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690B1 -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690B1
KR101393690B1 KR1020130107736A KR20130107736A KR101393690B1 KR 101393690 B1 KR101393690 B1 KR 101393690B1 KR 1020130107736 A KR1020130107736 A KR 1020130107736A KR 20130107736 A KR20130107736 A KR 20130107736A KR 101393690 B1 KR101393690 B1 KR 101393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hot air
cur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인
김용규
Original Assignee
홍석인
세림토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인, 세림토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석인
Priority to KR102013010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을 가하면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관로의 내벽에 밀착/경화시켜 보수하는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에 있어서, 보수 대상 관로 내에 CCTV 카메라 장비를 투입시켜 관로 내부의 상태를 촬영함과 동시에 CCTV 카메라 장비의 일부에 설치한 적외선 온도센서를 통해 관로 내의 온도를 계속해서 측정하여 관로 내의 온도 및 각종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지상에 각종 관로 보수장비를 설치하고 보수재를 관로 내에 투입할 준비를 하는 단계와;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보수 대상 관로 내부로 반전 또는 견인 방법 중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삽입하며 공기압을 이용하여 관로 내면에 밀착하는 단계와; 관로 일측 시점부에서 튜브 내에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를 포함하여 특정부위까지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들을 투입하여 설치하고 튜브의 종점부에는 경화온도 제어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들을 통해 정해진 특정부위들에 원하는 온도를 갖도록 열풍을 자동 주입하는 단계와; 경화중인 튜브 내부에 내시경용 카메라를 삽입하여 내부의 각종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면서 관로 내의 튜브 내부 전체에 열풍을 주입하는 단계와; 튜브의 종점부에 설치한 경화온도 제어기를 통해 튜브 내의 경화온도를 자동제어하며 튜브에 함침되어 있는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와; 수지의 경화가 완료되면 경화튜브의 양단부를 절단하고 마무리하여 관로의 해당 구간 전체보수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CIPP의 경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온도 조절 측면에서 품질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담당 현장 인원을 감소시켜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Pipeline repairing device having a control function for setting temperature of tube end and trenchless, inner, whole repairing method using therefor}
본 발명은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지가 함침된 연성튜브를 보수 대상 상수도, 하수도 및 수로를 포함하는 관로 내부로 반전 또는 견인하고 공기압을 주입하여 관로 내측에 밀착시킨 후 연성튜브 내에 열풍을 가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관로를 보수하는 관로 보수공법에 있어서, 관로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한 CIPP 시공시의 열경화 취약부위를 카메라 및 적외선 온도센서를 통해 탐지한 후 열경화시 조사된 취약부위에 열풍을 추가로 불어 넣어 CIPP의 경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경화중인 액상튜브 내 특정 부위에 열풍 주입 또는 가열(히팅)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시켜 CIPP의 경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CIPP 시공시 경화중인 튜브 내부를 CCTV 카메라로 확인하는 공정을 더 포함시켜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육안으로 확인하여 경화 후 튜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튜브 종점부의 경화온도 제어시 자동 온도 조절 개폐장치로 대체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온도 조절 측면에서 품질 및 시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담당 현장 인원을 감소시켜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도관을 포함하는 각종 관로는 각각의 가정이나 공장 등에 연결되어 하수 등을 하수 처리장으로 운송하게 되는바, 이러한 하수도관 등은 도시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수도관은 하수와 폐수를 운반하게 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되고 산화물질과 같은 것에 의해 부식되어 하수가 하수도관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수가 노후된 하수도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면 토양의 오염과 지하수의 오염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후된 하수도관을 교체하게 되는데, 하수도관을 교체하기 위하여 그 하수도관이 묻혀 있는 곳을 굴착한 다음 노후된 하수도관을 분리하고 새로운 하수도관을 묻게 된다.
이러한 굴착 공법을 사용하게 되면 하수도관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게 되기 때문에 그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굴착 비용만이 소요된다.
