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851B1 - Assembling device of button - Google Patents

Assembling device of butt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851B1
KR101391851B1 KR1020120114403A KR20120114403A KR101391851B1 KR 101391851 B1 KR101391851 B1 KR 101391851B1 KR 1020120114403 A KR1020120114403 A KR 1020120114403A KR 20120114403 A KR20120114403 A KR 20120114403A KR 101391851 B1 KR101391851 B1 KR 10139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pper housing
coupled
pressing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7973A (en
Inventor
배방희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filed Critical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Priority to KR102012011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851B1/en
Publication of KR20140047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8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이 끼워진 무선키의 상부하우징이 놓여지는 안착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을 상기 상부하우징에 압입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을 압입하는 압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입부가 상기 버튼을 압입할 때 상기 상부하우징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상부하우징에 버튼을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할 수 있고, 버튼을 상부하우징에 가압시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The button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frame, a seating part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n upper housing of a wireless key in which buttons are fitted, 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And a pressing part for pressing the button into the upper housing, wherein the pressing part includes a driv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ing part, a connecting part coupled to the driving part and reciprocating up and down, and a press- The press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pin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o support the upper housing when the press-in portion presses the button.
Therefore, the button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e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utton in the upper housing,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reducing the defective rate, and preventing the accident. Further, when the button is pressed onto the upper housing, And the defective rate can be reduced, so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Description

버튼 조립장치{ASSEMBLING DEVICE OF BUTTON}ASSEMBLING DEVICE OF BUTTON

본 발명은 버튼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차량용 무선키는 버튼이 장착되는 상부하우징과 배터리가 장착되는 하부하우징을 결합해서 제조하는데, 상기 상부하우징에 차량의 도어의 개폐, 트렁크의 개폐 및 시동 등에 사용되는 버튼을 조립하는 버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assembl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 assembly apparatus. More particularly, a vehicle wireless key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an upper housing in which a button is mounted and a lower housing in which a battery is mounted. And to a button assembling apparatus for assembling buttons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and starting of the button.

일반적으로 차량은 키(Key)를 이용해 도어 및 트렁크를 개폐하고, 시동을 걸어 운행하게 된다.Generally, a vehicle opens and closes a door and a trunk by using a key, and starts by running.

최근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무선키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키는 차량의 도어의 개폐, 트렁크의 개폐, 시동 및 경적 등 다양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각 기능들을 작동하기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고 있다.Recent vehicles are provided with a wireless key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The wireless key inclu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opening / closing of a door of a vehicle, opening and closing of a trunk, starting and horn, and includes buttons for operating each function.

상기 무선키는 종래의 키에 비해서 다양한 부품들로 이루어지며, 여러 공정을 거쳐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은 무선키의 상부하우징에 결합되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버튼을 상부하우징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에 한계가 있었고, 균일한 압력으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서 불량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wireless key is composed of various components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key, and is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processes. The buttons are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of the wireless key. In the related art, the worker manually assembled the buttons to the upper housing to limit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The problem is that the defective rate is high due to the failure to perform the work with uniform pressure .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The button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부하우징에 버튼을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하고자 한다.First, by automat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utton to the upper housing,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the defect rate is reduced, and the safety accident is prevented.

둘째, 버튼을 상부하우징에 가압시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키고자 한다.Seco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o the upper housing, it is assembled with a uniform pressure to produce a certain quality product and to reduce the defect rate.

셋째, 생산원가를 절감하고자 한다.
Third, we want to reduce production cost.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main frame.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이 끼워진 무선키의 상부하우징이 놓여지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assem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seat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having an upper housing of a wireless key having a button fitted therein.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지지부에 결합되어 버튼을 상부하우징에 압입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assem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 press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to press the button into the upper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에 있어서, 가압부는, 지지부에 결합되는 구동부,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결합되어 버튼을 압입하는 압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tton assem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may include a driving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driving portion and reciprocating vertically, and a press-in portion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o press the button.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에 있어서, 가압부는, 연결부에 결합되어 압입부가 버튼을 압입할 때 상부하우징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tton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in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o support the upper housing when the press-fit portion presses the button.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에 있어서, 작업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1감지부에 작업자의 신체가 감지되면 가압부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body of the worker. When the body of the worker is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unit is stopped.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에 있어서, 안착부에 상부하우징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2감지부에 상부하우징이 감지되면 가압부가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upper housing is seated in the seating unit, and the pressing unit is driven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senses the upper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에 있어서, 안착부 및 가압부를 2개 구비하여 가압부가 버튼을 교대로 압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button assem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wo pressing portions and the pressing portion alternately presses the buttons.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메인프레임, 안착부, 지지부, 가압부, 제1감지부, 제2감지부 및 가이드핀 등을 포함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button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a seat portion, a support portion, a pressing portion, a first sensing portion, a second sensing portion, and a guide pin.

