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638B1 -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638B1
KR101390638B1 KR1020137005980A KR20137005980A KR101390638B1 KR 101390638 B1 KR101390638 B1 KR 101390638B1 KR 1020137005980 A KR1020137005980 A KR 1020137005980A KR 20137005980 A KR20137005980 A KR 20137005980A KR 101390638 B1 KR101390638 B1 KR 101390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eaf spring
pillar
spring memb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049A (ko
Inventor
게이이치 게야키
고지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6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locking spr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11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stationary means for anchoring slider
    • Y10T24/251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stationary means for anchoring slider and for aligning surfaces or obstructing slider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Buckles (AREA)
  • Kniv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지 기구 부착 슬라이더(1)는 상부 블레이드판(11)에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가 기립한 슬라이더 몸통체(10)와, 손잡이(20, 60)와,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를 구비하고, 상기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는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1 규제부와, 제2 기둥부(11c)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2 규제부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규제부는, 손잡이(20, 60)의 경사 각도 α가 0°인 때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규제부는,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일 때 또는 상기 손잡이(20, 60)의 상기 피봇부(22, 62)가 상기 상부 블레이드판(11)으로부터 이격 상태일 때,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해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가 손잡이(20, 60)에 의해 들어 올려져도,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의 탄성 변형을 작게 억제하여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SLIDER FOR SLIDE FASTENER}
본 발명은 정지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 갈고리부를 갖는 판 스프링 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슬라이더 몸통체에 삽입 부착한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슬라이드 파스너는 각종 의류나 가방류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동 슬라이드 파스너에 배치된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 조작함으로써, 좌우의 엘리먼트 열을 맞물림 또는 분리시켜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파스너에 사용되는 슬라이더로서, 엘리먼트 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정지시켰을 때, 그 슬라이더를 정지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지 기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76910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지 기구가 부착된 슬라이더(100)가 개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더(100)는 슬라이더 몸통체(90), 손잡이(110) 및 판 스프링 부재(80)의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110)는 슬라이더(100)의 조작 시에 손가락으로 따는 부분이 되는 손잡이 본체부(111)와, 손잡이 본체부(111)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단면이 캠 형상인 피봇부(112)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경우, 손잡이(110)의 피봇부(112)는 손잡이(110)를 슬라이더 몸통체(90)의 후구 측에 도복시켰을 때 손잡이 본체부(111)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판 스프링 부재(80)는 종단면이 대략 C자 형상으로 굴곡한 형태를 나타내고, 중간 기판부(81)와, 중간 기판부(81)의 전단부로부터 연장한 수직 하강편부(82)와, 중간 기판부(81)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 정지 갈고리부(83)를 갖고 있다. 또한, 중간 기판부(81)에는, 상면 창부(84)가 개구함과 함께, 이 상면 창부(84)의 후방 측 개구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하강 경사지는 설편부(85)가 연장되어 있다. 이 설편부(85)에는 제1 창부(86)가 개구하고, 중간 기판부(81)로부터 정지 갈고리부(83)에 걸쳐서 제2 창부(87)가 개구하고 있다. 또한, 수직 하강편부(82)의 선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부가 배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슬라이더 몸통체(90)는 상부 블레이드판(91)과 하부 블레이드판(92)의 전단부가 연결 기둥(93)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 몸통체(90)의 전단부에는, 연결 기둥(93)을 사이에 끼워서 좌우의 견구가 배치되고, 슬라이더 몸통체(90)의 후단부에는 후구가 배치되며, 상하 블레이드판(91, 92) 사이에는, 좌우의 견구와 후구를 연통하는 엘리먼트 안내로(9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블레이드판(91)은 전단부에서 기립하는 제1 기둥부(91a)와, 제1 기둥부(91a)보다 후방 위치에서 기립하는 제2 기둥부(91b)를 가짐과 함께, 제1 기둥부(91a)의 후방 측 근방에는, 판 스프링 부재(80)의 설편부(85)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91c)이 설치되고, 제2 기둥부(91b)의 후방 측 근방에는, 판 스프링 부재(80)의 정지 갈고리부(83)를 삽입하는 갈고리 구멍(91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기둥부(91a)의 선단부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 돌출부(91e)와, 동 돌출부(91e)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판 스프링 부재(80)의 설편부(85)에 접촉하는 도시하지 않은 접촉부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접촉부의 선단면은, 상부 블레이드판(91)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동 슬라이더 몸통체(90)의 전단부(안내 기둥의 전방면 측)에는, 판 스프링 부재(80)의 수직 하강편부(82)를 집어넣는 전단부 홈부(96)가 배치되고, 전단부 홈부(96) 내의 하단부에는, 수직 하강편부(82)의 상기 돌기부를 걸어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부품을 갖는 슬라이더(100)를 조립할 경우, 손잡이(110)의 피봇부(112)를 상부 블레이드판(91)의 상면에 적재한 후, 판 스프링 부재(80)의 설편부(85) 및 정지 갈고리부(83)를 상부 블레이드판(91)의 삽입 구멍(91c) 및 갈고리 구멍(91d)에 각각 삽입한다. 이어서, 판 스프링 부재(80)의 설편부(85)를 상부 블레이드판(91)에 배치한 제1 기둥부(91a)의 접촉부에 압접시키면서, 판 스프링 부재(80)의 수직 하강편부(82)를 슬라이더 몸통체(90)의 전단부 홈부(96)에 집어넣고, 또한 판 스프링 부재(8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수직 하강편부(82)를 하방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수직 하강편부(82)의 돌기부를 슬라이더 몸통체(90)의 걸림부에 걸어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80)를 슬라이더 몸통체(90)에 삽입 부착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100)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특허 문헌 1의 슬라이더(100)에서는, 손잡이(110)를 후구 측(후방 측)에 도복시킨 경우, 판 스프링 부재(80)의 정지 갈고리부(83)가 슬라이더 몸통체(90)의 엘리먼트 안내로(95) 내로 진출한다. 이로 인해, 동 슬라이더(100)를 사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손잡이(110)를 후방 측에 도복시킴으로써, 정지 갈고리부(83)가 엘리먼트 열의 파스너 엘리먼트 간에 삽입되어 로크되기 때문에, 엘리먼트 열에 대하여 슬라이더(100)를 정지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00)의 손잡이(110)를 상부 블레이드판(91)의 상면에 대하여 기립시켰을 경우, 손잡이(110)의 피봇부(112)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80)의 중간 기판부(81)가 동판 스프링 부재(8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고, 그것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80)의 수직 하강편부(82)에 있어서의 만곡 부분이 탄성 변형함과 함께, 정지 갈고리부(83)를 엘리먼트 안내로(95)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먼트 열에 대하여 슬라이더(100)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110)를 견구 측(전방 측)에 도복시킨 경우에는, 손잡이(110)의 피봇부(112)가 손잡이 본체부(111)에 대하여 치우쳐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 부재(80)의 중간 기판부(81)가 손잡이(110)의 피봇부(112)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어, 슬라이더(100)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76910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더(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 부재(80)의 설편부(85)를 상부 블레이드판(91)의 제1 기둥부(91a)에 압접 시킴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80)의 수직 하강편부(82)를 슬라이더 몸통체(90)의 전단부 홈부(96)에 배치한 걸림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판 스프링 부재(8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판 스프링 부재(80)를 슬라이더 몸통체(90)에 삽입 부착시키고 있다.