그러나, 굴착 공법은 하수도관이 묻혀 있는 장소를 굴착한 다음 하수도관을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복잡한 도심에서 공사를 진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교통에 너무나 많은 혼잡을 초래하기 때문에 사회 간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굴착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도관을 굴착하지 않고도 하수도관 내측에 라이너(liner)를 설치하여 하수가 도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CIPP(Cured-in-Placed Pipe; 일명 "현장 제작 양생 파이프"라고함) 공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공법은 하수도관 내부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연성튜브를 삽입한 다음 경화시켜 하수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공법으로서, 견인 공법과 반전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견인공법과 반전공법의 경우 관로 내에 튜브를 삽입하는 공정만 차이가 있을 뿐 수지가 함침된 연성튜브를 열경화시키는 공정은 동일하여 관로의 전체길이에 대해 튜브의 경화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어려워서 경화튜브의 품질이 저하되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CIPP 공법을 이용하여 관로를 보수할 때, 보수 전에 하수관로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한 CIPP 시공시의 열경화 취약부위를 탐지하지 않은 상태로 보수를 수행하고 있어, 경화 후의 CIPP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에는 관로의 내부에 연성튜브를 반전 또는 견인하여 삽입시킨 후 내부 환경에 무관하게 단순히 열풍을 주입하거나 또는 가열(히팅)시켜 경화하는 방식을 채택 즉, 온도가 낮은 취약부위나 열경화시 응축수가 고이는 특정부위 등을 대상으로 열풍 주입 또는 가열(히팅)시키지 않은 상태로 보수하고 있어 연성튜브가 경화된 후 확인해 보면 온도가 낮은 취약부위나 열경화시 응축수가 고인 특정부위에서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CIPP의 품질이 저하된 형태를 나타내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CIPP 시공시 경화 중인 튜브 내부에서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를 포함하여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 관로를 보수하고 있으므로 경화 후 CIPP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관로의 내부에 설치된 튜브의 내부에 열풍을 주입하거나 가열(히팅)하는 방식을 통해 튜브를 경화시킬 때 튜브의 시점부에 비해 튜브의 종점부 온도가 저하되는 형태를 나타내게 되므로 튜브의 종점부에 온도계 및 압력계를 포함하여 수개의 열풍 배출용 파이프를 꽂아 경화 온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온도와 압력을 시공 중에 체크 하면서 열풍 배출용 파이프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의 개폐량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튜브 내의 종점부 온도를 정확히 조절할 수 없어 경화 품질이 저하됨은 물론 현장 인원의 증가와 시공성 저하로 인해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상수도 갱생공법의 경우에는 사용 중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CIPP의 경화품질이 우수하여야함에도 불구하고 시공중 경화온도 조절을 포함한 품질관리 수단이 적용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06997호(2012년 11월 26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04092호(2010년 12월 20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지가 함침된 튜브(즉, 연성튜브; 이하 "튜브"라 통칭함))를 보수 대상 상수도, 하수도 및 수로를 포함하는 관로 내부로 반전 또는 견인하고 공기압을 주입하여 관로 내측에 밀착시킨 후 튜브 내에 열풍을 가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관로를 보수하는 관로 보수공법에 있어서, 보수 전에 관로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한 CIPP 시공시의 열경화 취약부위를 카메라 및 적외선 온도센서를 통해 탐지한 후 열경화시 조사된 취약부위에 열풍을 추가로 불어 넣어 CIPP의 경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경화중인 액상튜브 내 특정 부위(예를 들어 응축수가 고인 곳 등)에 열풍 주입 또는 가열(히팅)을 집중적으로 더 해주는 공정을 포함시켜 CIPP의 경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CIPP 시공시 경화중인 튜브 내부를 CCTV 카메라로 확인하는 공정을 더 포함시켜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육안으로 확인하여 경화 후 튜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온도 조절 개폐장치로 대체하는 시스템을 튜브의 종점부에 설치하여 온도 조절 측면에서 품질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담당 현장 인원을 감소시켜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지 함침형 튜브의 시점부 및 종점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각종 파이프의 외면과, 튜브에 형성시킨 구멍 사이에는 밀폐수단을 구비시켜 튜브 내의 공기 및 열풍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로 내면의 비굴착 보수에 따른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는, 튜브 공급기와 열풍 발생기를 구비하고 보수 대상 관로의 양측에 구비된 맨홀 중 일측 맨홀 입구에 설치되어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 및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를 통해 관로 내의 튜브에 열풍을 공급하는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와; 타측 맨홀 입구에 설치되어 튜브를 견인하는 견인용 윈치 또는 튜브 내에 공기압을 주입시켜 튜브를 반전시키는 반전장치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장치와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구비한 구성을 갖고 보수 대상 관로 내의 상태정보를 촬영하여 표시 및 저장하는 CCTV 카메라 장비와; 상기 CCTV 카메라 장비의 이동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 또는 단독으로 관로 내부 또는 튜브 내로 투입되어 제어부에서 정해진 위치의 관로 또는 튜브 내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기능을 갖는 제어부로 전달하는 적외선 온도센서와; 경화온도 제어기와 연결되는 통합 배출파이프의 단부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타측 맨홀 내 바닥면에 설치되어 튜브의 종점부가 관로 내부로부터 맨홀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튜브 내로 투입된 공기 및 열풍의 일부가 경화온도 제어기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튜브 지지겸 배출파이프 연결구와; 압력계와 온도계 및 다수의 분기형 배기파이프를 구비하되, 일부 분기형 배기파이프에는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자변이 구비된 형태를 갖고 타측 맨홀의 외부에 설치되어 튜브 종점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 통합 배출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및 열기의 량을 포함하여 압력을 자동 조절하여 튜브의 종점부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화온도 제어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CIPP 