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27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을 활용한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을 활용한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27B1
KR101392027B1 KR1020120039954A KR20120039954A KR101392027B1 KR 101392027 B1 KR101392027 B1 KR 101392027B1 KR 1020120039954 A KR1020120039954 A KR 1020120039954A KR 20120039954 A KR20120039954 A KR 20120039954A KR 101392027 B1 KR101392027 B1 KR 10139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ference station
dgps
messag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138A (ko
Inventor
임중곤
채영석
최병호
정문호
김상진
차재훈
이승엽
이창구
Original Assignee
(주)와이티엔디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티엔디엠비 filed Critical (주)와이티엔디엠비
Priority to KR102012003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02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0Correct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 G01S19/41Differential correction, e.g. DGPS [differential G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7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ata for correcting measured positioning data, e.g. DGPS [differential GPS] or ionosphere corrections
    • G01S19/071DGPS corr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DGPS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DGPS 정보를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형식에 따른 DGI 메시지로 부호화 하여 전송하는 방송 서버와, DGI 메시지를 방송 신호에 실어 방송하는 방송 송출기와, 상기 DGI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DGI 메시지로부터 DGPS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과 장치를 제공하며, 이에 따른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DGPS 메시지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가 생성될 때, 이용된 기준국의 수 및 보정 정보의 생성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정확도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대권역, 중권역 또는 소권역으로 구분되는 권역 레벨을 가지며, 권역 레벨에 따라 구분된 권역과, 구분된 권역에 속하는 기준국과 가상 기준국을 나타내는 정보인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을 활용한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수신 장치{SYSTEM FOR PROVIDING HIGH-PRECISION LOCATION INFORMATIONS USING DIGITAL MULTIMEDIA DATA BROADCASTING, METHOD THEREOF AND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을 활용하여 복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위성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으로부터 지상의 GPS 수신기로 송신되는 GPS 정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소정의 오차를 가지는데, 서로 가까운 거리에 두 수신기가 위치할 경우에는 두 수신기는 비슷한 오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두 수신기가 가지는 공통의 오차를 서로 상쇄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위성 항법 보정 시스템(D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가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DGPS 정보는 현재 AM 방송 또는 FM 방송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AM 방송 또는 FM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DGPS 정보는 정보 전송의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며, AM 방송 및 FM 방송의 특성으로 인해 수신 안테나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므로 범용 휴대 기기나 차량용 내비게이션 기기에 탑재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기기의 가격이 비싸고 사용 분야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일 기준국 기반으로 DGPS 정보가 전송되므로 기선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위치 정보의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빠르게 정확한 DGPS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기에 DGPS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가상 기준국의 위치 보정 정보를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보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보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기기에 보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보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가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를 참조하여, 장치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위치 정보를 달리 보정함으로써, 원하는 바에 따라 위치 정보 보정의 정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은,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DGPS 정보를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형식에 따른 DGI(Differential GPS-information) 메시지로 부호화 하여 전송하는 방송 서버와, DGI 메시지를 방송 신호에 실어 방송하는 방송 송출기와, 상기 DGI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DGI 메시지로부터 DGPS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GPS 메시지는 상기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가 생성될 때, 이용된 기준국의 수 및 보정 정보의 생성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정확도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대권역, 중권역 또는 소권역으로 구분되는 권역 레벨을 가지며, 상기 권역 레벨에 따라 구분된 권역과, 구분된 권역에 속하는 기준국과 가상 기준국을 나타내는 정보인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GI 메시지는 상기 DGI 메시지를 다른 DGI 메시지와 구분하여 식별 및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 및 상기 DGPS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보정 정보가 이용되는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를 달리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권역 레벨을 선택하고, 선택된 권역 레벨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방송 서버가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DGPS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DGPS 정보를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형식에 따른 DGI 메시지로 부호화 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방송 송출기가 DGI 메시지를 방송 신호에 실어 방송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DGI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DGI 메시지로부터 DGPS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여기서, 상기 DGPS 메시지는 상기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가 생성될 때, 이용된 기준국의 수 및 보정 정보의 생성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정확도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대권역, 중권역 또는 소권역으로 구분되는 권역 레벨을 가지며, 상기 권역 레벨에 따라 구분된 권역과, 구분된 권역에 속하는 기준국과 가상 기준국을 나타내는 정보인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GI 메시지는 상기 DGI 메시지를 다른 DGI 메시지와 구분하여 식별 및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 및 상기 DGPS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보정 정보가 이용되는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를 달리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권역 레벨을 선택하고, 선택된 권역 레벨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장치는,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와,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가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형식에 따라 부호화된 DGI(Differential GPS-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부와, 상기 DGI 메시지로부터 DGPS 정보를 추출하는 방송 신호 디코딩부 및 상기 추출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위치 정보 보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GPS 메시지는 상기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가 생성될 때, 이용된 기준국의 수 및 보정 정보의 생성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정확도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대권역, 중권역 또는 소권역으로 구분되는 권역 레벨을 가지며, 상기 권역 레벨에 따라 구분된 권역과, 구분된 권역에 속하는 기준국과 가상 기준국을 나타내는 정보인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장치.