첫째, 상부하우징에 버튼을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할 수 있다.First, by automat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utton to the upper hous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reduce the defect rate, and prevent the safety accident.

둘째, 버튼을 상부하우징에 가압시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Seco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o the upper housing, it is assembled with a uniform pressure to produce a certain quality product, and the defect rate can be reduced.

셋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Third,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부분확대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tton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Fig.
3 is a side view of Fig.
4 is a plan view of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operation state diagram of Fig.

본 발명은 차량 무선키의 상부하우징(1)에 차량의 도어의 개폐, 트렁크의 개폐 및 시동 등에 사용되는 버튼(2)을 조립하는 버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버튼(2)은 상기 상부하우징(1)에 형성된 장착부에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조립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assembling device for assembling a button (2)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a vehicle, opening and closing of a trunk, starting of an automobile, and the like in an upper housing (1) of a vehicle wireless key. The button (2) is assembled to a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housing (1)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button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2)이 끼워진 무선키의 상부하우징(1)이 놓여지는 안착부(2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30) 및 상기 지지부(30)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2)을 상기 상부하우징(1)에 압입하는 가압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to 4, a button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 an upper housing 1 of a wireless key,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 And a pressing part 40 which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part 30 and presses the button 2 into the upper housing 1, ).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상기 안착부(20) 및 지지부(30)가 설치되는 버튼 조립장치의 기본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The main frame 10 corresponds to the basic framework of the button assembly device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20 and the support portion 30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안착부(20)는 버튼(2)이 가조립된 무선키의 상부하우징(1)이 놓여지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2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이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의 내측과 정합되는 형태의 돌출부(22)가 형성된다. The seating part 2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10 as a part where the upper housing 1 of the wireless key to which the button 2 is assembled is placed, A protrusion 22 of a shape matched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housing 1 is formed so that the upper housing 1 is seated.

상기 안착부(20)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20 can be replaced as needed to produce various types of products.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안착부(20)의 상측에 상기 가압부(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안착부(20)의 상측에 위치하여 버튼(2)을 가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40)를 지지하며, 상기 안착부(20)를 기준으로 전방에 작업자가 위치하고 후방에 지지부(3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40 can be positioned above the seating portion 20. [ That is, the pressing portion 40 is located above the seating portion 20 and presses the button 2, and the supporting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0 to press the pressing portion 40 The operator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ating part 20 and the supporting part 30 is positioned in the rear.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지지부(30)에 결합되는 구동부(42), 상기 구동부(42)에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연결부(44) 및 상기 연결부(44)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2)을 압입하는 압입부(46)를 포함한다.5 to 6, the pressing unit 40 includes a driving unit 42 coupled to the supporting unit 30, a connecting unit 44 coupled to the driving unit 42 to reciprocate up and down, And a press-in portion 46 which is coupled to the button 2 and presses the button 2.

상기 구동부(42)는 상기 연결부(44) 및 압입부(46)를 상하로 왕복하도록 구동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왕복운동에 사용되는 모터, 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작업환경을 고려해 에어실린더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구동부(42)의 하부는 상기 압입부(46)의 상부와 연결부(44)에 의해 연결된다.The driving part 42 is a part for driving the connecting part 44 and the press-fitting part 46 so as to reciprocate up and down. Generally, a motor, a cylinder, etc. used for reciprocating motion can be us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cylinder is used in consideration of working environment.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part 42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press-fitting part 46 by a connection part 44.

