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934B1 - 전기화학 전지용 전류 집전체 - Google Patents

전기화학 전지용 전류 집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934B1
KR101391934B1 KR1020117002798A KR20117002798A KR101391934B1 KR 101391934 B1 KR101391934 B1 KR 101391934B1 KR 1020117002798 A KR1020117002798 A KR 1020117002798A KR 20117002798 A KR20117002798 A KR 20117002798A KR 101391934 B1 KR101391934 B1 KR 101391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region
case
electrochemical cell
sur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124A (ko
Inventor
위르크 카이저
클라우스-루퍼트 호헨타너
구엔터 에이칭거
하이케 쉬네
베아트리쎄 쉐퍼
미콜라 폴리야코프
팀 쉐퍼
Original Assignee
리-텍 배터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32270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32270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805771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8057711A1/d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배터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리-텍 배터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3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집전체(1)는 기본적으로는 판 모양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얇은 벽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핵심 영역(2)을 포함한다. 이러한 핵심 영역은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집전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를 갖는 하나의 1 표면 영역(3)을 포함한다. 상기 전류 집전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재료를 갖는 제2 표면 영역(4)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표면 영역의 전기적 전도성은 상기 제2 표면 영역의 전기적 전도성 보다 작다. 또한, 상기 제1 표면 영역은 제2 표면 영역으로부터 구분되어 있으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화학 전지용 전류 집전체{Current collector for electrochemical cell}
본 발명은 전기화학 전지용 전류 집전체 그리고 그러한 전류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이용하는 충전식 전기화학 전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전기화학 전지 및/또는 다른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기화학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다양한 타입의 충전식 전기화학 전지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것들 중 몇 가지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그것의 작동 안전성은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전기화학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집전체 및/또는 독립항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추가 개선은 종속항의 목적이다.
전류 집전체는 기본적으로는 판 모양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얇은 벽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핵심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핵심 영역은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집전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를 갖는 하나의 제1 표면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류 집전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재료를 갖는 제2 표면 영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표면 영역의 전기적 전도성은 상기 제2 표면 영역의 전기적 전도성 보다 작다. 상기 제1 표면 영역은 제2 표면 영역으로부터 구분되어 있으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집전체의 경우에 하나의 고체를 갖는데, 이것은 전기화학 전지와 관련해서 전류의 전도를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상기 전류 집전체는 또한 예컨대 연결 케이블과 같은 연결 수단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상기 전류 집전체는 기본적으로는 판 모양 및/또는 직육면체 모양을 갖는다. 그것은 적어도 두 개의 직사각형인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평행한 외부 표면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전류 집전체는 바람직하게는 튼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얇은 벽 두께를 갖는다. 이 경우에, 상기 전류 집전체의 최소 벽 두께는 제3 재료의 전기 전도성과, 전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상기 전류 집전체의 너비 및, 그것의 전류 세기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전류 집전체는 그것의 핵심 영역 및/또는 그것의 경계 표면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이러한 핵심 영역은 전기적으로 전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재료의 무게는 상기 핵심 영역의 무게에 대한 제3 재료의 무게의 비율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러한 무게는 발생하는 전류 및/또는 전류의 세기, 전류 집전체의 면적, 그리고 상기 제3 재료의 전기 전도성에 따라 선택된다.
그 밖에도 상기 전류 집전체는 제1 재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표면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표면 영역은 상기 전류 집전체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에 배열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이것을 덮는다. 상기 제1 재료는 제3 재료와는 다르다. 또한, 상기 전류 집전체는 제2 재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표면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표면 영역은 상기 전류 집전체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에 배열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이것을 덮는다. 상기 제2 재료는 제1 재료와는 다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재료는 제1 및 제3 재료와는 다르다. 제2 표면 영역은 제1 표면 영역보다 높은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다.
상기 전류 집전체의 제1 표면 영역 및 제 2 표면 영역은 서로 구분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는 점은 제작의 기술적인 가능성을 염두에 둘 경우에 이러한 두 가지 표면 영역 사이에 어떠한 점진적인 통과 영역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한 통과 영역은 제작 공정에 따라서 형성되기도 하겠지만 발명에 따르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서 이 두 가지 표면 영역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전해질 그리고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 전극 뭉치 및 앞서 언급한 하나의 전류 집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집전체는 상기 전극 뭉치와 적어도 전기적 접촉 상태에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류 집전체의 제1 표면 영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연결은 통합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은 접착 또는 용접을 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해질은 전기화학 전지 내에 존재하는 전극들 사이 및/또는 그것들의 활성 전극 뭉치들 사이에서 이온의 전도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전해질은 적어도 리튬 이온을 포함한다.