이러한 특허 문헌 1의 슬라이더(100)는 예를 들어 손잡이(110)가 인장되어도, 판 스프링 부재(80)가 슬라이더 몸통체(90)로부터 빗나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 블레이드판(91)에 배치한 제2 기둥부(91b)의 선단부를 판 스프링 부재(80)의 제2 창부(87)에 헐겁게 삽입함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80)에 개구한 제2 창부(87)의 하측 개구 테두리가, 상부 블레이드판(91)에 배치한 제2 기둥부(91b)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특허 문헌 1의 슬라이더(1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손잡이(110)의 피봇부(112)가 상부 블레이드판(9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손잡이(110)가 강하게 인장되어서 판 스프링 부재(8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졌을 때는, 판 스프링 부재(80)의 제2 창부(87)의 하측 개구 테두리를 제2 기둥부(91b)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특허 문헌 1의 슬라이더(100)에서는, 판 스프링 부재(80)가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 부재(80)가 슬라이더 몸통체(90)로부터 빗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의류 등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의류가 타이트한 경우 등에서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폐쇄할 때마다, 슬라이더의 손잡이를 강하게 인장하고, 좌우의 엘리먼트 열을 맞물림시키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때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류 등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특허 문헌 1의 슬라이더(100)가 사용된 경우, 판 스프링 부재(80)의 제2 창부(87)의 하측 개구 테두리를 제2 기둥부(91b)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판 스프링 부재(80)가 슬라이더 몸통체(9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부재(80)의 제2 창부(87)의 하측 개구 테두리가 제2 기둥부(91b)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손잡이(110)가 더욱 강하게 인장되었을 경우에는, 판 스프링 부재(80)가 손잡이(110)의 피봇부(112)로부터 응력을 받고, 판 스프링 부재(80)에 있어서의 수직 하강편부(82)의 만곡 부분이 크게 탄성 변형하여, 그 만곡 부분에 과잉의 왜곡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슬라이더(100)의 조작(특히 폐쇄 조작)에 있어서 손잡이(110)가 강하게 인장되는 것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80)의 상기 만곡 부분에 큰 왜곡이 반복하여 발생하면, 판 스프링 부재(80)의 열화가 빨라지고, 그 결과, 슬라이더(100)의 정지 기구가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거나, 또한 판 스프링 부재(80)가 소성 변형하여 슬라이더 몸통체(90)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손잡이가 강하게 인장되는 조작이 반복해서 행해지는 경우에도, 판 스프링 부재가 열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정지 기구가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고, 장기에 걸쳐서 안정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정지 기구 부착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상하 블레이드판의 전단부가 안내 기둥에 의해 연결된 슬라이더 몸통체와, 피봇부를 갖는 손잡이와, 굴곡한 판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블레이드판은, 상기 슬라이더 몸통체의 후구 측에 형성된 갈고리 구멍과, 상기 갈고리 구멍보다 전방 측에서 기립하는 제1 기둥부와, 상기 제1 기둥부보다 후방 측에서 기립하는 제2 기둥부를 갖고, 상기 판 스프링 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상기 피봇부를 상방으로부터 제압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의 후단부로부터 연장한 정지 갈고리부와, 상기 기판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설편부를 갖고, 또한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정지 갈고리부를 상기 슬라이더 몸통체의 엘리먼트 안내로에 삽입 인발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 몸통체에 삽입 부착한 정지 기구 부착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이며, 상기 판 스프링 부재는, 상기 설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1 규제부와, 상기 기판부의 상기 설편부보다 상기 정지 갈고리부 측에 배치되고, 제2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2 규제부를 갖고, 상기 손잡이의 후방 도복 시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블레이드판의 상면에 대한 상기 손잡이의 경사 각도 α를 0°로 했을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규제부는, 상기 경사 각도 α가 0°인 때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로부터 각각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손잡이의 상기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에 있을 때 또는 상기 손잡이의 상기 피봇부가 상기 상부 블레이드판으로부터 이격 상태일 때, 상기 제1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손잡이가 조작되어, 상기 제1 규제부가 상기 제1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부터 상기 판 스프링 부재의 상기 기판부가 더욱 들어 올려졌을 때, 상기 제2 기둥부에 접촉해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손잡이가 조작되어, 상기 제1 규제부가 상기 제1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의 선단부는 굴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설편부에 제1 창부가 개구하고, 상기 기판부의 상기 설편부보다도 상기 정지 갈고리부 측으로 제2 창부가 개구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의 선단부는, 상기 판 스프링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창부에 각각 헐겁게 삽입되고, 상기 제1 및 제2 규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창부의 하측 개구 테두리에 의해 각각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는, 내력이 1500N 이상인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 부재는, 경도가 430Hv 이상 500 Hv 이하인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 부재는, 1.005 이하의 투자율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슬라이더 몸통체의 상부 블레이드판은, 슬라이더 몸통체의 후구 측에 형성된 갈고리 구멍과, 갈고리 구멍보다 전방 측에서 기립하는 제1 기둥부와, 제1 기둥부보다 후방 측에서 기립하는 제2 기둥부를 갖고 있다. 동 슬라이더의 판 스프링 부재는, 손잡이의 피봇부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기판부와, 기판부의 후단부로부터 연장한 정지 갈고리부와, 기판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설편부와, 설편부에 배치되고, 제1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1 규제부와, 기판부의 설편부보다 정지 갈고리부측에 배치되고, 제2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2 규제부를 갖고 있으며, 또한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정지 갈고리부를 슬라이더 몸통체의 엘리먼트 안내로에 삽입 인발 가능하게 슬라이더 몸통체에 삽입 부착하고 있다.
또한, 동 슬라이더는, 손잡이의 후방 도복 시(후구 측에의 도복 시)에 있어서의 상부 블레이드판의 상면에 대한 손잡이의 경사 각도 α를 0°로 했을 경우, 제1 및 제2 규제부가, 경사 각도 α가 0°인 때 제1 및 제2 기둥부로부터 각각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손잡이의 경사 각도 α가 0°인 때 판 스프링 부재의 제1 및 제2 규제부와, 제1 및 제2 기둥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슬라이더 몸통체나 판 스프링 부재에 부품 사이즈의 오차가 발생해도, 판 스프링 부재를 슬라이더 몸통체에 걸리게 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삽입 부착시켜서, 슬라이더를 안정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동 슬라이더는, 손잡이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에 있을 때 또는 손잡이의 피봇부가 상부 블레이드판으로부터 이격 상태일 때, 제1 규제부가 제1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가 조작되어 손잡이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에 있을 때, 또는 손잡이가 강하게 인장되는 것 등에 의해 손잡이의 피봇부가 상부 블레이드판으로부터 이격 상태일 때, 설편부에 배치한 제1 규제부가 제1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슬라이더가 구성되어 있으면, 제1 규제부와 제1 기둥부와의 접촉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가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규제하여, 판 스프링 부재가 슬라이더 몸통체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슬라이더에서는, 손잡이의 피봇부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의 기판부가 동판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려질 경우, 판 스프링 부재의 기판부(특히, 기판부의 전단부 부분)가 주로 탄성 변형하는 점에서, 손잡이의 피봇부가 접촉하는 판 스프링 부재의 부분보다, 판 스프링 부재의 만곡 부분에 가까운 전방 측의 위치에서 제1 규제부를 제1 기둥부에 접촉시킴으로써, 판 스프링 부재의 당해 만곡 부분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슬라이더는, 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 1과 같이 판 스프링 부재를 손잡이의 피봇부가 접촉하는 부분보다 후방 측의 위치에서 제2 기둥부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시키는 종래의 슬라이더에 비해, 손잡이의 피봇부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가 들어 올려졌을 때, 판 스프링 부재의 만곡 부분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왜곡)을 작게 할 수 있고, 손잡이로의 인장 응력에 대하여 보다 안정되게 견딜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가 강하게 인장되는 조작이 반복해서 행해져도, 제1 규제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됨으로써, 판 스프링 부재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정지 기구가 정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예를 들어, 로크 불량 등)나, 판 스프링 부재가 슬라이더 몸통체로부터 벗어나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슬라이더를 장기에 걸쳐서 안정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제2 규제부는, 손잡이가 조작되어 제1 규제부가 제1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부터 판 스프링 부재의 기판부가 더욱 들어 올려졌을 때, 제2 기둥부에 접촉해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1 규제부가 제1 기둥부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손잡이가 강하게 인장되어도, 판 스프링 부재의 기판부가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에 큰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판 스프링 부재의 열화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가 소성 변형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2 규제부는, 손잡이가 조작되어 제1 규제부가 제1 기둥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제2 기둥부에 접촉해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손잡이의 피봇부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가 들어 올려졌을 때, 판 스프링 부재의 왜곡을 보다 확실하게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 부재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판 스프링 부재가 소성 변형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더에서는, 