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194B1 - 실내용 식물재배기 - Google Patents

실내용 식물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194B1
KR101395194B1 KR1020120138927A KR20120138927A KR101395194B1 KR 101395194 B1 KR101395194 B1 KR 101395194B1 KR 1020120138927 A KR1020120138927 A KR 1020120138927A KR 20120138927 A KR20120138927 A KR 20120138927A KR 101395194 B1 KR101395194 B1 KR 10139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nt
cultivation
storage spac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to KR102012013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없이 물로만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부는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 형태의 재배용케이스(100);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11)과 물이 없는 건조공간(22)으로 구분하는 물막이격벽(110); 상기 저수공간(11)의 상부를 덮으며 식물재배포트(210)가 구비되는 재배용플랫폼(200); 상기 저수공간(11)의 물을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로 공급하는 물펌프(310); 및,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에 설치되어 상기 물펌프(310)와 연결되는 식생용물공급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실내용 식물재배기{Interior Hydroponic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정이나 기타 실내 환경에서 토양 없이 물로만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기(수경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벽에 매립하거나 벽에 걸어두는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주변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토양이 없이 물로만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를 수경재배기라고 한다.
이러한 수경재배기는 실제 토양을 대체하는 인공토양을 화분에 채우고 그 속에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도 있고, 수조에 스티로폼과 같이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포트을 설치한 후 포트 하부에 물을 채우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아울러 기존 식물공장에서는 식물의 대량 생산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식물재배기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식물재배기들은 가정용으로 실내에 설치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벽매립형이나 벽걸이형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하며, 단순히 물과 물에 포함된 영양분을 식물에 공급하는 공간 역할만 할 수 있을 뿐 주변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식물재배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물과 공기의 순환이 원활한 식물재배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자체 청소 수단이 구비된 식물재배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자체 온도 조절이 가능한 식물재배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토양 없이 물로만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에 빌트인(built-in) 타입으로 설치되거나 벽걸이 타입으로 설치되며,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 형태의 재배용케이스(100);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11)과 물이 없는 건조공간(22)으로 구분하는 물막이격벽(110); 상기 저수공간(11)의 상부를 덮으며 식물재배포트(210)가 구비되는 재배용플랫폼(200); 상기 저수공간(11)의 물을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로 공급하는 물펌프(310); 및,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에 설치되어 상기 물펌프(310)와 연결되는 식생용물공급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은 상기 물펌프(310)에 의하여 공급된 물이 상기 식물재배포트(210)로 흘러갈 수 있도록 경사구배가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벽매립형이나 벽걸이형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다시 말하면, 박스 형태의 재배용케이스(100) 내부에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모든 설비가 구비되어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든지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즉 테이블이나 선반 위에 올려놓을 수도 있고, 벽매립형이나 벽걸이형으로 설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둘째, 물과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다.
다시 말하면, 물펌프(310)로 공급된 물은 식물재배포트(210)의 중앙부(211)에 구비된 스펀지(214)에 흡수되어 식물의 식생에 사용되고, 여분의 물은 저수공간(11)으로 다시 내려가는 과정으로 순환이 이루어지고, 재배용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기와 연통하는 통풍구(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순환팬(150)은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외기를 재배용케이스(100)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2순환팬(160)은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재배용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여 지속적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셋째, 자체 청소 수단이 구비되어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세척용물공급관(340)의 단부에 구비된 분사노즐(341)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여 재배용케이스(100) 내부의 저수공간(11)을 세척할 수 있다.
넷째, 자체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주변 온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열전소자(510)와 온도조절팬(520)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온기 또는 냉기를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 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고, 롤스크린(530)을 재배용케이스(100)의 보온에 활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외부 형상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3은 저수공간(11)의 상부를 덮으며 식물재배포트(210)가 구비되는 재배용플랫폼(200)을 도시한다.
도4는 식물재배포트(210)를 도시한다.
