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146B1 -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146B1
KR101392146B1 KR1020110078457A KR20110078457A KR101392146B1 KR 101392146 B1 KR101392146 B1 KR 101392146B1 KR 1020110078457 A KR1020110078457 A KR 1020110078457A KR 20110078457 A KR20110078457 A KR 20110078457A KR 101392146 B1 KR101392146 B1 KR 10139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link member
water
plate
subme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490A (ko
Inventor
윤재근
Original Assignee
엔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1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폐기물이 투하된 저장조, 수수조 등에 투입되어 산업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100)로, 저장조(10) 상에 부유하도록 한 한 쌍의 부유체(110,110)와 상기 부유체(110)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기 위한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 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중펌프(131) 및 유압유니트(132) 및 제어부(133)가 설치되는 본체(130)와, 상기 본체(130) 앞쪽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140)과, 상기 회전판(140)에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며 힌지(P)에 의해 여러 개로 연결되는 링크부재(150)와,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에 설치되는 수중모터(160)와, 상기 수중모터(160)의 축에 설치되며 서로 대칭되는 호 형상의 장공(171)이 형성되는 고정판(170)과, 상기 고정판(170)과 수중모터(160)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벼운 부유물만 통과하도록 한 슬러지 여과장치(200)와 일단이 상기 고정판(170)의 호 형상의 장공(171)을 통과하여 상기 슬러지 여과장치(200) 근접위치에 형성되고, 타측은 수중펌프(131)에 연결되는 흡입호스(18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Water treatment devices the amphibious}
본 발명은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천이나 폐기물이 투하된 저장조, 수수조 등에 투입되어 산업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환경오염의 심각성은 날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가정이나 공장, 혹은 축사 등에서 방출되는 오폐수, 공장 폐수, 축산 폐수 등은 지하수 및 하천으로 흘러 결국에는 바다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들 폐수를 처리하여 정화하지 않고 그대로 방류하면 각종 유기물, 미생물 및 질소(N), 인(P) 등으로 인해 하천 등의 부영화 현상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수중 생태계가 파될 뿐만 아니라 토양의 오염을 유발하여 생활환경이나 생태계의 먹이사슬까지 파괴함으로써 인간의 생존권을 위협할 수밖에 없다.
물론, 이와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폐수의 배출을 줄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폐수의 배출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지하에는 하수관이 매설되어 있고 생활 속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이 하수관을 통해 일정한 장소로 옮겨지는 형태가 전부이다. 인구 밀집 지역인 도심에도 간혹 개천이나 하천(이하, '하상'이라 함)이 흐르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폐수를 별도로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방류하게 되면, 하상이 오염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 청계천 개발사업 등과 같이, 깨끗하던 종전의 하상을 그대로 살리면서 주변의 도로나 건물을 전부 개발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폐수 중, 오염물질(이하, '슬러지'라 함)은 별도로 걸러내고 비교적 깨끗한
물(이하, '하수'라 함)은 다시 하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하상을 늘 깨끗한 상태로 보존시킬 수 있도록 한 수 처리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위한 방안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610251호 수 처리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활성탄 처리 공정을 응집공정과 분리하여 활성탄의 흡착 능력을 최대화 함과 아울러, 처리 용량의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중공 사 유닛을 구비하는 수처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하수 또는 폐수 중에 함유된 부유물을 제거하여 상등 수를 생산하는 응집부와, 활성탄을 이용하여 상기 상등 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함으로써 활성탄 처리 수를 생산하는 활성탄 처리부와, 중공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활성탄 처리 수를 정밀 여과함으로써 처리 수를 처리하는 정밀 여과부와, 상기 정밀 여과부로 유입된 활성탄 처리 수에 포함된 활성탄을 상기 활성탄 처리부로 순환시키는 활성탄 순환부로 구성되며, 상기 응집부는 원수를 유입받는 응집 교반조와, 부유물 제거를 위한 응집제를 상기 응집 교반조로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관과, 상기 응집 교반조에서 배출된 응집 처리 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탄 처리부는 상등 수를 유입 받는 활성탄 교반조와, 상등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미분 활성탄을 활성탄 교반조로 공급하는 활성탄 공급관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정밀 여과부는 활성탄 처리 수를 유입 받는 저류조와, 여러 개의 중공사 모듈을 유닛화 한 중공사 유닛을 포함하며, 각각의 중공사 모듈은, 중공사막과, 상기 중공사막의 양쪽 