제1 및 제2 기둥부의 선단부는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편부에 제1 창부가 개구함과 함께, 기판부의 설편부보다 정지 갈고리부 측에, 제2 창부가 기판부에서 정지 갈고리부에 걸쳐서 개구하고 있고, 이들의 제1 및 제2 창부에 제1 및 제2 기둥부의 선단부가 각각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규제부는, 제1 및 제2 창부의 하측 개구 테두리에 의해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1 및 제2 규제부가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규제부인 제1 창부의 하측 개구 테두리가 제1 기둥부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했을 때, 제1 규제부를 갖는 설편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하고, 판 스프링 부재의 기판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제2 규제부인 제2 창부의 하측 개구 테두리가 제2 기둥부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했을 때, 제2 규제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하고, 제1 규제부와 함께 판 스프링 부재의 기판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판 스프링 부재는, 내력이 1500N 이상인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의 내력이 1500N 이상인 것에 의해, 손잡이가 강하게 인장되었을 때나, 판 스프링 부재에 충격 힘이 가해졌을 때 등에 판 스프링 부재가 소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고, 로크 불량 등의 정지 기구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판 스프링 부재의 재질이 되는 스테인리스강의 내력은, 판 스프링 부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안정되게 성형하기 위해서, 1800N 이하, 특히 170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판 스프링 부재는, 경도가 430Hv 이상 500 Hv 이하인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 부재의 경도가 430Hv 이상인 것에 의해, 1500N 이상의 내력을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 부재의 경도가 500Hv 이하이면 스테인리스강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할 때, 금형의 파손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판 스프링 부재를 성형할 수 있고, 금형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또한,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판 스프링 부재는, 1.005 이하의 투자율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파스너가 설치되는 의복 등의 피착 제품에 있어서는, 피착 제품의 봉제 공정이 행해진 후에, 자기를 이용하는 검침기에 의해 봉제시에 혼입된 부러진 바늘을 검출하는 검출 공정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파스너에 사용되는 슬라이더에는, 상기 검출 공정에 있어서 검침기가 슬라이더의 판 스프링 부재를 부러진 바늘로 잘못 검출하는 일이 없도록, 검침기에 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판 스프링 부재의 투자율을 1.005 이하로 함으로써, 검침기가 슬라이더의 판 스프링 부재를 검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검침기에 대응한 슬라이더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판 스프링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후구 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회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인장하여 피봇부를 상부 블레이드판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후구 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회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회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후구 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회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견구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전혀 아니며,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기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동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판 스프링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후구 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상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방향(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규정하고, 특히, 슬라이더의 견구가 배치되어 있는 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슬라이더의 후구가 배치되어 있는 측을 후방이라고 한다. 또한, 슬라이더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규정한다. 또한, 슬라이더의 상하 블레이드판이 대향하는 방향(높이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규정하고, 특히, 슬라이더 몸통체에 대하여 손잡이가 배치되는 측을 상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하방이라고 한다.
또한,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부 블레이드판의 상면에 대한 손잡이의 경사 각도 α는, 손잡이를 후구 측(후방 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경우를 0°로 하고, 손잡이를 견구측(전방 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경우를 180°로 하고, 손잡이를 상부 블레이드판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기립시켰을 때의 경우를 90°로 규정한다.
본 실시예 1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1)는 후술하는 정지 갈고리부(33)에 의한 정지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이며, 예를 들어 청바지와 같은 의류나 가방류 등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주로 사용된다. 동 슬라이더(1)는 슬라이더 몸통체(10), 슬라이더 몸통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20) 및 슬라이더 몸통체(10)에 삽입 부착하는 판 스프링 부재(30)의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 몸통체(10)와 손잡이(20)는, 구리 아연 합금 등의 금속제 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제작된다.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 몸통체(10)는 상부 블레이드판(11)과, 하부 블레이드판(12)과, 상하 블레이드판(11, 12)을 전단부에서 연결하는 안내 기둥(13)과, 상하 블레이드판(11, 12)의 좌우 측연부에 배치된 상하 플랜지부(14)를 갖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 몸통체(10)의 후단부에는 후구가 배치되고, 슬라이더(1)의 전단부측에 그리고 안내 기둥(13)의 좌우 양측에는 견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 몸통체(10) 상하 블레이드판(11, 12) 사이에는, 후구와 좌우의 견구를 연통하는 대략 Y자 형상의 엘리먼트 안내로(15)가 배치되어 있다.
동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상부 블레이드판(11)에는,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전단부에 돌출 설치된 제1 기둥부(11a)와, 제1 기둥부(11a)의 기단부(상부 블레이드판(11) 측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융기한 지지대부(11b)와, 제1 기둥부(11a)보다 후방 위치에 돌출 설치된 제2 기둥부(11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블레이드판(11)에 있어서의 제1 기둥부(11a)의 기단부 후방 측에는, 판 스프링 부재(30)의 후술하는 설편부(35)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11d)이 뚫어서 형성되고, 제2 기둥부(11c)의 기단부 후방 측에는, 판 스프링 부재(30)의 후술하는 정지 갈고리부(33)를 삽입하는 갈고리 구멍(11e)이 뚫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기둥부(11a)는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고, 선단부 측이 후방으로 굴곡한 훅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기둥부(11a)의 선단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 돌출부(11f)와, 동 돌출부(11f)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판 스프링 부재(30)의 설편부(35)에 접촉하는 접촉부(11g)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접촉부(11g)의 선단면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부(11b)는, 제1 기둥부(11a)의 전방 측과 좌우 측방 측에 배치되고, 판 스프링 부재(30)를 슬라이더 몸통체(10)에 삽입 부착했을 때 동판 스프링 부재(30)의 후술하는 기판부(3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기둥부(11c)는 삽입 구멍(11d)과 갈고리 구멍(11e)과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기립하고, 선단부 측이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후방으로 굴곡한 훅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블레이드판(11)에 뚫어서 형성한 삽입 구멍(11d) 및 갈고리 구멍(11e)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서 엘리먼트 안내로(15)에 관통하고 있다. 또한, 삽입 구멍(11d) 및 갈고리 구멍(11e)의 폭 방향의 치수는, 판 스프링 부재(30)의 설편부(35) 및 정지 갈고리부(33)를 각각 삽입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전단부에는, 전단부 홈부(16)가 상하 방향을 따라서 오목 형성되어 있다. 이 전단부 홈부(16)는 그 홈 폭(전단부 홈부(16) 내의 좌우 벽면 간의 간격)이 전단부 홈부(16)의 저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점증하도록, 좌우의 견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동 전단부 홈부(16) 내에는, 전단부 홈부(16)의 저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대략 직삼각형 형상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제1 걸림부(16a)와, 좌우의 제1 걸림부(16a) 사이에 제1 걸림부(16a)보다 저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낮게 하여 돌출된 제2 걸림부(16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단부 홈부(16)의 하단부에는 하벽부(16c)가 설치되어 있고, 이 하벽부(16c)의 하면은, 하부 블레이드판(12) 아래면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1)를 미끄럼 이동시킬 때, 슬라이더(1)의 하부 블레이드판(12) 측에 장해물(예를 들어 의류의 원단 등)이 있어도, 슬라이더(1)의 전단부 홈부(16)가 장해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더(1)의 미끄럼 이동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의 손잡이(20)는 슬라이더(1)의 조작 시에 손가락으로 따는 부분이 되는 손잡이 본체부(21)와, 손잡이 본체부(21)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단면이 캠 형상을 나타내는 피봇부(22)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손잡이(20)는 손잡이 본체부(2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중심면과, 피봇부(22)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중심면이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의 판 스프링 부재(30)는 Cr-Ni-Mn계 스테인리스강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종단면이 대략 C자 형상으로 굴곡한 형태를 갖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 부재(30)는 손잡이(20)의 피봇부(22)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기판부(31)와, 기판부(31)의 전단부로부터 연장한 수직 하강편부(32)와, 기판부(31)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엘리먼트 안내로(15)에 삽입 인발 가능한 정지 갈고리부(33)를 갖고 있다.
