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771B1 -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 - Google Patents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771B1
KR101392771B1 KR1020130022397A KR20130022397A KR101392771B1 KR 101392771 B1 KR101392771 B1 KR 101392771B1 KR 1020130022397 A KR1020130022397 A KR 1020130022397A KR 20130022397 A KR20130022397 A KR 20130022397A KR 101392771 B1 KR101392771 B1 KR 101392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ibration
switching
roo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김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Priority to KR102013002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객실룸에 설치되어 점등을 통해 객실룸의 조도를 향상하는 것으로, 특히 개량된 스위칭 모듈이 마련되어 편리한 조작성과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투광판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점등을 통해 투광판으로 빛을 조사하여 투광시키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 공급을 제어하여, 램프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룸램프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본체의 터치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와; 상기 진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진폭과 진동주기를 포함하는 고유 진동파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고유 진동파형에 따른 스위칭 명령을 메모리에서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스위칭 명령에 따라 램프와 배터리 사이의 전류 인가 여부를 조절하여 램프의 점등 여부를 설정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에 따른 진동에 의해 램프의 점등 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Easily operatative vehicle room lamp}
본 발명은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차량의 객실룸에 설치되어 점등을 통해 객실룸의 조도를 향상하는 것으로, 특히 개량된 스위칭 모듈이 마련되어 편리한 조작성과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의 객실룸에는 룸램프가 설치되어 차량 객실룸의 조도를 확보하게 되며, 상기 룸램프는 통상 승하차나 객실룸에서 활동을 할 경우에는 점등하고, 운전시에는 안정된 전방 시야의 확보를 위해 점멸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룸램프에는 별도의 룸램프 스위치가 형성되어, 룸램프 스위치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점등 및 점멸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룸램프에 마련된 룸램프 스위치는 조작부가 외부에 노출된 관계로 부피가 커지고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 등이 지적되어 왔다.
그러고, 최근에는 2차원 평면상에서 인식률이 높고 사용이 간편한 터치 패드 방식의 스위치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98497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패턴(510)이 형성되는 터치필름을 구비하여, 터치필름의 터치에 의한 정전변화에 의해 스위칭이 전환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터치필름 방식의 스위칭 구조는 가격이 고가이며 제작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특히 손에 물기가 존재하거나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인식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 관계로,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10-1014029 B1
(특허문헌 2) KR10-1198497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객실룸에 설치되어 점등을 통해 객실룸의 조도를 향상하는 것으로, 특히 개량된 스위칭 모듈이 마련되어 편리한 조작성과 안정성이 확보한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는,
투광판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점등을 통해 투광판으로 빛을 조사하여 투광시키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 공급을 제어하여, 램프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룸램프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본체의 터치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와; 상기 진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진폭과 진동주기를 포함하는 고유 진동파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고유 진동파형에 따른 스위칭 명령을 메모리에서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스위칭 명령에 따라 램프와 배터리 사이의 전류 인가 여부를 조절하여 램프의 점등 여부를 설정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에 따른 진동에 의해 램프의 점등 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 모듈에 주위 조도를 측정하는 광센서를 마련하고, 스위칭부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위 조도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탑승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터치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점등 및 점멸상태가 제어되도록 한 차량용 룸램프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차량용 룸램프 장치는, 외부에 조작 스위치가 불필요하므로 외부에 노출되는 조작 스위치에 