플러(133)를 일체화시키게 된다.That is, the
이에 상기 커플러(133)에 본 발명의 앵커봉(110)의 하단부를 삽입 체결시키게 되면 간단하게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앵커봉(110)의 하단부에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 해체가 간단해지므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When the lower end of the
특히 상부정착판(120)에는 복수개의 앵커봉이 설치되므로 각각의 앵커봉 하단에 복수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신속하게 설치함에 있어서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결국, 본 발명에 실시예 1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는 파일(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부정착판(120)에 전달되고, 상부정착판(120)에 전달된 하중은 고정너트(140)로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된 앵커봉(110)에 분산전달 되며, 상기 앵커봉(110)에 전달된 하중이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 전달되며, 기초(200) 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 하중이 저항되도록 함으로서 파일이 기초에 정착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the
이때, 하중 전달 과정에서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공간에는 아무런 지지체가 없어 기초 저면에 위치되어야 하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기초 저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에 지지용관(150)을 배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re is a case where the
이에 상기 지지용관(150)은 강관 등을 이용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 공간(천공홀 내부)에 하부정착플레이트(130)와 접하도록 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지지용관(150)은 내측에 파일(300)이 배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supporting
즉, 지지용관(150)을 삽입 설치하여 두부가 기초에 정착된 파일에 하중작용 시 지지용관이 하부정착플레이트의 이동 등을 구속하여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가 기초 저면 또는 천공홀의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supporting
이로서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는 앵커봉(110), 상부정착판(120),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및 지지용관(150)에 의하여 그 주된 기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Thus, the
또한 파일(300)은 마이크로 파일과 같이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봉부재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정착판(120)의 중앙홀(121)을 관통하여 상부정착판(120)의 상면 및 저면에 록너트(310)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 실시예 2: 깊은 기초의 경우 ][Example 2: Deep foundation]
실시예 2는 깊은 기초에 있어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설치하는 예라 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is an example in which the
즉, 실시예 1의 기초(200)는 얕은 기초이므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기초(200) 저면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없지만 실시예 2의 기초(200)는 깊은 기초(예컨대 두께 1M 초과)이므로 작업자가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직접 기초(200) 저면에 지지되도록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That is, since the
이에 실시예 2의 경우에는 기초(200)에 형성시킨 천공홀(210)의 중간에 지지홈(220)을 별도로 형성시키고, 지지홈(220)에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삽입 설치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이에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구성하는 앵커봉(110)의 하단부에 형성시킨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기초(200)의 천공홀(210) 중간에 형성시킨 지지홈(220)에 삽입시켜 지지되도록 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The
이러한 실시예 2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b와 같이, 앵커봉(110), 상부정착판(120), 하부정착플레이트(130), 고정너트(140) 및 지지용관(150)을 역시 포함한다.2B, the
먼저 앵커봉(110)은 역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강봉 부재를 이용하게 되며 상단부는 상부정착판(120)이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되며, 하단부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이에 상부정착판(120)은 예컨대 강재로 제작된 원형, 사각판 등의 플레이트를 이용하게 되며 중앙홀(121)에는 파일(300)이 관통되도록 하고, 중앙홀(121) 주위에는 앵커홀(122)이 역시 형성되어 앵커봉(110)이 관통되도록 하게 된다.The
이에 파일(300)의 두부(상단)는 록너트(310)에 의하여 고정되고, 앵커봉(110)의 두부는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The top of the
이러한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된 파일(300)과 앵커봉(110)은 기초(200)의 천공홀(2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The
다음으로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실시예 1과 형성위치 및 형태에 차이가 있는데 이는 천공홀 내부 중간의 지지홈(220)에 삽입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Next, the
이에 도 2b에 의하면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앵커봉(11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예컨대 원형판 부재로서 기초(200)의 개략 중앙부위에 형성시킨 지지홈(220)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됨을 알 수 있다.2B, the
이러한 지지홈(220)은 미 도시된 절삭장치를 이용하여 기초(20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진 홈으로 형성시키면 된다.The
이러한 지지홈(220)에 수평으로 삽입되도록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도 2b의 경우에는 2개의 반원형 수평판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는 앵커홀(131)이 형성되어 있어 앵커봉(110)이 간단하게 관통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관통 체결을 위하여 미 도시된 고정너트를 이용하여도 상관은 없다.The anchor holes 131 are formed in the