상기 활성 전극 뭉치는 화학적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한다. 활성 전극 뭉치는 전해질에 대하여 이온을 방출하거나 또는 전해질로부터 이온을 받아들인다. 즉, 상기 활성 전극 뭉치는 전류 집전체 및/또는 그것의 핵심 영역으로부터 전해질을 받아들이거나 또는 전류 집전체 및/또는 그것의 핵심 영역에 대하여 전해질을 방출한다. 입자 운동의 방향은 상기 전기화학 잔지가 방전되는지 또는 충전되는지 여부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케이스는 전기화학 전지에 기체가 들어가지 않도록 감싸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기밀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류 집전체 형태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전기화학 전지는 리튬 및/또는 리튬 이온을 포함한다. 그러한 전기화학 전지의 내부 속으로 물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기존의 리튬과 함께 격렬한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한 식으로 변화된 전기화학 전지는 또한 폭발할 수도 있다. 상기 전류 집전체 및/또는 전기화학 전지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전류 집전체의 제1 표면 영역 사이의 연결은 이러한 바람직하지 못한 물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또는 상당히 감소시키는 데 적절하다.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전기화학 전지의 안전성은 더욱 높아지고 이 발명의 과제가 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장점들은 다음과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재료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니켈, 금, 백금 또는 다른 귀금속이다. 제2 재료는 전기 집전체의 작동시, 특히 제3 재료 보다 화학적 영향을 견디게 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커넥터와의 전기적 접촉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표면 영역 및 제2 표면 영역은 얇은 층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핵심 영역의 두께와 비교해 볼 때 이러한 층들은 더 얇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표면 영역 및 제2 표면 영역의 층 두께는 상기 핵심 영역의 두께의 1/10보다 작다. 제1 표면 영역 및 제2 표면 영역의 층들이 전류 집전체의 외부 표면을 완전하게 덮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상기 층들은 스트립(strip) 형태 또는 점선(dotted) 패턴으로 외부 표면 위에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핵심 영역의 제3 재료는 전기적 전도성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3 재료는 알루미늄 및/또는 구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핵심 영역의 전체 무게 가운데 이러한 제3 재료가 차지하는 무게는 적어도 20 중량 퍼센트에 이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퍼센트에 이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 퍼센트,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5 중량 퍼센트에 이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99.995 중량 퍼센트에 이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재료의 경우에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기본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2 재료의 경우에 니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제2 표면 영역의 전체 무게 가운데 이러한 제2 재료가 차지하는 무게는 적어도 20 중량 퍼센트에 이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퍼센트에 이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퍼센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중량 퍼센트,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5 중량 퍼센트에 이르고, 바람직하게는 최대 99.995 퍼센트에 이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재료는 알루미늄, 규소 및/또는 플루오르화 지르코늄과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나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군은 최종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재료로서 이러한 군의 물질들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혼합물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 집전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전류 집전체의 외부 영역의 일부로서 구성된다. 상기 접촉 영역은 전자들이 상기 전류 집전체 및/또는 그것의 핵심 영역에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영역은 전자들이 상기 전류 집전체 및/또는 그것의 핵심 영역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 집전체의 접촉 영역은 또한 활성 전극 뭉치와의 접촉 및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활성 전극 뭉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에 적용되어 있으며 이것과 적어도 전기적으로 전도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전류 집전체의 핵심 영역은 상기 활성 전극 뭉치로부터 접촉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2 표면 영역의 방향으로 전자들을 전도한다. 거기에서 상기 전극들은, 예를 들면, 하나의 케이블로 통과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사용자에게 이어진다. 필요에 따라서 전자들의 흐름은 또한 반대 방향으로도 이루어진다. 각각의 타입에 따라서 상기 전류 집전체의 몇몇 접촉 영역은 활성 전극 뭉치들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전기적 전도성을 갖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 전극 뭉치는 반죽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일(foil)과 비슷한 전류 집전체 위에 적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얇은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포함한다. 