의해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고, 탑승자에 의해 가해지는 임의 지점의 진동을 감지하여 조작 명령을 추출하므로, 운전 중 입력지점을 확인하고자 탑승자가 룸램프로 시야를 옮김에 따라 운전 시야가 흐트러짐에 따른 운전 중 안전사고의 예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 장치는, 임의의 지점의 터치를 통해 점등명령을 추출하므로, 입력과정에 육안으로 입력지점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베이스의 단순 터치를 통해 조작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2는 진동 감지부를 구성하는 진동센서의 진동 감지상태를 보여주는 있고 도 3은 전자력부를 통한 진동센서에 마련된 진동자의 고정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안하고 있는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2는 진동 감지부를 구성하는 진동센서의 진동 감지상태를 보여주는 있고 도 3은 전자력부를 통한 진동센서에 마련된 진동자의 고정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1)는, 차량에 형성된 객실룸의 천정 등지에 설치되어 점등을 통해 객실룸의 조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룸램프(1)를 차량 객실룸의 천정부에 배치된 오버헤드 콘솔(100)에 설치하여, 후술되는 룸램프에 마련된 스위칭 모듈(30)을 통해 오버헤드 콘솔(100)에 마련된 썬루프 등 편의장치(200)의 조작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룸램프(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광판(11)이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내설되어 점등을 통해 투광판(11)으로 빛을 조사하여 투광시키는 램프(20)와; 배터리에 축전된 전류의 인가 여부 및 인가량을 제어하여 램프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 모듈(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상기 램프(20)를 저전력을 소모하면서도 우수한 휘도를 갖는 LED 램프를 채택하고 있으며, 상기 투광판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요돌조에 의해 빛이 확산되는 확산형으로 구성하여 눈 부심을 억제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램프의 점등 및 점멸에 따른 스위칭 모듈(30)을 개량하여 램프(20)의 점등 및 점멸에 따른 용이한 조작성을 확보하고, 특히 스위칭 노브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스위칭 노브의 설치 및 노출에 따라 외관이 훼손되는 것이 예방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 모듈(3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터치에 의한 베이스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31)와; 상기 진동 감지부(31)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진폭과 진동주기를 포함하는 고유 진동파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고유 진동파형에 따른 스위칭 명령을 메모리(32a)에서 추출하는 제어부(32); 및 상기 제어부(32)에서 인가되는 스위칭 명령에 따라 램프(20)와 배터리 사이의 전류 인가 여부를 조절하여 램프(20)의 점등 여부 및 점등 밝기를 조절하는 스위칭부(33)를 포함한다.
따라서, 탑승자가 손가락으로 룸램프(1)의 본체(10)를 터치하면 스위칭 모듈(30)의 진동센서(31a)들은 본체(10)의 진동을 감지하고, 이때 제어부(32)는 각 진동센서(31a)에 의해 감지된 진동값을 추출하여 탑승자의 손가락 터치에 따른 진폭과 진동주기를 포함하는 고유 진동파형, 및 고유 진동파형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고유파형에 따른 스위칭 명령을 메모리(32a)에서 추출하여 스위칭부(33)로 인가한다.
예컨대, 탑승자가 도 2와 같이 본체(10)의 일 지점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해당 부위에 설치된 진동센서(31a)는 손가락의 터치에 따른 고유 진동파형을 인식하고, 상기 고유 진동파형에 따른 스위칭 명령을 메모리(미도시)에서 추출하여 스위칭부(33)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1)는 본체의 단순 터치를 통한 램프의 점등 및 점멸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탑승자가 본체를 1회 터치한 다음 1초를 휴식한 다음 1회를 터치하면 룸램프의 본체에 내설된 램프가 각각 점등되고, 이후 탑승자가 본체를 1회 터치한 다음 1초를 휴식 후 2회를 터치하면 룸램프의 본체에 내설된 램프는 점멸된다.
그리고, 탑승자에 의한 터치에 따른 고유 진동파형이 아닌, 차량 진동이나 다른 물체의 진동에 따른 비정상적인 진동파형이 검출되면, 제어부(32)는 필터링 과정을 통해 비 정상적인 진동파형을 삭제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램프(1)는 탑승자가 룸램프가 설치된 객실룸의 천정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스위치 노브를 조작하지 아니하고, 손가락을 통한 터치와 드래그 동작을 통해 램프의 점등 및 점멸, 및 점등 밝기 등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어서, 조작에 따른 편리성과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탑승자에 의한 손가락의 터치에 의해 진동을 감지한 진동센서(31a)의 진동자(31a-c)가 신속히 정지되도록 구성하여, 진동자(31a-c)의 임의 진동에 따른 스위칭 명령이 오 입력되는 것을 예방하고, 또 추후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에 의한 진동을 안정되게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진동센서(31a)는, 하우징(31a-a)의 내부에 배치된 진동자(31a-c)를 감지부재(31a-b)가 감지하도록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진동자(31a-c)의 진동에 의해 감지부재(31a-b)가 탑승자에 의한 본체(10)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형태이며, 이러한 외부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는 공지의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센서(31a)의 하우징(31a-a)에 내설된 진동자(31a-c)를 자력에 달라붙는 강자성체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진동센서(31a-c)가 배치된 본체(10)에 진동자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전자력부(34)를 근접되게 배치한다.