즉, 2개의 수평판 형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미리 앵커봉(110)의 하단부에 체결시켜 간단하게 서로 일체화시키게 된다.That is, the
이에 앵커봉(110)과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서로 조립, 해체가 매우 용이하여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상기 상부정착판(120)에는 복수개의 앵커봉이 설치되므로 각각의 앵커봉 하단에 복수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신속하게 설치해야 함에 있어서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된다.Since the plurality of anchor rods are provided on the
결국, 본 발명에 실시예 2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는 파일(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부정착판(120)에 전달되고,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너트(140)로 고정된 앵커봉(110)에 상기 하중이 분산되며, 앵커봉(110)에 전달된 하중이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 전달되며, 기초(200)의 중간에 형성된 지지홈(220)에 일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일부를 제외한 다른 부위가 천공홀(210)에 노출된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 전달된 하중이 기초 중간에서 분산 저항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The
이때, 역시 하중 전달 과정에서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공간에는 아무런 지지체가 없어 기초의 중간에 위치되어야 하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기초 의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에 지지용관(150)을 배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re is no support in the space inside the
이에 상기 지지용관(150)은 강관 등을 이용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에 하부정착플레이트(130)와 접하도록 하여 역시 실시예 1과 같은 하부정착플레이트(13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지지용관(150)은 내측에 파일(300)이 배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도 역시 앵커봉(110), 상부정착판(120),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및 지지용관(150)에 의하여 그 주된 기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으며, 하부정착플레이트(130)의 형태 및 지지홈의 형성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The
또한 파일(300)은 역시 마이크로 파일과 같이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봉부재로서 역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정착판(120)의 중앙홀(121)을 관통하여 상부정착판(120)의 상면 및 저면에 록너트(310)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 실시예 3: 얕은 기초에 있어 충전 파일이 이용되는 경우(실시예 1의 변형예) ][Embodiment 3: Case in which a Charging File is Used on a Shallow Foundation (Modification of Embodiment 1)] [
실시예 3의 경우에는 기초(200)의 두께가 두껍지 않은 얕은 기초(200)에 적용됨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실시예 1과 달리 파일(300)로서 충전 파일이 이용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the
이에 실시예 3도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구성하는 앵커봉(110)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기초(200) 바닥 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된다.The third embodiment also provides a
이에 먼저 상기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c와 같이, 앵커봉(110), 상부정착판(120), 하부정착플레이트(130), 고정너트(140) 및 지지용관(150)을 포함한다.2C, the
먼저 앵커봉(110)은 역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너트(1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강봉 부재를 이용하게 되며 상단부는 상부정착판(120)이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되며, 하단부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형성되도록 함은 동일하다.First, the
먼저 상부정착판(120)은 역시 예컨대 강재로 제작된 원형, 다각판 등의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데 충전 파일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시예 1과 달리 중앙홀(121)은 파일이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충진재 주입용 홀로 이용된다.First, the
이에 중앙홀(121) 주위에는 역시 앵커홀(122)이 형성되어 앵커봉(110)이 관통되도록 하게 된다.Also, an
실시예 3의 중앙홀(121)은 충진재 주입용 홀로 이용되기 때문에 그 직경이 작아 보다 많은 개수의 중앙홀(122)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Since the
이러한 실시예 3에 있어서는 파일(300)의 두부(상단)는 상부정착판(120) 저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고, 앵커봉(110)의 두부는 역시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head (upper end) of the
이러한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된 파일(300)과 앵커봉(110)은 역시 기초(200)의 천공홀(2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The
다음으로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실시예 1과 다름이 없는데 앵커봉(11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수직판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기초(200) 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Next, the
역시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앵커봉(110)의 하단에 통상은 용접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시켜 하부정착플레이트(130)의 정착성능을 확보하게 되지만 이러한 용접은 하자발생 요인도 있고, 작업성이 낮기 때문에 본 발명은 역시 커플러를 이용하게 된다.The
즉, 2개의 수직판 형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에 커플러(133)를 내삽시켜 미리 하부정착플레이트(130)와 커플러(133)를 일체화시키게 된다.That is, the
이에 상기 커플러(133)에 본 발명의 앵커봉(110)의 하단부를 삽입 체결시키게 되면 간단하게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앵커봉(110)의 하단에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 해체가 매우 용이하여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When the lower end of the