시공시 경화중인 튜브 내부에서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내시경형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시경형 카메라에는 온도센서를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경화중인 튜브 내의 특정부위에 대한 온도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종 파이프의 외면과, 상기 각종 파이프가 끼워지도록 상기 튜브에 형성시킨 파이프 삽입용 구멍 사이에는 소정형상을 갖는 밀폐수단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폐수단의 일 실시 예로는 파이프의 외면 일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구멍을 통해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나사산 내단부에는 상기 튜브의 구멍을 통해 억지로 끼워져 구멍 주변의 튜브 내면에 걸려지는 원뿔형 걸림부재를 설치하고, 튜브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나사산에는 상기 원뿔형 걸림부재와 함께 튜브의 구멍 주변을 압착시켜 주는 파이프 고정겸 통공 밀폐용 너트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수단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파이프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에 형성된 구멍과 파이프의 외면 사이 틈새를 밀폐시켜 줄 수 있도록 튜브의 외면에 밀착 또는 부착되게 신축 덧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신축 덧판은 고무판이나 실리콘 판 또는 수팽창 고무판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은, 열을 가하면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관로의 내벽에 밀착/경화시켜 보수하는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에 있어서, 보수 대상 관로 내에 CCTV 카메라 장비를 투입시켜 관로 내부의 상태를 촬영함과 동시에 CCTV 카메라 장비의 저면부에 설치한 적외선 온도센서를 통해 정해진 간격(예를 들어 1~2m)을 두고 관로 내의 온도를 계속해서 측정하여 각 지점의 온도 및 각종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지상에 각종 관로 보수장비를 설치하고 보수재를 관로 내에 투입할 준비를 하는 단계와;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보수 대상 관로 내부로 반전 또는 견인하는 방법 중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삽입하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관로 내면에 밀착하는 단계와; 관로 일측 입구에서 튜브 내에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를 포함하여 특정부위까지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들을 투입하여 설치하고 튜브의 종점부에는 경화온도 제어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들을 통해 정해진 특정부위들에 원하는 온도를 갖도록 열풍을 주입하는 단계와; 경화중인 튜브 내부에 내시경용 카메라를 삽입하여 내부의 각종 상태정보(예를 들어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등)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면서 관로 내의 튜브 내부 전체에 열풍을 주입하는 단계와; 튜브의 종점부에 설치한 경화온도 제어기를 통해 튜브 내의 경화온도를 자동제어하며 튜브에 함침되어 있는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와; 수지의 경화가 완료되면 튜브의 양단부를 절단하고 마무리하여 관로의 해당 구간 전체보수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에 의하면,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보수 대상 상수도, 하수도 및 수로를 포함하는 관로 내부로 반전 또는 견인하여 관로 내에 삽입시킨 후 튜브 내에 열풍을 주입하여 경화시켜 관로를 보수하는 관로 보수공법에 있어서, 보수 전에 관로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한 CIPP 시공시의 열경화 취약부위를 탐지한 후 열경화시 조사된 취약부위에 열풍을 추가로 더 주입하여 CIPP의 경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경화중인 액상튜브 내 특정 부위(예를 들어 응축수가 고인 곳 등)에 열풍 주입 또는 가열(히팅)을 집중적으로 더 해주는 공정을 포함시켜 줌으로써 CIPP의 경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CIPP 시공시 경화중인 튜브 내부를 CCTV 카메라로 확인하는 공정을 더 포함시켜 줌으로써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육안으로 확인하여 경화 후 튜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자동 온도 조절 개폐장치로 대체하는 시스템을 튜브의 종점부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온도 조절 측면에서 품질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담당 현장 인원을 감소시켜 공사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지 함침형 튜브의 시점부 및 종점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각종 파이프의 외면과, 튜브에 형성시킨 구멍 사이에는 밀폐수단을 구비시켜 튜브 내의 공기 및 열풍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로 내면의 비굴착 보수에 따른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들을 지상에 설치해 놓은 상태에서 보수 전 CCTV 카메라 장비 및 적외선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관로 내부를 탐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 중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에 구비된 튜브를 견인용 윈치를 이용하여 관로 내로 견인하여 삽입한 우 열풍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튜브를 공기압으로 반전시키며 관로 내로 삽입한 후 열풍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경화중인 튜브 내에 내시경 카메라 및 온도센서를 투입시켜 각종 상태정보를 탐지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밀폐수단들의 실시 예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들을 지상에 설치해 놓은 상태에서 보수 전 CCTV 카메라 장비 및 적외선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관로 내부를 탐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 중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에 구비된 튜브를 견인용 윈치를 이용하여 관로 내로 견인하여 삽입한 우 열풍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튜브를 공기압으로 반전시키며 관로 내로 삽입한 후 열풍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경화중인 튜브 내에 내시경 카메라 및 온도센서를 투입시켜 각종 상태정보를 탐지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밀폐수단들의 실시 예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4)와 견인용 윈치(5), 반전장치(6), CCTV 카메라 장비(7), 적외선 온도센서(8), 튜브 지지겸 배출파이프 연결구(9) 및 경화온도 제어기(10)를 구비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한 구성요소 중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4)는 이동성이 좋은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튜브 공급기(41)와 열풍 발생기(42)를 구비시킨 것으로, 보수 대상 관로의 양측에 구비된 맨홀(2) 중 일측 맨홀 입구에 설치된다.