따라서, 탑승자에 의한 터치에 의한 진동을 진동센서(31a)가 감지 완료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력부(31a)를 통해 전자기력을 발산하여 터치에 의해 진동된 진동센서(31a)의 진동자(31a-c)가 신속히 정지하고, 이에 따라 본체(10)의 진동을 감지한 진동센서(31a)는 감지상태에서 본체(10)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자의 진동이 정지된 진동센서(31a)는 추후 탑승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대기상태를 형성하므로, 추후 입력되는 터치를 통한 신속한 스위칭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자력부(34)에서 발산되는 전자기력의 조절을 통해 진동센서(31a)의 진동 계측 민감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탑승자가 아닌 다른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에 따른 진동자의 임의 진동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칭 모듈(30)에 주위 조도를 측정하는 광센서(35)를 마련하고, 스위칭부(33)는 광센서(35)에 의해 감지되는 주위 조도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룸램프는 주위 조도에 따라 적합한 조도로 점등되므로, 안정된 실내 조도를 확보하고 또 배터리 소모량이 절감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룸램프(1)를 차량 객실룸의 천정부에 배치된 오버헤드 콘솔(100)에 설치하고, 차량용 룸램프(1)에 마련된 스위칭 모듈(30)에 의해 썬루프 등의 편의장치(200)의 조작 상태를 터치를 통한 진동을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향상된 기능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스위칭 모듈은 램프의 점등에 따른 스위칭 명령뿐 아니라, 썬루프 등 차량의 각종 편의장치의 제어에 따른 스위칭 명령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충분히 구현이 가능하다.
1. 차량용 룸램프
10. 본체 11. 투광판
20. 램프
30. 스위칭 모듈
31. 진동 감지부 31a. 진동센서
31a-a. 하우징 31a-b. 감지부재
31a-c. 진동자
32. 제어부 33. 스위칭부
34. 전자력부 35. 광센서
100. 오버헤드 콘솔 200. 편의장치

Claims (2)

  1. 투광판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점등을 통해 투광판으로 빛을 조사하여 투광시키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 공급을 제어하여, 램프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룸램프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본체의 터치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와; 상기 진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진폭과 진동주기를 포함하는 고유 진동파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고유 진동파형에 따른 스위칭 명령을 메모리에서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스위칭 명령에 따라 램프와 배터리 사이의 전류 인가 여부를 조절하여 램프의 점등 여부를 설정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에 따른 진동에 의해 램프의 점등 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스위칭 모듈에 주위 조도를 측정하는 광센서를 마련하고, 스위칭부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주위 조도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
  2. 삭제
KR1020130022397A 2013-02-28 2013-02-28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 KR101392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397A KR101392771B1 (ko) 2013-02-28 2013-02-28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397A KR101392771B1 (ko) 2013-02-28 2013-02-28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771B1 true KR101392771B1 (ko) 2014-05-08

Family

ID=5089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397A KR101392771B1 (ko) 2013-02-28 2013-02-28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560A (ko) 2021-11-23 2023-05-31 (주)대한솔루션 이탈 방지 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용 룸램프 클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288A (ja) 1998-09-21 2000-04-07 Fumio Nakamura 感振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288A (ja) 1998-09-21 2000-04-07 Fumio Nakamura 感振スイッ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560A (ko) 2021-11-23 2023-05-31 (주)대한솔루션 이탈 방지 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용 룸램프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5916C2 (ru) Бесконтакт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 запоминанием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и способ запомина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US828380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with proximity switch and method thereof
CN103453617B (zh) 空调及空调显示屏的显示方法
JP2006120571A (ja) 照明装置
WO2012137876A1 (ja) スイッチ
JP2015523687A (ja) センサ起動装置を有する車両用手動スイッチ装置
KR101392771B1 (ko) 용이한 조작성을 갖는 차량용 룸램프
KR200457304Y1 (ko)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스위치 장치
KR20130068536A (ko) 조명 장치
KR101305602B1 (ko) 차량 스위치용 모션 인식장치
CN105425938A (zh) 移动式操作单元以及用于提供移动式操作单元的手势控制系统的方法
CN110901523A (zh) 操作输入装置
CN106339697A (zh) 一种设有指纹识别触控面板的开关
CN216147718U (zh) 一种多功能智能镜
CN104635939A (zh) 一种带腕垫的可按键照亮计算机键盘
TW201837691A (zh) 一種用於互動系統之可攜式道具
JP4319965B2 (ja) 照明装置
KR20120053787A (ko)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스위치
JP2024072623A (ja) 照明装置
JPH07288882A (ja) リモコン送信機
KR20110011965U (ko) 자동차 콘솔용 스위칭 장치
US20230136017A1 (en) Motion gesture sens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unit manipulation system having same
CN116924172A (zh) 用于指示电梯服务状态的方法和电梯外呼装置
KR20160139246A (ko) 최저 조도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램프
KR200299667Y1 (ko) 자동차의 원터치 실내등 스위칭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