또한, 기판부(31)에는, 상면 창부(34)가 개구함과 함께, 이 상면 창부(34)의 후방 측 개구 테두리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하강 경사지는 설편부(35)가 연장되어 있다. 이 설편부(35)에는 제1 창부(36)가 개구하고, 또한 기판부(31)의 설편부(35)보다 정지 갈고리부(33) 측에, 기판부(31)로부터 정지 갈고리부(33)에 걸쳐서 제2 창부(37)가 개구하고 있다.
동판 스프링 부재(30)의 수직 하강편부(32)는 기판부(31)보다 미세 폭으로 형성되고, 기판부(31)로부터 연장하여 하방으로 만곡하는 만곡부와, 만곡부의 선단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수직 하강하는 선단부를 갖고 있다. 또한, 수직 하강편부(32)의 선단부의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32a)와, 후방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32b)가 배치되고, 이들 제1 및 제2 돌기부(32a, 32b)는, 판 스프링 부재(3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몸통체(10)에 끼움 부착시킬 때,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전단부 홈부(16) 내에 돌출 설치한 제1 및 제2 걸림부(16a, 16b)에 각각 걸어 지지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판 스프링 부재(30)에 개구한 제1 창부(3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몸통체(10)에 판 스프링 부재(30)를 삽입 부착시켜서 슬라이더(1)를 조립할 경우,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에 배치한 돌출부(11f)가 헐겁게 삽입되도록, 제1 창부(36)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통로 치수가 돌출부(11f)의 폭 방향의 치수(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는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가 되는 손잡이(20)의 후방 도복 시 및 경사 각도 α가 180°가 되는 손잡이(20)의 전방 도복 시에, 제1 기둥부(11a)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는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30°≤α≤150°의 범위 내가 되는 손잡이(20)의 조작 시에 제1 기둥부(11a)의 선단부(돌출부(11f))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는 손잡이(20)가 상기 범위에서 조작되었을 때 제1 기둥부(11a)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하고, 동 하측 개구 테두리(36a)가 그 접촉 위치보다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기판부(31)의 상면 창부(34)보다 후방 측에 개구한 제2 창부(37)는 슬라이더(1)를 조립했을 경우에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가 헐겁게 삽입되도록, 제2 창부(37)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통로 치수가 제2 기둥부(11c)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창부(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7a)는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가 되는 손잡이(20)의 후방 도복 시 및 경사 각도 α가 180°가 되는 손잡이(20)의 전방 도복 시에, 제2 기둥부(11c)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창부(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7a)는 손잡이(20)가 조작되고,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가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판 스프링 부재(30)의 기판부(31)가 더 들어 올려져서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했을 때,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창부(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7a)는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했을 때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하고, 동 하측 개구 테두리(37a)가 그 접촉 위치보다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특히 본 실시예 1에서는, 손잡이(20)의 후방 도복 시에 또는 전방 도복 시에 있어서,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와 제1 기둥부(11a)의 선단부 하면과의 사이의 이격 거리에 대하여 제2 창부(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7a)와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 하면과의 사이의 이격 거리가 2배 이상의 크기로,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본 실시예 1의 판 스프링 부재(30)는 1500N 이상의 내력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판 스프링 부재의 재질에는, 판 스프링 부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프레스 성형하기 위해서, 1000N 내지 1200)N 정도의 내력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어 왔지만, 본 실시예 1에서는, 1500N 이상의 내력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판 스프링 부재(30)가 제작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에서는, 손잡이(20)가 강하게 인장되었을 때나, 판 스프링 부재(30)에 충격 힘이 가해졌을 때 등에 판 스프링 부재(30)를 소성 변형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로크 불량 등의 정지 기구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판 스프링 부재(30)를 소정의 형상으로 안정되게 프레스 성형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 1의 판 스프링 부재(30)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강에는, 1800N 이하, 특히 1700N 이하의 내력을 갖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동판 스프링 부재(30)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강은, 430Hv 이상 500 Hv 이하의 경도를 갖고 있다. 판 스프링 부재(30)의 경도가 430Hv 이상인 것에 의해, 1500N 이상의 내력을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 부재(30)의 경도가 500Hv 이하이면 스테인리스강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할 때, 금형의 파손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판 스프링 부재(30)를 안정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동판 스프링 부재(30)는 검침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투자율이 1.005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술한 3개의 부품을 갖는 슬라이더(1)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 측에 손잡이(20)를 적재한다. 이때, 손잡이(20)의 피봇부(22)를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및 지지대부(11b))와, 제2 기둥부(11c)와의 사이에 삽입함과 함께, 손잡이(20)를 후구 측에 도복시킨 상태에서 유지한다.
이어서,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판 스프링 부재(30)의 기판부(31)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씌워지도록, 판 스프링 부재(30)를 슬라이더 몸통체(10)에 올려 놓는다. 이때, 판 스프링 부재(30)의 설편부(35) 및 정지 갈고리부(33)를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삽입 구멍(11d) 및 갈고리 구멍(11e)에 각각 삽입함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30)의 제2 창부(37)에,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를 헐겁게 삽입한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30)의 설편부(35)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함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30)의 수직 하강편부(32)의 하단부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전단부 홈부(16)에 가볍게 삽입된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판 스프링 부재(30)를 슬라이더 몸통체(10)를 향하여 가압한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30)의 설편부(35)가 탄성 변형하면서 눌려 내려가고,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의 돌출부(11f)가 판 스프링 부재(30)의 제1 창부(36)에 헐겁게 삽입되는 동시에, 판 스프링 부재(30)의 설편부(35)가 제1 기둥부(11a)의 접촉부(11g)에 압접한다. 또한,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가 판 스프링 부재(30)의 상면 창부(34)에 끼움 삽입됨과 함께, 상면 창부(34)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측연부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지지대부(11b)에 적재된다.