도5는 재배용케이스(100)의 외측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롤스크린(530)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토양 없이 물로만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1은 본 발명의 정면 형상을 도시하고, 도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재배용케이스(100)는 건물의 벽에 빌트인(built-in) 타입으로 설치되거나 벽걸이 타입으로 설치되며, 전면부는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로서 그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과 물을 저수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재배용플랫폼()의 하부 영역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재배용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육면체의 박스 형태를 가지게 되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재배용케이스(100)는 건물의 벽에 빌트인(built-in) 타입으로 설치되거나 벽걸이 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일반 어항처럼 테이블이나 지지대 위에 거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재배용케이스(100)는 전면부뿐만 아니라 측면부나 후면부도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투명한 재질이나 엷은 색이 들어간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물막이격벽(110)은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11)과 물이 없는 건조공간(22)으로 구분한다.
저수공간(11)에는 식물 재배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고, 건조공간(22)에는 본 발명에 필요한 각종 장치들이 설치된다.
재배용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기와 연통하는 통풍구(120)가 구비되어 외기 유출입 통로가 된다.
드레인밸브(130)는 재배용케이스(100)의 저수공간(11)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여 주기적으로 저수공간(11) 내부의 물을 교환할 수 있다.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는 조명등(140)이 구비되는데, 할로겐이나 LED 등 다양한 종류의 조명장치가 선택될 수 있다.
제1순환팬(150)은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외기를 재배용케이스(100)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2순환팬(160)은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재배용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재배용케이스(100)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3은 저수공간(11)의 상부를 덮으며 식물재배포트(210)가 구비되는 재배용플랫폼(200)을 도시하고, 도4는 식물재배포트(210)를 도시한다.
재배용플랫폼(200)은 저수공간(11)의 상부를 덮으며 식물재배포트(210)가 구비되어 식물이 자라는 발판 역할을 하게 된다.
식물재배포트(210)는 전체적으로 중앙부(211)가 뚫려 있는 환형의 고리 형상을 하고 있다.
고리의 단면은 "∪"자 형태로 파여져 물이 흘러가는 통로가 되며 환형의 고리 외측에는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 표면을 흐르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212)가 절개되어 있고 환형의 고리 내측에는 물이 빠져나가는 물토출구(213)가 절개되어 있다.
상기 식물재배포트(210)의 중앙부(211)에는 재배되는 식물이나 식물의 씨앗을 감싸는 스펀지(214)가 삽입되어 환형의 고리 내부로 유입된 물이 물토출구(213)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물을 흡수하여 식물의 식생에 사용하고 여분의 물은 저수공간(11)으로 내려보낸다.
식물재배포트(210)에서 저수공간(11)으로 내려가는 물은 자유낙하하면서 저수공간(11)에 저장된 물의 표면에 부딪혀 포말(물거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포말은 저수공간(11)에 저장된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어 저수공간(11)을 어항으로 활용할 경우 물고기에게 산소를 공급하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물펌프(310)는 저수공간(11)의 물을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재배용플랫폼(200)에 설치되는 식생용물공급관(320)이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로 공급되는 물의 통로 역할을 한다.
재배용플랫폼(200)은 물펌프(310)에 의하여 공급된 물이 식물재배포트(210)로 흘러갈 수 있도록 경사구배가 이루어져 있다.
즉 식생용물공급관(320)의 상단부가 설치되는 위치가 가장 높고 나머지 구역들은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구배가 이루어져 식생용물공급관(320)을 통하여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로 공급된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면서 식물재배포트(210)로 유입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식물재배포트(210)로 유입되고 남은 여분의 물을 다시 저수공간(11)으로 내려보내는 배수구멍(도시 생략)이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세척용물공급관(340)은 식생용물공급관(320)과 유로전환밸브(330)로 연결되어 재배용플랫폼(200)의 하부를 따라 설치되는데, 세척용물공급관(340)에는 아래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41)이 장착된다. 다시 말하면 저수공간(11)의 상부에 분사노즐(341)이 설치되는 구조로서, 이러한 분사노즐(341)은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1개만 설치될 수도 있는데, 저수공간(11) 내벽에 물이 골고루 분사되도록 설치 위치와 방향, 및 설치 수량을 결정하면 된다.
따라서 저수공간(11) 내부의 청소(물세척)가 필요한 경우 유로전환밸브(330)를 이용하여 식생용물공급관(320)으로 공급되던 물을 세척용물공급관(340)으로 공급하고 분사노즐(341)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게 된다.