역시 상부정착판(120)에는 복수개의 앵커봉이 설치되므로 각각의 앵커봉 하단에 복수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신속하게 설치함에 있어서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된다.Also, since the plurality of anchor rods are provided on the
결국, 본 발명에 실시예 3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도 역시 파일(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부정착판(120)에 전달되고,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너트(140)로 고정된 앵커봉(110)에 상기 하중이 분산되며, 앵커봉(110)에 전달된 하중이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 전달되며, 기초(200) 저면에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 전달된 하중이 저항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the
이때, 역시 하중 전달 과정에서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공간에는 아무런 지지체가 없어 기초 저면에 위치되어야 하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기초 저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에 지지용관(150)을 배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에 상기 지지용관(150)은 강관 등을 이용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에 하부정착플레이트(130)와 접하도록 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지지용관(150)은 내측에 파일(300)이 배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이로서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는 앵커봉(110), 상부정착판(120),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및 지지용관(150)에 의하여 그 주된 기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Thus, the
바람직하게는 도 2c와 같이 역시 지지용관(150) 상부에 앵커봉(110)과 충전 파일인 파일(300)외주면 사이 공간을 채워 지지판(160)을 더 설치하여 하중 작용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 안정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2C, a space between the
또한 파일(300)은 강관 파일과 같이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관 부재로서 내부에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가 충전되도록 시공되는 충전 파일이 이용되며 상기 콘크리트는 앞서 살펴본 상부정착판(120)의 중앙홀(121)을 통해 미도시된 컴프레셔등을 이용하여 강관 파일 내부로 주입되게 된다.In addition, the
[ 실시예 4: 깊은 기초에 있어 충전 파일이 이용되는 경우(실시예 2의 변형예) ][Embodiment 4: Case in which a Charge File is Used on a Deep Foundation (Modification of Embodiment 2)] [
도 2d와 같이 실시예 4의 경우에는 기초(200)의 두께가 두꺼운 깊은 기초(200)에 적용됨은 실시예 2와 동일하고, 실시예 2와 달리 파일(300)로서 충전 파일이 이용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2D, the
이에 실시예 4도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구성하는 앵커봉(11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기초(200)의 내측 중간에 형성된 지지홈(220)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The
이에 실시예 4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d와 같이, 앵커봉(110), 상부정착판(120), 하부정착플레이트(130), 고정너트(140) 및 지지용관(150)을 역시 포함한다.2D, the
먼저 앵커봉(11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너트(1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강봉 부재를 이용하게 되며 상단부는 상부정착판(120)이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되며, 하단부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형성되어 있음은 동일하다.First, an
먼저 상부정착판(120)은 역시 예컨대 강재로 제작된 원형, 다각판 등의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데 충전 파일을 이용하기 때문에 역시 중앙홀(121)은 파일이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충진재 주입용 홀로 이용된다.First, the
이러한 중앙홀(121) 주위에는 역시 앵커홀(122)이 형성되어 앵커봉(110)이 관통되도록 하게 된다.Around the
실시예 4의 중앙홀(121)도 충진재 주입용 홀로 이용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개수의 앵커홀(122)이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a larger number of anchor holes 122 can be formed because the
나아가 파일(300)의 두부(상단)는 상부정착판(120) 저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고, 앵커봉(110)의 두부는 역시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Further, it can be seen that the head portion (upper end) of the
이러한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된 파일(300)과 앵커봉(110)은 역시 기초(200)의 천공홀(2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The
다음으로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실시예 2와 다름이 없는데 도 2d에 의하면 앵커봉(11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인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기초(200)의 개략 중앙부위에 형성시킨 지지홈(2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Next, the
이러한 지지홈(220)은 미 도시된 절삭장치를 이용하여 기초(20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진 홈으로 형성시키게 됨은 동일하다.The
이러한 지지홈(220)에 수평으로 삽입되도록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수평판 형태로서 형성시키게 되며 도 2d의 경우에는 4개의 호형 수평판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이에 상기 수평판 형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는 지지홈(220)에 삽입되도록 하게 되고,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는 앵커홀(131)이 형성되어 있어 앵커봉(110)이 관통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The
이에 관통 체결을 위하여 미 도시된 고정너트를 이용하여도 상관은 없다.Therefore, a fixing nut (not shown) may be used for the fastening.