또한 동시에, 판 스프링 부재(30)의 수직 하강편부(32)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전단부 홈부(16)를 따라 안내되면서 눌려 내려가고, 수직 하강편부(32)의 하단부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전단부 홈부(16)에 배치한 제1 걸림부(16a)를 극복하도록 수직 하강편부(32)가 탄성 변형한다. 그 후, 수직 하강편부(32)의 하단부가 전단부 홈부(16) 내의 제1 걸림부(16a)를 극복함으로써 수직 하강편부(32)가 탄성 복귀하고, 그것에 의해, 수직 하강편부(32)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전단부 홈부(16)에 집어넣어져 전단부 홈부(16)의 저면에 압접하는 동시에, 수직 하강편부(32)의 제1 및 제2 돌기부(32a, 32b)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전단부 홈부(16)에 배치한 제1 및 제2 걸림부(16a, 16b)에 각각 걸어 지지된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3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더 몸통체(10)에 삽입 부착시키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를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에서는, 손잡이(20)를 후구 측에 도복시킨 상태(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인 상태)에서 판 스프링 부재(30)를 슬라이더 몸통체(10)에 삽입 부착시키기 위해서, 슬라이더(1)의 조립 시에, 판 스프링 부재(30)의 제1 및 제2 창부(36, 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 37a)와,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슬라이더 몸통체(10)나 판 스프링 부재(30)의 부품 사이즈에 오차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판 스프링 부재(30)를 슬라이더 몸통체(10)에 걸리게 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삽입 부착시켜서, 슬라이더(1)를 안정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손잡이(20)를 후구 측(후방)에 도복시킨 경우(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인 경우)나, 손잡이(20)를 견구 측(전방)에 도복시킨 경우(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180°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창부(36, 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 37a)가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로부터 각각 이격함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30)의 정지 갈고리부(33)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엘리먼트 안내로(15) 내에 진출한 상태(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를 사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한 경우, 손잡이(20)를 후구 측 또는 견구 측에 도복시킴으로써, 정지 갈고리부(33)가 엘리먼트 열의 파스너 엘리먼트 간에 삽입되어 로크되기 때문에, 엘리먼트 열에 대하여 슬라이더(1)를 정지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에서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손잡이(20)를 후구 측 또는 견구 측에 도복시킨 상태로부터, 손잡이(20)의 피봇부(22)를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시킨 채,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중, 특히 30°≤α≤150°의 범위 내로 되도록 손잡이(20)를 기립시켜서 조작한 경우, 손잡이(20)의 단면이 캠 형상을 나타내는 피봇부(22)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30)의 기판부(31)를 동판 스프링 부재(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30)의 수직 하강편부(32)에 있어서의 만곡 부분이 탄성 변형함과 함께, 정지 갈고리부(33)를 들어올려서 엘리먼트 안내로(15) 내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엘리먼트 열에 대하여 슬라이더(1)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손잡이(20)의 피봇부(22)를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시킨 채,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중, 특히 30°≤α≤150°의 범위 내에서 손잡이(20)가 조작된 경우,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에서는, 판 스프링 부재(30)의 기판부(31)가 피봇부(22)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지만,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제1 규제부)를 제1 기둥부(11a)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측 개구 테두리(36a)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여 판 스프링 부재(30)가 높게 들어 올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판 스프링 부재(30)(특히 판 스프링 부재(30)의 만곡 부분)의 왜곡이 과잉으로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창부(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7a)와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 하면과의 사이의 이격 거리가, 손잡이(20)의 후방 도복 시에(또는 전방 도복 시에) 있어서,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와 제1 기둥부(11a)의 선단부 하면과의 사이의 이격 거리의 2배 이상의 크기로,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가 제1 기둥부(11a)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해도, 제2 창부(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7a)는 제2 기둥부(11c)의 하면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에서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좌우의 엘리먼트 열을 맞물리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때,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하고, 또한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가 제1 기둥부(11a)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손잡이(20)가 예를 들어 경사 각도 α가 (90)°≤α≤150°의 범위에서 더 강하게 인장되는 것에 의해,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가 제1 기둥부(11a)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판 스프링 부재(30)의 만곡 부분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은 억제되지만, 판 스프링 부재(30)의 기판부(31)가 손잡이(20)의 피봇부(22)로부터 큰 힘을 받아서 탄성 변형하고, 더욱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때,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에서는,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가 제1 기둥부(11a)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 채, 제2 창부(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7a)(제2 규제부)를 제2 기둥부(11c)의 하면에 접촉시켜서, 당해 하측 개구 테두리(37a)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20)가 강하게 인장된 경우에도, 제1 및 제2 창부(36, 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 37a)를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에 각각 접촉시킴으로써 판 스프링 부재(3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효과적으로 제한하고, 판 스프링 부재(30)의 전체가 필요 이상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안정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에 의하면, 손잡이(20)의 피봇부(22)를 날개판(11)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경사 각도 α가 0°<α<180° 범위에서 손잡이(20)를 조작한 경우에는(도 5 참조),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를 제1 기둥부(11a)에 접촉시켜 판 스프링 부재(3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손잡이(20)가 강하게 당겨져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날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는(도 6 참조), 제1 및 제2 창부(36, 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 37a)를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에 각각 접촉시켜 판 스프링 부재(3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1)는 예를 들어 의류 등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사용되어 슬라이더의 손잡이를 강하게 인장하는 조작이 반복해서 행해져도, 손잡이(20)의 피봇부(22)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30)가 들어 올려졌을 때 판 스프링 부재(30)에 발생하는 탄성 변형(왜곡)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판 스프링 부재(30)가 슬라이더 몸통체(10)로부터 빗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30)의 열화를 억제하여 정지 기구가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고, 슬라이더(1)를 장기에 걸쳐서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판 스프링 부재(30)에 있어서,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 및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2 기둥부(11c)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는, 각각 판 스프링 부재(30)에 형성한 제1 창부(36)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 및 제2 창부(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7a)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 규제부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부재의 설편부에, 제1 창부를 개구시키는 대신,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돌기부를 설치하고, 또한 판 스프링 부재의 기판부의 후단부에, 제2 창부를 개구시키는 대신,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2 기둥부(11c)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돌기부를 설치해 두고, 이들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를 각각 제1 규제부 및 제2 규제부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후구 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회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2)는 판 스프링 부재(40)에 개구한 제1 및 제2 창부(46, 47)의 하측 개구 테두리(46a, 47a)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의 하면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슬라이더(1)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2 및 후술하는 실시예 3 및 4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부재 및 부위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 2에 관한 슬라이더(2)는 슬라이더 몸통체(10), 슬라이더 몸통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20) 및 슬라이더 몸통체(10)에 삽입 부착하는 판 스프링 부재(40)의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판 스프링 부재(40)의 후술하는 정지 갈고리부(43)에 의한 정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 2의 판 스프링 부재(40)는 전술한 실시예 1의 판 스프링 부재(30)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종단면이 대략 C자 형상으로 굴곡한 형태를 갖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 부재(40)는 기판부(41)와, 기판부(41)의 전단부로부터 연장한 수직 하강편부(42)와, 기판부(41)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 정지 갈고리부(43)를 갖고 있다.