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한 쌍의 헤드 어셈블리와, 양쪽 헤드어셈블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 처리시스템은 응집 교반조와, 부유물 제거를 위한 응집제를 상기 응집 교반조로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관과, 상기 응집 교반조에서 배출된 응집 처리 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플레인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많은 장소가 필요하며,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산업공장(제철, 석유화학 플랜트 등) 내 수수지, 배수, 취수구 하천 등에서는 공정상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 게 필연적인데 이때, 향상 등 설비가동의 필요성에 따라 물에 수 처리약품을 첨가하게 되고, 또 공정상 혹은 자연 여건상 물에는 각종 산업 폐기물 예를 들면, 슬러지, 철광석, 오니, 모래 등이 물속에 함유하게 되어 일정한 저장조(수수지, 인공연못, 저장탱크 등)에 모이게 되는 데, 이 다량의 폐수를 폐수 처리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폐수처리를 처리하는 동안 물을 사용할 수 없는 조건에서 공정이 멈추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재 대부분 처리 방법은 예비 저장조를 만들어 폐수처리 해야 할 저장조의 물을 배수한 다음, 저장조를 일정한 시간 동안 건조시켜 사람과 장비가 동원되어 마대와 같은 통에 삽으로 퍼 담는 작업을 반복하여 왔다.
이는 공정이 단절될 뿐 아니라 작업의 비 효율성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수수지 혹은 인공연못 등 폐수 처리장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함유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지역이어서 작업자가 무방비로 투입됨으로써, 산업 재해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10-2004-0088148호
2. 등록특허 제10-0610251호
3. 등록특허 제10-048950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이나 폐기물이 투하된 저장조, 수수조 등에 투입되어 산업폐기물이 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펌핑시스템(pumping system)과 슬러지 여과시스템에 의해 폐수와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수륙양용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수수지 혹은 인공연못 등 의 폐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 및 악취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작업자가 무방비로 투입됨으로써, 산업 재해의 위험이 상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100)는;
저장조(10) 상에 부유하도록 한 한 쌍의 부유체(110,110); 및
상기 부유체(110)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기 위한 지지판(120); 및
상기 지지판(120) 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중펌프(131) 및 유압유니트(132) 및 제어부(133)가 설치되는 본체(130); 및
상기 본체(130) 앞쪽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140); 및
상기 회전판(140)에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며 힌지(P)에 의해 여러 개로 연결되는 링크부재(150); 및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에 설치되는 수중모터(160); 및
상기 수중모터(160)의 축에 설치되며 서로 대칭되는 호 형상의 장공(171)이 형성되는 고정판(170); 및
상기 고정판(170)과 수중모터(160)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벼운 부유물만 통과하도록 한 슬러지 여과장치(200); 및
일단이 상기 고정판(170)의 호 형상의 장공(171)을 통과하여 상기 슬러지 여과장치(200) 근접위치에 형성되고, 타측은 수중펌프(131)에 연결되는 흡입호스(180)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부재(150)는 링크부재(150)와 링크부재(150')에 실리더(151)가 설치되어 링크부재(150,150')의 신축작동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저장조(10) 상에 부유하도록 한 부유체(110); 및
상기 부유체(1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수륙양용되는 이동바퀴(111) 및 후단에 설치되는 보조바퀴(112); 및
상기 부유체(110) 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중펌프(131) 및 유압유니트(132) 및 제어부(133)가 설치되는 본체(130); 및
상기 본체(130) 앞쪽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140); 및
상기 회전판(140)에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며 힌지(P)에 의해 여러 개로 연결되는 링크부재(150); 및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에 설치되는 수중모터(160); 및
상기 수중모터(160)의 축에 설치되며 서로 대칭되는 호 형상의 장공(171)이 형성되는 고정판(170); 및
상기 고정판(170)과 수중모터(160)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벼운 부유물만 통과하도록 한 슬러지 여과장치(200); 및
일단이 상기 고정판(170)의 호 형상의 장공(171)을 통과하여 상기 슬러지 여과장치(200) 근접위치에 형성되고, 타측은 수중펌프(131)에 연결되는 흡입호스(180)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부재(150)는 링크부재(150)와 링크부재(150')에 실리더(151)가 설치되어 링크부재(150,150')의 신축작동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는 하천이나 오폐수집수조 등에 부유하여 바닥에 쌓여진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좁은 배수로 등에 투입되어 슬러지를 쉽게 제거할 수가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우수하고, 인공연못 등 폐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 및 악취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작업자가 무방비로 투입됨으로써, 산업 재해의 위험이 상존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를 