삭제
이에 따라, 상기 DGPS 메시지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보정부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보정 정보가 이용되는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를 달리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GPS 메시지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보정부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권역 레벨을 선택하고, 선택된 해당 권역 레벨에 따른 현 위치에서의 권역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GPS 정보를 RTCM 등의 형식으로 변경하여 디지털 방송의 TDC, MOT 채널, FIC 등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DGPS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밀한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파 DMB를 이용하여 DGPS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에 DGPS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보정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현재 위치로부터 주변에 있는 가상 기준국의 정확도에 따라 더 많은 수의 가상 기준국 또는 기준국을 이용하여, 새로운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수준 이상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성능 또는 응답 속도 향상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기는 일정 수준의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보정 정보를 새로 생성한 후,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GPS 위치 보정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상파 DMB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KDGPS_DMB 데이터 패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FIC 및 TDC를 통하여 DGPS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의 DGPS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MOT 캐루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MOT 채널을 통하여 DGPS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DGPS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DGPS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준국 또는 가상 기준국을 이용하여 새로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버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방송 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H(Digital Vedio Broadcasting-Handheld), 미디어플로(MediaFLO)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실시예에서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방송이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방송 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채널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DMB는 고속 정보 채널(FIC, Fast Information Channel) 및 메인 서비스 채널(MSC, Main Service Channel)로 구분된다. FIC는 데이터의 크기가 작고 매우 빠른 주기로 정보를 전송해야 할 경우 사용되는 채널이고, MSC는 일반적인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이용되는 채널이다.
상기 FIC에서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은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고, MCI/SI(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은 MSC의 다중화 구성정보 및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 시 이용된다. EWS(Emergency Warning System)는 긴급 경보 신호를 전송할 경우 이용되고, TMC(Traffic Message Channel)는 실시간으로 교통상호아이나 긴급뉴스를 전송할 경우 이용된다.
MSC는 다시 A/V(Audio/Video)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로 구분되고, 이 중 데이터 서비스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TDC(Transparent Data Channel) 및 IP 터널링으로 구분될 수 있다. MOT는 파일을 수신기로 다운로드해주는 프로토콜로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해 주는 데이터 캐루젤(carousel)로 사용될 수 있고, TDC는 형식에 제한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IP 터널링은 IP 패킷을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BWS(Broadcast Website Service)는 웹 서비스를 제공 시 이용되고,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는 실시간 교통 정보 및 부가 정보 서비스 제공 시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DMB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FIC, MOT 채널 및 TDC를 통하여 DGPS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KDGPS_DMB 데이터 패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KDGPS(Korean DGPS) 데이터 패킷의 구성을 설명한다.
DMB에는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지원을 위하여 이용자 응용 정보를 규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 경우 FIG(Fast Information Group)0의 확장 13 (FIG 0/13)을 적용할 수 있다. 이용자 응용 데이터의 패킷 구성은 11비트의 이용자 응용타입 정의(b15-b5)와 5비트의 이용자 응용 데이터 길이(b4-b0) 및 32바이트 크기 이내의 8비트의 정수배 크기인 데이터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b15-b5는 ETSI 300 401의 DGPS 정보를 위해 할당된 코드 (00000000101)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b4-b0는 DGPS_DMB 데이터필드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DGPS_DMB의 데이터 필드는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24 비트를 차지하는 데이터 헤드와 이어지는 40비트의 데이터 부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헤드는 일 예로 다음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RTCM SC-104 DARC/DGPS
Preamble 8 X
Message type 6 6
Station ID 10 X
Modified Z-count 13 13
Sequence No. 3 X
Length of frame 5 5
Station health 3 X
Parity 12 X
총 계 60 24
데이터 헤드는 DGPS_DMB 형식의 데이터 필드의 선두에 위치하며, RTCM SC-104(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s Special Committee 104)에서 정의되는 모든 메시지 형식의 첫 부분에 나타나는 2개의 워드(30 비트/워드)에서 DGPS_DMB에 필요한 6 비트의 메시지 타입(Message type), 13 비트의 Modified Z-count 및 5 비트의 프레임 길이(Length of frame)의 24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DGPS_DMB 정보 전송에 필요한 정보로는 Scale factor, UDRE, Satellite ID, PRC, RRC 및 IOD의 6개 항목이 있으며, 이들 각각에 필요한 데이터 비트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구 분 RTCM SC-104 정밀도 비고
Scale factor 1
UDRE 2
Satellite ID 5
PRC 16 0.02m
RRC 8 0.002m/s
IOD 8
총 계 4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DGPS 정보 제공 장치는 DGPS 정보를 상술한 바와 같은 패킷 구성으로 변환함으로써 지상파 DMB의 TDC, MOT 채널 및 FIC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DGPS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DGPS 정보는 일 예로 RTCM SC-104 포맷으로 변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DGPS 정보는 RTCM 2.3 포맷으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FIC 및 TDC를 통하여 DGPS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의 DGPS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DGPS 정보는 DGPS 기지국(410, 이하 "기준국"과 혼용하여 사용한다)으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NTRIP(Networked Transport of RTCM Via Internet Protocol)로 DGPS 분배기(420)로 전송될 수 있다. DGPS 분배기(420)는 DGPS 기지국(410)으로부터 수신한 DGPS 정보를 RTCM 포맷(예를 들어, RTCM SC-104 또는 RTCM 2.3)으로 변환하여 FIDC-DGPS 송출시스템(432), TPEG-DGPS 송출시스템(434), TDC-DGPS 송출시스템(436) 및 MOT-DGPS 송출시스템(438)으로 분배할 수 있다.