이 층은 바람직하게는 기체가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특히 금속 재질의 제1 층은, 이것이 상기 전기화학 전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경우에 그리고 화학적 영향에 대해서는 상기 전해질에 의하여 보호되어 있는 경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층은 상기 케이스의 안쪽 및/또는 바깥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어 있다. 이러한 코팅은 적어도 하나의 제4 재료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전기적 전도성을 갖지 않으며 상기 케이스의 밀폐된 코팅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4 재료의 경우에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1 층은 그것의 외부 위에 하나의 보호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층은, 예를 들면, 뾰족한 이물질에 대하여 상기 제1 층의 보호를 위하여 및/또는 상기 전기화학 전지의 추가적인 밀봉을 위하여 이용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류 집전체의 형태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의 한 영역은 전류 집전체의 투입 이후에 집전체의 제1 표면 영역 가까이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 및 전류 집전체 및/또는 제1 표면 영역 사이에서 바람직한 통합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접착력의 개선을 위하여 상기 제4 재료는 상기 전류 집전체의 제1 표면 영역 가까이에 극성기(polar group)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탄소 산소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또한 다른 극성기 또는 접착력을 촉진시키는 다른 화학기(chemical group)도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 집전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된 상기 전류 집전체의 일부는, 예를 들면, 전기 케이블과 상기 전극의 연결을 위하여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표면 영역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2 표면 영역은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는 하나의 전기화학 전지는 또 다른 전기화학 전지들과 공동으로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화학 전지의 외부 형태는 또 다른 하나의 전기화학 전지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화학 전지의 외부 형태는 이 경우에, 기본적으로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화학 전지들 사이에서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전류 집전체의 핵심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화학 전지의 외부 형태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전류 집전체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에 쓰이는 재료를 절약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는 세 개의 모서리가 닫혀 있는 직사각형 포켓으로 구성된다. 개방된 제4 모서리를 통하여 전기화학 전지는 케이스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케이스가 알맞은 형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또한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한 주름은 더욱 빠르게 노화를 진행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응용 방식에 따라서, 상기 전기화학 전지의 외부 형태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전지의 구성 성분은 나선 모양으로 감겨 있다. 따라서 상기 전류 집전체는 얇은 필름의 띠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선 모양으로 감겨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류 집전체 및 상기 전기화학 전지의 형태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화학 전지의 전해질은 적어도 알칼리성 금속 및/또는 그것의 이온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알칼리성 금속의 경우에 리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특히나 높은 에너지 및 출력 밀도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 특징 및 응용 가능성은 도면들과 관련 지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집전체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의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집전체(1)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케이스(14)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으며 전기 케이블(21)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4)는 구조의 설명을 위하여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표현은 실제 규모에 따른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류 집전체(1)는 하나의 핵심 영역(2), 하나의 제1 표면 영역(3), 하나의 제2 표면 영역(4) 그리고 하나의 접촉 영역(5)을 포함한다. 상기 핵심 영역(2)은 직사각형의 알루미늄 호일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 집전체(1)는 그것의 상단에 더 작은 너비를 갖는 하나의 직사각형 평면으로 보충되어 있다(동일한 음영선). 이러한 평면은 제2 표면 영역(4)을 지지한다. 이것은 얇은 니켈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니켈 층은, 예를 들면, 전기증착을 통해, 니켈 호일의 결합을 통해 또는 증기증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면 영역(4)은 바람직하게는 얇은 금(gold)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표면 영역(3)은 얇은 알루미늄 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산화 알루미늄 층은, 예를 들면, 크롬산염으로 표면처리(finishing) 또는 양극처리(anodizing)되어 형성된다. 그렇게 형성된 표면 영역(3)은 상기 핵심 영역의 처리되지 않은 알루미늄 표면에 대하여 합성 수지 및/또는 폴리머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1 표면 영역(3)은 상기 케이스(14)와 함께 기밀 구성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14)는 하단 부분에 둘러싸여 있으며 그것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의 이음매를 갖는다. 거기에서 피복 재료가 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 전지(11)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도선(21, 21a)을 포함한다. 