또한, 기판부(41)에는, 상면 창부(44)가 개구함과 함께, 이 상면 창부(44)의 후방 측 개구 테두리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하강 경사지는 설편부(45)가 연장되어 있다. 이 설편부(45)에는 제1 창부(46)가 개구하고, 또한 기판부(41)로부터 정지 갈고리부(43)에 걸쳐서 제2 창부(47)가 개구하고 있다. 동판 스프링 부재(40)에 있어서의 수직 하강편부(42)의 선단부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1 돌기부와, 후방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의 제1 창부(46)는 슬라이더(2)를 조립했을 때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에 배치한 돌출부(11f)가 헐겁게 삽입되도록, 제1 창부(46)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통로 치수가 돌출부(11f)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창부(46)의 하측 개구 테두리(46a)는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가 되는 손잡이(20)의 후방 도복 시 및 경사 각도 α가 180°가 되는 손잡이(20)의 전방 도복 시에, 제1 기둥부(11a)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창부(46)의 하측 개구 테두리(46a)는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30°≤α≤150°의 범위 내가 되는 손잡이(20)의 조작 시에 있어서, 제1 기둥부(11a)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제1 규제부로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 2의 제2 창부(47)는 슬라이더(2)를 조립했을 때 슬라이더 몸통체(10)에 배치한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가 헐겁게 삽입되도록, 제2 창부(47)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통로 치수가 제2 기둥부(11c)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창부(47)의 하측 개구 테두리(47a)는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가 되는 손잡이(20)의 후방 도복 시 및 경사 각도 α가 180°가 되는 손잡이(20)의 전방 도복 시에, 제2 기둥부(11c)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창부(47)의 하측 개구 테두리(47a)는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2 창부(37)의 하측 개구 테두리(37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서,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30°≤α≤150°의 범위 내가 되는 손잡이(20)의 조작 시에 있어서, 제1 창부(46)의 하측 개구 테두리(46a)가 제1 기둥부(11a)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제2 규제부로서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2의 슬라이더(2)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0)를 후구 측(후방)에 도복시킨 경우(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인 경우)나, 손잡이(20)를 견구 측(전방)에 도복시킨 경우(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180°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창부(46, 47)의 하측 개구 테두리(46a, 47a)가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로부터 각각 이격함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40)의 정지 갈고리부(43)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엘리먼트 안내로(15) 내로 진출한 상태로 되고, 동 슬라이더(2)의 정지 기구가 작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 2의 슬라이더(2)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0)를 후구 측 또는 견구 측에 도복시킨 상태로부터, 손잡이(20)의 피봇부(22)를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시킨 채,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중, 특히 30°≤α≤150°의 범위 내로 되도록 손잡이(20)를 기립시켜서 조작한 경우, 손잡이(20)의 피봇부(22)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40)의 기판부(41)가 동판 스프링 부재(4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정지 갈고리부(43)를 들어올려서 엘리먼트 안내로(15)로부터 퇴피하기 위해서, 엘리먼트 열에 대하여 슬라이더(2)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본 실시예 2의 슬라이더(2)에서는, 제1 및 제2 창부(46, 47)의 하측 개구 테두리(46a, 47a)를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의 하면에 동시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40)가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고, 판 스프링 부재(40)가 필요 이상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안정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슬라이더(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20)를 도복 상태로부터 기립시켰을 때, 제1 및 제2 창부(46, 47)의 하측 개구 테두리(46a, 47a)가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에 동시에 접촉하고, 판 스프링 부재(40)가 들어 올려지는 높이가 규제된다. 이로 인해,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하고, 또한 제1 및 제2 창부(46, 47)의 하측 개구 테두리(46a, 47a)가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손잡이(20)가 더 강하게 인장되어도,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판 스프링 부재(40)가 더 들어 올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판 스프링 부재(40)에 발생하는 탄성 변형(탄성 왜곡)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회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3에 관한 슬라이더(3)는 슬라이더 몸통체(10), 슬라이더 몸통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20) 및 슬라이더 몸통체(10)에 삽입 부착하는 판 스프링 부재(50)의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판 스프링 부재(50)의 후술하는 정지 갈고리부(53)에 의한 정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 3의 판 스프링 부재(50)는 기판부(51)와, 기판부(51)의 전단부로부터 연장한 수직 하강편부(52)와, 기판부(51)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 정지 갈고리부(53)를 갖고 있다. 또한, 기판부(51)에는, 상면 창부(54)가 개구함과 함께, 이 상면 창부(54)의 후방 측 개구 테두리로부터 설편부(55)가 연장되어 있다. 이 설편부(55)에는 제1 창부(56)가 개구하고, 또한 기판부(51)로부터 정지 갈고리부(53)에 걸쳐서 제2 창부(57)가 개구하고 있다. 동판 스프링 부재(50)에 있어서의 수직 하강편부(52)의 선단부 하단부에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제1 및 제2 돌기부가 배치되어 있다.
동판 스프링 부재(50)의 제1 창부(56)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통로 치수는,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에 있어서의 돌출부(11f)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제2 창부(57)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통로 치수는,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2 기둥부(11c)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판 스프링 부재(50)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창부(56, 57)의 하측 개구 테두리(56a, 57a)는,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가 되는 손잡이(20)의 후방 도복 시 및 경사 각도 α가 180°가 되는 손잡이(20)의 전방 도복 시에,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0)의 피봇부(22)를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시킨 채 손잡이(20)를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에서 조작했을 때,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로부터 각각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창부(56, 57)의 하측 개구 테두리(56a, 57a)는, 손잡이(20)가 인장되어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했을 때, 제1 및 제2 규제부로서, 제1 기둥부(11a)의 선단부(돌출부(11f))의 하면 및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 하면에 각각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3에 있어서, 제2 창부(57)의 하측 개구 테두리(57a)는 손잡이(20)가 인장되어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했을 경우에, 제1 창부(56)의 하측 개구 테두리(56a)가 제1 기둥부(11a)의 하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또는 제1 창부(56)의 하측 개구 테두리(56a)가 제1 기둥부(11a)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판 스프링 부재(30)의 기판부(31)가 손잡이(20)의 피봇부(22)에 의해 더 들어 올려졌을 때, 제2 기둥부(11c)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3의 슬라이더(3)는 손잡이(20)를 후구 측(후방) 또는 견구 측(전방)에 도복시킨 경우에는, 제1 및 제2 창부(56, 57)의 하측 개구 테두리(56a, 57a)가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로부터 각각 이격함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50)의 정지 갈고리부(53)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엘리먼트 안내로(15) 내에 진출한 상태로 되고, 동 슬라이더(3)의 정지 기구가 작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 3의 슬라이더(3)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0)를 후구 측 또는 견구 측에 도복시킨 상태로부터, 손잡이(20)의 피봇부(22)를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시킨 채, 손잡이(20)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중, 특히 30°≤α≤150°의 범위 내로 되도록 손잡이(20)를 기립시켜서 조작한 경우, 손잡이(20)의 피봇부(22)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50)의 기판부(51)가 동판 스프링 부재(4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정지 갈고리부(53)가 들어 올려져서 엘리먼트 안내로(15)로부터 퇴피하기 때문에, 엘리먼트 열에 대하여 슬라이더(2)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에서 손잡이(20)를 조작했을 때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한 채인 경우, 본 실시예 3에서는, 제1 및 제2 창부(56, 57)의 하측 개구 테두리(56a, 57a)는,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이격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손잡이(20)의 조작 시에 손잡이(20)가 강하게 인장되어 손잡이(20)의 피봇부(2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했을 경우에는, 제1 및 제2 창부(56, 57)의 하측 개구 테두리(56a, 57a)를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의 하면에 각각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50)가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규제할 수 있고, 판 스프링 부재(50)가 필요 이상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판 스프링 부재(50)가 슬라이더 몸통체(10)로부터 빗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50)의 열화를 늦춰서 정지 기구가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고, 슬라이더(3)를 장기에 걸쳐서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은, 본 실시예 4에 관한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후구 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회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손잡이를 견구 측에 도복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4에 관한 슬라이더(4)는 슬라이더 몸통체(10), 슬라이더 몸통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60) 및 슬라이더 몸통체(10)에 삽입 부착하는 판 스프링 부재(70)의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판 스프링 부재(70)의 후술하는 정지 갈고리부(73)에 의한 정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 4의 손잡이(60)는 슬라이더(4)의 조작 시에 손가락으로 따는 부분이 되는 손잡이 본체부(61)와, 손잡이 본체부(61)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단면이 캠 형상을 나타내는 피봇부(62)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4의 손잡이(60)는 손잡이 본체부(6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중심면과, 피봇부(62)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의 중심면이 다른 면 상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손잡이(60)를 슬라이더 몸통체(10)의 후구 측에 도복시켰을 때, 피봇부(62)가 손잡이 본체부(61)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치우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4의 판 스프링 부재(70)는 기판부(71)와, 기판부(71)의 전단부로부터 연장한 수직 하강편부(72)와, 기판부(71)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 정지 갈고리부(73)를 갖고 있다. 또한, 기판부(71)에는, 상면 창부(74)가 개구함과 함께, 이 상면 창부(74)의 후방 측 개구 테두리로부터 설편부(75)가 연장되어 있다. 이 설편부(75)에는 제1 창부(76)가 개구하고, 또한 기판부(71)로부터 정지 갈고리부(73)에 걸쳐서 제2 창부(77)가 개구하고 있다. 동판 스프링 부재(70)에 있어서의 수직 하강편부(72)의 선단부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1 돌기부와, 후방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72b)가 배치되어 있다.
