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596B1 -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596B1
KR101390596B1 KR1020130085937A KR20130085937A KR101390596B1 KR 101390596 B1 KR101390596 B1 KR 101390596B1 KR 1020130085937 A KR1020130085937 A KR 1020130085937A KR 20130085937 A KR20130085937 A KR 20130085937A KR 101390596 B1 KR101390596 B1 KR 10139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edestal
droplet
container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남
Original Assignee
윤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남 filed Critical 윤남
Priority to KR102013008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reformed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용기 제조방법은, 방울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음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방울체가 수용되는 방울체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를 받치는 받침대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용기 본체와 받침대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 상기 용기 본체를 덤벙시유하고, 상기 받침대의 방울체 수용부를 제외한 받침대의 나머지 영역을 시유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의 방울체 수용부에 방울체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방울체 수용부를 밀폐하며,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재벌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CERAMIC VESS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흔들 때 마다 소리를 발생하는 방울체를 내장한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료나 술과 같은 음용물을 담아 마시기 위해서는, 상부가 개방되고, 음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오목한 형태를 갖는 용기를 사용한다.
종래의 용기는 기본적인 구조가 거의 비슷한 상태에서 외형이나 색상, 재질만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용기는 시대적 변화와 생활용기의 변화로 인하여 유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근래에는 웰빙의 추구와 더불어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한편, 용기의 내부에 방울을 내장하여, 용기에 술이나 음료 등을 담아서 건배할 때에 방울이 용기와 함께 흔들리면서 소리를 내어, 흥을 돋구어 술이나 음료 등을 마시는 분위기를 좋게 하도록 즐거움을 고취시키는 용기, 일명 영부배(방울잔)가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방울이 구비된 도자 물품에 대한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1133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방울이 구비된 도자 물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용기에 형성된 소리울림공간부에 방울을 투입하여 용기를 성형한 후, 용기를 소성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개시된 방울이 구비된 도자 물품의 경우, 방울을 수용하는 소리울림공간부가 소리방출공에 의해 외부와 관통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울이 구비된 도자 물품의 경우, 방울이 수용되는 소리울림공간부가 소리방출공에 의해 외부와 관통되어 있어, 도자 물품의 세척시 소리울림공간부의 세척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소리울림공간부로 유입된 세척수의 건조 또한 용이하지 않아 소리울림공간부에 물때가 발생하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하고, 외부로부터 소리울림공간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가 있어, 사용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113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흥미를 유발하여 즐거움을 고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울체를 마련하는 단계; 음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방울체가 수용되는 방울체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를 받치는 받침대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용기 본체와 받침대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 상기 용기 본체를 덤벙시유하고, 상기 받침대의 방울체 수용부를 제외한 받침대의 나머지 영역을 시유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의 방울체 수용부에 방울체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방울체 수용부를 밀폐하며,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재벌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울체가 상기 방울체 수용부에 수용되기에 앞서, 상기 방울체에 알루미나 가루와 물이 혼합된 내화성 피복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화성 피복물은 상기 알루미나 가루 5중량%와 상기 물 95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정형된 용기 본체와 받침대를 초벌 소성하기에 앞서, 상기 건조된 용기 본체와 받침대를 정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울체는 1260℃ 이상에서 소성될 수 있다.
상기 초벌 소성은 800∼900℃에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재벌 소성은 1260℃에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대의 방울체 수용부에 방울체를 수용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울체는 상기 방울체 수용부에서 유동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도자기 용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울체 수용부를 형성하는 받침대가 방울체 수용부를 밀폐하며 용기 본체에 결합됨으로써, 받침대에 수용된 방울체에 의해 흥미를 유발하여 즐거움을 고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울체 수용부로 세척수 및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가 없어 세척이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와 받침대가 유약에 의해 접합되므로, 용기 본체와 받침대의 색 표현이 다양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용기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1)는 술잔 형상을 가지며, 음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0)와, 소리를 발생하는 방울체(30)를 수용하며 용기 본체(10)를 받치는 받침대(2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일측이 개구된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진다. 용기 본체(10)는 음용물을 수용하는 일정 체적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수용 공간으로 음용물이 출입하는 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입구(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13)는 받침대(20)에 지지되도록 용기 본체(10)의 입구(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연장되어 있다. 용기 본체(10)는 입구(11)를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형상, 예를 들면 입구(11)를 향할수록 용기 본체(10)의 내경 및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용기 본체(10)는 원형단면의 통 형상을 갖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용기 본체(10)는 다각형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대(20)는 일측이 개구된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지며, 용기 본체(10)를 받친다. 받침대(20)는 방울체(30)를 수용하는 방울체 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울체 수용부(23)는 용기 본체(10)를 전체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받침대(20)의 내측 바닥면과 용기 본체(10)의 외측 바닥면 사이에 방울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체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받침대(20)는 용기 본체(1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원형단면의 통 형상을 갖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받침대(20)는 다각형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대(20)는 용기 본체(10)와 마찬가지로 받침대(20)의 개구(21)를 향할수록 내경 및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받침대(20)의 개구(21) 둘레에는 용기 본체(10)의 플랜지(13)가 지지되며,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가 끼움 결합되어 용기 본체(10)는 받침대(20)에 수용되고, 용기 본체(10)의 외측 바닥면과 받침대(20)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방울체(30)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10)가 받침대(20)의 방울체 수용부(23)에 전체적으로 수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 본체(10)의 하단부만 받침대(20)의 방울체 수용부(23)에 수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용기 본체(10) 및 받침대(20)는 주입 성형 또는 압출 성형 등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용기 본체(10) 및 받침대(20)의 외면에는 다양한 문양을 그리거가 조각한 후, 초벌 소성, 재벌 소성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완성한다.