즉, 4개의 수평판 형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 앵커봉(110)을 서로 간단하게 체결시켜 일체화시키게 된다.That is, the
이에 간단하게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앵커봉(110)의 하단에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 해체가 매우 용이하여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역시 상부정착판(120)에는 복수개의 앵커봉이 설치되므로 각각의 앵커봉 하단에 복수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신속하게 설치함에 있어서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된다.Also, since the plurality of anchor rods are provided on the
결국, 본 발명에 실시예 4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는 파일(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부정착판(120)에 전달되고,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너트(140)로 고정된 앵커봉(110)에 상기 하중이 분산되며, 앵커봉(110)에 전달된 하중이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 전달되며, 기초(200)의 중간에 형성된 지지홈(220)에 일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일부를 제외한 다른 부위가 천공홀(210)에 노출된 하부정착플레이트(130)에 전달된 하중이 기초 중간에서 저항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이때, 역시 하중 전달 과정에서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공간에는 아무런 지지체가 없어 기초의 중간에 위치되어야 하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기초 의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에 지지용관(150)을 배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re is no support in the space inside the
이에 상기 지지용관(150)은 강관등을 이용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내측 사이에 하부정착플레이트(130)와 접하도록 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지지용관(150)은 내측에 파일(300)이 배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도 역시 앵커봉(110), 상부정착판(120), 하부정착플레이트(130) 및 지지용관(150)에 의하여 그 주된 기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으며, 하부정착플레이트(130)의 형태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The
바람직하게는 도 2d와 같이 역시 지지용관(150) 상부에 앵커봉(110)과 충전 파일인 파일(300)외주면 사이 공간을 채워 지지판(160)을 더 설치하여 하중 작용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 안정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2d, the
또한 파일(300)은 강관 파일과 같이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관 부재로서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시공되는 충전 파일이 이용되며 상기 콘크리트는 앞서 살펴본 상부정착판(120)의 중앙홀(121)을 통해 미도시된 컴프레셔등을 이용하여 강관 파일 내부로 주입되게 된다.In addition, the
[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 ][Bas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얕은 기초에 적용하는 경우][When applied to a shallow foundation]
도 3a 및 도 3b는 앞서 살펴본 실시예 1,3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3은 얕은 기초 저면에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지지되도록 지지용관(150)을 사용하지만 파일(300)은 마이크로 파일(도 3a, 실시예 1) 또는 충전 파일(도 3b, 실시예 2)을 사용하는 예라 할 수 있다.3A and 3B illustrate a basic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먼저 도 3a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기초(200)가 얕은 기초로서 마이크로 파일을 파일(300)로서 사용하는 예이다.First, referring to FIG. 3A, the
이에 먼저 기존의 기초(200)는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어 있어 기초성능을 확장시키기 위하여(건축물 증축등) 기초(200)를 관통하는 파일(300)을 설치하고, 파일을 기초에 정착(일체화)시켜 기초를 보강하게 된다.First, the existing
이에 파일(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기초(200)에 천공홀(210)을 미 도시된 천공기 등을 이용하여 형성시키게 된다.The
이러한 천공홀(210)은 파일(300), 지지용관(150), 앵커봉(11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시키되 단지 상단은 확장시켜 상부정착판(120)의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시키면 된다.The
이에 본 발명의 천공홀(210)은 도 1a에 의한 천공홀과 대비하여 그 크기를 최소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천공홀의 시공을 위한 노력,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이에 파일(300)을 기초(200) 하부 지반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천공홀(210)을 통해 오거링을 통해 파일홀을 형성시키고, 공벽 유지를 위한 케이싱(330)을 삽입시키게 된다.In order to insert the
이에 상기 케이싱(330) 내부 및 천공홀(210)의 내부로 마이크로 파일인 파일(300)을 삽입하되 소요의 지지력 또는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깊이까지 파일(300)이 삽입 설치되면 두부가 천공홀(210)의 상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When the
이에 이와 같이 설치된 파일(300)을 기초(200)에 정착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이용하게 된다.Therefore, the
즉, 미리 앵커봉(110)의 하단에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커플러(133)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 시킨 상태에서 천공홀(210)을 통해 기초(200) 바닥 저면에 파일(300) 설치 이전에 미리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된다.That is, the
이때 지지용관(150)을 파일(30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천공홀(210)에 삽입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지지용관(150)에 의한 지지상태를 확보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는 상부정착판(120)을 파일(300) 두부에 록너트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함께 앵커봉(110)도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게 된다.Next, the
다음으로는 상기 관통홀(210) 내부와 케이싱(330) 내부로 무수축몰탈과 같은 충진재(400)를 충전시켜 최종 파일(300)을 기초(200)에 정착 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It will be seen that the
이러한 충진재(400)는 천공홀(210)과 케이싱(330) 내부에 위치한 앵커봉(110), 지지용관(150) 및 파일(300)을 서로 합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빈 공간을 메워주면서 하중 전달에 일체로 작용하도록 하되 특히 지지용관(150)은 기초(200) 저면으로부터 하중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하중에 대한 지지능력을 증진 시켜 주게 된다.The
다음으로 도 3b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기초(200)가 얕은 기초로서 충전 파일을 파일(300)로서 사용하는 예이다.Next, referring to FIG. 3B, the
이에 역시 기존의 기초(200)는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어 있어 기초성능을 확장시키기 위하여(건축물 증축등) 기초(200)를 관통하는 파일(300)을 설치하고, 파일을 기초에 정착(일체화)시켜 기초를 보강하게 된다.Also, the existing
이에 파일(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기초(200)에 천공홀(210)을 미도시된 천공기등을 이용하여 역시 형성시키게 된다.The
이러한 천공홀(210)은 파일(300), 지지용관(150), 앵커봉(11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시키되 단지 상단은 확장시키되 상부정착판(120)의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시킴은 동일하다.The
이에 역시 본 발명의 천공홀(210)은 도 1a에 의한 천공홀과 대비하여 그 크기를 최소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천공홀의 시공을 위한 노력,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이에 파일(300)을 기초(200) 하부 지반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천공홀(210)을 통해 오거링을 통해 파일홀을 형성시키게 된다.The
이에 상기 파일홀 내부 및 천공홀(210)의 내부로 충전 파일인 파일(300)을 삽입하되 소요의 지지력 또는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깊이까지 파일(300)이 삽입 설치되면 두부가 천공홀(210)의 상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세팅시켜 놓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충전 파일은 강관을 이용하기 때문에 따로 케이싱을 사용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harging pile uses a steel pipe, it can be seen that the casing is not used separately.