FIDC-DGPS 송출시스템(432), TPEG-DGPS 송출시스템(434), TDC-DGPS 송출시스템(436) 및 MOT-DGPS 송출시스템(438)으로 분배된 DGPS 정보는 각각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 방식,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방식, TDC(Transparent Data Channel) 방식 및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변환된 후 ReMUX(450)에서 다중화되고 송신 안테나(460)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TPEG-DGPS 송출시스템(434) 및 TDC-DGPS 송출시스템(436)에서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방식, TDC(Transparent Data Channel) 방식 및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변환된 DGPS 정보는 EMX100, DBS100, EPC100 등의 DMB 다중화기(440)를 통하여 ETI 신호로 다중화된 후 다시 REMUX(450)를 통하여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 방식으로 변환된 DGPS 정보와 다중화되어 ETI-NA 규격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MOT 캐루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MOT 채널을 통하여 DGPS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DGPS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MOT 캐루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사이트에 따라 인접 지역을 고려하여 DGPS 정보의 기준점 위치를 선정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DGPS 정보 제공 시 요구되는 파일만 전송하거나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MOT 캐루젤을 이용함으로써 정확하게 DGPS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MOT 채널을 통하여 DGPS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도 5의 RAAS 서버(610)에서 DGPS 연계 서버(620)로 전송된 DGPS 정보는 LAN을 통하여 복수개의 DGPS 인코더(631~632)로 전송될 수 있다. DGPS 인코더(631~632)에서 인코딩된 DGPS 정보는 각각 DMB 데이터 인코더(641~642)를 통하여 DMB 전송 포맷으로 인코딩된다. DMB 전송 포맷으로 인코딩된 상기 DGPS 정보는 ETI/STI 스위치(650)를 통하여 이중화되고, 이후 DMB 앙상블 부호화기(661~662)를 통하여 부호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지상파 DMB의 TDC, MOT 채널, FIC 등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공되는 DGPS 정보를 포함하는 DMB 신호를 DMB 수신 기능을 포함하는 DGPS 정보 수신 장치가 수신하면, DGPS 정보 수신 장치는 상기 DMB 신호에서 상기 DGPS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DGPS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DGPS 기지국(기준국)으로부터 DGPS 정보 제공 장치로 DGPS 정보가 제공되면, DGPS 정보 제공 장치는 S710 단계에서 DGPS 정보를 RTCM SC-104 또는 RTCM 2.3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때, DGPS 정보는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 방식,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방식 및 TDC(Transparent Data Channel) 방식으로 각각 변환될 수 있다. 이후, DGPS 정보 제공 장치는 S720 단계에서 상기 변환된 DGPS 정보를 다중화하여 지상파 DMB의 TDC, MOT 채널 및 고속 정보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전송한다.
이와 같이 DGPS 정보가 지상파 DMB(T-DMB)를 통하여 전송되면, DGPS 정보 수신 장치는 S730 단계에서 DMB 신호에서 DGPS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성 등으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를 보정한다.
이 때, 상기 DGPS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6비트의 메시지 타입, 13비트의 modified Z-count 및 5비트의 프레임 길이로 구성되는 데이터 헤드를 포함하고, 40비트의 데이터 부호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를 이용한 DGPS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GPS 정보 수신 장치는 DGPS 정보를 RTCM 2.3 포맷으로 변경하여 지상파 DMB의 TDC, MOT 채널, FIC 등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DGPS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GPS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에 DGPS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다양한 전송 방법 중 DGPS 정보를 TPEG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종류의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메시지들(700)이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하나의 TPEG 메시지는 여러 종류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 위치측위 정보(DGI, Differential GPS-information, 이하, "고정밀 위치 측위 정보" 또는 "DGI"로 축약함) 메시지(800)는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메시지의 일종이다. DGI 메시지(80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의 TPEG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device)에 대해 DGPS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DGPS 정보"는 TPEG 형식의 DGI 메시지(800)를 통해 전송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각 종의 정보를 통칭한다.
기본적으로, 발신측(방송 서버)은 DGPS 정보를 포함하는 DGI 메시지(800)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수신측(사용자 단말기)은 이러한 DGI 메시지(800)를 수신하여, GPS 위성을 이용한 GPS 위치 정보를 DGI 메시지(800)의 DGPS 정보를 통해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DGPS 정보를 포함하는 DGI 메시지(800)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810) 및 이벤트 컨테이너(830)를 포함한다.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810)는 DGPS 정보를 포함하는 DGI 메시지(800)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납한다. 이벤트 컨테이너(830)는 DGPS 정보를 수납한다. 이러한 각각의 컨테이너들(810, 83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810)는 DGI 메시지의 송신측 또는 수신측에서 DGI 메시지(800)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810)는 메시지 식별자(MID, Message Identifier), 버전 번호 (VER, Version Number), 메시지 생성 시간(MGT, Message Generation Time), 시작 시간(STA, Start Time), 종료 시간(STO, Stop Time), 메시지 파기 시간(MET, Message Expiry Time) 및 선택적으로, 참조 정보(CRI, Cross Reference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810)는 다음의 <표 3>과 같이 구조로 부호화될 수 있다.
<DGI_message>:=
<intunli>(mid), :메시지 식별자(Message ID)
<intunti>(ver), :버전 번호(Version number)
<intunli> :바이트로 표현되는 메시지 길이
<bitswitch>(selector), :메시지 요소
if(selector=xxxxxxx1)<time_t>, :메시지 생성 시간(MGT)
if(selector=xxxxxx1x)<time_t>, :메시지 시작 시간(STA)
if(selector=xxxxx1xx)<time_t>, :메시지 종료 시간(STO)
if(selector=xxxx1xxx)<time_t>, :메시지 파기 시간(MET)
if(selector=xxx1xxxx)<intunlo>, :미사용(Reserved for future use)
if(selector=xx1xxxxx)<intunlo>, :미사용(Reserved for future use)
if(selector=x1xxxxxx)<intunlo>, :미사용(Reserved for future use)
if(selector=1xxxxxxx)<DGI_components>, :고정밀 위치측위 정보 메시지 컴포넌트
<표 3>에 보인 바와 같이,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810)는 메시지 식별자(Message ID), 버전 번호(Version number)를 포함한다. 수신측(아래에서 설명될 사용자 단말기 등)에서는 이러한 메시지 식별자(mid)를 통해 복수의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DGI 메시지(800)를 식별하고, (복수의 TPEG 메시지 중 DGI 메시지(800)를 식별하는 것과, 복수의 DGI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의 DGI 메시지(800)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버전 번호(ver)를 통해 하나의 DGPS 정보에 관련된 DGI 메시지(800)의 수를 식별한다. 예컨대, 하나의 DGPS 정보가 3개의 DGI 메시지(800)들로 작성된 경우, 3개의 DGI 메시지(800)들은 동일한 식별자(mid)를 가지며, 버전 번호(ver)는 순차로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DGPS 정보의 용량이 큰 경우, 하나의 DGPS 정보는 3 개의 DGI 메시지들(ver 0, 1, 2)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810)는 바이트로 표현되는 메시지 길이(Number of bytes following the length indicator), 제공되는 메시지 요소(Message elements supplied), 메시지 생성 시간(MGT), 메시지 시작 시간(STA), 메시지 종료 시간(STO) 및 메시지 파기 시간(MET)을 포함한다.