한편, 받침대(20)의 방울체 수용부(23)에 수용되는 방울체(30)는 방울 또는 구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울체(30)는 초벌 소성 및 재벌 소성시 열화하지 않도록 1260℃ 이상에서 소성 처리하여, 방울체 수용부(23)에 수용된다. 또한, 방울체(30)는 방울체 수용부(23)에서 유동가능하도록 적정한 양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1)는 내부에 방울체(30)가 수용된 술잔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1‘)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용기 본체(10)의 하단부에 단차를 갖는 턱(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대(20)의 개구(21) 둘레에는 용기 본체(10)의 턱(15)이 지지되고, 또한 용기 본체(10)의 하단부가 받침대(20)와 끼움 결합되며, 용기 본체(10)의 외측 바닥면과 받침대(20)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방울체(30)가 수용된다.
또한, 용기 본체(10)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용기(1‘)는 내부에 방울체(30)가 수용된 머그 컵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에 설명한다.
먼저, 소리를 발생하는 방울체(30)를 마련한다(S10). 방울체(30)는 1260℃ 이상에서 소성 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울체(30)를 1260℃ 이상에서 소성 처리하는 이유는, 도자기 용기의 주 재료인 흙은 초벌 소성 및 재벌 소성 과정에서 흙에 함유된 다량의 수분과 불순물의 가스가 배출되게 되는데, 흙 상태의 방울체(30)가 받침대(20)의 방울체 수용부(23)와 같이 소성했을 때 다른 물질의 배출로 매끄럽지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또한, 이미 재벌 소성되어진 방울체(30)가 받침대(20)의 방울체 수용부(23)에 수용되어 다시 한 번 재벌 소성을 거치게 되면, 방울체(30)가 다시 한 번 소결이 되어 더욱 더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에 의해, 방울체(30)가 받침대(20)를 치며 내는 소리에 영향을 주게 된다.
다음, 도자기재로 이루어진 반죽을 사용하여, 음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0)를 성형한다(S20).
그리고, 도자기재로 이루어진 반죽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10)를 받치는 받침대(20)를 성형한다(S30). 이 때, 받침대(20)에 방울체(30)가 수용되는 방울체 수용부(23)를 형성한다.
여기서, 방울체(30)를 마련하는 단계와, 용기 본체(10)의 성형 단계와, 받침대(20)의 성형 단계는 그 순서를 달리할 수 있다.
이어서,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를 일정 시간동안 건조한다(S40). 이 때,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는 자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의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된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를 각각 정형하여 깔끔하게 다듬는다(S50).
그리고, 정형된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를 초벌 소성한다(S60). 초벌 소성은 800∼900℃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용기 본체(10)를 덤벙시유하고, 받침대(20)의 방울체 수용부(23)를 제외한 받침대(20)의 나머지 영역을 시유한다(S70). 이 때,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는 동일한 색상으로 시유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으로 시유할 수 있다. 한편, 받침대(20)의 방울체 수용부(23)를 제외한 받침대(20)의 나머지 영역을 시유하는 이유는, 방울체 수용부(23)에 유약이 도포되어 있으면, 후술할 재벌 소성시 방울체 수용부(23)에 수용되는 방울체(30)가 방울체 수용부(23)에 융착하게 되어 방울체(30)가 방울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알루미나 가루와 물을 혼합한 내화성 피복물을 방울체(30)에 도포한다(S80). 여기서, 내화성 피복물은 재벌 소성온도보다 융점이 높은 알루미나 가루 5중량%와 물 95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알루미나 가루 함유량이 5중량%를 초과하면, 방울체(30)에 도포되는 알루미나 가루의 양이 너무 많아져 소리가 둔탁해지게 된다.