이러한 충전 파일은 먼저 강관을 설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콘크리트가 충전된 강관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이 마이크로 파일과 대비하여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The charging file is a steel pipe that is filled with concrete by installing a steel pipe first and filling the concrete in the inside,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economical compared to a micro file.
역시 충전 파일로서 설치된 파일(300)을 기초(200)에 정착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이용하게 된다.The
즉, 미리 앵커봉(110)의 하단에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커플러(133)를 이용하여 조립 시킨 상태에서 천공홀(210)을 통해 기초(200) 바닥 저면에 파일(300) 설치 이전에 미리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된다.That is, the
이에 지지용관(150)을 파일(30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천공홀(210)에 삽입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지지용관(150)에 의한 지지상태를 확보하도록 하게 된다.The
다음으로는 상부정착판(120)을 파일(300) 상면에 용접등에 의하여 설치하고, 함께 앵커봉(110)도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게 된다.The
이때 앞서 살펴본 지지판(160)을 더 설치하여 하중 작용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 안정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stability of the
다음으로는 상기 관통홀(210) 내부와 파일(300) 외부로 무수축몰탈과 같은 충진재(400)를 충전시켜 최종 파일(300)을 기초(200)에 정착 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이러한 충진재(400)는 역시 천공홀(210)과 케이싱(330) 내부에 위치한 앵커봉(110), 지지용관(150) 및 파일(300)을 서로 합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빈 공간을 메워주면서 하중 전달에 일체로 작용하도록 하되 특히 지지용관(150)은 기초(200) 저면으로부터 하중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하중에 대한 지지능력을 증진 시켜 주게 된다.The
이때 지지용관(150) 상부에 앵커봉(110)과 충전 파일인 파일(300)외주면 사이 공간을 채워 지지판(160)을 더 설치하여 하중 작용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 안정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됨은 살펴본 바와 같다.At this time, a space between the
[깊은 기초에 적용하는 경우][When applied to deep foundation]
도 4a 및 도 4b는 앞서 살펴본 실시예 2,4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2,4는 깊은 기초 저면에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지지되도록 지지용관(150)을 사용하지만 파일(300)은 마이크로 파일(도 4a, 실시예 2) 또는 충전 파일(도 4b, 실시예 4)을 사용하는 예라 할 수 있다.FIGS. 4A and 4B show a basic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먼저 도 4a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기초(200)가 깊은 기초로서 마이크로 파일을 파일(300)로서 사용하는 예이다.First, referring to FIG. 4A, the
이에 역시 먼저 기존의 기초(200)는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어 있어 기초성능을 확장시키기 위하여(건축물 증축등) 기초(200)를 관통하는 파일(300)을 설치하고, 파일을 기초에 정착(일체화)시켜 기초를 보강하게 된다.First of all, the existing
이에 파일(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기초(200)에 천공홀(210)을 미도시된 천공기 등을 이용하여 형성시키게 된다.The
이러한 천공홀(210)은 파일(300), 지지용관(150), 앵커봉(11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시키되 단지 상단은 확장시키되 상부정착판(120)의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시키면 된다.The
이에 본 발명의 천공홀(210)은 도 1에 의한 천공홀과 대비하여 그 크기를 최소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천공홀의 시공을 위한 노력,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이에 파일(300)을 기초(200) 하부 지반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천공홀(210)을 통해 오거링을 통해 파일홀을 형성시키고, 공벽 유지를 위한 케이싱(330)을 삽입시키게 된다.In order to insert the
이에 상기 케이싱(330) 내부 및 천공홀(210)의 내부로 마이크로 파일인 파일(300)을 삽입하되 소요의 지지력 또는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깊이까지 파일(300)이 삽입 설치되면 두부가 천공홀(210)의 상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세팅시켜 놓게 된다.When the
다음으로는 상기 천공홀(210) 중간에 지지홈(220)을 추가로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는 별도의 절삭장치등을 이용하면 되며 후술되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시키면 된다.Next, a
이에 이와 같이 설치된 파일(300)을 기초(200)에 정착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이용하게 된다.Therefore, the
즉, 미리 앵커봉(110)의 하단이 수평판 형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의 앵커홀을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조립 시킨 상태에서 천공홀(210)을 통해 기초(200) 의 지지홈(220)에 삽입하여 미리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된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이에 앞서 살펴본 지지용관(150)을 파일(30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천공홀(210)에 삽입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지지용관(150)에 의한 지지상태를 확보하도록 하게 된다.The
다음으로는 상부정착판(120)을 파일(300) 두부에 록너트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함께 앵커봉(110)도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게 된다.Next, the
다음으로는 상기 관통홀(210) 내부와 케이싱(330) 내부로 무수축몰탈과 같은 충진재(400)를 충전시켜 최종 파일(300)을 기초(200)에 정착 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It will be seen that the
이러한 충진재(400)는 천공홀(210)과 케이싱(330) 내부에 위치한 앵커봉(110), 지지용관(150) 및 파일(300)을 서로 합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빈 공간을 메워주면서 하중 전달에 일체로 작용하도록 하되 특히 지지용관(150)은 기초(200) 저면으로부터 하중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하중에 대한 지지능력을 배가 시켜 주게 된다.The
다음으로 도 4b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기초(200)가 깊은 기초로서 충전 파일을 파일(300)로서 사용하는 예이다.Next, referring to FIG. 4B, the
이에 역시 기존의 기초(200)는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어 있어 기초성능을 확장시키기 위하여(건축물 증축등) 기초(200)를 관통하는 파일(300)을 설치하고, 파일을 기초에 정착(일체화)시켜 기초를 보강하게 된다.Also, the existing
이에 파일(3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기초(200)에 천공홀(210)을 미도시된 천공기 등을 이용하여 역시 형성시키게 된다.The
이러한 천공홀(210)은 파일(300), 지지용관(150), 앵커봉(11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시키되 단지 상단은 확장시키되 상부정착판(120)의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시킴은 동일하다.The