메시지 식별자(MID)는 서비스 컴포넌트에서 하나의 DGPS 정보와 관련된 메시지에 대한 식별자이다. 버전 번호(VER)는 동일한 메시지 식별자를 가진 연속적인 DGI 메시지들을 식별하기 위한 순차적인 번호를 의미한다. 메시지 생성 시간(MGT)은 날짜와 시간 스탬프는 DGI 메시지(800)가 실제로 생성된 일시를 기록하며, DGI 메시지 전송 측에서 DGI 메시지(800)를 관리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메시지 시작 시간(STA)은 DGI 메시지(800)에 관련된 이벤트가 어떤 상태로 진입하는 시간을 기술한다. 시작 시간(STA)은 이는 이미 진입하였거나 향후 진입이 예정된 일시를 나타낼 수 있다. 종료 시간(STO)은 DGI 메시지(800)에 관련된 이벤트가 어떤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러한 종료 시간(STO)은 이는 이미 벗어났거나 향후 벗어나도록 예정된 일시를 나타낼 수 있다. 메시지 파기 시간(MET)은 DGI 메시지(800)의 유효성이 상실되는 일시를 나타낸다. 즉, DGI 메시지(800)가 삭제되는 일시를 나타낸다. 수신측에서는 메시지 파기 시간(MET)에 따라 DGI 메시지(800)를 삭제할 수 있다.
이벤트 컨테이너(830)는 DGI 메시지(800)를 수신하는 수신측에 DGPS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이벤트 컨테이너(830)에서의 DGI 메시지(800)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은 계층적인 구조를 따르며, 이는 규격 확장 및 컴포넌트(Component) 추가가 있을 경우, 수신측의 단말기(사용자 단말기)와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벤트 컨테이너(830)에서 정의하는 최상위 클래스는 n 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며, 향후 클래스의 추가나 하위 클래스의 확장은 컴포넌트 식별자의 추가만으로 가능하다. 이벤트 컨테이너(830)는 기본적으로, 기준국 또는 가상 기준국과 관련된 데이터와, 보정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납한다. 기준국 또는 가상 기준국에 관련된 정보는 기본적으로, 기준국 또는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보정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는 기준국 또는 가상 기준국에 매핑되는 보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벤트 컨테이너(830)는 추가로, 기준국 또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에 대한 정확도와,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기준국(910), 수집 서버(920), 서비스 서버(930), 방송 서버(940), 방송 송출기(950) 및 사용자 단말(9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960)은 기본적으로 GPS 위성(901)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준국(910)은 GPS 위성(901)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위치 정보를 설치된 복수개의 GPS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다. 그런 다음, 기준국(910)은 GPS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보정 정보는 대표적으로, 의사거리 보정치(PRC, Pseudo Range Correction)를 포함한다. 기준국(910)은 각 GPS 위성(901)과의 기하학적 거리와 C/A 코드데이터로 기록된 의사거리와의 차이를 산출하며, 이 차이가 의사거리 보정치(PRC)가 된다. 또한, 보정 정보는 거리 변화율 보정치(RRC, Range Rate Corrections)를 포함할 수 있다. RRC는 PRC의 예측률에 기초한 의사거리 보정치의 조절값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RRC는 어떤 특정 시간에 PRC에 반영되어야 하는 계산 값으로써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PRC의 유효성을 증가 시키려는 것이다. 기타 다양한 팩터 및 파라미터가 보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RTCM 규격에 따른 팩터 및 파라미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기준국(910)은 보정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보정 정보를 수집 서버(920)에 전송한다.
수집 서버(920)는 복수개의 기준국(910)으로부터 보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수집 서버(920)는 복수개의 기준국(910)과 연결된 전용 회선을 통해 복수개의 기준국(910) 각각의 보정 정보를 일시에 수집하고, 각 기준국(910)과 각 기준국(910)의 보정 정보를 전용 회선을 통해 서비스 서버(930)에 제공한다. 이때, 여기서, 전용 회선은 일반적으로 칭하여, 인터넷 회선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집 서버(920)는 "Ntrip 서버"임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서버(930)는 기준국(910)과 이에 매핑되는 보정 정보를 통해 복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는 위치 영역, 상태 공간 영역 및 계측 영역 방식에 따라 구할 수 있다. 위치 영역 방식은 여러 개의 기준국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단일 기준국 기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지만, 다른 방법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태 공간 영역 방식은 기준국의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오차 요인별로 오차를 모델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GPS 위치 정보의 오차의 요인은, 구조적으로, 인공위성 시간 오차, 인공위성 위치 오차, 전리층과 대류층의 굴절, 수신기 잡음, 다중경로, 등을 들 수 있고, 기하학적 오차로, 위성의 배치상황에 따른 오차를 들 수 있으며, 그 밖에, SA(Selective Availability)에 따른 오차를 들 수 있다. 상태 공간 영역 방식은 이러한 오차에 따른 요인들을 모두 고려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정확도가 높지만 연산량이 많고, 복잡하다. 계측 영역 방식은 다수의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산출해 내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역거리 가중법, 및 다중 선형회귀분석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930)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산출할 때, 적어도 하나의 기준국(910)을 이용할 수 있으며, 많은 수의 기준국(910)을 이용하는 경우, 그 정확도가 올라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930)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한 후, 각 기준국(91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와 보정 정보, 각 가상 기준국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와 보정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가상 기준국에 대한 경우에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이용한 기준국의 수 및 방식에 대한 정보를 같이 전송한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930)는 RAAS(Regional Area Augmentation System) 서버가 될 수 있다.