도면의 표현은 실제 규모에 따른 것은 아니다. 특히 개별 구성요소들 사이의 두께 비율에 대해서는 어떠한 고려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상기 전기화학 전지(11)는 두 개의 전극(12, 12a), 하나의 전해질(13) 그리고 하나의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12, 12a)은 각각 하나의 전류 집전체(1, 1a) 및 하나의 활성 전극 뭉치(15, 15a)를 포함한다. 하나의 전류 집전체(1, 1a) 및 각각 할당되어 있는 활성 전극 뭉치는 전기적 전도성을 갖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류 집전체(1,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집전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류 집전체들은 상기 케이스(14)와의 통합적인 연결 및 기밀의 연결을 위하여 하나의 제1 표면 영역(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류 집전체(1, 1a)는 상기 전기 케이블(21)과의 연결을 위하여 각각 하나의 제2 표면 영역(4)을 포함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활성 전극 뭉치들(15, 15a)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상기 전류 집전체(1, 1a)의 상기 접촉 영역(5, 5a)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극들(12, 12a) 그리고 상기 활성 전극 뭉치들(15, 15a) 사이에는 상기 전해질(13)이 배열되어 있다. 이것은 리튬 이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4)는 알루미늄 호일로 구성된다. 이 케이스(14)의 내부는 전류 집전체(1, 1a) 쪽을 향하고 있다. 케이스(14)의 내부는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에 의하여 코팅되어 있다. 제1 표면 영역(3)과 상기 케이스(14)의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14) 내부의 폴리프로필렌 층은 극성 탄소 산소기를 포함한다. 접착력의 향상을 위하여, 예컨대 플라스마 방전을 통하여 상기 폴리프로필렌 층의 산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14)는 PVC로 구성되어 있는 하나의 외부 보호층을 포함한다. 모서리가 날카로운 전류 집전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얇은 벽을 갖는 탄력적인 하나의 폴리머 스트립(strip)이 상기 전류 집전체(1, 1a)의 제1 표면 영역(3) 및 상기 케이스(14) 사이에 개재된다. 이것은 날카로운 모서리를 둥글게 하고 또한 상기 케이스를 보호하는 데 이용된다.

Claims (30)

  1.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재료를 포함하는 기본적으로는 판 모양을 갖고 얇은 벽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핵심 영역(2)을 포함하는 전류 집전체(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집전체(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를 갖는 하나의 제1 표면 영역(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재료를 갖는 하나의 제2 표면 영역(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표면 영역(4)은 상기 제1 표면 영역(3) 보다 높은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표면 영역(3)은 상기 제2 표면 영역(4)으로부터 구분되어 있고,
    상기 제1 재료는 규소 및 플루오르화 지르코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니켈, 금, 백금 또는 다른 귀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영역(3) 및 상기 제2 표면 영역(4)은 각각 얇은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면 영역들의 층 두께는 상기 핵심 영역(2)의 두께보다 작으며, 제1 표면 영역 및 제2 표면 영역의 층 두께는 상기 핵심 영역(2)의 두께의 1/1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이고, 상기 핵심 영역(2)의 전체 무게 가운데 상기 제3 재료가 차지하는 무게는 20, 50, 90, 95, 99.5, 및 99.995 중량 퍼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니켈이며, 상기 제2 표면 영역(4)의 전체 무게 가운데 상기 제2 재료가 차지하는 무게는 20, 50, 90, 95, 99.5, 및 99.995 중량 퍼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집전체(1)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8. 적어도 두 개의 전극(12, 12a), 하나의 전해질(13) 및 하나의 케이스(14)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11)에 있어서,
    상기 전극(12, 12a)은 각각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류 집전체(1, 1a)와 하나의 활성 전극 뭉치(15, 15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류 집전체(1)의 제1 표면 영역(3)과 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전극 뭉치(15, 15a)는 상기 전류 집전체의 접촉 영역(5) 위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활성 전극 뭉치(15, 15a)는 상기 접촉 영역(5)과 적어도 전기적 전도성을 갖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는 벽이 얇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4)는 가스를 차단하며 금속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의 제4 재료로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제 4 재료는 상기 케이스(14)의 내부에 배열됨과 더불어 전기적 전도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서, 폴리머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그것의 외부에 하나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재료는 극성기(polar group)를 가진 재료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류 집전체(1)의 제1 영역(3) 근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집전체(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스(14)로부터 연장되고, 제2 영역(4)은 상기 케이스(14)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외부 형태는 다른 하나의 전기화학 전지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외부 형태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 집전체(1)의 상기 핵심 영역(2)은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외부 형태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 집전체(1)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전류 집전체(1)의 형태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외부 형태는 기본적으로 원통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 집전체(1)는 나선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세로 축 및 상기 나선형 전류 집전체(1)의 세로 축이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13)은 알칼리성 금속 또는 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16.