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222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222B1
KR101390222B1 KR1020120087680A KR20120087680A KR101390222B1 KR 101390222 B1 KR101390222 B1 KR 101390222B1 KR 1020120087680 A KR1020120087680 A KR 1020120087680A KR 20120087680 A KR20120087680 A KR 20120087680A KR 101390222 B1 KR101390222 B1 KR 10139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ilm
display device
fr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339A (ko
Inventor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이디 에비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이디 에비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이디 에비뉴
Priority to KR102012008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2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6External wall display means; Facade advertis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광 생성모듈과, 디자인이 인쇄된 광 투과성 제1 필름과, 제1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어 일부의 광 투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 상기 광 생성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광하는 제2 필름을 포함하여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패널부, 그리고 광 생성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외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실내외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엘이디 기술이 도입되면서, 심미감과 생동감 또는 역동성을 강조하는 제품으로 거듭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간판 공해'로도 회자되듯이 디스플레이 장치들로부터 초래되는 문제점들이 적지 않게 지적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간판의 설치 위치 및 크기, 심지어 폰트까지 규제하는 조치가 시행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도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는 사항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근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진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평상시에는 주변 환경, 예컨대 건물의 외장재와 유사한 디자인의 패널을 통해 주변환경과 시각적으로 일치 혹은 조화를 이루다가 문구 및 도형을 포함한 광고 디자인이 패널에 자연스레 엠베딩(embedding) 형태로 출력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문제에 주목했다.
"광고용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있으면서 없어야 한다."
상기한 기술적 문제는 발명적 문제 해결 이론, 트리즈(TRIZ)에서 말하는 물리적 모순(physical contradiction)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물리적으로 없어야 하지만, 광고를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정의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트리즈에 예시된 물리적 모순의 해결 원리 중 "시간에 의한 분리(separation in time)"를, 그리고 40가지 원리(40 principles) 중 "포개기(nesting)"에 주목하여 청구범위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창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광 생성모듈과,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패널부와, 광 생성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패널은, 디자인이 인쇄된 광 투과성 제1 필름과, 제1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어 일부의 광 투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 광 생성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광하는 제2 필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필름에 인쇄된 디자인은 프레임이 설치되는 대상체의 면을 모사한 디자인, 또는 대상체의 면을 모사한 사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필름에 형성된 광 투과 영역은 문자열, 도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광 생성모듈은 복수개의 엘이디로 이루어지는 배열판을 포함하며, 제어부는 이들 복수개의 엘이디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이 설치되는 대상체 내에 매설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프레이 장치의 패널은 대상체의 면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대상체는 건물의 외벽 또는 건물 실내의 내벽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건물의 외벽 또는 건물 실내의 내벽에 매립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 생성모듈과,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패널부를 포함한다. 이 패널부는 외벽 또는 내벽을 모사한 디자인이 인쇄된 광 투과성 제1 필름과, 상기 제1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어 일부의 광 투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 상기 광 생성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광하는 제2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대상체와 시각적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소정의 광고 디자인을 패널에 출력한다. 따라서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는 바와 같은 대상체 혹은 주변환경과의 시각적 이질감이 최소화되고, 나아가 한 차원 높은 광고 기법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 등에서 도형 및/또는 문구를 포함한 광고 디자인이 엠베딩되어 출력되므로, 광고에 노출되는 자(이하, "광고 노출자"라 한다)들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광고를 보게 된다. 따라서 광고 노출자들의 시선 및 관심을 복합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름을 예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름을 예시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성 보호판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생성모듈의 배열판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필름에 출력된 광고 디자인을 예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광고 디자인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레임(110), 패널부(120), 광 생성모듈(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패널부(120), 광 생성모듈(130) 및 제어부(140)를 지지(supporting) 및 수용(containing)한다. 도면에 예시된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정방형을 취하고 있으나, 축자 그대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 본 실시예를 비롯한 본 발명의 프레임(110)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실시될 수 있다.
패널부(120)는 프레임(110)의 전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상기 패널부(120)는 제1 필름(122)과 제2 필름(124)을 포함한다. 제1 필름(122)은 광 투과 속성(혹은 광 투광성)을 가진 필름이다. 제1 필름(122)은 인쇄된 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소정의 디자인'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되는 대상체(건물 외벽, 건물 실내 내벽 등)의 면(surface)을 모사한 디자인이다. 이것은 대상체의 면을 촬영한 사진을 제1 필름(122)에 인쇄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대상체의 면을 '모사'하기 위한 최선의 방편은 대상체를 촬영한 결과물, 즉 사진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필름(122)에 인쇄된 디자인이 비단 촬영에 의한 사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대상체의 면에 대한 모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필름(122)의 전면이 예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되는 대상체는 건물이고 소정의 질감, 예컨대 '대리석' 질감을 가지는 외벽을 가지고 있다. 제1 필름(122)에는 상기 대상체의 외벽과 흡사한 디자인(대리석 질감을 자아내는 디자인으로 이해해도 좋다)이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상체에 설치되면, 대상체의 외벽과 시각적으로 일체감을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필름(122)이 시각적으로는 언뜻 상기 대상체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이는 본 발명이 의도한 시각 기반의 기술적 사항 중 하나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기술 용어, '질감(texture)'은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시각적 질감(optical texture)이고, 또 하나는 물리적 질감(physical texture)이다. 전자는 축자 그대로 시각적으로 느끼는 질감을 의미하며, 후자는 인간의 촉감을 통해 물리적으로 느끼는 질감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제1 필름(122)에 포함된 다자인은 대상체의 면에 대한 '시각적 질감'을 모사한 것으로 이해해도 좋다.