방송 서버(940)는 서비스 서버(930)가 전송한 각 기준국(91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와 보정 정보, 가상 기준국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와 보정 정보를 수신하여, 이들을 포함하는 DGPS 정보를 DGI 메시지로 부호화한다. 이러한 홍보 메시지는 데이터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방송 송출기(950)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기(96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방송 서버(940)는 보정 정보 수신부(941), 보정 정보 인코딩부(943) 및 보정 정보 제공부(945)를 포함한다.
보정 정보 수신부(941)는 서비스 서버(930)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GPS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즉, 보정 정보 수신부(941)는 각 기준국(91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와 보정 정보, 가상 기준국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와 보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93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가상 기준국에 대한 경우에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이용한 기준국의 수 및 방식에 대한 정보를 같이 수신한다.
보정 정보 인코딩부(943)는 보정 정보 수신부(941)가 수신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DGPS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DGPS 정보는 기본적으로, 각 기준국과 각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DGPS 정보는 각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보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한 기준국의 수 및 방식에 따라 정규화된 정확도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정규화된 정확도는 0 내지 1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값이 클수록 높은 정확도라고 가정한다. 또한, 1 내지 18개의 기준국을 기준으로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1개 또는 2개의 기준국을 기준으로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한 경우, 정확도는 0.1이며, 17 또는 18개의 기준국을 기준으로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한 경우, 정확도는 0.9가 될 수 있으며, 기준국(910)의 정확도는 1이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영역(Position Domain), 상태 공간 영역(State-Space Domain) 및 계측 영역(Measurement Domain) 방식에 따라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정확도는 위치 영역 방식에 따라 구해진 정확도가 가장 낮으며, 상태 공간 영역 방식에 따라 구해진 정확도가 가장 높을 수 있다. 또한, 계측 영역 방식에 따라 구해진 정확도는 위치 영역 방식과 상태 공간 영역 방식의 정확도의 중간이 된다. 그리고, 계측 영역 방식은 역거리 가중법, 다중선형회귀분석법 등으로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구할 수 있고, 다중선형회귀분석법에 따른 정확도가 역거리 가중법에 따른 정확도 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가상 기준국에 대한 보정 정보를 생성할시 사용된 기준국의 수 및 그 보정 정보 생성 방식(또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DGPS 정보는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권역 정보는 권역 레벨에 따라 전국을 복수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권역 레벨에 따라 구분된 권역에 속한 기준국과 가상 기준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여기서, 권역 레벨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대권역, 중권역 및 소권역이 될 수 있다. 즉, 권역 정보는 영역의 크기에 따라 대권역, 중권역 또는 소권역으로 구분되는 권역 레벨을 가지며, 이러한 권역 레벨에 따라 구분된 권역과, 구분된 권역 각각에 속하는 기준국과 가상 기준국을 나타낸다. 예컨대, 권역 레벨이 대권역이면, 전국을 서울시,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으로 구분하고, 권역 레벨이 중권역이라면, 전국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서울 북부, 서울 남부, 경기 북부, 경기 남부, 충청 북도, 충청 남도, 등과 같이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권역 레벨이 소권역이라면, 전국을 더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서울의 각 구 정도의 단위로 전국의 권역을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구분함으로써, 권역 레벨은 그 영역에 크기에 따른 것임으로, 대권역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 중권역에 속한 가상 기준국의 수가 많으며, 소권역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가 가장 적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권역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 정보의 정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960)는 현재 위치에서 대권역, 중권역 및 소권역에 따라 분류된 권역에 모두 속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960)의 현 위치가 제주시에 위치하고 있다면, 대권역 상, 제주도 권역에 속하며, 중권역 상, 제주 북부 권역에 속하고, 소권역 상, 제주시 권역에 속한다. 사용자 단말기(960)는 보정 정보에 따라 현재 GPS 위치를 보정할 때, 정확도에 따라, 권역 정보를 참조하여,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정확도가 낮은 경우, 현 위치에서 대권역에 속하는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GPS 위치를 보정하며, 정확도가 높은 경우, 현 위치에서 소권역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만을 이용하여 현재 GPS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보정 정보 인코딩부(943)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DGPS 정보를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형식에 따라, DGI 메시지로 부호화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DGI 메시지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810) 및 이벤트 컨테이너(830)를 포함한다. 상술한 DGPS 정보는 이벤트 컨테이너(830)에 수납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보정 정보 제공부(945)는 DGI 메시지로 인코딩된 DGPS 정보를 데이터 방송 신호에 실어 방송 송출기(950)를 통해 방송망으로 사용자 단말기(96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960)는 기본적으로, 위치 정보 수신부(961), 방송 신호 수신부(963), 방송 신호 디코딩부(965) 및 위치 정보 보정부(967)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961)는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정보 수신부(961)는 지속적(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보정부(967)에 제공한다.