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재료를 포함하는 기본적으로는 판 모양을 갖고 얇은 벽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핵심 영역(2)을 포함하는 전류 집전체(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집전체(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를 갖는 하나의 제1 표면 영역(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재료를 갖는 하나의 제2 표면 영역(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표면 영역(4)은 상기 제1 표면 영역(3) 보다 높은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표면 영역(3)은 상기 제2 표면 영역(4)으로부터 구분되어 있고,
    상기 제1 재료는 규소 또는 플루오르화 지르코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17.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재료를 포함하는 기본적으로는 판 모양을 갖고 얇은 벽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핵심 영역(2)을 포함하는 전류 집전체(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집전체(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재료를 갖는 하나의 제1 표면 영역(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재료를 갖는 하나의 제2 표면 영역(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표면 영역(4)은 상기 제1 표면 영역(3) 보다 높은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제1 표면 영역(3)은 상기 제2 표면 영역(4)으로부터 구분되어 있고,
    상기 제1 재료는 플루오르화 지르코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니켈, 금, 백금 또는 다른 귀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영역(3) 및 상기 제2 표면 영역(4)은 각각 얇은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면 영역들의 층 두께는 상기 핵심 영역(2)의 두께보다 작으며, 제1 표면 영역 및 제2 표면 영역의 층 두께는 상기 핵심 영역(2)의 두께의 1/1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이고, 상기 핵심 영역(2)의 전체 무게 가운데 상기 제3 재료가 차지하는 무게는 20, 50, 90, 95, 99.5, 및 99.995 중량 퍼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는 니켈이며, 상기 제2 표면 영역(4)의 전체 무게 가운데 상기 제2 재료가 차지하는 무게는 20, 50, 90, 95, 99.5, 및 99.995 중량 퍼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2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집전체(1)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집전체.
  23. 적어도 두 개의 전극(12, 12a), 하나의 전해질(13) 및 하나의 케이스(14)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11)에 있어서,
    상기 전극(12, 12a)은 각각 제16항 또는 제17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류 집전체(1, 1a)와 하나의 활성 전극 뭉치(15, 15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류 집전체(1)의 제1 표면 영역(3)과 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전극 뭉치(15, 15a)는 상기 전류 집전체의 접촉 영역(5) 위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활성 전극 뭉치(15, 15a)는 상기 접촉 영역(5)과 적어도 전기적 전도성을 갖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는 벽이 얇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4)는 가스를 차단하며 금속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의 제4 재료로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제 4 재료는 상기 케이스(14)의 내부에 배열됨과 더불어 전기적 전도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서, 폴리머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그것의 외부에 하나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재료는 극성기(polar group)를 가진 재료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전류 집전체(1)의 제1 영역(3) 근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집전체(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케이스(14)로부터 연장되고, 제2 영역(4)은 상기 케이스(14)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외부 형태는 다른 하나의 전기화학 전지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외부 형태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 집전체(1)의 상기 핵심 영역(2)은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외부 형태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 집전체(1)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전류 집전체(1)의 형태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외부 형태는 기본적으로 원통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 집전체(1)는 나선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화학 전지(11)의 세로 축 및 상기 나선형 전류 집전체(1)의 세로 축이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13)은 알칼리성 금속 또는 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 전지.