이에 역시 본 발명의 천공홀(210)은 도 1a에 의한 천공홀과 대비하여 그 크기를 최소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천공홀의 시공을 위한 노력,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이러한 천공홀(210)에는 미리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지지홈(220)을 미리 형성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에 상기 파일홀(320) 내부 및 천공홀(210)의 내부로 충전 파일인 파일(300)을 삽입하되 소요의 지지력 또는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깊이까지 파일(300)이 삽입 설치되면 두부가 천공홀(210)의 상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세팅시켜 놓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충전 파일은 강관을 이용하기 때문에 따로 케이싱을 사용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harging pile uses a steel pipe, it can be seen that the casing is not used separately.
이러한 충전 파일은 역시 먼저 강관을 설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콘크리트가 충전된 강관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이 마이크로 파일과 대비하여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This charging file can be said to mean a steel pipe filled with concrete by installing a steel pipe first and filling the concrete in the insid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dvantageous in comparison with a micro file.
역시 충전 파일로서 설치된 파일(300)을 기초(200)에 정착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이용하게 된다.The
즉, 미리 앵커봉(110)의 하단에 수평판 형태의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조립 시킨 상태에서 천공홀(210)을 통해 기초(200) 바닥 저면에 파일(300) 설치 이전에 미리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된다.That is, the
이에 앞서 살펴본 지지용관(150)을 파일(30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천공홀(210)에 삽입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지지용관(150)에 의한 지지상태를 확보하도록 하게 된다.The
다음으로는 상부정착판(120)을 파일(300)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하여 설치하고, 함께 앵커봉(110)도 상부정착판(120)에 고정너트(140)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게 된다.The
이때 앞서 살펴본 지지판(160)을 더 설치하여 하중 작용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 안정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stability of the
다음으로는 상기 관통홀(210) 내부와 파일(300) 외부로 무수축몰탈과 같은 충진재(400)를 충전시켜 최종 파일(300)을 기초(200)에 정착 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이러한 충진재(400)는 역시 천공홀(210)과 케이싱(330) 내부에 위치한 앵커봉(110), 지지용관(150) 및 파일(300)을 서로 합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빈 공간을 메워주면서 하중 전달에 일체로 작용하도록 하되 특히 지지용관(150)은 기초(200) 저면으로부터 하중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하중에 대한 지지능력을 역시 배가 시켜 주게 된다.The
이때 역시 지지용관(150) 상부에 앵커봉(110)과 충전 파일인 파일(300)외주면 사이 공간을 채워 지지판(160)을 더 설치하여 하중 작용에 의한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 안정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됨은 살펴본 바와 같다.At this time, a space between the
이로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100)를 이용한 기초 보강방법은 얕은 기초, 깊은 기초에 있어 파일로서 마이크로 파일 또는 충전 파일을 이용함에 있어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u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as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
110: 앵커봉
120: 상부정착판
121: 중앙홀
122: 앵커홀
130: 하부정착플레이트
131: 중앙홀
132: 앵커홀
133: 커플러
140: 고정너트
150: 지지용관
160: 지지판
200: 기초
210: 천공홀
220: 지지홈
300: 파일
400: 충진재100: File fixing device using supporting tube
110: anchor rod
120: upper fusing plate
121: center hole
122: anchor hole
130: Lower fixation plate
131: center hole
132: anchor hole
133: Coupler
140: Fixing nut
150: support tube
160: Support plate
200: Foundation
210: Perforation hole
220: Support groove
300: File
400: filler
Claims (8)
기초(200)에 형성된 천공홀(210)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앵커봉(110)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기초 저면 또는 기초의 천공홀 중간에 형성된 지지홈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120)가 기초 저면 또는 기초의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천공홀 내부에 파일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주위의 하부정착플레이트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하부정착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지지용관(150);
상기 앵커봉 상단부가 직접 고정 설치되며 파일의 두부가 고정되도록 설치된 상부정착판(120); 및
상기 지지용관(150) 상부에 앵커봉(110)과 파일(300) 외주면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판(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fixing apparatus using a supporting pipe for supporting a foundation pile for use in a foundation reinforcing pile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a support groove 220 formed on a bottom surface or a middle of a foundation 200, )
A lower fixation plate 1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110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210 formed in the foundation 200 and supported to be supported in a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erforation hole of the foundation bottom or foundation;
The lower fusing plate 120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so that the pile is positioned inside and is held in contact with the lower lower fusing plate so that the lower fusing plate 120 is not released from the base bottom or the base support grooves, (150);
An upper fixing plate 120 direct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anchor rod and fixing the head of the pile; And
And a support plate (160)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anchor rod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300) on the support pipe (150).