방송 신호 수신부(963)는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 신호에는 방송 서버(940)가 DGPS 정보를 인코딩하여 생성한 DGI 메시지가 포함된다.
방송 신호 디코딩부(965)는 이러한 방송 신호로부터 DGI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DGI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DGPS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DGPS 정보는 기본적으로, 각 기준국과 각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DGPS 정보는 각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보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한 기준국의 수 및 방식에 따라 정규화된 정확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DGPS 정보는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한다.
위치 정보 보정부(967)는 기본적으로, 수신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특히, 위치 정보 보정부(967)는 현재 사용자 단말기(960)의 위치에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 정확도에 따라, 보정 정보가 이용되는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를 달리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되는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예컨대,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순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가상 기준국의 정확도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높다면, 위치 정보 보정부(967)는 현재 사용자 단말기(960)에서 가장 가까운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만을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반면, 사용자 단말기(960)의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순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기(960) 주변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보다 낮다면, 그 정확도에 따라,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를 달리하여, 주변의 복수의 가상 기준국과 기준국(910)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정확도가 낮을 수록, 더 많은 수의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한다. 위치 정보 보정부(967)가 보정을 위해 인접한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를 확인할 때 참조하는 인접한 가상 기준국의 수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기준국의 수를 달리할 때, 기준으로 삼는 정확도의 값도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수를 달리하는 기준은 권역 정보에 따른 권역 레벨이 될 수 있다. 이때, 권역 정보를 참조하여, 정확도가 낮을수록 대권역에 속한 기준국(910)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고, 정확도가 높을 수록 소권역에 속한 기준국(910)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한편, 주변의 복수의 가상 기준국과 기준국(910)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때, 현재 위치로부터 기준국(910) 또는 가상 기준국과의 거리, 기준국(910) 또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에 대한 정확도에 따라, 가중치를 주어 새로운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새로 생성된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예컨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준국 또는 가상 기준국을 이용하여 새로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911 및 912는 각각 제1 가상 기준국과 제2 가상 기준국을 나타내며, 사용자 단말기(960)는 기준국(910)과 제1 가상 기준국(911) 및 제2 가상 기준국(912)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기준국(910), 제1 가상 기준국(911) 및 제2 가상 기준국(912)의 보정 정보는 각각 K, L, M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기준국(910), 제1 가상 기준국(911) 및 제2 가상 기준국(912)의 정확도는 각각 1, 0.7 및 0.3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960)로부터 기준국(910), 제1 가상 기준국(911) 및 제2 가상 기준국(912)까지의 거리는 각각 a, b, c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새로 생성되는 보정 정보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2030524988-pat00001
<수학식 1>에 보인 바와 같이, 새로 생성되는 보정 정보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가중치는 높고, 정확도에 비례하여 가중치가 높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보정부(967)는 현재 위치로부터 주변에 있는 가상 기준국의 정확도에 따라 더 많은 수의 가상 기준국 또는 기준국(910)을 이용하여, 새로운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수준 이상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960)는 권역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960)는 현재 사용자 단말기(960)가 속한 위치에서,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각 권역 레벨에 따른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사용자 단말기(960)의 위치를 기준으로, 권역 레벨에 따라, 대권역에는 20개의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이 존재하며, 중권역에는 12개의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이 존재하고, 소권역에는 3개의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960)는 정확도에 따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국을 기준으로 정확도가 높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960)가 속한 소권역에 포함되는 3개의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을 이용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단말기(960)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가 낮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960)가 속한 대권역에 포함되는 20개의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을 이용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960)는 인접한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권역 레벨을 달리하여, 해당 권역 레벨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960)는 대표적으로, 내비게이션을 예시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기(960)는 내비게이션 이외에도, 이동통신단말기, PDA, 태블릿PC,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등의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각 장치는 각 장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술한 다양한 장치가 다양한 출력 수단을 가질 수 있으며,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정 정보에 따라 보정된 GPS 위치 정보가, 각 장치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되거나, 출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준국(910)은 S1305 단계에서 GPS 위성(901)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위치 정보를 설치된 복수개의 GPS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S1310 단계에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기준국(910)은 S1315 단계에서 생성된 보정 정보를 수집 서버(92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수집 서버(920)는 복수개의 기준국(910)과 연결된 전용 회선을 통해 복수개의 기준국(910) 각각의 보정 정보를 일시에 수집하고, S1320 단계에서 각 기준국(910)의 보정 정보를 전용 회선을 통해 서비스 서버(930)에 제공한다. 이때, 보정 정보는 각 기준국(910)에 대해서 매핑되어 전송된다.
각 기준국(910)과 각 기준국(910)의 보정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930)는 S1325 단계에서 기준국(910)과 이에 매핑되는 보정 정보를 통해 복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서비스 서버(930)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한 후, S1330 단계에서 각 기준국(91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기준국의 위치)와 보정 정보, 각 가상 기준국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가상 기준국의 위치)와 보정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가상 기준국의 경우,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이용한 기준국(910)의 수 및 방식에 대한 정보를 같이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930)로부터 상술한 정보들을 수신한 방송 서버(940)는 S1335 단계에서, DGPS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DGPS 정보를 DGI 메시지로 부호화한다. 즉, DGI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 서버(930)는 이러한 DGI 메시지를 S1340 단계에서 방송 송출기(950)에 전달한다. 그러면, 방송 송출기(950)는 S1345 단계에서 DGI 메시지를 방송 신호에 실어 방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960)는 이러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960)는 S1350 단계에서 방송 신호로부터 DGI 메시지를 추출하고, DGI 메시지의 DGPS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의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버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방송 서버(940)는 S1410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930)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GPS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즉, 보정 정보 수신부(941)는 각 기준국(91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와 보정 정보, 가상 기준국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와 보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930)로부터 수신한다. 특히, 가상 기준국에 대한 경우에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이용한 기준국의 수 및 방식에 대한 정보를 같이 수신한다.