그리고, 내화성 피복물이 도포된 방울체(30)를 받침대(20)의 방울체 수용부(23)에 수용한다(S90). 이 때, 방울체(30)가 방울체 수용부(23)에서 유동가능하도록 적정한 수량의 방울체(30)를 방울체 수용부(23)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방울체 수용부(23)를 밀폐하며,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를 결합한다(S100). 이 때, 받침대(20)는 용기 본체(10)와 끼움 결합하여, 방울체 수용부(23)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를 재벌 소성한다(S110). 재벌 소성은 1260℃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용기 본체(10)와 받침대(20)가 유약에 의해 접합됨에 따라 방울체 수용부(23)는 완전 밀폐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방울체(30)를 수용한 술잔, 머그 컵 형상의 도자기 용기 이외에 술병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 및 형상을 갖는 도자기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소리에 민감한 영유아 및 아동용 식기 제품과, 방울체(30)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맑은 음에서 둔탁한 음까지 구현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울체 수용부를 형성하는 받침대가 방울체 수용부를 밀폐하며 용기 본체에 결합됨으로써, 받침대에 수용된 방울체에 의해 흥미를 유발하여 즐거움을 고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방울체 수용부로 세척수 및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가 없어 세척이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용기의 제조 공정에서 용기 본체와 받침대는 물레 성형하지 않고 주입 성형 또는 압출 성형이 가능하므로, 제품 생산의 자동화가 용이하여 대량 생산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받침대가 종래와 같이 흙 물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아니라 유약으로 접합하므로 방울체 수용부가 완전 밀폐되어, 받침대를 타공할 필요가 없어 위생적이고, 용기 본체와 받침대의 색 표현이 다양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 : 도자기 용기 10 : 용기 본체
11 : 입구 13 : 플랜지
15 : 턱 17 : 손잡이
20 : 받침대 21 : 개구
23 : 방울체 수용부 30 : 방울체

Claims (10)

  1. 방울체를 마련하는 단계;
    음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방울체가 수용되는 방울체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를 받치는 받침대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용기 본체와 받침대를 초벌 소성하는 단계;
    상기 용기 본체를 덤벙시유하고, 상기 받침대의 방울체 수용부를 제외한 받침대의 나머지 영역을 시유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의 방울체 수용부에 방울체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방울체 수용부를 밀폐하며,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가 유약으로 접합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재벌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울체가 상기 방울체 수용부에 수용되기에 앞서, 상기 방울체에 알루미나 가루와 물이 혼합된 내화성 피복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피복물은 상기 알루미나 가루 5중량%와 상기 물 95중량%로 혼합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용기 본체와 받침대를 초벌 소성하기에 앞서, 상기 건조된 용기 본체와 받침대를 정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울체는 1260℃ 이상에서 소성된,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 소성은 800∼900℃에서 행해지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벌 소성은 1260℃에서 행해지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방울체 수용부에 방울체를 수용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울체는 상기 방울체 수용부에서 유동가능하도록 수용되는, 도자기 용기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도자기 용기.
KR1020130085937A 2013-07-22 2013-07-22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9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937A KR101390596B1 (ko) 2013-07-22 2013-07-22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937A KR101390596B1 (ko) 2013-07-22 2013-07-22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596B1 true KR101390596B1 (ko) 2014-04-30

Family

ID=5065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937A KR101390596B1 (ko) 2013-07-22 2013-07-22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5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901U (ko) * 1998-06-18 1998-10-07 이종관 소리나는 컵
KR20050011332A (ko) * 2003-07-22 2005-01-29 박종훈 방울이 구비된 도자 물품의 제조방법
KR100822883B1 (ko) 2006-10-19 2008-04-17 (주)서화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KR20110011741U (ko) * 2010-06-15 2011-12-21 이묘인 술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901U (ko) * 1998-06-18 1998-10-07 이종관 소리나는 컵
KR20050011332A (ko) * 2003-07-22 2005-01-29 박종훈 방울이 구비된 도자 물품의 제조방법
KR100822883B1 (ko) 2006-10-19 2008-04-17 (주)서화 방울 도자잔의 제조방법
KR20110011741U (ko) * 2010-06-15 2011-12-21 이묘인 술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325B1 (ko) 단일-부분 패키지, 사용 및 조제 기계
US20220312805A1 (en) Proc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edible and/or biodegradable articles
KR100943253B1 (ko) 창문투시효과를 갖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90596B1 (ko) 도자기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4834023A (zh) 一种天气预报瓶及其制作方法
RO127478A0 (ro) Castron pentru cereale
KR101723462B1 (ko) 용기형상의 쿠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쿠키
KR101958144B1 (ko) 도예토 또는 점토를 이용한 3중 벽면체 기능성 도자기 제조방법
CN209436790U (zh) 一种吸盘碗
US20100213203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KR101092559B1 (ko) 창문투시효과를 갖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6331A (ko) 전자렌지 전용 세라믹 용기
KR101619509B1 (ko) 차 패키지
KR101785971B1 (ko) 도넛 모양팁과 이를 이용한 마카롱의 제조 방법
US20180028411A1 (en) Baby Food Canteen
CN216416977U (zh) 一种减震防摔型陶瓷椒盐瓶
CN206900877U (zh) 一种液体包装瓶
RU134770U1 (ru) Средство сервировки стола
JP3151586U (ja) チューブ状蜂蜜容器支持具
KR20230001034U (ko) 손잡이가 교착된 식용 피복재
KR200410274Y1 (ko) 칫솔 장착형 캔디
CN105725877A (zh) 一种液体调料盒
CN105902105A (zh) 沙拉杯
RU103097U1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двух компонентов
JP3107652U (ja) 包装済みコンニャク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