상기 앵커봉(110)은 나사산이 형성된 하단부가 하부정착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양 수직판 사이에 형성된 커플러(133)에 삽입 체결되도록 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앵커봉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기초 저면에 상기 앵커봉과 일체화된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110 is inserted into a coupler 133 formed between the opposite side plates of the lower fixation plate, so that the lower fixation plat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And the lower fixing plate integrated with the anchor rod is supported.
상기 앵커봉(110)은 나사산이 형성된 하단부가, 하부정착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앵커홀을 관통 체결되도록 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앵커봉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기초의 천공홀에 형성된 지지홈(220)에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삽입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110 is threaded into the anchor hole of the horizontal plate that constitutes the lower fixation plate so that the lower fixation plat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And the lower fixation plate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fixing unit 220.
상기 앵커봉(110)은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부가 상부정착판의 앵커홀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며,
상기 파일(300)은 두부가 상부정착판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록너트에 의하여 상부정착판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chor rod 110 has an upper end formed with a thread through the anchor hole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fixed by a fixing nut,
Wherein the pile (300) passes through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fusing plate and is fixed to the upper fusing plate by a lock nut.
상기 앵커봉(110)은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부가 상부정착판의 앵커홀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며,
상기 파일(300)은 충전 파일로서 두부 상면이 상부정착판의 저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chor rod 110 has an upper end formed with a thread through the anchor hole of the upper fixing plate to be fixed by a fixing nut,
Wherein the file (300) is used as a charging file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hea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by welding.
기초(200)에 형성된 천공홀(210)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앵커봉(110)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정착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파일정착장치(100)를 상기 천공홀에 삽입하여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기초 저면 또는 기초의 지지홈(220)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천공홀을 통해 기초 하부 지반에 파일(300)을 시공하고,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130)가 기초 저면 또는 기초의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천공홀 내부에 파일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주위의 하부정착플레이트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하부정착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지지용관(15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용관(150) 상부에 앵커봉(110)과 파일(300) 외주면 사이 공간에 지지판(160)을 설치하고,
상기 앵커봉 상단부가 직접 고정 설치되며 파일의 두부가 고정되도록 상부정착판(12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A piercing hole 210 is formed in a foundation 200, a pile is installed on a foundation under a foundation through the pierced hole, and a pile fixing device is used to fix a head of the pile by using a pile fixing device 100), comprising:
A pile fixing device 100 including a lower fixing plate 130 formed at a lower end of an anchor rod 110 inserted into a perforation hole 210 formed in a base 200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130 are supported by the base bottom or the base support groove 220,
The pile 300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lower ground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The lower fusing plate 130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base bottom surface or the base support grooves so that the pile is positioned inside and contacts the peripheral lower fixation plate to support the lower fixation plate 150)
A support plate 16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anchor rod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300 on the support pipe 150,
And fixing the top end of the anchor rod to the top of the pile and fixing the top of the pile to the top of the pile.
상기 앵커봉(110)은 나사산이 형성된 하단부가 하부정착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양 수직판 사이에 형성된 커플러에 삽입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앵커봉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기초 저면에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지지되도록 하거나,
상기 앵커봉(110)은 나사산이 형성된 하단부가 하부정착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앵커홀을 관통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앵커봉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기초의 천공홀에 형성된 지지홈에 상기 하부정착플레이트가 삽입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110 is inserted into a coupler formed between the both vertical plates of the lower fixation plate, and the lower fixation plat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The fixing plate is supported,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110 is threaded through the anchor holes of the horizontal plate forming the lower fixation plate, and the lower fixation plat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nchor rod. And the lower fixation plate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groove.