하기 위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중 슬러지 여과장치만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하기 위한 집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하기 위한 압착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동일한 명칭 및 형상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산업폐기물, 물이 투입되는 저장조(10)에 설치되는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100)와, 상기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100)에 의해 저장조(10) 바닥에 있는 산업폐기물을 부양시켜 작은 입자의 슬러지만 흡입되도록 한 슬러지 여과장치(200)와, 상기 여과장치(200)를 통과한 물이 혼합된 슬러지를 물과 슬러지를 분리하기 위한 집수장치(300)와, 상기 집수장치(300)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를 압착처리하여 고형물로 만들기 위한 압착처리장치(4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 수륙양용 수 장치를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0) 상에 부유하도록 한 한 쌍의 부유체(110,110)와, 상기 부유체(110)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기 위한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 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중펌프(131) 및 유압유니트(132) 및 제어부(133)가 설치되는 본체(130)와, 상기 본체(130) 앞쪽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140)과, 상기 회전판(140)에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며 힌지(P)에 의해 여러 개로 연결되는 링크부재(150)와, 상기 링크부재(150)의 일단에 설치되는 수중모터(160)와, 상기 수중모터(16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서로 대칭되는 호 형상의 장공(171)이 형성되는 고정판(170)과, 상기 고정판(170)과 수중모터(160)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벼운 부유물만 통과하도록 한 슬러지 여과장치(200)와, 일단이 상기 고정판(170)의 호 형상의 장공(171)을 통과하여 슬러지 여과장치(200)의 근접위치에 형성되고, 타측은 수중펌프(131)에 연결되는 흡입호스(180)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130)에 설치되는 제어부(133)에는 리모트수신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육지에서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작업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한 쌍의 부유체(110,110)는 합성수지를 중공의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스티로폼이나 방수재가 도포된 나무 또는 속이 빈 금속제로 만들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140)에는 이 회전판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과 부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러 개의 링크부재(150)는 힌지(P)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링크부재(150)와 링크부재(150') 사이에는 실리더(151)가 설치되어 링크부재(150,150')의 신축작동을 원활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수중모터(160)는 정역회전되는 모터로 대략 120~160° 각도로 만 회전되도록 세팅되어 있다.
즉,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 각도를 미리 설정하는 이유는 고정판(170)의 호 형상의 장공(171)에 삽입되어 있어 이 호스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본 발명과 동일하고, 다만 상기 부유체(1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수륙양용되는 이동바퀴(111) 및 후단에 설치되는 보조바퀴(112)가 설치된 점이 상이하다.
이때, 상기 이동바퀴(111) 대신에 무한궤도바퀴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여과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슬러지 여과장치(200)는 거름망(210)과 수중모터(131)와 회전판(1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름망(210)은 도 3의 요부확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작은 돌기가 무수히 많이 형성되게 하여 고형의 슬러지를 부드럽게 하거나 부양되게 하여 흡입호스(180)로 흡입이 잘되도록 유도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수중모터(160) 쪽에는 수중감시카메라(20)가 설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검사소에서 슬러지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집수장치(30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랜지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조본체(310)와, 상기 수조본체(3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호스(180) 및 수중펌프(131)를 통해 들어오는 슬러지 내의 물과 슬러지를 1차로 걸러주기 위한 1차 분리조(320)와, 상기 1차 분리조(320) 하부에 설치되며, 1차 분리조에서 걸러진 슬러지 내의 잔여 물을 2차로 걸러내기 위한 2차 분리조(330)와, 상기 2차 분리조(330) 하부에 설치되며 1차 및 2차에서 걸러진 물을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340)와, 상기 집수부(340)에 설치되어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물 배수관(341)과, 상기 1차 및 2차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압착처리장치(400)로 보내기 위한 이송장치(350)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처리장치(400)는 배수관(341)과 연결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파이프와 이 파이프 내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루로 구성된다.