수위센서(410)는 저수공간(11)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알람부(420)는 수위센서(410)와 연결되어 저수공간(11)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하로 내려가면 물보충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물보충신호는 음성이나 음향으로 발생될 수도 있고, 램프의 점멸과 같이 시각적 수단을 통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열전소자(510)는 건조공간(22)에 설치되는데, 전류의 방향에 따라 흡열부와 발열부가 서로 변환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흡열부와 발열부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온도조절팬(520)은 열전소자(5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열부의 냉기 또는 발열부의 온기를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열전소자(510)의 하부에 온도조절팬(52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5는 재배용케이스(100)의 외측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롤스크린(530)을 도시한다.
롤스크린(530)은 재배용케이스(100)의 외측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데, 필요에 따라 롤스크린(530)을 내려서 재배용케이스(100)의 전면부를 덮을 수도 있다. 롤스크린(530)은 주변 온도가 내려가 재배용케이스(100) 내부의 보온이 필용한 경우에 사용되는데, 롤스크린(530)이 내려온 경우에도 재배용케이스(10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비닐로 제작된 롤스크린(53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재배용케이스
110:물막이격벽
11:저수공간 22:건조공간
120:통풍구
130:드레인밸브
140:조명등
150:제1순환팬
160:제2순환팬
200:재배용플랫폼
210:식물재배포트
211:중앙부 212:물유입구
213:물토출구 214:스펀지
310:물펌프
320:식생용물공급관
330:유로전환밸브
340:세척용물공급관 341:분사노즐
410:수위센서
420:알람부
510:열전소자
520:온도조절팬
530:롤스크린

Claims (6)

  1. 토양 없이 물로만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 형태의 재배용케이스(100);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11)과 물이 없는 건조공간(22)으로 구분하는 물막이격벽(110);
    상기 저수공간(11)의 상부를 덮으며 식물재배포트(210)가 구비되는 재배용플랫폼(200);
    상기 저수공간(11)의 물을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로 공급하는 물펌프(310); 및,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에 설치되어 상기 물펌프(310)와 연결되는 식생용물공급관(32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은 상기 물펌프(310)에 의하여 공급된 물이 상기 식물재배포트(210)로 흘러갈 수 있도록 경사구배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식물재배포트(210)는 중앙부(211)가 뚫려 있는 환형의 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고리의 단면은 "∪"자 형태로 파여져 물이 흘러가는 통로가 되며 환형의 고리 외측에는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의 표면을 흐르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212)가 절개되어 있고 환형의 고리 내측에는 물이 빠져나가는 물토출구(213)가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식물재배포트(210)의 중앙부(211)에는 재배되는 식물이나 식물의 씨앗을 감싸는 스펀지(214)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식물재배기.
  2. 토양 없이 물로만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 형태의 재배용케이스(100);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하부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11)과 물이 없는 건조공간(22)으로 구분하는 물막이격벽(110);
    상기 저수공간(11)의 상부를 덮으며 식물재배포트(210)가 구비되는 재배용플랫폼(200);
    상기 저수공간(11)의 물을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로 공급하는 물펌프(310);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에 설치되어 상기 물펌프(310)와 연결되는 식생용물공급관(320); 및,
    상기 식생용물공급관(320)과 유로전환밸브(330)로 연결되어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공간(11)의 내벽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341)이 장착되는 세척용물공급관(34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은 상기 물펌프(310)에 의하여 공급된 물이 상기 식물재배포트(210)로 흘러갈 수 있도록 경사구배가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식물재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저수공간(11)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10); 및,
    상기 수위센서(410)와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물이 내려가면 물보충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42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식물재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건조공간(22)에 설치되며 전류의 방향에 따라 흡열부와 발열부가 서로 변환되는 열전소자(510);
    상기 열전소자(5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흡열부의 냉기 또는 발열부의 온기를 상기 재배용플랫폼(200)의 상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온도조절팬(520); 및,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외측 상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전면부를 덮는 롤스크린(53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식물재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기와 연통하는 통풍구(120);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저수공간(11)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밸브(130);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등(140);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재배용케이스(100)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순환팬(150); 및,
    상기 재배용케이스(100)의 내측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재배용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순환팬(16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식물재배기.