한편, 제2 필름(124)은 상기한 제1 필름(122)의 배면에 배치되어 일부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 빛의 투과를 차단 또는 차광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상기 '일부의 영역'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영역(이하, '광 투과 영역'이라 한다)이다.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광 투과 영역은 부재번호 24A로, 그리고 광 투과 영역을 제외한 영역(차광 영역)은 부재번호 24B로 지칭된다. 제2 필름(124)에 형성된 광 투과 영역(24A)은 문자열과 도형, 그리고 이들의 조합을 가지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광 투과 영역(24A)은 단순히 직방형 또는 장방형의 윈도우(W)로도 설정될 수 있다(도 5 참조). 물론, 본 발명이 윈도우의 크기 및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광 투과 영역(24A)이 윈도우인 경우에는 광 생성모듈(130)에 대한 제어 측면의 설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1 필름(122) 및 제2 필름(124)은 서로 밀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필름(124)이 제1 필름(122)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해해도 좋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널부(120)는 광 투과성 보호판(126)을 더 구성할 수 있다. 광 투과성 보호판(126)은 제1 필름(122)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제1 필름(122)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광 투과성 보호판(126)은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되는 대상체의 면의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그 표면은 무반사 코팅(anti-glare coating) 등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광 투과성 보호판(126)의 표면은 앞서 정의한 '물리적 질감'을 자아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의 면이 소정의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가지고 있다면, 광 투과성 보호판(126)의 표면은 대상체의 면과 유사한 거칠기를 갖도록 처리 또는 가공될 수 있다. 도 6은 광 투과성 보호판(126)에 소정의 거칠기(26A)가 형성되어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거칠기의 정도는 제2 필름(124)의 광 투과 영역(24A)과 이에 대응하는 제1 필름(122)의 영역을 통해 투과되는 빛의 산란 혹은 난반사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한 빛의 산란 문제는, 도 7과 같이 광 투과 영역(24A)에 대응하는 광 투과성 보호판(126)의 영역(26B)에 대해 그 표면처리를 배제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광 생성모듈(130)은 프레임(110) 내부에 배치되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2 필름(124)의 광 투과 영역(24A)과 이에 대응 제1 필름(122)으로 빛을 조사한다. 광 생성모듈(13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엘이디가 N×M의 크기로 배열된 배열판(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열판(132)을 구성하는 엘이디는 RGB(red, green, blue)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색상을 출력할 수 있는 칩(chip) 형태의 패키지 타입(package type)이 이용될 수 있다. 배열판(132)의 크기는 광 투과 영역(24A)을 포함할 수 있을 정도면 족하지만, 광 투과 영역(24A)보다 커도 무방하다. 이는 제어부(140)를 통해 상기 광 투과 영역(24A)에 대응하는 배열판(132)의 엘이디들이 선택적으로 활성화(enable)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에는 배열판(132)을 구성하는 엘이디들의 선택적 활성화가 예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엘이디들은 문자열 "PATENT"를 이루도록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열판(132)의 크기를 크게 설정하는 것에 제약되지 않지만, 제2 필름(124)의 교체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배열판(132)의 크기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광 투과 영역(24A)이 문자열과 도형, 이들의 조합을 가지는 형상으로 설정되고(광 투과 영역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 형태여도 좋다), 추후 이에 대한 변경이 요구될 경우, 제2 필름(124)만을 교체하면 된다. 상기한 선택적 엘이디 활성화와 작용효과(재사용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자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68914호(발명의 명칭: "재사용 가능한 절전형 엘이디 간판")에 개시되어 있다.
제어부(140)는 상술한 광 생성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광 생성모듈(130)이 배열판(132)인 경우에는, 배열판(132)을 구성하는 엘이디들 각각의 발광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발광 동작'은 시간에 따른 점멸 변화, 색상 변화 및 세기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술용어이다.
도 9는 상기 광 생성모듈(130)의 발광 동작에 의해 문자열("PATENT")이 출력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문자열은 대리석이 디자인이 인쇄된 제1 필름(122) 상에 엠베딩(embedding) 또는 포개진(nested) 상태로 출력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발광 동작 전(도 3)과 후(도 8)를 바라보는 광노 노출자는 마치 대리석에서 문자열이 자연스레 팝업(pop-up)되는 느낌을 받게 된다. 참고로, 제어부(140)는 광 생성모듈(130)에 대한 발광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보다 복합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본 발명자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6185호(발명의 명칭: "키네틱 제어에 기반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및 이를 위한 키네틱 제어방법")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치 형태에 따라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대상체에 대해 돌출되는 형태이고, 또 하나는 돌출되지 않는 형태이다. 편의상 전자의 형태를 '일반형', 후자의 형태를 '매립형'이라 한다.