상기 1차 분리조(320)는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대략 ▽ 형상의 구멍(322)이 대략 0.5~1㎜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경사판(321)과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경사판의 구멍(322)을 통해 흘러들어오는 물을 1차 집수하여 집수부(340)로 보내기 위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집수조(323)와, 상기 집수조(323)의 정중에 집수된 물을 집수부(340)로 보내기 위한 배수관(32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판(321)의 하부는 수조본체(310) 내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분리된 슬러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2차 분리조(330)는 역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조본체(310)에 고정형성되며, 대략 ▽ 형상의 구멍(332)이 대략 0.5~1㎜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경사판(331)과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 걸리진 슬러지를 이송장치(350)로 하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여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관(333)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 압착처리장치(400)를 나타낸 도면으로, 원통형상의 고액분리 본체(410)와, 상기 이송장치(250)로부터 이송된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부(411)가 상단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고액분리 본체(410)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원통형 망(420)과, 상기 원통형 망(420)과 상기 고액분리 본체(410)의 중앙에 설치되는 이송 스크루(430)와, 상기 이송 스크루(430)로부터 밀려나오는 슬러지를 압착 배출하기 위한 압착부(440)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부(440)는 상기 이송 스크루(430)의 앞쪽에 설치되는 조절볼트(441)와, 상기 조절볼트(441)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힘을 가해 이송스크루로부터 나오는 슬러지 내의 수분을 완전히 추출하기 위한 압착판(442) 및 스프링(4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 스크루(430)의 타단에는 이 이송스크루를 일정한 회전속도(rpm)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5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 처리시스템(1)의 작동방법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0) 상에 본체(100)를 띄워 놓은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온"시키면, 수중모터(160)와 수중펌프(131)가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며, 상기 수중모터(160)의 회전력은 축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판(170) 및 슬러지 여과장치(200)가 대략 180°정역 회전을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
이 회전력에 의해 저장조(10) 내에 퇴적된 슬러지가 부드럽게 되어 폐수 내에서 부양하게 되고, 이렇게 부양되는 슬러지는 거름망(210)을 통해 흡입호스(180)에 의해 흡입되어 집수장치(300)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집수장치(300)로 보내진 폐수 및 슬러지는 1차 분리조(320)의 경사판(321)에 의해 폐수와 슬러지로 분리되어 상기 슬러지는 2차 분리조(330)로 떨어지고, 폐수는 여러 개의 작은 구멍(322)을 통해 집수조(323)를 통해 물 집수부(340)로 보내진다.
한편, 상기 1차 분리조(320)에서 걸러진 슬러지 내의 잔여 물은 2차 분리조(320)의 구멍(322)을 통해 상기 집수부(340)로 보내지고, 슬러지는 경사판(321)을 따라 배수관(341)을 통해 이송장치(350)로 보내진다.
이때, 상기 집수부(340)로 보내진 폐수는 비중에 의해 가벼운 물은 물 배수관(341)을 통해 배수되고, 잔여 슬러지는 바닥에 침적된다.
그러면, 시간이 이지나 계속적으로 침적된 슬러지는 플랜지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되는 수조본체(310)를 분리하여 청소하면 된다.