또, 상기 열풍 발생기(42)의 열풍 배출구에는 튜브(3) 내로 열풍을 불어 넣는 지름이 큰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4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43)에 하나 이상의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44)를 더 구비시켜 줌은 물론 상기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44)에는 각각 열풍을 개폐하여 자동조절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자변(45)을 구비시켜 관로(1)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한 CIPP 시공시의 열경화 취약부위들을 탐지한 후 튜브(3)의 열경화시 상기에서 조사된 각각의 취약부위에 상기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44)들을 통해 열풍을 더 집중적으로 주입하여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견인용 윈치(5)는 보수 대상 관로(1)의 타측 맨홀(2)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4)에서 공급되는 튜브(3)를 관로(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견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전장치(6)는 보수 대상 관로(1)의 일측 맨홀(2)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4)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튜브(3) 내로 주입시켜 튜브를 반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CCTV 카메라 장비(7)는 카메라(71)를 구비하고 보수 대상 관로(1) 내로 투입되는 이동장치(72)와, 관로(1)의 외부에 설치되어 카메라(71)를 통해 촬영되는 각종 정보(예를 들어 지하수 등이 누수되는 위치나 정도, 관로의 파손위치 및 정도 등)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73) 및 제어부(74)를 구비하고 카메라(71)를 통해 촬영되는 보수 대상 관로(1) 내의 각종 상태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적외선 온도센서(8)는 관로(1)의 보수 전에 상기 CCTV 카메라 장비(7)의 이동장치(7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 관로의 내부로 투입되어 제어부(74)에서 정해진 거리간격을 두고 관로의 하부온도를 측정 및 저장하여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 응축수가 고였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보수과정에서 튜브(3) 내로 단독 투입되어 제어부(74)에서 정해진 위치의 튜브 내 온도를 측정하여 튜브(3)에 함침된 수지의 경화 정도 등을 외부에서도 온도변화를 통해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튜브 지지겸 배출파이프 연결구(9)는 수개의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사각틀체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튜브(3)의 종점부와 접촉되는 면에는 경화온도 제어기(10)와 연결되는 통합 배출파이프(91)의 단부가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튜브 지지겸 배출파이프 연결구(9)는 타측 맨홀(2) 내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튜브(3)의 종점부가 관로(1) 내부로부터 계획한 적정한 범위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튜브(3)의 종점부 내로 투입된 상기 통합 배출파이프(91)를 통해 튜브(3) 내로 투입된 공기 및 열풍의 일부가 경화온도 제어기(1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안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경화온도 제어기(10)는 상기 튜브(3)의 종점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통합 배출파이프(91)와 연결된 속이 빈 함체(101)에 압력계(102)와 온도계(103) 및 다수의 분기형 배기파이프(104)가 설치된 구성을 가지되, 일부 분기형 배기파이프(104)에는 열풍의 배출량을 제어 및 단속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자변(105)이 구비되고, 또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조작반 등을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경화온도 제어기(10)는 튜브(3)의 종점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 통합 배출파이프(91)를 통해 이송된 열풍의 배출량을 개폐량 제어를 통해 자동 조절하여 튜브의 종점부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 장치에서는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내시경형 카메라(11)와 온도센서(13) 및 밀폐수단(12)을 더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시경형 카메라(11)는 CIPP 시공시 경화중인 튜브 내부에서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특정부분에서 문제가 발생되었을시 즉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관로 보수 전에 사용했던 상기 적외선 온도센서(8)와 