동판 스프링 부재(70)의 제1 창부(76)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통로 치수는,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1 기둥부(11a)에 있어서의 돌출부(11f)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제2 창부(77)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통로 치수는,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제2 기둥부(11c)에 있어서의 선단부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창부(76)의 하측 개구 테두리(76a)는 손잡이(60)의 경사 각도 α가 0°가 되는 손잡이(60)의 후방 도복 시에, 제1 기둥부(11a)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손잡이(60)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30°≤α≤150°의 범위 내가 되는 손잡이(60)의 조작 시에, 제1 규제부로서 제1 기둥부(11a)의 돌출부(11f)의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4에 있어서, 손잡이(60)의 피봇부(62)가 손잡이 본체부(61)에 대하여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60)가 전방에 도복하여 경사 각도 α가 180°가 될 경우, 손잡이(60)의 피봇부(62)가 상부 블레이드판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하고, 동 피봇부(62)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70)의 기판부(71)가 들어 올려진다. 이로 인해, 제1 창부(76)의 하측 개구 테두리(76a)는 손잡이(60)의 전방 도복 시에도 제1 기둥부(11a)의 돌출부(11f)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창부(77)의 하측 개구 테두리(77a)는 경사 각도 α가 0°가 되는 손잡이(60)의 후방 도복 시에, 제2 기둥부(11c)로부터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창부(77)의 하측 개구 테두리(77a)는 손잡이(60)의 조작 시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창부(76)의 하측 개구 테두리(76a)가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판 스프링 부재(70)의 기판부(71)가 더 들어 올려져서 손잡이(60)의 피봇부(6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했을 때, 또는 경사 각도 α가 180°로 되도록 손잡이(60)가 전방에 도복했을 때, 제2 규제부로서 제2 기둥부(11c)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4의 슬라이더(4)는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손잡이(60)를 후구 측에 도복시킨 경우에는, 제1 및 제2 창부(76, 77)의 하측 개구 테두리(76a, 77a)가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로부터 각각 이격함과 함께, 판 스프링 부재(70)의 정지 갈고리부(73)가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엘리먼트 안내로(15) 내에 진출한 상태로 되고, 동 슬라이더(4)의 정지 기구가 작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 4의 슬라이더(4)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손잡이(60)를 후구 측에 도복시킨 상태로부터, 손잡이(60)의 피봇부(62)를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시킨 채, 손잡이(60)의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중, 특히 30°≤α≤150°의 범위 내로 되도록 손잡이(60)를 기립시켜서 조작한 경우, 손잡이(60)의 피봇부(62)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70)의 기판부(71)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정지 갈고리부(73)가 들어 올려져서 엘리먼트 안내로(15)로부터 퇴피하기 때문에, 엘리먼트 열에 대하여 슬라이더(4)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손잡이(60)의 피봇부(62)를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시킨 채,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중, 특히 30°≤α≤150°의 범위 내에서 손잡이(60)가 조작된 경우, 본 실시예 4의 슬라이더(4)에서는, 제1 창부(76)의 하측 개구 테두리(76a)를 제1 기둥부(11a)의 하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판 스프링 부재(70)가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규제하고, 판 스프링 부재(70)(특히 판 스프링 부재(70)의 만곡 부분)의 탄성 왜곡이 과잉으로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 4에서는, 손잡이(60)의 피봇부(6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을 경우, 판 스프링 부재(70)에 있어서의 제2 창부(77)의 하측 개구 테두리(77a)는 제2 기둥부(11c)의 하면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 4의 슬라이더(4)에서는, 손잡이(60)의 피봇부(6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접촉하고, 또한 판 스프링 부재(70)에 있어서의 제1 창부(76)의 하측 개구 테두리(76a)가 제1 기둥부(11a)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손잡이(60)가 더 강하게 인장되는 것에 의해, 도 12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 같이 손잡이(60)의 피봇부(62)가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 4의 슬라이더(4)에서는, 제1 창부(76)의 하측 개구 테두리(76a)가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한 채, 제2 창부(77)의 하측 개구 테두리(77a)를 제2 기둥부(11c)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70)가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고, 판 스프링 부재(70)의 전체가 필요 이상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4의 슬라이더(4)에서는, 손잡이(60)를 전방으로 도복시킨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60)의 피봇부(62)가 상부 블레이드판의 상면으로부터 이격하고, 동 피봇부(62)에 의해 판 스프링 부재(70)의 기판부(71)가 들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정지 갈고리부(73)가 들어 올려져서 엘리먼트 안내로(15)로부터 퇴피하기 때문에, 슬라이더(4)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제1 및 제2 창부(76, 77)의 하측 개구 테두리(76a, 77a)가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에 각각 접촉하고, 판 스프링 부재(70)가 들어 올려지는 높이를 규제하고, 판 스프링 부재(70)의 전체가 필요 이상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 슬라이더
2 슬라이더
3 슬라이더
4 슬라이더
10 슬라이더 몸통체
11 상부 블레이드판
11a 제1 기둥부
11b 지지대부
11c 제2 기둥부
11d 삽입 구멍
11e 갈고리 구멍
11f 돌출부
11g 접촉부
12 하부 블레이드판
13 안내 기둥
14 플랜지부
15 엘리먼트 안내로
16 전단부 홈부
16a 제1 걸림부
16b 제2 걸림부
16c 하벽부
20 손잡이
21 손잡이 본체부
22 피봇부
30 판 스프링 부재
31 기판부
32 수직 하강편부
32a 제1 돌기부
32b 제2 돌기부
33 정지 갈고리부
34 상면 창부
35 설편부
36 제1 창부
36a 하측 개구 테두리
37 제2 창부
37a 하측 개구 테두리
40 판 스프링 부재
41 기판부
42 수직 하강편부
42b 제2 돌기부
43 정지 갈고리부
44 상면 창부
45 설편부
46 제1 창부
46a 하측 개구 테두리
47 제2 창부
47a 하측 개구 테두리
50 판 스프링 부재
51 기판부
52 수직 하강편부
53 정지 갈고리부
54 상면 창부
55 설편부
56 제1 창부
56a 하측 개구 테두리
57 제2 창부
57a 하측 개구 테두리
60 손잡이
61 손잡이 본체부
62 피봇부
70 판 스프링 부재
71 기판부
72 수직 하강편부
72b 제2 돌기부
73 정지 갈고리부
74 상면 창부
75 설편부
76 제1 창부
76a 하측 개구 테두리
77 제2 창부
77a 하측 개구 테두리

Claims (7)

  1. 상하 블레이드판(11, 12)의 전단부가 안내 기둥(13)에 의해 연결된 슬라이더 몸통체(10)와, 피봇부(22, 62)를 갖는 손잡이(20, 60)와, 굴곡한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블레이드판(11)은 상기 슬라이더 몸통체(10)의 후구 측에 형성된 갈고리 구멍(11e)과, 상기 갈고리 구멍(11e)보다 전방 측에서 기립하는 제1 기둥부(11a)와, 상기 제1 기둥부(11a)보다 후방 측에서 기립하는 제2 기둥부(11c)를 갖고,
    상기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는 상기 손잡이(20, 60)의 상기 피봇부(22, 62)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기판부(31, 41, 51, 71)와, 상기 기판부(31, 41, 51, 71)의 후단부로부터 연장한 정지 갈고리부(33, 43, 53, 73)와, 상기 기판부(31, 41, 51, 7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설편부(35, 45, 55, 75)를 갖고, 또한 상기 손잡이(20, 6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정지 갈고리부(33, 43, 53, 73)를 상기 슬라이더 몸통체(10)의 엘리먼트 안내로(15)에 삽입 인발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 몸통체(10)에 삽입 부착한 정지 기구 부착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1, 2, 3, 4)이며,
    상기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는 상기 설편부(35, 45, 55, 75)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1 규제부와, 상기 기판부(31, 41, 51, 71)의 상기 설편부(35, 45, 55, 75)보다 상기 정지 갈고리부(33, 43, 53, 73) 측에 배치되고, 제2 기둥부(11c)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제2 규제부를 갖고,