KR1020117002798A 2008-07-09 2009-07-08 전기화학 전지용 전류 집전체 KR101391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2270A DE102008032270A1 (de) 2008-07-09 2008-07-09 Stromableiter für eine galvanische Zelle
DE102008032270.9 2008-07-09
DE102008057711.1 2008-11-17
DE102008057711A DE102008057711A1 (de) 2008-11-17 2008-11-17 Stromableiter für eine galvanische Zelle II
PCT/EP2009/004946 WO2010003662A1 (de) 2008-07-09 2009-07-08 Stromableiter für eine galvanische z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124A KR20110038124A (ko) 2011-04-13
KR101391934B1 true KR101391934B1 (ko) 2014-05-07

Family

ID=4105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798A KR101391934B1 (ko) 2008-07-09 2009-07-08 전기화학 전지용 전류 집전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77385A1 (ko)
EP (1) EP2311116B1 (ko)
KR (1) KR101391934B1 (ko)
CN (1) CN102089899B (ko)
BR (1) BRPI0915812A2 (ko)
WO (1) WO2010003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0736A1 (de) * 2021-01-27 2022-07-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lektrode sowie Sekundär-Batteriezelle mit einer solchen Elektro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1021A1 (en) * 1998-06-29 2000-01-06 Duracell Inc. Alkaline cell with improved casing
WO2003069700A2 (en) * 2002-02-12 2003-08-21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Flexible thin printed battery with gelled electroly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169A (ja) * 1983-08-12 1985-02-28 Nippon Light Metal Co Ltd 親水性金属表面処理剤
DE19608326A1 (de) * 1996-03-05 1997-09-18 Peter Dr Faber Bipolarmodul für Bleiakkumulator
CN1157808C (zh) * 1998-02-05 2004-07-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盒形成片和电池组件
JP2001068150A (ja) * 1999-08-30 2001-03-16 Kyocera Corp 全固体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6802917B1 (en) * 2000-05-26 2004-10-12 Integran Technologies Inc. Perforated current collectors for storage batteries and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corrosion
US6806679B2 (en) * 2001-06-20 2004-10-19 Tai-Her Yang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US6926992B2 (en) * 2001-06-29 2005-08-09 Kabushiki Kaisha Toshib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01032043B (zh) * 2004-09-30 2011-06-08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电池用引线和非水电解质电池
JP4501081B2 (ja) * 2006-12-06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電極の形成方法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1021A1 (en) * 1998-06-29 2000-01-06 Duracell Inc. Alkaline cell with improved casing
WO2003069700A2 (en) * 2002-02-12 2003-08-21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Flexible thin printed battery with gelled electroly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5518074A (ja) 2002-02-12 2005-06-16 エヴァレディー バッテリー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撓性の薄い印刷電池およびデバイス並びに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9899B (zh) 2014-05-21
US20110177385A1 (en) 2011-07-21
WO2010003662A1 (de) 2010-01-14
KR20110038124A (ko) 2011-04-13
BRPI0915812A2 (pt) 2015-11-10
EP2311116B1 (de) 2014-09-10
EP2311116A1 (de) 2011-04-20
CN102089899A (zh)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4192B1 (en) Method for fabricating bipolar battery and plate
RU2510547C2 (ru) Батарея
JP6027118B2 (ja) 二極式電池およびプレート
US20130101878A1 (en) Battery comprising cuboid cells which contain a bipolar electrode
WO2008096834A1 (ja) 予備ドープ前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JP2009110928A (ja) 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20170132882A (ko) 고체상 배터리 셀 및 그 제조 및 사용 방법
CN105990598A (zh) 蓄电元件
KR20180092855A (ko) 축전 소자
KR101391934B1 (ko) 전기화학 전지용 전류 집전체
US10199630B2 (en) Electrode terminal,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same
CN109643821A (zh) 电极组件以及包括该电极组件的可再充电电池
CN109804486B (zh) 生产锂离子原电池的方法及锂离子原电池
US20200161712A1 (en) Cable-Type Battery
US2014003801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necting contact for an electrode of an electrochemical stor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chemical store, and electrochemical store
JP2015153490A (ja) 空気電池
JP6967156B2 (ja) 蓄電モジュール
US20170018754A1 (en) Battery housing and power storage device
KR20150021028A (ko) 금속-공기 전지 및 전기 화학적 발전방법
US10680272B2 (en) Power storage device
DE102008032270A1 (de) Stromableiter für eine galvanische Zelle
US4565754A (en) Electrode for organic battery
CN116169439A (zh) 电池单体
KR100889772B1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738733B1 (ko) 전극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