상기 압입부(46)는 상부하우징(1)에 가조립된 버튼(2)을 압입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44)와 압입부(46)는 일체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압입부(46)는 상기 연결부(44)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버튼(2)을 압입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The press-fitting portion 46 is a portion for press-fitting the button 2 assembled to the upper housing 1, and can be replaced as needed so as to produce various types of products. The connection portion 44 and the press- 46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The press-fit portion 46 may be adjustably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44 to control the press-fitting of the button 2.

또한,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연결부(44)에 결합되어 상기 압입부(46)가 상기 버튼(2)을 압입할 때 상기 상부하우징(1)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핀(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버튼(2)이 가조립된 상부하우징(1)은 상기 버튼(2)이 위로 향하도록 상기 돌출부(22)에 안착되고 상기 압입부(46)가 상기 버튼(2)을 누를 때, 상기 가이드핀(48)이 상기 상부하우징(1)을 두 지점 이상 눌러 고정하므로 정확하게 상기 버튼(2)을 상기 상부하우징(1)에 압입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sing portion 4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ins 48 which are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4 and support the upper housing 1 when the press-fitting portion 46 presses the button 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upper housing 1, to which the button 2 is assembled, is seated on the protrusion 22 with the button 2 facing upward, and when the press-in portion 46 presses the button 2, The pin 48 pushes the upper housing 1 more than two points so that the button 2 can be pressed into the upper housing 1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작업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부(50)는 작업자와 안착부(20) 사이의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감지부(50)에 작업자의 신체가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40)의 구동이 정지되고 작업자의 신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가압부(40)의 구동이 계속되므로, 상기 가압부(40)와 안착부(20) 사이에 작업자의 손 등이 끼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tton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nsing unit 50 for sensing the body of the operator. The first sensing unit 5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main frame 10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seating unit 20. When the body of the operator is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50, The driving of the pressing unit 40 is continued so that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hands of the operator is caught between the pressing unit 40 and the seat 20 can be prevented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안착부(20)에 상부하우징(1)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부(60)는 상부하우징(1)의 옆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부(2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감지부(60)에 상기 상부하우징(1)이 감지되면 가압부(40)의 구동이 계속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가압부(40)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상부하우징(1)을 안착부(20)에 안착시킨 경우에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button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nsing unit 60 for sensing whether the upper housing 1 is seated in the seat 20. The second sensing unit 60 may be mounted on the seating unit 20 so as to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upper housing 1.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60 senses the upper housing 1 The driving of the pressing unit 40 is stopped when the driving of the pressing unit 40 is continued and the upper housing 1 is not detected and when the operator places the upper housing 1 on the seating unit 20 Only the operation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제2감지부(60)는 상기 안착부(20)에 안착되는 상부하우징(1)의 높이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감지된 높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40)가 상기 버튼(2)을 압입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The second sensing unit 60 may sense the height of the upper housing 1 that is seated in the seating unit 20 and the pressing unit 40 may press the button 2 according to the sensed height. The press-in pressure can also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상기 안착부(20) 및 가압부(40)를 2개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40)가 상기 버튼(2)을 교대로 압입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하나의 안착부(20)에 버튼(2)이 가조립된 상부하우징(1)을 안착시킨 후 다른 하나의 안착부(20)에 버튼(2)이 가조립된 상부하우징(1)을 안착시키는 동안 먼저 안착된 쪽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
The button assemb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wo seating portions 20 and pressing portions 40 so that the pressing portions 40 can press-fit the buttons 2 alternately. That is, when the operator places the upper housing 1 having the button 2 attached thereto on one seat 20 and then the upper housing 1 having the button 2 assembled to the other seat 20 Since the work on the first settled side is performed during the seating, the working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의 작업공정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button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우선 작업자가 상부하우징(1)의 장착부에 버튼(2)을 삽입하는 가조립을 한다. 그 다음 상기 버튼(2)이 가조립된 상부하우징(1)을 상기 버튼(2)이 위로 오도록 안착부(20)에 안착시키고, 제1감지부(50) 및 제2감지부(60)의 감지결과 이상이 없으면 가압부(40)로 버튼(2)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핀(48)이 상기 상부하우징(1)을 고정하므로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 operator inserts the button 2 in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 to perform the assembling. Then the upper housing 1 with the button 2 assembled is placed on the seat 20 so that the button 2 is on the upper side and the sensing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parts 50 and 60 If there is no abnormal result, the button (2) is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40).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pin 48 fixes the upper housing 1, accurate operation can be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는 상부하우징(1)에 버튼(2)을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할 수 있고, 버튼(2)을 상부하우징(1)에 가압시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Therefore, the button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e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utton 2 to the upper housing 1,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reducing the defect rate, ), It is possible to assemble with a uniform pressure to produce a certain quality product and to reduce the defect rate,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상부하우징 2: 버튼
10: 메인프레임 20: 안착부
22: 돌출부 30: 지지부
40: 가압부 42: 구동부
44: 연결부 46: 압입부
48: 가이드핀 50: 제1감지부
60: 제2감지부
1: upper housing 2: button
10: main frame 20: seat part
22: protrusion 30:
40: pressing portion 42:
44: connecting portion 46:
48: guide pin 50: first sensing part
60: second sensing unit