별도로 구비해 놓은 온도센서(13)를 상기 내시경형 카메라(11)에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경화중인 튜브 내의 각종 상태는 물론 특정부위에 대한 온도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수단(12)은 각종 파이프를 튜브(3)에 형성시킨 구멍(31)을 통해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열풍 등을 이용하여 튜브를 경화시킬 때 상기 튜브(3)에 형성된 구멍(31)과 파이프들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튜브 내의 열기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밀폐수단(12)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2가지 실시 예를 제시하는 바인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상기 밀폐수단(12) 중 그 일 실시 예로는 도 5의 (a)와 같이, 원뿔형 걸림부재(122)와 파이프 고정겸 통공 밀폐용 너트(123)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원뿔형 걸림부재(122)는 파이프의 외면 일부에 형성시킨 나사산(121) 중 나사산(121)의 내단부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파이프들을 튜브(3)에 형성시킨 구멍(31)을 통해 끼워 넣을 때 상기 원뿔형 걸림부재(122)가 튜브(3)의 구멍(31)을 통해 억지로 끼워져 구멍(31) 주변의 튜브(3) 내면에 걸려지게 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겸 통공 밀폐용 너트(123)는 튜브(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나사산(121)에 나사 결합되어 튜브(3) 내측에 위치된 상기 원뿔형 걸림부재(122)와 함께 튜브(3)의 외측에서 구멍(31) 주변을 압착시켜 파이프의 외면과 튜브(3)의 구멍(31) 내면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튜브 내의 열기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수단(12)의 다른 일 실시 예는 도 5의 (b)와 같이, 고무판이나 실리콘 판 또는 수팽창 고무판 등으로 성형한 신축 덧판(124)으로, 중심점에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파이프 삽입공(124a)을 형성시켜 파이프가 상기 신축 덧판(124)의 파이프 삽입공(124a)에 억지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의 외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신축 덧판(124)의 내면이 튜브(3)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튜브(3)에 형성된 구멍(31)과 파이프의 외면 사이 틈새를 통해 튜브 내의 열풍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본 발명의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은, 먼저 보수 대상 관로 내에 도 1과 같이 CCTV 카메라 장비(7)를 투입시켜 관로 내부의 각종 상태정보(예를 들어 지하수 등이 누수되는 위치나 정도, 관로의 파손위치 및 정도 등)를 촬영하여 확인 및 저장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CCTV 카메라 장비(7)에 적외선 온도센서(8)를 장착하여 카메라(71)를 통해 관로 내면을 촬영할 때 정해진 간격(예를 들어 1~2m)을 두고 관로 내부의 온도를 계속해서 측정하는 공정을 더 실시하는 방식을 통해 관로의 배면에 존재하는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한 CIPP 시공시의 열경화 취약부위를 탐지(즉, 응축수 등이 고인 곳과 고이지 않은 곳의 온도차를 통해 열경화 취약부위를 탐지)하여 이를 저장한 후 튜브의 열경화시 상기 적외선 온도센서(8)에 의해 조사된 취약부위에 대해서는 열풍을 더 불어 넣어 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수 대상 관로의 내부에 대한 각 지점의 온도 및 각종 상태정보의 측정 및 촬영이 완료되면, 지상에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4)를 포함하여 견인용 윈치(5), 반전장치(6), 튜브 지지겸 배출파이프 연결구(9) 및 경화온도 제어기(10) 등 각종 관로 보수장비를 설치하고 보수재를 관로(1) 내에 투입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어서 수지가 함침된 형태로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4)에 구비된 튜브(3)를 견인용 윈치(5) 등을 이용하여 보수 대상 관로(1) 내부로 도 2와 같이 견인하가나, 또는 튜브(3)를 보수 대상 관로(1) 내부로 도 3과 같이 반전장치(6)를 이용하여 물 또는 공기압을 주입하여 반전시키는 단계 중 어느 한 가지의 방법을 실시하게 된다.
이후, 일측 맨홀(2)을 통해 관로(1) 내 튜브(3)의 시점부에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4)의 열풍 발생기(42)에 일단부가 연결된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43)의 타단부를 도 3과 같이 삽입/설치함은 물론 상기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43)에 가지 형태로 결합된 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44) 중 일부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44)들을 각각 특정부위(즉, 적외선 온도센서(8)를 통해 온도를 검출한 결과 응축수 등이 고여 있는 곳으로 판단된 부위 등)까지 투입하여 설치한다.