  6. 삭제
KR1020120138927A 2012-12-03 2012-12-03 실내용 식물재배기 KR10139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927A KR101395194B1 (ko) 2012-12-03 2012-12-03 실내용 식물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927A KR101395194B1 (ko) 2012-12-03 2012-12-03 실내용 식물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194B1 true KR101395194B1 (ko) 2014-05-15

Family

ID=5089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927A KR101395194B1 (ko) 2012-12-03 2012-12-03 실내용 식물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1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7111A (zh) * 2017-08-18 2017-11-21 袁东粲 盆栽植物降温装置
CN107624322A (zh) * 2017-10-27 2018-01-26 浙江大学城市学院 一种凉亭式阳台种植装置
DE102018216337A1 (de) * 2018-09-25 2020-03-26 microgreenbox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zucht von Pflanzen
WO2020115734A1 (en) * 2018-12-02 2020-06-11 Itay Tayas Zamir Indoor Plant Growing System
KR20210048878A (ko) * 2019-10-24 2021-05-04 추진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023A (ko) * 2001-07-05 2003-01-15 씨씨에스 가부시키가이샤 식물생육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
KR20050051426A (ko) * 2003-11-27 2005-06-01 유태성 화분에 심어진 식물을 위한 식물재배장치
KR20120025696A (ko) * 2010-09-08 2012-03-16 (주) 두두에너텍 엘이디를 이용한 가정용 식물배양장치
KR20120095165A (ko) * 2011-02-18 2012-08-28 윤성원 수경 재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023A (ko) * 2001-07-05 2003-01-15 씨씨에스 가부시키가이샤 식물생육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
KR20050051426A (ko) * 2003-11-27 2005-06-01 유태성 화분에 심어진 식물을 위한 식물재배장치
KR20120025696A (ko) * 2010-09-08 2012-03-16 (주) 두두에너텍 엘이디를 이용한 가정용 식물배양장치
KR20120095165A (ko) * 2011-02-18 2012-08-28 윤성원 수경 재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7111A (zh) * 2017-08-18 2017-11-21 袁东粲 盆栽植物降温装置
CN107367111B (zh) * 2017-08-18 2024-02-27 袁东粲 盆栽植物降温装置
CN107624322A (zh) * 2017-10-27 2018-01-26 浙江大学城市学院 一种凉亭式阳台种植装置
CN107624322B (zh) * 2017-10-27 2023-11-17 浙江大学城市学院 一种凉亭式阳台种植装置
DE102018216337A1 (de) * 2018-09-25 2020-03-26 microgreenbox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zucht von Pflanzen
WO2020115734A1 (en) * 2018-12-02 2020-06-11 Itay Tayas Zamir Indoor Plant Growing System
KR20210048878A (ko) * 2019-10-24 2021-05-04 추진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KR102318569B1 (ko) 2019-10-24 2021-10-29 추진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194B1 (ko) 실내용 식물재배기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101400375B1 (ko) 식물재배장치
JPWO2004026023A1 (ja) 育苗装置
EP3253193B1 (en) Method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 device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nd a special plant pot
KR101893196B1 (ko)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101350394B1 (ko) 수로가 형성된 재배플레이트를 가지는 수경재배장치
KR20140023720A (ko) 수경재배기
KR101466179B1 (ko)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KR20130011757A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KR20190137201A (ko) 입형정원 시스템
KR101158002B1 (ko) 다용도 식물재배기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0858994B1 (ko)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KR101268260B1 (ko) 콩나물 재배기
KR20200111382A (ko)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KR102324733B1 (ko) 수직 정원
KR101264143B1 (ko) 창틀 일체형 화분장치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JP2010154822A (ja) 水気耕栽培装置
KR101899720B1 (ko)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JP2012528580A (ja) 植物用ボックス
KR20150094277A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KR20190014200A (ko) 벽면 정원 겸용 수족관
KR101931151B1 (ko) 수경재배용 화분과 어항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어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