Claims (6)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이 끼워진 무선키의 상부하우징이 놓여지는 안착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을 상기 상부하우징에 압입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을 압입하는 압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입부가 상기 버튼을 압입할 때 상기 상부하우징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장치.
Mainframe;
A seating part on which an upper housing of a wireless key,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and has a button inserted therein, is placed;
A suppor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And a pressing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press-fitting the button into the upper housing,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 driving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A connecting part coupled to the driving part and reciprocating up and down; And
And a press-fitting part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press-fitting the button,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guide pin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supporting the upper housing when the press-in portion presses the butt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에 작업자의 신체가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a body of the operator, and when the body of the worker is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driving of the pressing unit is st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상기 상부하우징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부에 상기 상부하우징이 감지되면 상기 가압부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upper housing is seated in the seating part, and when the upper housing is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the pressing unit is driv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및 가압부를 2개 구비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버튼을 교대로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two pressing portions and the pressing portion alternately presses the buttons.
KR1020120114403A 2012-10-15 2012-10-15 Assembling device of button KR1013918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03A KR101391851B1 (en) 2012-10-15 2012-10-15 Assembling device of but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03A KR101391851B1 (en) 2012-10-15 2012-10-15 Assembling device of but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73A KR20140047973A (en) 2014-04-23
KR101391851B1 true KR101391851B1 (en) 2014-05-07

Family

ID=5065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403A KR101391851B1 (en) 2012-10-15 2012-10-15 Assembling device of butt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8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5263B (en) * 2015-04-23 2017-01-04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Key assembling mechanism
KR101658443B1 (en) * 2015-09-30 2016-09-23 이의환 smart key for automobile pusher
CN109378234B (en) * 2018-09-30 2020-01-24 苏州中晟精密制造有限公司 Button equipment automation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73A (en)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51B1 (en) Assembling device of button
KR20120089875A (en) Panel jig apparatus for vehicle
CN206123093U (en) Flange pressure equipment machine
KR20120140381A (en) Tongue stopper install apparatus for productio n of vehicle seat belt
KR100748675B1 (en) Clamp device for press mold
CN208264386U (en) Installation equipment for air bag
KR101491696B1 (en) Assembling device of battery connector
KR100904188B1 (en) Apparatus for making the reinfos-bar of the seat frame in vehicle
KR100482601B1 (en) An adjusting device for frameless door glass
KR101739289B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headrest with vacuum
CN104501683B (en) The moving body detection of car body connecting plate
CN216263083U (en) Turbine shell bush pressure riveting equipment
CN214444458U (en) Supporting foot processing equipment convenient for baby stroller
KR100610838B1 (en) Compound piercing device
CN212019198U (en) Stamping die of automobile panel
CN215658840U (en) Automatic assembling equipment for rotating shaft
CN208962497U (en) A kind of rivet hot welder of automobile strainer
CN108527884A (en) A kind of automobile shock absorber part interference fit Skeleton assembly mold and assembly method
CN217800074U (en) Buckle assembly equipment of interior trim part
CN216576465U (en) Tool for assembling automobile shell products
CN220636079U (en) Riveting device for compressor shell gasket
CN208727883U (en) Automotive sunshade panel presses oiling device
CN213289196U (en) Arm type automobile glass lifter arm tooth welding tool
CN217981882U (en) Hole inspection jig for automobile door frame trim and door frame trim production line
CN216619283U (en) Automobile sun shield rotating shaft pre-twis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