또한, 타측 맨홀(2) 측으로 노출되는 튜브(3)의 종점부에는 도 3과 같이 튜브 지지겸 배출파이프 연결구(9)를 설치함은 물론 타측 맨홀(2)이 위치된 지상에는 경화온도 제어기(10)를 설치한다.
물론, 상기한 파이프들을 설치할 때 각각의 파이프가 삽입 설치되는 튜브(3)의 각 구멍(31) 부위에는 전술한 밀폐수단(12)을 각각 도 5의 (a) 또는 (b)와 같은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튜브(3) 내로 주입되는 열풍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지상에서 상기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4)에 구비된 열풍 발생기(42)를 작동시키고,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43)를 통해 관로 내의 튜브 내부 전체에 열풍을 주입하기에 앞서, 상기에서 응축수가 고인 위치 등과 같이 특정부위까지 삽입 설치한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44)에 각각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자변(45)들을 각각 해당 위치의 온도에 대응하여 원하는 량씩 열어주어 정해진 특정부위들에 열풍을 먼저 주입시켜 해당 특정부위가 필요로 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CIPP의 경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44)들을 통해 열풍을 주입시켜 특정부위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43)를 통해 관로 내의 튜브 내부 전체에 열풍을 주입하여 튜브 내에 함침되어 있는 수지가 열풍에 의해 경화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관로 내의 튜브(3) 내부 전체에 열풍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44)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특정부위들에 열풍을 주입시켜 해당 부위들의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경화중인 튜브 내부에 내시경용 카메라(71) 및 온도센서(13)를 도 4와 같이 삽입하여 튜브 내의 각종 상태(예를 들어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등)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면서 열풍의 주입량 및 배출량을 개폐량 조절을 통해 자동 조절함으로써 경화 후 튜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관로 내의 튜브(3) 내부 전체에 열풍을 주입시켜 주는 단계를 실시할 때, 튜브(3)의 종점부에 설치한 경화온도 제어기(10)를 이용하여 튜브 내의 경화온도를 개폐량 조절을 통해 제어하며 튜브에 함침되어 있는 수지를 경화시키게 된다.
즉, 상기 튜브(3)의 종점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통합 배출파이프(91)와 연결된 속이 빈 함체(101)에 압력계(102)와 온도계(103) 및 다수의 분기형 배기파이프(104)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작업자가 원활히 조작할 수 있도록 타측 맨홀(2)의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경화온도 제어기(10)를 이용하여 튜브 종점부 내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일부 분기형 배기파이프(104)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자변(105)을 적절히 개폐시키는 방식을 통해 튜브(3)의 종점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 통합 배출파이프(91)를 통해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열풍의 배출량을 자동 조절하여 튜브의 종점부서 필요로 하는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열풍에 의한 열기가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튜브 종점부에 대한 온도 조절 측면에서 볼 때 시공성과 경화 후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담당 현장 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공사비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액상튜브의 경화가 완료되면 양측 맨홀(2) 내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경화튜브의 양단부를 절단하고 각종 설치장치나 기구 등을 회수하는 등의 마무리 단계를 거쳐 관로의 해당 구간 전체보수를 종료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관로
2 : 맨홀
3 : 튜브 31 : 구멍
4 :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
41 : 튜브 공급기 42 : 열풍 발생기
43 :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 44 :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
45 :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자변
5 : 견인용 윈치
6 : 반전장치
7 : CCTV 카메라 장비
71 : 카메라 72 : 이동장치
73 : 디스플레이 74 : 제어부
8 : 적외선 온도센서
9 : 튜브 지지겸 배출파이프 연결구 91 : 통합 배출파이프
10 : 경화온도 제어기
101 : 함체 102 : 압력계
103 : 온도계 104 : 분기형 배기파이프
105 :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자변
11 : 내시경형 카메라
12 : 밀폐수단 121 : 나사산
122 : 원뿔형 걸림부재 123 : 파이프 고정겸 통공 밀폐용 너트
124 : 신축 덧판 124a : 파이프 삽입공
13 : 온도센서

Claims (13)

  1. 튜브 공급기와 열풍 발생기를 구비하고 보수 대상 관로의 양측에 구비된 맨홀 중 일측 맨홀 입구에 설치되어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 및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를 통해 관로 내의 튜브에 열풍을 공급하는 이동형 튜브 및 열풍 공급장치와;
    타측 맨홀 입구에 설치되어 튜브를 견인하는 견인용 윈치 또는 튜브 내에 공기압을 주입시켜 튜브를 반전시키는 반전장치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장치와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구비한 구성을 갖고 보수 대상 관로 내의 상태정보를 촬영하여 표시 및 저장하는 CCTV 카메라 장비와;
    상기 CCTV 카메라 장비의 이동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 또는 단독으로 관로 내부 또는 튜브 내로 투입되어 제어부에서 정해진 위치의 관로 또는 튜브 내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기능을 갖는 제어부로 전달하는 적외선 온도센서와;