이때, 맨마지막 수조본체의 하부를 경사지게 하고, 하부에 배출밸브를 설치하여 고운 슬러지만 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송장치(350)로 보내진 슬러지는 압착처리장치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압착처리장치(400)에서는 모터가 회전하게 되고, 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이송스크루(430)가 회전하게 되며, 이 이송스크루의 회전력에 의해 슬러지는 전진하게 되고, 동시에 전단에 설치된 압착부(440)에 의해 높은 압력에의해 압착되는 과정과 이송스크루의 회전력에 의해 슬러지 내의 물은 2중으로 형성된 원통망(420)을 통해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액분리된 슬러지는 도시하지 않은 슬러지 이송카에 포집되어 처리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수 처리시스템 10 : 저장조
100 :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110,110 : 부유체
120 : 지지판 130 : 본체
131 : 수중펌프 132 : 유압유니트
140 : 회전판 150 : 링크부재
160 : 수중모터 170 : 고정판
171 : 장공 180 : 흡입호스
200 : 슬러지 여과장치 210 : 거름망
300 : 집수장치 310 : 수조본체
320 : 1차 분리조 330 : 2차 분리조
321, 331 : 경사판 322,332 : 구멍
323 : 집수조 324, 341 : 배수관
333 : 배출관 340 : 집수부
350 : 이송장치 400 : 압착처리장치
410 : 고액분리 본체 411 : 투입부
420 : 원통형 망 430 : 이송 스크루
440 : 압착부 441 : 조절볼트
442 : 압착판 443 : 스프링

Claims (3)

  1. 저장조 상에 부유하도록 한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수륙양용되는 이동바퀴 및 후단에 설치되는 보조바퀴와, 상기 부유체 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중펌프, 유압유니트 및 제어부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앞쪽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며 힌지에 의해 여러 개로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에 설치되는 수중모터와, 상기 수중모터의 축에 설치되며 서로 대칭되는 호 형상의 장공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수중모터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벼운 부유물만 통과하도록 한 슬러지 여과장치와, 일단이 상기 고정판의 호 형상의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슬러지 여과장치 근접위치에 형성되고, 타측은 수중펌프에 연결되는 흡입호스로 구성되는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에 의해 저장조 바닥에 있는 산업폐기물을 부양시켜 작은 입자의 슬러지만 흡입되도록 한 슬러지 여과장치; 및 상기 여과장치를 통과한 물과 슬러지를 분리하기 위한 폐수와 슬러지분리장치; 및 상기 폐수와 슬러지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를 압착처리하여 고형물로 만들기 위한 압착처리장치로 이루어져 산업공장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링크부재와 링크부재에 실리더가 설치되어 링크부재의 신축작동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78457A 2011-08-08 2011-08-08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KR10139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457A KR101392146B1 (ko) 2011-08-08 2011-08-08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457A KR101392146B1 (ko) 2011-08-08 2011-08-08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490A KR20130016490A (ko) 2013-02-18
KR101392146B1 true KR101392146B1 (ko) 2014-05-28

Family

ID=4789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457A KR101392146B1 (ko) 2011-08-08 2011-08-08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5836B3 (de) * 2015-04-16 2016-03-10 Reschwitzer Saugbagger Produktions Gmbh Saugbagger mit Strömungsumkehr sowie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US11865885B2 (en) 2020-06-18 2024-01-09 Bazooka-Farmstar, LLC Amphibious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210A (ja) * 2001-03-30 2002-10-08 Temujin Eco System Kk フィルタープレス式脱水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0662884B1 (ko) * 2006-09-16 2007-01-05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복개 하천 콘크리트 박스 퇴적물 수거장비
KR20110067433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무한기술 급속 교반기를 구비한 오폐수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210A (ja) * 2001-03-30 2002-10-08 Temujin Eco System Kk フィルタープレス式脱水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0662884B1 (ko) * 2006-09-16 2007-01-05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복개 하천 콘크리트 박스 퇴적물 수거장비
KR20110067433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무한기술 급속 교반기를 구비한 오폐수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490A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922B1 (ko) 폐수와 슬러지분리장치
KR1019829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유수분리장치
EA030134B1 (ru) Портативная небиологическая цикл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канализационных стоков
KR102330314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KR101392146B1 (ko) 수륙양용 수 처리장치
KR102013076B1 (ko) 이동식 슬러지 탈수장치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078508B1 (ko) 수 처리시스템
KR101156021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 처리장치
KR101251568B1 (ko) 환경친화적인 준설슬러지 탈수처리공법 및 그 장치
KR101517285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일괄처리시스템
CN211799313U (zh) 一种城市街道污水分离脱水设备
CN210620448U (zh) 污水处理设备
KR20010107843A (ko) 이동식 오니(汚泥)처리시스템
KR100998074B1 (ko)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KR100470648B1 (ko) 대용량 백을 이용한 침전물 탈수 및 건조장치
KR200317510Y1 (ko)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KR101229576B1 (ko) 비점오염원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749521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KR100403796B1 (ko) 협잡물 종합처리이송방법
JPH0374154B2 (ko)
KR0155031B1 (ko) 토사 및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0424748B1 (ko) 생활오수 처리장치 및 방법
CN219723911U (zh) 一种环保淘洗清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