상기 앵커봉(110)은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부가 상부정착판의 앵커홀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며, 상기 파일은 두부가 상부정착판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록너트에 의하여 상부정착판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앵커봉(110)은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부가 상부정착판의 앵커홀을 관통하여 고정너트에 의하여 고정 되도록 하며, 상기 파일은 충전 파일로서 두부 상면이 상부정착판의 저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관을 이용한 파일정착장치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upper end of the anchor rod 110 passes through an anchor hole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is fixed by a fixing nut. The upper end of the anchor rod 110 passes through the center hole of the upper fixing plate, Respectively,
The upper end of the anchor rod 110 passes through the anchor hole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is fixed by a fixing nut. The upper end of the anchor rod 11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late by welding Wherein the reinforcing ribs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rib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4567A KR101395828B1 (en) | 2013-09-26 | 2013-09-26 | Pile anchoring apparatus using support pipe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4567A KR101395828B1 (en) | 2013-09-26 | 2013-09-26 | Pile anchoring apparatus using support pipe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5828B1 true KR101395828B1 (en) | 2014-05-15 |
Family
ID=5089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4567A KR101395828B1 (en) | 2013-09-26 | 2013-09-26 | Pile anchoring apparatus using support pipe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582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0744B1 (en) * | 2016-04-14 | 2017-03-29 | 황규원 | Pile anchoring apparatus attached sheet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KR101819533B1 (en) * | 2017-06-14 | 2018-01-17 | 주식회사 임성 | A Base Bracket for the Deck-road |
KR20200113417A (en) * | 2019-03-25 | 2020-10-07 | (주)센구조연구소 | Structure of pressure penetrating pipe pile using reaction b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7093B1 (en) * | 2007-02-07 | 2007-10-18 | 정언섭 | Structure lifting method using pile adjustable the length |
KR101196459B1 (en) * | 2012-06-04 | 2012-11-01 | 김인호 | Anchor with enlarged connection member for nut and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2013
- 2013-09-26 KR KR1020130114567A patent/KR10139582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7093B1 (en) * | 2007-02-07 | 2007-10-18 | 정언섭 | Structure lifting method using pile adjustable the length |
KR101196459B1 (en) * | 2012-06-04 | 2012-11-01 | 김인호 | Anchor with enlarged connection member for nut and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0744B1 (en) * | 2016-04-14 | 2017-03-29 | 황규원 | Pile anchoring apparatus attached sheet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KR101819533B1 (en) * | 2017-06-14 | 2018-01-17 | 주식회사 임성 | A Base Bracket for the Deck-road |
KR20200113417A (en) * | 2019-03-25 | 2020-10-07 | (주)센구조연구소 | Structure of pressure penetrating pipe pile using reaction b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87920B1 (en) * | 2019-03-25 | 2020-12-07 | (주)센구조연구소 | Structure of pressure penetrating pipe pile using reaction be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3593B1 (en) | Composite pile with end bearing capacity, friction capaci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206344B1 (en) | Precast panel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1395828B1 (en) | Pile anchoring apparatus using support pipe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
KR100956879B1 (en) | Stress dispersion type microfile | |
KR20160025180A (en) | Helical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77019B1 (en) | Reactive forcing device using guide rail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
KR101600679B1 (en) | Socket shaped anchor | |
KR101672594B1 (en) | the supporting anchor for mounting of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633289B1 (en) | Head anchor device of micro pile and reinforced method of foundation concrete using the same | |
KR101720744B1 (en) | Pile anchoring apparatus attached sheet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therewith | |
KR101426066B1 (en) | End supporting multi micro pile and method for reinforcing structure base using this | |
KR101489387B1 (en) | End supporting multi micro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KR101871118B1 (en) |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drilling bit capable of multistage expansion using unwelded coupler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
KR101688192B1 (en) | Micropile and Method of Construction Micropile | |
KR101331219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micro pile using reinforcing end bearing capacity | |
KR101855458B1 (en) | Composite pile | |
KR101635529B1 (en) | Composite pile construction method | |
KR102018140B1 (en) | A micro-pile and the method | |
KR101362173B1 (en) | Fold type anchor reactive device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1731535B1 (en) | Pre-loading apparatus for pile and pre-load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444225B1 (en) | Micropile | |
KR101549394B1 (en) | Socket shaped anchor | |
JP2012102488A (en) |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and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for concrete skeleton | |
KR102113859B1 (en) | Pile with head reinforc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 |
KR101065619B1 (en) | Tiebolt construction method between tunnel s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