    경화온도 제어기와 연결되는 통합 배출파이프의 단부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타측 맨홀 내 바닥면에 설치되어 반전된 튜브의 종점부가 관로 내부로부터 맨홀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튜브 내로 투입된 공기 및 열풍의 일부가 경화온도 제어기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튜브 지지겸 배출파이프 연결구와;
    압력계와 온도계 및 다수의 분기형 배기파이프를 구비하되, 일부 분기형 배기파이프에는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자변이 구비된 형태를 갖고 타측 맨홀의 외부에 설치되어 튜브 종점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 통합 배출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온도를 조절하여 튜브의 종점부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화온도 제어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CIPP 시공시 경화중인 튜브 내부에서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내시경형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형 카메라에는 온도센서를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경화중인 튜브 내의 특정부위에 대한 온도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각종 파이프의 외면과, 상기 각종 파이프가 끼워지도록 상기 튜브에 형성시킨 파이프 삽입용 구멍 사이에는 소정형상을 갖는 밀폐수단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파이프의 외면 일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구멍을 통해 튜브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나사산 내단부에는 상기 튜브의 구멍을 통해 억지로 끼워져 구멍 주변의 튜브 내면에 걸려지는 원뿔형 걸림부재를 설치하고, 튜브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나사산에는 상기 원뿔형 걸림부재와 함께 튜브의 구멍 주변을 압착시켜 주는 파이프 고정겸 통공 밀폐용 너트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파이프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에 형성된 구멍과 파이프의 외면 사이 틈새를 밀폐시켜 줄 수 있도록 튜브의 외면에 부착되게 신축 덧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축 덧판은 고무판이나 실리콘 판 또는 수팽창 고무판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8. 열을 가하면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관로의 내벽에 밀착/경화시켜 보수하는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에 있어서,
    보수 대상 관로 내에 CCTV 카메라 장비를 투입시켜 관로 내부의 상태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단계와;
    지상에 각종 관로 보수장비를 설치하고 보수재를 관로 내에 투입할 준비를 하는 단계와;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보수 대상 관로 내부로 반전 또는 견인 방법 중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삽입하며 공기압을 이용하여 관로 내면에 밀착하는 단계와;
    관로 일측 시점부에서 튜브 내에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를 설치하고 튜브의 종점부에는 경화온도 제어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관로 내의 튜브 내부 전체에 열풍을 주입하는 단계와;
    튜브의 종점부에 설치한 경화온도 제어기를 통해 튜브 내의 경화온도를 자동제어하며 튜브에 함침되어 있는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와;
    수지의 경화가 완료되면 튜브의 양단부를 절단하고 마무리하여 관로의 해당 구간 전체보수를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수 대상 관로 내에 CCTV 카메라 장비를 투입시켜 관로 내부의 상태를 촬영할 때,
    상기 CCTV 카메라 장비의 일부에 적외선 온도센서 더 설치하여 카메라를 통해 관로의 내부를 촬영할 때 관로의 온도도 계속해서 측정하여 관로 내의 온도 정보를 동시에 저장함은 물론 열경화 취약부위를 탐지해 내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관로 일측 시점부에서 튜브 내에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를 설치할 때,
    상기 메인 열풍 주입 파이프에서 분기된 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들을 상기에서 탐지한 열경화 취약부위까지 투입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관로 내의 튜브 내부 전체에 열풍을 주입하는 단계를 실시하기에 앞서,
    보조 열풍 주입 파이프를 통해 열경화 취약부위로 정해진 특정부위들에 원하는 온도를 갖도록 열풍을 주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튜브 내로 열풍을 주입시켜 경화중일 때 상기 튜브 내부에 내시경용 카메라 및 온도센서를 더 삽입하여 튜브 내의 각종 상태정보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면서 관로 내로 주입중인 열풍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종 상태정보는 응축수의 고임 상태, 반전 및 경화상태, 곡선부의 주름 발생 여부, 국부적인 튜브의 처짐 상태 및 특정부위들의 온도변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KR1020130107736A 2013-09-09 2013-09-09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KR101393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736A KR101393690B1 (ko) 2013-09-09 2013-09-09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736A KR101393690B1 (ko) 2013-09-09 2013-09-09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690B1 true KR101393690B1 (ko) 2014-05-27

Family

ID=5089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736A KR101393690B1 (ko) 2013-09-09 2013-09-09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6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01B1 (ko) * 2015-12-07 2016-11-03 주식회사 마중물 건조 공기를 이용한 상하수도 보강 튜브 성형 방법