'일반형'을 예시한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상체인 건물의 외벽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매립형'을 예시한 도 11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벽과 평면을 이루도록 매립·설치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일반형 또는 매립형의 형태로 건물 외벽에 설치된 후 문자열 "PATENT"를 출력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주변환경,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의 디자인을 모사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환경과 시각적인 조화를 이룬다. 또한, 주변환경과의 시각적인 조화를 이룬 상태에서 문자열, 도형 등의 광고 디자인이 자연스레 출력되므로, 광고 노출자들의 시선 및 관심을 보다 복합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대상체와 시각적으로 일체감을 이루다가 광고 디자인이 대상체의 일부처럼 출력되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창안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적용한 발명의 주요 원리는, 본 명세서의 과제의 해결수단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간의 분리(separation in time) 및 포개기(nesting)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등의 대상체와 시각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프레임
120: 패널부
122: 제1 필름
124: 제2 필름
24A: 광 투과 영역
24B: 차광 영역
130: 광 생성모듈
140: 제어부

Claims (2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광 생성모듈;
    디자인이 인쇄된 광 투과성 제1 필름과, 상기 제1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어 일부의 광 투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 상기 광 생성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광하는 제2 필름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패널부; 및
    상기 광 생성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는 대상체 내에 매설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에 형성된 광 투과 영역은 문자열, 도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생성모듈은,
    복수개의 엘이디로 이루어지는 배열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엘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대상체의 면과 평면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건물의 외벽 또는 건물 실내의 내벽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광 투과성 보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은 상기 광 투과성 보호판의 배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보호판의 표면은,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는 대상체의 면의 거칠기와 유사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표면처리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보호판의 표면은,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는 대상체의 면의 거칠기와 유사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표면처리되되, 상기 광 투과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표면처리가 배제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건물의 외벽 또는 건물 실내의 내벽에 매립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 생성모듈;
    상기 외벽 또는 내벽을 모사한 디자인이 인쇄된 광 투과성 제1 필름과, 상기 제1 필름의 배면에 배치되어 일부의 광 투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 상기 광 생성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광하는 제2 필름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패널부; 및
    상기 광 생성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부는,
    광 투과성 보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은 상기 광 투과성 보호판의 배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에 형성된 광 투과 영역은 문자열, 도형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에 형성된 광 투과 영역은 소정 크기와 형상의 윈도우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 생성모듈은,
    복수개의 엘이디로 이루어지는 배열판을 포함하는,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보호판의 표면은,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는 대상체의 면의 거칠기와 유사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표면처리된,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성 보호판의 표면은,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는 대상체의 면의 거칠기와 유사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표면처리되되, 상기 광 투과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표면처리가 배제된,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87680A 2012-08-10 2012-08-10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90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80A KR101390222B1 (ko) 2012-08-10 2012-08-10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680A KR101390222B1 (ko) 2012-08-10 2012-08-1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339A KR20140021339A (ko) 2014-02-20
KR101390222B1 true KR101390222B1 (ko) 2014-04-30

Family

ID=5026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680A KR101390222B1 (ko) 2012-08-10 2012-08-1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2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310A (ko) * 1998-10-27 2000-05-25 도끼모도 도요따로 투명 외부 유리 내측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고층빌딩
KR20060068916A (ko) * 2004-12-17 2006-06-21 김윤희 장식용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310A (ko) * 1998-10-27 2000-05-25 도끼모도 도요따로 투명 외부 유리 내측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고층빌딩
KR20060068916A (ko) * 2004-12-17 2006-06-21 김윤희 장식용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339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2007006289D1 (de) Leitstand einer Druckmaschine
JPH08505705A (ja) 照明看板装置のための看板
JP2020014514A (ja) 遊技機
CN110529770B (zh) 发光壳体
KR101039205B1 (ko) 광고용 led 간판
WO2003091973A8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avec micro-sources lumineuses et panneau d'eclairage souple
KR101911467B1 (ko) 라이팅 광고 패널
KR1013902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426173B2 (ja) 光透過性表示パネル
KR20170099200A (ko) 멀티광고 조명장치
US6591530B1 (en) Dynamic picture set
JP2023052594A (ja) 照明器具
EP3002745B1 (en) Interior aircraft light unit
KR101823436B1 (ko) Led 선팅지
JP6695633B2 (ja) 表示装置
JP2009229757A (ja) オープン型ledチャンネル文字
JP2020014691A (ja) 遊技機
JP2020014510A (ja) 遊技機
JP2020014509A (ja) 遊技機
WO2016038472A1 (en) A display arrangement and method
KR101213113B1 (ko) 입체 표현이 가능한 간판 어셈블리
KR200390450Y1 (ko) 광고판의 인쇄구조
JP3136546U (ja) 骨壷を容置する納骨装置
JP2009036953A (ja) 看板用照明装置
KR200350994Y1 (ko) 하프미러를 이용한 초박형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