그런 다음, 방송 서버(940)는 S1420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DGPS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DGPS 정보는 기본적으로, 각 기준국(910)과 각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DGPS 정보는 각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보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한 기준국의 수 및 방식에 따라 정규화된 정확도를 더 포함한다. 또한, DGPS 정보는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한다.
그런 다음, 방송 서버(940)는 S1430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DGPS 정보를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형식에 따라, DGI 메시지로 부호화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DGI 메시지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810) 및 이벤트 컨테이너(830)를 포함한다. 상술한 DGPS 정보는 이벤트 컨테이너(830)에 수납될 수 있다.
이어서, 방송 서버(940)는 S1440 단계에서 DGPS 정보가 인코딩된 DGI 메시지를 방송 송출기(950)에 전달한다. 그러면, 방송 송출기(950)는 DGI 메시지를 방송 신호에 실어 방송망으로 사용자 단말기(960)에 제공할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960)는 S1510 단계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방송 신호에는 방송 서버(940)가 DGPS 정보를 인코딩하여 생성한 DGI 메시지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960)는 S1520 단계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DGI 메시지를 추출한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960)는 S1530 단계에서 앞서 추출된 DGI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DGPS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DGPS 정보는 기본적으로, 각 기준국과 각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DGPS 정보는 각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보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한 기준국의 수 및 방식에 따라 정규화된 정확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DGPS 정보는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960)는 S1540 단계에서 수신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960)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보정 정보가 이용되는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를 달리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되는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예컨대, 정확도의 값이 높다면, 위치 정보 보정부(967)는 현재 사용자 단말기(960)에서 가장 가까운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만을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반면, 현재 사용자 단말기(960) 주변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가 낮다면, 주변의 복수의 가상 기준국과 기준국(910)의 보정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특히, 권역 정보를 참조하여, 정확도가 낮을수록 대권역에 속한 기준국(910)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고, 정확도가 높을수록 소권역에 속한 기준국(910) 및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한편, 주변의 복수의 가상 기준국과 기준국(910)의 보정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때, 현재 위치로부터 기준국(910) 또는 가상 기준국과의 거리, 기준국(910) 또는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에 대한 정확도에 따라, 가중치를 주어 새로운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새로 생성된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이러한 가중치를 적용한 보정의 예를 도 12에서 설명한 바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960)는 일정 수준의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보정 정보를 새로 생성한 후,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더라도, 특정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상회하면, 해당 기준국의 보정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960)는 S1550 단계에서 보정된 GPS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960)의 장치 종류에 따라 이용하거나, 또는,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960)는 방송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DGPS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대용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밀한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로부터 주변에 있는 가상 기준국의 정확도에 따라 더 많은 수의 가상 기준국 또는 기준국(910)을 이용하여, 새로운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수준 이상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GPS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960)의 성능 또는 응답 속도 향상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기(960)는 일정 수준의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보정 정보를 새로 생성한 후,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기(960)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GPS 위치 보정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수집 서버(920), 서비스 서버(930) 및 방송 서버(940)에 대해서 각각 독립된 장치로 구현되었으며, 각각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상술한 수집 서버(920), 서비스 서버(930) 및 방송 서버(940)는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서버들(920, 930, 940) 각각이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해당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920, 930, 940)가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서비스 서버(930)가 방송 서버(940)가 수행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고, 방송 서버(940)가 서비스 서버(9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910: 기준국 920: 수집 서버
930: 서비스 서버 940: 방송 서버
941: 보정 정보 수신부 943: 보정 정보 인코딩부
945: 보정 정보 제공부 950: 방송 송출기
960: 사용자 단말 961: 위치 정보 수신부
963: 방송 신호 수신부 965: 방송 신호 디코딩부
967: 위치 정보 보정부

Claims (14)

  1.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DGPS 정보를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형식에 따른 DGI(Differential GPS-information) 메시지로 부호화 하여 전송하는 방송 서버;
    DGI 메시지를 방송 신호에 실어 방송하는 방송 송출기; 및
    상기 DGI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DGI 메시지로부터 DGPS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DGPS 메시지는 상기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가 생성될 때, 이용된 기준국의 수 및 보정 정보의 생성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정확도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대권역, 중권역 또는 소권역으로 구분되는 권역 레벨을 가지며, 상기 권역 레벨에 따라 구분된 권역과, 구분된 권역에 속하는 기준국과 가상 기준국을 나타내는 정보인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GI 메시지는
    상기 DGI 메시지를 다른 DGI 메시지와 구분하여 식별 및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 및
    상기 DGPS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보정 정보가 이용되는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를 달리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권역 레벨을 선택하고,
    선택된 해당 권역 레벨에 따른 현 위치에서의 권역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6.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버가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DGPS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DGPS 정보를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형식에 따른 DGI 메시지로 부호화 하여 전송하는 단계;
    방송 송출기가 DGI 메시지를 방송 신호에 실어 방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DGI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DGI 메시지로부터 DGPS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GPS 메시지는 상기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가 생성될 때, 이용된 기준국의 수 및 보정 정보의 생성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정확도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대권역, 중권역 또는 소권역으로 구분되는 권역 레벨을 가지며, 상기 권역 레벨에 따라 구분된 권역과, 구분된 권역에 속하는 기준국과 가상 기준국을 나타내는 정보인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GI 메시지는
    상기 DGI 메시지를 다른 DGI 메시지와 구분하여 식별 및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 관리 컨테이너 및
    상기 DGPS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가 생성될 때, 이용된 기준국의 수 및 보정 정보의 생성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정확도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보정 정보가 이용되는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를 달리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권역 레벨을 선택하고,
    선택된 해당 권역 레벨에 따른 현 위치에서의 권역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1.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정보를 포함하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가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형식에 따라 부호화된 DGI(Differential GPS-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부;
    상기 DGI 메시지로부터 DGPS 정보를 추출하는 방송 신호 디코딩부; 및
    상기 추출된 D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위치 정보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DGPS 메시지는 상기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가 생성될 때, 이용된 기준국의 수 및 보정 정보의 생성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정확도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대권역, 중권역 또는 소권역으로 구분되는 권역 레벨을 가지며, 상기 권역 레벨에 따라 구분된 권역과, 구분된 권역에 속하는 기준국과 가상 기준국을 나타내는 정보인 권역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보정부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보정 정보가 이용되는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의 수를 달리하여, 현 위치에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보정부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기준국의 보정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권역 레벨을 선택하고,
    선택된 해당 권역 레벨에 따른 현 위치에서의 권역에 속한 기준국 및 가상 기준국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GPS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장치.