KR101967098B1 (ko) * 2018-06-05 2019-04-08 최재현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2058109B1 (ko) * 2019-05-15 2019-12-20 신승복 관로 보수용 패커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부분 보수공법
KR20200011234A (ko) * 2018-07-24 2020-02-03 홍익산업개발 주식회사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20200116618A (ko) 2019-04-02 2020-10-13 나성건설산업 주식회사 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2171760B1 (ko) 2019-05-16 2020-10-29 (주)명보이엔지 실시간 시공정보 확인이 가능한 비굴착 보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027A (ja) 1999-01-25 2000-08-02 Shonan Gosei Jushi Seisakusho:Kk 流路施設ライニング工法
JP3510812B2 (ja) 1999-02-26 2004-03-29 東京瓦斯株式会社 既設配管の反転シール工法に用いられる温水循環装置
KR100697718B1 (ko) 2006-07-20 2007-03-21 모악개발 주식회사 Pvc 튜브를 이용한 하수관로 비굴착 부분 보수 장치 및그 공법
JP4526660B2 (ja) 2000-06-19 2010-08-18 旭テック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地中管路補修工法における温度管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管路補修用ライナ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027A (ja) 1999-01-25 2000-08-02 Shonan Gosei Jushi Seisakusho:Kk 流路施設ライニング工法
JP3510812B2 (ja) 1999-02-26 2004-03-29 東京瓦斯株式会社 既設配管の反転シール工法に用いられる温水循環装置
JP4526660B2 (ja) 2000-06-19 2010-08-18 旭テック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地中管路補修工法における温度管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管路補修用ライナー
KR100697718B1 (ko) 2006-07-20 2007-03-21 모악개발 주식회사 Pvc 튜브를 이용한 하수관로 비굴착 부분 보수 장치 및그 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301B1 (ko) * 2015-12-07 2016-11-03 주식회사 마중물 건조 공기를 이용한 상하수도 보강 튜브 성형 방법
KR101967098B1 (ko) * 2018-06-05 2019-04-08 최재현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20200011234A (ko) * 2018-07-24 2020-02-03 홍익산업개발 주식회사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2165785B1 (ko) * 2018-07-24 2020-10-14 홍익산업개발 주식회사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20200116618A (ko) 2019-04-02 2020-10-13 나성건설산업 주식회사 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2240522B1 (ko) 2019-04-02 2021-04-16 나성건설산업 주식회사 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2058109B1 (ko) * 2019-05-15 2019-12-20 신승복 관로 보수용 패커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부분 보수공법
KR102171760B1 (ko) 2019-05-16 2020-10-29 (주)명보이엔지 실시간 시공정보 확인이 가능한 비굴착 보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690B1 (ko) 튜브 종점부 경화온도 제어기능을 구비한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내면 전체 보수공법
US5501115A (en) Method of inspecting a pipe liner bag
US7343937B2 (en) Method of locating liner within sewer pipe
US201803063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a Pipe
CA2856181C (en) Method of installing and curing a liner in a sewer pipe
KR101245258B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101935401B1 (ko) 관로 보수 장치
US90861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it reparation
KR102289953B1 (ko) 압력배관용 라이너를 이용한 상하수도 겸용 비굴착식 관로 보수 공법
KR101967098B1 (ko)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1699492B1 (ko) 상하수관거 보수 보강을 위한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021661B1 (ko) 피이시트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200416733Y1 (ko) 비굴착 공법용 도관 보수 시스템 장비
KR102240522B1 (ko) 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007862B1 (ko) 매설관로 관리 방법
US20240093823A1 (en) A method of relining a sewer pipe
US20230249393A1 (en) Method of lining branch area in pipeline
KR101523270B1 (ko) 물돌리기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거 보수방법
US20230295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n annular space of a sewer connection line
KR101813878B1 (ko) 지하 도관 연결 부위의 보수 방법
CA2529389C (en) System and arrangement for conduit reparation
US9476537B2 (en) Apparatus for the rehabilitation of pipelines
AU2011221359B2 (en) System and arrangement for conduit reparation
Flanery et al. CIPP Sectional/Point Repairs Critical Factors-Finally Explai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