    상기 손잡이(20, 60)의 후방 도복 시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블레이드판(11)의 상면에 대한 상기 손잡이(20, 60)의 경사 각도 α를 0°로 했을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규제부는, 상기 경사 각도 α가 0°인 때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로부터 각각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규제부는, 상기 손잡이(20, 60)의 상기 경사 각도 α가 0°<α<180°의 범위 내에 있을 때 또는 상기 손잡이(20, 60)의 상기 피봇부(22, 62)가 상기 상부 블레이드판(11)으로부터 이격 상태일 때, 상기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해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손잡이(20, 60)가 조작되어, 상기 제1 규제부가 상기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부터 상기 판 스프링 부재(30, 50, 70)의 상기 기판부(31, 51, 71)가 더 들어 올려졌을 때, 상기 제2 기둥부(11c)에 접촉해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제부는, 상기 손잡이(20, 60)가 조작되어, 상기 제1 규제부가 상기 제1 기둥부(11a)에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기둥부(11c)에 접촉해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관계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의 선단부는 굴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설편부(35, 45, 55, 75)에 제1 창부(36, 46, 56, 76)가 개구하고, 상기 기판부(31, 41, 51, 71)의 상기 설편부(35, 45, 55, 75)보다도 상기 정지 갈고리부(33, 43, 53, 73) 측으로 제2 창부(37, 47, 57, 77)가 개구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11a, 11c)의 선단부는, 상기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의 상기 제1 및 제2 창부(36, 37, 46, 47, 56, 57, 76, 77)에 각각 헐겁게 삽입되고,
    상기 제1 및 제2 규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창부(36, 37, 46, 47, 56, 57, 76, 77)의 하측 개구 테두리(36a, 37a, 46a, 47a, 56a, 57a, 76a, 77a)에 의해 각각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는 내력이 1500N 이상인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는 경도가 430Hv 이상 500 Hv 이하인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부재(30, 40, 50, 70)는 1.005 이하의 투자율을 갖고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20137005980A 2010-09-10 2010-09-10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1390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5645 WO2012032657A1 (ja) 2010-09-10 2010-09-10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049A KR20130058049A (ko) 2013-06-03
KR101390638B1 true KR101390638B1 (ko) 2014-04-29

Family

ID=4581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980A KR101390638B1 (ko) 2010-09-10 2010-09-10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782857B2 (ko)
EP (2) EP2614743B1 (ko)
JP (1) JP5826757B2 (ko)
KR (1) KR101390638B1 (ko)
CN (1) CN103096749B (ko)
BR (1) BR112013005758B1 (ko)
ES (2) ES2761338T3 (ko)
HK (1) HK1180194A1 (ko)
MX (1) MX2013002702A (ko)
TW (1) TWI477241B (ko)
WO (1) WO20120326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712A (ko) * 2017-11-15 2019-05-23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지퍼 헤드 구조 및 지퍼 헤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2921B2 (en) * 2007-10-31 2015-07-14 Cree, Inc. Multi-die LED package
US9172012B2 (en) 2007-10-31 2015-10-27 Cree, Inc. Multi-chip light emitter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US9666762B2 (en) 2007-10-31 2017-05-30 Cree, Inc. Multi-chip light emitter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US8805458B2 (en) * 2011-05-03 2014-08-12 Blackberry Limited Battery retention system
US9271548B2 (en) * 2011-06-17 2016-03-01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r fasteners
JP6125013B2 (ja) * 2013-07-11 2017-05-10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TWM512945U (zh) * 2015-07-03 2015-12-01 Lung Chou Ind Co Ltd 拉鏈頭結構
US10064456B2 (en) * 2015-07-03 2018-09-04 Chung Chwan Enterprise Co., Ltd. Zip slider structure
CN106037165A (zh) * 2016-07-15 2016-10-26 张玉琢 一种拉链头
TWI679948B (zh) * 2017-08-07 2019-12-2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鍊頭組合結構及其彈性件
CN108652142B (zh) 2018-06-15 2020-10-27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拉头及一种拉链
CN108720185A (zh) * 2018-07-18 2018-11-02 广东海华拉链有限公司 自锁拉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547Y1 (ko) * 1978-04-12 1981-12-29 요시다 다다오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2002010808A (ja) * 2000-06-30 2002-01-15 Ykk Corp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4344310A (ja) * 2003-05-21 2004-12-09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5176910A (ja) * 2003-12-16 2005-07-07 Ykk Corp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8542A (en) * 1960-10-27 1962-12-18 Scovill Manufacturing Co Three-piece spring locking slider
US3287780A (en) * 1965-03-15 1966-11-29 Star Fasteners Of Canada Ltd Automatic locking slider for slide fastener
JPS471872Y1 (ko) * 1970-06-17 1972-01-22
JPS5724130B1 (ko) * 1981-02-25 1982-05-22
JPH0768584B2 (ja) 1986-06-09 1995-07-26 日新製鋼株式会社 ばね特性に優れたばね用ステンレス鋼材の製造方法
JPH0757204B2 (ja) * 1986-07-04 1995-06-2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停止装置付きスライダーを有する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5031286A (en) 1990-08-29 1991-07-16 Talon, Inc. Slider for a slide fastener
JP3369059B2 (ja) 1996-09-30 2003-01-2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3714534B2 (ja) 2001-04-23 2005-11-09 Ykk株式会社 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6588072B1 (en) * 2001-12-31 2003-07-08 Yu-Pau Lin Zipper slide
JP3947679B2 (ja) 2002-03-25 2007-07-25 Ykk株式会社 検針器対応ステンレス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並びにボタン
JP2008161246A (ja) 2006-12-27 2008-07-17 Ykk Corp ばね性を備えた部材及びこれを使用した製品
US8567019B2 (en) * 2011-04-18 2013-10-29 Ykk Corporation Of America Semi-automatic sli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547Y1 (ko) * 1978-04-12 1981-12-29 요시다 다다오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2002010808A (ja) * 2000-06-30 2002-01-15 Ykk Corp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4344310A (ja) * 2003-05-21 2004-12-09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05176910A (ja) * 2003-12-16 2005-07-07 Ykk Corp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712A (ko) * 2017-11-15 2019-05-23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지퍼 헤드 구조 및 지퍼 헤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0340B1 (ko) * 2017-11-15 2019-08-13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지퍼 헤드 구조 및 지퍼 헤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2657A1 (ja) 2012-03-15
EP3287033B1 (en) 2019-11-27
EP2614743B1 (en) 2017-11-29
HK1180194A1 (en) 2013-10-18
TW201210525A (en) 2012-03-16
KR20130058049A (ko) 2013-06-03
TWI477241B (zh) 2015-03-21
JPWO2012032657A1 (ja) 2013-12-12
US8782857B2 (en) 2014-07-22
ES2761338T3 (es) 2020-05-19
EP2614743A4 (en) 2015-05-20
ES2656074T3 (es) 2018-02-23
CN103096749B (zh) 2015-09-09
EP2614743A1 (en) 2013-07-17
CN103096749A (zh) 2013-05-08
MX2013002702A (es) 2013-05-22
EP3287033A1 (en) 2018-02-28
BR112013005758A2 (pt) 2016-09-27
US20130160248A1 (en) 2013-06-27
JP5826757B2 (ja) 2015-12-02
BR112013005758B1 (pt)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638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1065917B1 (ko) 슬라이드 파스너
EP2904922B1 (en) Slide fastener
WO2009133617A1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P2517594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EP1925225A1 (en) Slider for hidden slide fastener
US8806725B2 (en) Slide fastener
EP2698073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20140041163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CN107280150A (zh) 拉链用拉头组件及拉链
US9661901B2 (en) Slider and handling tool for slider
EP3777598B1 (en) Slider and slide fastener with same
EP2737817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CN110944540B (zh) 滑动拉链的拉头
WO2022091268A1 (ja)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CN110740658B (zh) 拉链用拉头的主体和拉头
CN114641219A (zh) 拉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