KR1020120039954A 2012-04-17 2012-04-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을 활용한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수신 장치 KR10139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54A KR101392027B1 (ko) 2012-04-17 2012-04-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을 활용한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54A KR101392027B1 (ko) 2012-04-17 2012-04-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을 활용한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38A KR20130117138A (ko) 2013-10-25
KR101392027B1 true KR101392027B1 (ko) 2014-05-07

Family

ID=4963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954A KR101392027B1 (ko) 2012-04-17 2012-04-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을 활용한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0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485B1 (ko) * 2016-03-23 2018-02-28 주식회사유넷컨버전스 이동통신기지국을 이용한 dgps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2206A (ko) 2018-12-12 2020-06-22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기준국의 최적화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 위치 좌표의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10809382B2 (en) 2017-04-21 2020-10-20 Kt Corporation Transmitting GPS correction data through emergency aler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0549A (zh) * 2013-12-24 2015-06-24 深圳艾科创新微电子有限公司 用于北斗卫星导航系统的定位方法、装置和系统
KR101479106B1 (ko) * 2014-07-09 2015-01-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중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dgnss 기준국
KR102272429B1 (ko) * 2017-05-17 2021-07-01 주식회사 케이티 Gps 보정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동 통신 단말
KR102576260B1 (ko) * 2018-12-12 2023-09-06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동적 요청에 의해 위성 위치 좌표의 보정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1780A (ja) 2000-08-31 2002-03-12 Hitachi Ltd 位置補正情報データの提供システム
KR100695918B1 (ko) * 2005-08-22 2007-03-20 (주)이너큐브 Dmb 방송망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977607B1 (ko) * 2008-12-29 2010-08-23 한국 천문 연구원 지상파 dmb를 활용한 고정밀도 위치정보 전송시스템 및 수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1780A (ja) 2000-08-31 2002-03-12 Hitachi Ltd 位置補正情報データの提供システム
KR100695918B1 (ko) * 2005-08-22 2007-03-20 (주)이너큐브 Dmb 방송망을 이용한 교통정보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977607B1 (ko) * 2008-12-29 2010-08-23 한국 천문 연구원 지상파 dmb를 활용한 고정밀도 위치정보 전송시스템 및 수신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485B1 (ko) * 2016-03-23 2018-02-28 주식회사유넷컨버전스 이동통신기지국을 이용한 dgps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809382B2 (en) 2017-04-21 2020-10-20 Kt Corporation Transmitting GPS correction data through emergency alert system
KR20200072206A (ko) 2018-12-12 2020-06-22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기준국의 최적화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 위치 좌표의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38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02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을 활용한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수신 장치
KR1008772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위치 결정 데이터를 방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9251C (zh) 卫星无线电测定
KR101947554B1 (ko) 모바일 방송을 통하여 긴급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300752B (zh) 在广播系统中获取初始全球定位系统信号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
CN109031380B (zh) 交通运输中北斗导航的服务编码方法及系统
CN102077114B (zh) 用于在通信网络中传送发射机信息的方法和装置
CN113267790B (zh) 基于北斗全球短报文通信的卫星轨道钟差改正数编码方法
TWI662835B (zh) 送訊裝置、送訊方法、收訊裝置、及收訊方法
WO2000056090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KR101419339B1 (ko) 위성항법 보정시스템의 보정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492237A (zh) 卫星无线电测定
EP2565674B1 (en) Wireless local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a navigation receiver within a wireless local messaging system
KR20140045087A (ko) Dgps의 위치 보정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100977607B1 (ko) 지상파 dmb를 활용한 고정밀도 위치정보 전송시스템 및 수신시스템
KR100992871B1 (ko) Drm을 활용한 고정밀도 위치정보 전송시스템 및 수신시스템
KR20150088485A (ko)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재해 조기경보 방법 및 시스템
KR101887549B1 (ko)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의 채널분리 송수신을 통한 위성항법보정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1080104B1 (ko) Tpeg을 이용한 재난 정보 제공 장치, 재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12720A (ko) 지상파 dmb를 이용한 dgps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gps 정보 수신 장치
CN112034498A (zh) 差分改正数据报文的发送和接收方法、系统和装置
KR20000046616A (ko) 에프엠 방송을 이용한 고정밀 위치 보정 정보 전송 방식과 송신시스템, 수신기
CN112039828B (zh) 差分改正数据的发送和接收方法、系统及装置
KR20240050620A (ko) Gnss 측위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측위 보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A2819446C (en) Method of providing an emergency alert service via a mobile broadcasting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